박사

한국 근대 문학에 나타난 종의 감각 연구

김효재 2020년
' 한국 근대 문학에 나타난 종의 감각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동양3국 문학
  • 「조선문학」
  • 가치
  • 감각
  • 감별력
  • 곳간지기
  • 구인회
  • 구제
  • 노인
  • 문장
  • 문필부대
  • 문학어
  • 문화적 종
  • 미각
  • 새로운 전고
  • 성좌
  • 예술가 공동체
  • 이상적 공동체
  • 자기 고집
  • 조선어
  • 종(種·宗·倧)
  • 종의 감각
  • 증여
  • 창조
  • 투쟁
  • 한글
  • 희망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259 0

0.0%

' 한국 근대 문학에 나타난 종의 감각 연구' 의 참고문헌

  • 「「문장파(文章派)」 문학(文學)의 정신사적(精神史的) 성격(性格)」, 동악어문학21
    황종연 동악어문학회 [1986]
  • 「「꿈하늘」의 새로운 읽기 - 역사담론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사 연구79
    김주현 한국근현대사학회 [2016]
  • 「<구인회>의 '데포르마시옹' 미학과 예술가적 존재론 연구 - 김 기림, 이상, 정지용을 중심으로」
    김정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문장이 보여준 '전통'의 의미와 의의」, 상허학보4
    이명희 상허학회 [1998]
  • 「문장의 신인 추천제 연구1」, 한국근대문학연구20
    박순원 한국근대문 학회 [2009]
  • 「문장의 미적 이념으로서의 문장」, 비평문학33
    박슬기 한국비평문 학회 [2009]
  • 「문장(文章)지와 국어교육」, 한국근대문학연구20
    김동환 한국근대문 학회 [2009]
  • 「독립신문 소재 단편 「피눈물」에 대하여」, 근대서지19
    최주한 근대서 지학회 [2019]
  • 「현대시에서 전통적 정신의 존재형식과 그 의미 : 김소월과 백석 을 중심으로」, 국어교육96
    신범순 한국어교육학회 [1998]
  • 「해방 후 조선어학회 한글학회 활동 연구∼1957년)」
    정재환 성균관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945]
  • 「할미의 놀이와 이야기, 그 원형의 계승과 변이양상 연구」
    김국희 부산대 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3]
  • 「한중일 신관 비교를 통해 본 환인 하느님 신관과 한국기독교」,  단군학연구13
    허호익 단군학회 [2005]
  • 「한글운동과 근대 미디어」, 대동문화연구47
    이혜령 성균관대학교 대동 문화연구원 [2004]
  • 「한국적 세계관과 기독교 문화 - 단군신화와 한(韓)사상을 중심으 로」, 백석저널8
    송의원 백석기독학회 [2005]
  • 「한국의 근대적 문학개념 형성과정 연구」
    김동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04]
  • 「한국 초기 근대소설과 진화론 : ∼1920년대 초 '진화' 개념의 전유 양상을 중심으로」
    이만영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1910]
  • 「한국 전통 사상의 하느님」, 가톨릭 신학과 사상47
    박일영 신학과사상 학회 [2004]
  • 「한국 문학사의 새로운 가능성」
    손유경 문학과사회 하이픈 [2019]
  • 「한국 마고의 전승 양상과 신적 성격」
    김혜정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한국 근대소설에 나타난 ‘同情’의 윤리와 미학에 관한 연구」
    손유경 서 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한국 근대 문학에 나타난 ‘검(劍)’ 사상 연구-최제우, 신채호의 작 품을 중심으로-」, 어문론총50
    김주현 한국문학언어학회 [2009]
  • 「프리드리히 키틀러의 매체 이론 -문예학과 매체학의 상상력」, 독일언어문학43
    유봉근 한국독일언어문학회(구 독일언어문학연구회) [2009]
  • 「폭정은 영웅을 낳는다」
    이덕일 한겨레 21 [2008]
  • 「춘원 이광수李光洙와 운허耘虛 스님 : 망국과 해방, 분단과 전쟁 을 겪은 20세기의 두 위인」, 춘원연구학보2
    신용철 춘원연구학회 [2009]
  • 「철학 : 인문학의 구성요소들 5: 문학의 종(種)과 장르이론」, 문학 /사학/철학17
    서장원 한국불교사연구소 [2009]
  • 「채만식 문학에 나타난 식민지적 현실 대응 양상」
    방민호 서울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2000]
  • 「조선어학회와 <<신민>>」, 관악어문연구40
    정승철 서울대학교국어국 문학과 [2015]
  • 「조선어 문학의 역사 만들기와 ‘강화(講話)’로서의 『문장』」, 한 국근대문학연구20
    문혜윤 한국근대문학회 [2009]
  • 「조선어 문장 형성 연구의 향방 - 문장강화 연구사」
    문혜윤 상허학보 42 [2014]
  • 「조선광문회 연구」, 한국사학사학보3
    오영섭 한국사학사학회 [2001]
  • 「제주 흑우를 아시나요?」
    류연철 제주일보 [2018]
  • 「제국/민족 담론의 경계와 식민지적 주체-년대 이태준 ‘문학’ 에 나타난 혼종성」, 상허학보13
    정종현 상허학회, 2004 [1940]
  • 「전형기 임화와 ‘조선’의 발견」
    장문석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2009]
  • 「쟁점 : 일제강점기 조선어학회 활동의 역사적 의미 - 해방 전후 사의 재인식에 나타난 인식 태도를 비판하며-」, 민족문학사연구31
    최경봉 민족문 학사학회 민족문학사연구소 [2006]
  • 「장편소설 흙에 이르는 길 – 안창호의 이상촌 담론과 관련하여 」, 춘원연구학보13
    방민호 춘원연구학회 [2018]
  • 「잡지 문장의 성격과 위상」, 반교어문연구22
    이봉범 반교어문학회 [2007]
  • 「작문수업과 문예부, 문학청년의 망탈리테」, 상허학보34
    조윤정 상허학 회 [2012]
  • 「일제시대 이극로의 민족운동 연구 : 한글운동을 중심으로」
    박용규 고려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일제시대 신품종 벼의 도입과 보급」, 대한지리학회지38(1)
    홍금수 대 한지리학회지 [2003]
  • 「인류세와 문학연구의 과제」, 문학과환경14(3)
    신두호 문학과환경학회 [2015]
  • 「인류세, 예술로 상상 공유하다」
    김민아 사이언스 타임즈 [2019]
  • 「이해조 신소설에 나타난 하위주체의 발화양상 - 「구마검(驅魔劒) 」과 「화의 혈(花의 血)」을 중심으로」, 구보학보19
    김효재 구보학회 [2018]
  • 「이태준의 언어의식과 근대적 글쓰기의 場」, 한국근대문학연구 23
    박진숙 한국근대문학회 [2011]
  • 「이태준의 소설론과 문장강화에 대한 고찰」, 한국현대문학연구 6
    천정환 한국현대문학회 [1998]
  • 「이태준 소설의 노인, 그 기호학적 의미」, 상허학보5
    김현숙 상허학회 [2000]
  • 「이태준 문학에서 노인의 문제 - 「불우노인」과 「영월영감」을 중심 으로」, 서강어문9(1)
    장소진 서강어문학회 [1993]
  • 「이태준 문장론의 형성과 근대적 글쓰기의 의미」, 시학과 언어학 6
    박진숙 시학과 언어학회 [2003]
  • 「이태준 단편소설의 정신주의 연구」, 동남어문논집30
    이상재 동남어문 학회 [2010]
  • 「이시열의 민족운동과 대종교」, 숭실사학28
    조준희 숭실사학회 [2012]
  • 「원초적 시장과 레스토랑의 시학-야생의 식사를 향하여-」, 한국현 대문학연구12
    신범순 한국현대문학회 [2002]
  • 「운허 이학수 ( 1892 -의 생애와 사상 - 애국과 구도의 길에서」, 인문학연구3
    신용철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1999 [1980]
  • 「오산학교와 서북학회정주지회」, 문명연지3(1)
    조현욱 한국문명학회 [2002]
  • 「영월지역의 김삿갓 인물설화 연구」, 강원민속학20
    이창식 강원도민속 학회 [2006]
  • 「신채호의 영웅서사 역술과 대한제국기 언론매체의 국문 모색 :  을지문덕을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60
    임상석 우리어문학회 [2018]
  • 「신채호의 ‘조선혁명’의 길」, 한국근현대사연구18
    김영범 한국근현대사 학회 [2001]
  • 「신채호의 ‘역사’ 이념과 서사적 재현 양식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 상허학보14
    김현주 상허학회 [2005]
  • 「신인추천제에 나타난 文章의 시적 지향 - 시 부문을 중심으로 」, 한국현대문학연구30
    서진영 한국현대문학회 [2010]
  • 「식민지시기 고전주의 운동과 전통담론 - 년대 국민문학과 1930년대문장파 상고주의의 전통담론을 중심으로」, 문화와융합57
    김윤경 한국문 화융합학회, 2018 [1920]
  • 「식민지 작가 박태원의 외국문학 체험과 ‘조선어’의 발견」, 대동 문화연구70
    김미지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0]
  • 「식민지 시기 어문운동의 결산으로서의 文章」(1), 구보학보21
    김효재 구보학회 [2019]
  • 「식민지 시기 문학의 ‘종(種)의 감각’ 연구」, 상허학보46
    김효재 상허학 회 [2016]
  • 「식민지 근대의 심상지리와 문장파 기행문학의 조선표상」, 민 족문학사연구31
    박진숙 민족문학사학회 민족문학사연구소 [2006]
  • 「시인 백석과 그의 정신적 스승 이시카와 다쿠보쿠」
    이동순 월간조선 [1994]
  • 「소설의 모델, 독자, 작가 – 이희철(李熙喆)의 문학적 행보에 대 한 고찰」, 비평문학42
    권두연 한국비평문학회 [2011]
  • 「석인 선생을 추모하며 – 영생여고 제자 좌담회」, 새국어생활8(3)
    국립 국어연구원 [1998]
  • 「새로운 생명의 탄생을 위한 노래들 – 강은교론」, 시와정신57
    김효재 가을 [2016]
  • 「상해 독립신문 소재 「피눈물」의 저자 고증」, 현대소설연구74
    김주현 한국현대소설학회 [2019]
  • 「봉건 말기 지식인의 분화 : 방랑시인 김삿갓」, 작가연구1
    우응순 새미 [1996]
  • 「백석시에 나타난 음식의 의미 연구」
    소래섭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 「백석 시의 ‘녯적'에 담긴 전통의 의미」, 한국현대문학연구57
    소래섭 한 국현대문학회 [2019]
  • 「박태원의 「만인의 행복」과 식민지 말기의 ‘행복론’이 도달한 자리 」, 구보학보14
    김미지 구보학회 [2016]
  • 「박태원 소설의 담론 구성 방식과 수사학 연구」
    김미지 서울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2008]
  • 「문학이라는 譯語」, 동악어문학32
    황종연 동악어문학회 [1997]
  • 「문학론 문장론 문학사론에서의 전통의 문제 - 이광수 이태준 임화 를 중심으로」, 한국학논집43
    황재문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1]
  • 「문학과 정치, 문학의 정치 – 일제말기 이태준 문학 연구의 현황 과 전망」, 상허학보42
    조윤정 상허학회 [2014]
  • 「몰락하는 신생(新生) - ‘만주’의 꿈과 농군의 오독(誤讀)」, 상허 학보9
    김철 상허학회 [2002]
  • 「동제사의 결성과 활동」, 한국사연구48
    김희곤 한국사학회 [1985]
  • 「동인지 창조의 문학사적 의미 – 김동인을 중심으로-」
    방민호 영화 가 있는 문학의 오늘 30, 봄 [2019]
  • 「동양적인 것, 조선적인 것, 그리고 문장」, 한국근대문학연구 21
    차승기 한국근대문학회 [2010]
  • 「동양, 제국, 식민주체의 신생-년대 후반 김남천과 김사량 소 설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26
    이철호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3 [1930]
  • 「동아시아 지역표상의 시간ㆍ지리학 - 문장의 기행문 연구」,  한국근대문학연구20
    차혜영 한국근대문학회 [2009]
  • 「동농 이해조 문학 연구 : 전대(前代) 소설 전통의 계승과 신소설 창작의 사상적 배경을 중심으로」
    송민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2]
  • 「단재 신채호의 문학과 정전의 문제」, 현대소설연구36
    김주현 현대소설 학회 [2007]
  • 「다문화주의와 문화다양성에서의 문화종 -한국문학의 이기적 유전 자론-」, 현대문학이론연구33
    김승환 현대문학이론학회 [2008]
  • 「니체의 민주주의 비판」, 철학연구101
    정낙림 대한철학회 [2007]
  • 「년을 전후한 조선의 언어 상황과 문학자」 ,한국근대문학연 구4(1)
    윤대석 한국근대문학회, 2003 [1940]
  • 「년대 후반 전통론 연구 : 시간-공간 의식을 중심으로」
    차승기 연세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1930]
  • 「년대 후반 전통 담론의 탈식민성 연구」
    배개화 서울대학교 박사학 위 논문, 2004 [1930]
  • 「년대 종합지 새벽의 정신적 지향(1)」, 한국현대문학연구 46
    김효재 한국현대문학회, 2015 [1950]
  • 「년대 이광수 단편소설의 ‘자기-서사’적 특성」, 춘원연구학보 7
    서은혜 춘원연구학회, 2014 [1910]
  • 「년대 어휘의 장과 문학어의 계발 – 어문운동의 맥락과 문 장강화의 지향」, 상허학보18
    문혜윤 상허학회, 2006 [1930]
  • 「년대 어문운동과 조선문학의 가능성」, 어문논집56
    여태천 민족어 문학회, 2007 [1930]
  • 「년대 시에서 니체주의적 사상 탐색의 한 장면(1)-구인회의 별무리 사상을 중심으로」
    신범순 인문논총72(1), 2015 [1930]
  • 「년대 문학 언어의 타자들과 조선어 글쓰기의 실험들 – 박태 원의 천변풍경,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등을 중심으로」
    김미지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60, 2013 [1930]
  • 「년대 말 치안유지법을 통해 본 조선 문학- 조선문예부흥사 사건과 조선 문학자들」, 한국현대문학연구28
    배개화 한국현대문학회, 2009 [1930]
  • 「년대 말 '조선' 문인의 '조선어'를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 우리말글33
    배개화 우리말글학회, 2005 [1930]
  • 「년대 국민문학론과 무속(巫俗)적 전통」, 한국현대문학연구 22
    소래섭 한국현대문학회, 2007 [1920]
  • 「년대 국문체의 형성과 문학적 글쓰기」
    문혜윤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6 [1930]
  • 「년대 고전부흥운동의 문학사적 의의」, 한국문학연구11
    황종연 동 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1988 [1930]
  • 「년대 新文館의 문학 기획과 한국 근대문학의 형성」
    이경현 서울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910]
  • 「김소월 시의 사상적 배경 연구 : 오산학교의 이상향 추구를 중심 으로」
    김효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김삿갓시연구 - 김립시집을 중심으로」
    박혜숙 서울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1984 [1941]
  • 「김삿갓 시의 구비문학적 성격」, 우리말글21
    이창식 우리말글학회 [2001]
  • 「김동리 연구」
    홍기돈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 「기독교 담론의 근대서사화 과정 연구」
    조경덕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근대적 언어관의 전개와 국어정립이라는 과제의 인식 양상: 한국 의 특수성을 중심으로」, 동방학지158
    최경봉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2]
  • 「근대계몽기 신채호의 글쓰기방식 : 한문의 그늘 밑에 모색된 새 로운 논리와 사상」
    임상석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국문운동과 문장강화」, 시학과언어학6
    최시한 시학과 언어학회 [2003]
  • 「구인회를 둘러싼 몇 가지 문제제기」, 민족문학사연구16(1)
    김민정 민 족문학사학회 민족문학사연구소 [2000]
  • 「고전의 근대적 재상산과 최남선의 국한문체 글쓰기 - 조선광문 회고백 검토」, 민족문학사연구44
    임상석 민족문학사학회 [2010]
  • 「계몽이란 무엇인가? -멘델스존과 칸트의 계몽개념」, 독일어문학 37
    김용대 한국독일어문학회 [2007]
  • 「계몽의 변증법과 현대의 위기 : 자연의 위기와 지배의 변증법」,  예술문화연구8
    민형원 서울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1998]
  • 「계몽운동기-1910) 사회진화론 수용의 논리」
    서명일 고려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06 [1905]
  • 「가람의 국학운동과 이태준」, 한국현대문학연구43
    박진숙 한국현대문학 회 [2014]
  • 「가람 이병기의 어문운동과 어문연구 : 가람日記를 중심으로」,  애산학보40
    윤석민 애산학회 [2014]
  • 「陶南의 생애와 학문」, 고전문학연구27
    김명호 한국고전문학회 [2005]
  • 「∼30년대 문학에 나타난 후각의 의미 ― 소월, 백석, 이상을 중심으로」, 사회와 역사81
    소래섭 한국사회사학회, 2009 [1920]
  • 「‘홀로세’ 가고 ‘인류세’ 올까」
    이성규 사이언스 타임즈 [2019]
  • 「‘한글’ 명명자(命名者)와 사료(史料) 검증(檢證)의 문제(問題)-고 영근에 답함-」, 어문연구35(3)
    임홍빈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7 [2003]
  • 「‘조선학’과 식민지 근대의 ‘지(知)’의 제도 - 문장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140
    차혜영 국어국문학회 [2005]
  • 「‘신체제(新體制)’ 성립 전후의 한국근대문학 연구방법론 고찰 - 이태준의 <농군>을 둘러싼 논쟁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25
    하재연 한국현 대문학회 [2008]
  • 「‘식민지근대’의 문학사적 수용과 년대 문학의 재인식」, 어문 론총47
    김민정 한국문학언어학회, 2007 [1930]
  • 「‘민족’에 관하여 – 근대주의적 민족론에의 비판적 조명」, 국제 한인문학연구25
    방민호 국제한인문학회 [2019]
  • 「‘국민문학’에 흡수되지 않는 타자적 계기들」, 우리말글73
    손정수 우리 말글학회 [2017]
  • 「<문장강화>에 나타난 문장(文章) 의식」, 한국현대문학연구16
    배개화 한국현대문학회 [2004]
  • 「<<시인부락>>파의 해바라기와 동물 기호에 대한 연구」
    신범순 관악어 문연구37 [2012]
  • 「(탈)식민의 역사주의에서 언어적 전회로」, 상허학보42
    최현희 상허학 회 [2014]
  • 「(추천석사논문) 정지용 문학의 가톨리시즘과 역사의식」, 민족문학 사연구53
    허윤 민족문학사학회 민족문학사연구소 [2013]
  • 「'한글'의 作名父는 누구일까 : 이종일 최남선 소작설과 관련하여」, 새국어생활13(1)
    고영근 국립국어원 [2003]
  • 「 후(事後/死後)의 리얼리즘 – 김향숙 소설의 ‘살아남은 딸’들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54
    손유경 민족문학사학회 [2014]
  • 효석전집 5권, 유진오 외 편집
    이효석 춘조사 [1960]
  • 함석헌 전집4 - 죽을 때까지 이 걸음으로
    함석헌 함석헌 한길사 [1993]
  • 한자어원사전
    하영삼 도서출판3 [2018]
  • 한국현대시의 퇴폐와 작은 주체
    신범순 신구문화사 [1998]
  • 한국현대문학사
    권영민 민음사 [2004]
  • 한국종교사상사 4권
    김상일 김홍철 조흥윤 연세대학교출판부 [1992]
  • 한국잡지사
    김근수 청록출판사 [1980]
  • 한국의 개 - 토종개에 대한 불편한 진실
    하지홍 글로벌콘텐츠 [2017]
  • 한국어문운동과 근대화
    고영근 탑출판사 [1998]
  • 한국신소설선집 5권, 권영민 김종욱 배경열 편
    이해조 서울대학교출판 부 [2003]
  • 한국식품문화사
    이성우 교문사 [1988]
  • 한국민속과 문학연구
    김열규 일조각 [1978]
  • 한국문학의 근대성과 이데올로기 비판
    김윤식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7]
  • 한국문학사
    김윤식 김현 민음사, ; 2001 [1973]
  • 한국근대소설사
    김영민 [1997]
  • 한국근대문학의 유인과 미적 주체의 좌표
    김민정 소명출판 [2004]
  • 한국근대문학사상비판
    김윤식 일지사, ; 1995 [1978]
  • 한국근대문예비평사연구
    김윤식 일지사, ; 1999 [1976]
  • 한국 현대시와 동양적 생명사상
    최승호 다운샘 [1995]
  • 한국 한문학 연구의 새 지평
    신익철 소명출판 [2005]
  • 한국 한문학 연구의 새 지평
    이혜순 소명출판 [2005]
  • 한국 농학사
    이춘녕 민음사 [1989]
  • 한국 근대문학 사상사
    김윤식 한길사 [1984]
  • 진리의 사람 다석 유영모 상권
    박영호 두레 [2001]
  • 증보 한국고대종교사상
    이은봉 집문당 [1999]
  • 정지용전집, 최동호편
    정지용 서정시학 [2015]
  • 일제말기 한국문학의 담론과 텍스트
    방민호 예옥 [2011]
  • 일본의 국민시인 이시카와 타쿠보쿠 입문
    황성규 중앙대학교 출판부 [1996]
  • 이태준 전집 2권, 상허학회 편
    이태준 이태준 깊은샘 [1988]
  • 이상의 무한 정원 삼차각 나비 – 역사시대의 종말과 제4세대 문 명의 꿈
    신범순 현암사 [2007]
  • 이광수전집 7권
    이광수 삼중당 [1976]
  • 이광수전집 6권
    이광수 우신사 [1979]
  • 원본 정지용시집
    정지용 깊은샘 [2003]
  • 우리말의 탄생
    최경봉 책과함께 [2005]
  • 우리나라 민속놀이
    심우성 동문선 [1996]
  • 우리가 지켜야할 우리 종자
    안완식 사계절 [1999]
  • 우리 삽살개
    하지홍 창해 [2001]
  • 오장환 전집, 김학동 엮음
    오장환 오장환 국학자료원 [2003]
  • 신채호의 사회사상연구
    신용하 한길사 [1984]
  • 신채호문학유고선집, 김병민 편
    신채호 연변대학출판사 [1994]
  • 신채호문학연구
    김병민 아침 [1989]
  • 슬픈 사회주의자-미학적 실천으로서의 한국 근대 문학
    손유경 소명출 판 [2016]
  • 수주 변영로 전집1권, 수주 변영로 기념사업회 편
    변영로 한국문화사 [1989]
  • 서사양식과 담론의 근대성
    권영민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 백세 노승의 미인담(외), 김주현 편
    신채호 범우 [2004]
  • 바리데기 연가
    강은교 실천문학사 [2014]
  • 민족어의 수호와 발전
    고영근 제이엔씨 [2004]
  • 문학사 이후의 문학사
    소영현 임태훈 천정환 푸른역사 [2013]
  • 무서록
    이태준 박문서관 [1942]
  • 무서록
    이태준 깊은샘 [1994]
  • 만주, 경계에서 읽는 한국문학
    김재용 소명출판 [2014]
  • 뜻으로 본 한국 역사
    함석헌 제일출판사 [1982]
  • 독립운동의 성좌 10인
    오세창 신구문화사 [1974]
  • 도사리와 말모이, 우리말의 모든 것
    장승욱 하늘연못 [2010]
  • 대중지성의 시대
    천정환 푸른역사 [2008]
  • 단재 신채호 평전
    김삼웅 시대의 창 [2005]
  • 단재 신채호 - 그 생애와 사상
    임중빈 명지사 [1995]
  • 노래의 상상계
    신범순 서울대학교 출판부 [2011]
  • 년대 후반 근대인식의 틀과 미의식
    김예림 소명출판, 2004 [1930]
  • 김기림 전집, 김학동 엮음
    김기림 김기림 심설당 [1988]
  • 근대주체와 식민지 규율권력
    김진균 정근식 문화과학사 [1997]
  • 근대를 넘어서려는 모험들 : 일제 말기의 문학사상 연구
    홍기돈 소명출 판 [2006]
  • 그 나라의 역사와 말
    백승종 궁리출판 [2002]
  • 구인회의 안과 밖
    현순영 소명출판 [2017]
  • 계몽과 혁명 : 신채호의 삶과 문학
    김주현 소명출판 [2015]
  • (정의를 꿈꾼 혁명가 홍경래와 방랑 시인 김삿갓 탄생기) 미친 나비 날아가다
    이은식 타오름 [2010]
  • (이태준 단편집)
    가마귀 이태준 한성도서주식회사 [1937]
  • (이기영 단편선)민촌, 조남현 편
    이기영 문학과 지성사 [2006]
  • (우리땅, 우리종자) 한국토종작물자원도감
    안완식 이유 [2009]
  • 민필호 한국혼 보신각 [1971]
  • 한국신문연구소 편, 言論祕話50篇 – 元老記者들의 直筆手記
    社團法人 韓國新聞硏究所 [1978]
  • 한국식품과학회 편, 식품과학기술대사전
    광일문화사 [2004]
  • 편집부, 천지인
    한문화 한문화 [2009]
  • 편저, 한국잡지백년1 2 3
    최덕교 현암사 [2005]
  • 편저, 김삿갓 구전 설화
    김의숙 푸른사상 [2001]
  • 출판기획과 문화운동
    권두연 신문관의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6]
  • 정주아, 「한국 근대 서북문인의 로컬리티와 보편지향성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정리, 正本 김삿갓 풍자시 전집
    이응수 실천문학사 [2000]
  • 임화, 임화문학예술전집4 : 평론1, 신두원 편집
    소명출판 [2009]
  • 임화, 문학의 논리
    학예사 [1940]
  • 이정은, 「이태준 후기 단편소설의 변모 양상 연구 - 만주기행전후 작품 을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63
    한민족어문학회 [2013]
  • 이재선, 한국소설사1
    민음사 [2000]
  • 이상, 이상문학전집2 3, 김주현 주해
    소명출판 [2009]
  • 이상, 이상문학전집 3권, 김윤식 편
    문학사상사 [1998]
  • 이상, 꽃속에 꽃을 피우다 : 이상시전집1, 신범순 주해
    나녹 [2017]
  • 엮음, 지구사의 도전 : 어떻게 유럽중심주의를 넘어설 것인 가
    김용오 조지형 서해문집 [2011]
  • 엮음
  • 식민지 문학의 윤리
    이광수와 최주한 소명출판 [2014]
  • 백석, 백석 전집, 김재용 엮음
    실천문학사 [2001]
  • 민족문학사연구소 편, 문학사를 다시 생각한다
    소명출판 [2018]
  • 문학의 언어와 양식
    유승환 황석영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문학의 근대성
    송인화 이태준 국학자료원 [2003]
  • 단재신채호전집편찬위원회 편, 단재신채호전집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 동사연구소 [2008]
  • 단재신채호전집간행위원회, 단재신채호전집 : 보유
    형설출판사 [1975]
  • 남강문화재단 편
    남강 이승훈과 민족운동 [1988]
  • 그의 시대1권(개정 증보판)
  • 風林 
  • 靑春 
  • 貊文章 
  • 石井正己 편, 년 조선설화집, 최인학 번안
    민속원, 2010 [1923]
  • 柳川陽介, 「이태준과 도자기 - 일본어 수필 「破片的な話(파편적인 이야기) 」와 성북동을 중심으로」, 상허학보51
    상허학회 [2017]
  • 柳川陽介, 「이순옥 아동문학 개성(開城)- 년대 이태준의 삶과 그 주변 」, 상허학보54
    상허학회, 2018 [1930]
  • 柳川陽介, 「백양당 연구」, 한국학연구50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 朝鮮文壇 
  • 朝光 
  • 新生 
  • 廢墟 
  • 創造 
  • 中外日報, 
  • 三浦信孝 糟谷啓介 엮음, 언어제국주의란 무엇인가, 이연숙 고영진 조태린 옮김
    돌베개 [2005]
  • 三千里 
  • 『開闢』 
  • “Reading National Heroes from Fantasy: Shin Chae-ho’s “The Dream Heaven”
    이재연 “,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vol. 7(1),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2004]
  • Wilber, Ken., 의식의 스펙트럼, 박정숙 옮김
    범양사 [2006]
  • Weston, Jessie Laidlay, 제식으로부터 로망스로, 정덕애 옮김
    문학과지 성사 [1988]
  • Thoreau, Henry David, 월든, 강승영 옮김
    이레 [2011]
  • Thoreau, Henry David, 시민의 불복종, 강승영 옮김
    은행나무 [2012]
  • The Climate of History : Four ThesesCritical Inquiry Vol.35 ( 2 )
    [2009]
  • Tennyson 's Elegy for the Anthropocene : Genre , Form , and Species Being
    [2016]
  • Smith, Anthony D., 민족주의란 무엇인가 : 근대주의를 넘어선 새로운 모 색, 강철구 옮김
    용의숲 [2012]
  • Smith, Anthony D, 족류 상징주의와 민족주의 : 문화적 접근방법, 김 인중 옮김
    아카넷 [2016]
  • Smith, Anthony D, 민족의 인종적 기원, 이재석 옮김
    그린비 [2018]
  • Schmid, Andre, 제국 그 사이의 한국 1895∼, 정여울 옮김
    휴머니 스트, 2007 [1919]
  • Postcolonial Studies and theChallenge ofClimateChangeNew Literary History Vol.43
    [2012]
  • Paul J. and Eugene F. StoemerThe Anthropocene
    41 ,
  • Nietzsche, Friedrich Wilhelm,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정동호 옮김
    책세상 [2014]
  • Nietzsche, Friedrich Wilhelm, 우상의 황혼, 백승영 옮김
    책세상 [2002]
  • Nietzsche, Friedrich Wilhelm, 선악을 넘어서, 김훈 옮김
    청하 [2003]
  • Nietzsche, Friedrich Wilhelm, 도덕의 계보, 김정현 옮김
    책세상 [2002]
  • Mintz, Sidney Wilfred, 음식의 맛, 자유의 맛, 조병준 옮김
    지호 [1998]
  • Lost Dogs , Last Birds , and Listed Species : Cultures of Extinction
    Configurations - Volume 18 , Numbers 1-2 [2010]
  • Kittler, Friedrich A., 기록시스템 1800 , 윤원화 옮김
    문학동네, 2016 [1900]
  • Kern, Stephen, 시간과 공간의 문화사, 박성관 옮김
    휴머니스트 [2004]
  • Kant, Immanuel, 칸트의 역사 철학, 이한구 편역
    서광사 [2009]
  • Hamilton, Clive, 인류세, 정서진 옮김
    이상북스 [2018]
  • Geology of mankind
  • Gay, Peter, 모더니즘 : 새롭게 하라, 놀라게 하라, 그리고 자유롭게, 정 주연 옮김
    민음사 [2015]
  • Foucault, Michel, 자유를 향한 참을 수 없는 열망 : 푸코-하버마스 논쟁 재론, 정일준 편역
    새물결 [1999]
  • Eliade, Mircea, 샤머니즘, 이윤기 옮김
    까치 [2001]
  • Deuchler, Martina, 조상의 눈 아래에서 : 한국의 친족, 신분 그리고 역사 성, 김우영 문옥표 옮김
    너머북스 [2018]
  • Darwin, Charles, 종의 기원, 장대익 옮김
    사이언스 북스 [2019]
  • Crosby, Alfred W., 생태제국주의, 안효상 정범진 옮김
    지식의 풍경 [2000]
  • Classen, ConstanceHowes, DavidSynnott, Anthony, 아로마 : 냄새 의 문화사, 김진옥 옮김
    현실문화연구 [2002]
  • Chakrabarty, Dipesh, 유럽을 지방화하기 : 포스트식민 사상과 역사적 차 이 , 김택현 안준범 옮김
    그린비 [2014]
  • Campbell, JosephMoyers, Bill D, 신화의 힘, 이윤기 옮김
    이끌리오 [2003]
  • Anderson, Benedict R. O'G., 상상된 공동체 : 민족주의의 기원과 보급에 대한 고찰
    서지원 옮김, 길 [2018]
  • 12인 공저(오혜진 기획), 문학을 부수는 문학들
    권보드래 민음사 [2018]
  • (朝鮮)中央日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