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중국인 한국어 교사의 코드 스위칭 양상과 맥락 요인 연구

김가람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중국인 한국어 교사의 코드 스위칭 양상과 맥락 요인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동양3국 언어
  • 교수맥락
  • 교실대화
  • 대화 분석
  • 말차례
  • 발화주체
  • 수정 조직
  • 인접 쌍
  • 중국인 한국어 교사
  • 코드 스위칭
  • 확장 조직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92 0

0.0%

' 중국인 한국어 교사의 코드 스위칭 양상과 맥락 요인 연구' 의 참고문헌

  • 허 경, 비원어민 한국어교원 양성 연구: 중국인을 대상으로
    동국대학교 석 사논문 [2013]
  •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의 SNS상에서의 일본어 사용 양상 연구 : 한 일 양언어 간의 코드스위칭을 중심으로
    강인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8]
  •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상호작용 전략에 대한 대화 분석 연구
    노숙원 충남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5]
  • 한국어교육에서의 피드백 연구 동향 분석, 이중언어학 56
    김수연 이승연 장현묵 정운규 이중언어학회, 313-339쪽 [2014]
  • 한국어교육 연구에서의 교사, 학습자 연구 동향 분석, 이중언어학 56
    강승혜 이중언어학회. 1-29쪽 [2014]
  • 한국어교육 연구에서 대화 분석 방법론의 수용 양상과 발전 가능 성, 語文論集 61
    백승주 중앙어문학회, 57-88쪽 [2015]
  • 한국어 학습자 간 담화에서의 코드전환 연구, 담화와인지 20(1)
    안주호 담 화인지언어학회. 137-159쪽 [2012]
  • 한국어 영어 Code-switching에 관한 연구: 형태통사론적, 화 용론적 특징을 중심으로
    정소현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 한국어 수업에서의 교사 발화 연구, 이중언어학 34
    김재욱 이중언어학회. 27-47쪽 [2007]
  • 한국어 수업 중에 이루어지는 수정적 피드백에 대한 실행 연구, 우리말연구 47
    김호정 정연희 우리말학회, 213-252쪽 [2016]
  • 한국어 수업 중에 실행되는 수정적 피드백에 대한 교사와 학습자의 인식 양상 연구, 동악어문학 65
    김호정 정연희 동악어문학회, 331-365쪽 [2015]
  • 한국어 수업 상황의 코드 스위칭-프랑스의 한국어 수업에서 관찰 되는 유형과 기능-. 이중언어학 31호
    손희연 이중언어학회. 123-151쪽 [2006]
  • 한국어 수업 담화 분석을 통한 교사의 문 법 용어 사용 사례 연구, 언어과학연구 57
    김은성 김호정 남가영 박재현 언어과학회, 83-122쪽 [2011]
  • 한국어 문법 교수학습 방법의 현황과 개선 방향-학습자와 교 수자의 메타적 인식 강화를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30
    구본관 서울대학교 국어 교육연구소. 255-313쪽 [2012]
  • 한국어 문법 교수에서의 교사 코드 전환 양상 연구 –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초급 한국어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 9(2)
    신현단 국 제한국언어문화학회. 145-177쪽 [2012]
  • 한국어 말하기 교수-학습에서 상호작용 전략 연구 –중국어권 학 습자를 대상으로-
    박해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9]
  •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양태 표현 교육 연구
    엄녀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 논문 [2009]
  • 한국어 교실에서의 수정적 피드백에 대한 대화 분석적 접근, 語文 論集 65
    김은호 중앙어문학회, 145-185쪽 [2016]
  • 한국어 교실에서 학습자 모국어 사용에 대한 의식 조사 연구, 언어 와 문화 5(1)
    최권진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19-244쪽 [2009]
  • 한국어 교사의 수업 시간 외국어 사용 연구 -교사의 언어적 배경 과 한국어 교수 환경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67
    안정민 이중언어학회, 193-228쪽 [2017]
  • 한국어 교사의 디딤말하기 양상 연구
    김주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 한국어 교사를 위한 교수언어 교육내용 연구
    이원기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 한국어 교사론 ?21세기 한국어 교사의 자질과 역할-, 한국어교육, 16(1)
    민현식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31-168쪽 [2005]
  • 한국어 2(수정본)
  • 한국사회언어학회, 사회언어학 사전
    소통 [2012]
  • 한국 화교 화자들의 이중언어 사용 연구, 사회언어학 16(1)
    서세정 손희연 한국사회언어학회. 185-211쪽 [2008]
  • 학습자의 모국어 및 모국문화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의 유 용성에 대한 연구 -초급 여성 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한중인문학연구 43
    박시균 이수진 한중인문학회, 145-173쪽 [2014]
  • 학습자 반응 분석을 통한 한족, 조선족, 원어민 한국어 교사 집단 대조 연구
    왕해하 호서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012]
  • 학습자 모국어를 활용한 한국어 교수 학습 방법의 모색, 한국어교 육 19(1)
    최권진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21쪽 [2008]
  • 프란스키니 니콜라, 한국어 비원어민 교사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이중언어 학 43
    이중언어학회, 345-370쪽 [2010]
  • 프란스키니 니콜라, 한국어 비원어민 교사 정체성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2]
  • 통합연구방법론: 질적연구 + 양적연구
    김경식 김영천 이현철 아카데미프 레스 [2013]
  • 코드전환의 동기와 기능에 대한 화자 중심적 관점, Asian Journal of African Studies 38
    양철준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37-69쪽 [2015]
  • 축문영, 한국어 말하기 수업에서 교사의 학습자 모어 사용 전략 연구: 중국 에서 한국어 말하기 수업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2]
  • 초등학교 예비 교사의 교수 화법 분석 -교대 3학년생의 모의 수 업 사례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33
    민병곤 국어교육학회. 367-404쪽 [2008]
  • 초등영어교육론
    이완기 제이와이북스 [2015]
  • 초등 영어교사의 교수 언어 유형 선택: 영어 전용과 코드 스위칭, 초등영어교육 24(1)
    남혜림 박선호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1-27쪽 [2018]
  • 초급 한국어 수업의 교수 언어 연구-메타언어 사용을 중심으로-
    홍은실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005]
  • 초급 한국어 수업에서의 스캐폴딩 양상 연구 ― 경력 교사 와 예비 교사의 스캐폴딩 제공 빈도 비교를 중심으로, 어문논집 79
    김서형 박진하 중앙 어문학회, 397-427쪽 [2019]
  • 초급 단계 한국어 수업의 매개 언어 선택에 대한 연구, 학 업 성취도와의 관련성 및 학습자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외국어교육 16(3)
    권성미 정미지 한국외국어교육학회. 487-515쪽 [2009]
  • 진정란, 세종학당 한국어 교원 재교육과정 개발 연구
    방성원 정명숙 세종 학당재단 연구보고서 [2015]
  • 중학교 영어 수준별 수업에서 교사의 코드 스위칭 차이, 인문사회 21 9(4)
    고정민 아시아문화학술원, 871-881쪽 [2018]
  • 중국인 한국어교원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어교육 27(1)
    김가람 국제한 국어교육학회, 1-20쪽 [2016]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교원에 대한 인식 연구-북경 지역 학습자를 대상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43
    김가람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 육원, 1-29쪽 [2015]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담화에 나타난 코드 스위칭 양상 연구
    정소휘 경 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6]
  • 중국인 한국어 교원의 민족 구성을 고려한 재교육 방안 연 구 – 절강 지역 교사 요구 분석을 바탕으로 -, 이중언어학 59
    김영근 임총인 이중언어 학회. 25-51쪽 [2015]
  • 중국인 한국어 교사의 수업 내 학습자 모어 사용 양상 연구
    호욱문 경희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4]
  • 중국인 한국어 교사의 문법 용어 사용 양상 연구 -‘한국어정독’ 수업을 대상으로-, 언어와 문화 15(3)
    김가람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26쪽 [2019]
  • 중국인 한국어 교사와 학습자의 모어 사용에 대한 인식 조 사, 새국어교육 97
    김영주 호욱문 한국국어교육학회, 387-414쪽 [2013]
  • 중국의 한국어 교재 ‘정독’에 대한 연구 – 학습자의 반응과 요구 를 중심으로-
    교우박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1]
  • 중국에서 한국어교육 현황과 전망,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 12
    왕단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33-71쪽 [2009]
  • 중국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4년제 대학의 한국어교육을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97
    이인순 허세립 한국국어교육학회. 361-386쪽 [2013]
  • 중국 대학의 한국어교육의 흐름, 현황 및 발전방안에 대하 여, 한국학연구(65)
    이인순 허세립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81-309쪽 [2018]
  • 중국 대학에서의 한국어 교육, 중국학 33
    장국강 대학중국학회. 1-20쪽 [2009]
  • 중국 대학교에서의 한국어 교육과 교수법, 한국어교육 13(2)
    강보유 국제 한국어교육학회. 1-19쪽 [2002]
  • 중국 대학 한국어과의 교육과정과 교수 학습 모형 분석 –길림성 지역 국립대학 한국어과를 중심으로 -,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국제학술회의 자료집
    김판준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138-150쪽 [2017]
  • 중국 대학 학부 과정 전공자를 위한 종합한국어의 교육 내용 연구
    추애방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2017]
  • 중국 내 한국어 교육의 특징과 발전 방안, 한국언어문화학 2(2)
    조항록 국 제한국언어문화학회. 249-267 [2005]
  • 조천 박지현, 한국인 및 중국인 강사의 한국어 수업에 대한 중국 대학생들 의 인식, 교육문제연구 21(2)
    전북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145-172쪽 [2015]
  • 제주 사회에서 두 방언 사용에 대한 민족지적 연구, 제주도연구 11
    강윤희 제주도연구회, 83-146쪽 [1994]
  • 제2언어 교실에서 학습자 모국어의 효용-협동적 과제 수행을 중심 으로-, 한국어교육 26(2)
    류혜진 국제한국어교육학회. 69-95쪽 [2015]
  • 재미 동포 아동의 코드 스위칭 연구: 구어 담화를 중심으로
    유해헌 경희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0]
  • 재미 동포 1.5세와 2세의 한국어/영어 코드 전환 사례 연구
    이시재 연세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6]
  • 유나, 한국어 수업의 문법 설명 언어에 대한 연구 : 중국어권 학습자 대상 한국어 수업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 외국인 한국어교원 양성의 과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41
    전나영 연 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226-242쪽 [2014]
  •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육에서 교사말 연구-상호작용 기능에 따른 유형을 중심으로-
    한상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1]
  • 외국어교육에서 상호작용 활성화를 위한 교수자 담화 전략: 제도 권 밖의 프랑스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김경랑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4]
  • 외국어 변인에 대한 한국어 교사 인지 연구
    안정민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2017]
  • 외국어 교사 교육의 이론 및 실제. 방영주 옮김. 서울: 한국문화사
    Farrell, T. S. C. Richards, J. C. (원서 출판 2005) [2009]
  • 연구방법 질적 양적 및 혼합적 연구의 설계. 정종진 김 영숙 성용구 성장환 류성림 박판우 유승희 임남숙 임청환 허재복 옮김.서 울:시그마프레스
    Creswell, J. W. (원서 출판 2014) [2017]
  • 쓰기 수업의 교수대화 양상 분석 연구
    이수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 논문 [2004]
  • 신필여, 한국어 학습자 담화의 시제 사용 양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 사 학위 논문 [2017]
  • 수업 컨설팅을 통한 초등영어 교사의 내용교수지식 발달에 관한 사례 연구, 초등영어교육 14(2)
    장경숙 한은민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73-94쪽 [2008]
  • 수업 대화의 분석과 말하기 교육
    박용익 역락 [2003]
  • 사회언어학의 전망
    강석우 제이앤씨 [2008]
  • 비원어민 한국어교원 교육의 과제와 방향 -중국의 ‘한어국제교육’ 과 비교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59
    김가람 이중언어학회, 1-24쪽 [2015]
  • 비원어민 한국어 교원의 현황과 역할-중국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35
    최윤곤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187-206쪽 [2010]
  •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의 수업 담화 오류 연구 - 한국어 교사 연수 과정 수료생의 담화를 중심으로 -, 언어와 문화, 8(3)
    한상미 한국언어문화교육학 회,325-349쪽 [2012]
  •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의 교수 효율성 증대를 위한 교사 교육 연구
    최열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2016]
  •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 연구의 동향 분석, 국어교육연구 제43집
    김가람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31쪽 [2019]
  • 비선호 응답으로서 코드 스위칭-한국어 수업의 토론 상황을 중심 으로-, 한말연구 제37호
    김은호 한말연구학회. 73-104쪽 [2015]
  • 북경 지역 한국어교육 현황과 과제, 국어교육연구 23
    노금송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33-59쪽 [2009]
  • 백정이, 교실 수업 담화 구성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 위 논문 [2011]
  • 박은하, 한국어 교실에서 교사 말 유형 및 특징과 사용 양상 – 인턴 교사 의 초급 교수 학습계획안을 중심으로 -, 시학과 언어학, 제32호
    시학과언 어학회. 27-49쪽 [2016]
  • 미국 대학 초급 교실에서 교사의 학습자 모어 사용에 대한 학습자 의 인식, 이중언어학 75
    윤경원 이중언어학회. 133-151쪽 [2019]
  • 목표어 수업에서 모국어의 효과와 메타언어적 기능-한국 대학 영 어 사용 교수자의 한국어 사용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75
    곽은희 이중언어학 회. 1-29쪽 [2019]
  • 메타언어(Meta-Language)를 활용한 한국어 문법 교육 방법론 연구, 이중언 어학 32
    홍윤기 이중언어학회, 383-408쪽 [2006]
  • 런샤오리, 중국의 한국어 교육 현황과 문제점 및 해결 방안-본과 교육을 중심으로-, 아시아문화연구 29
    가천대학교 아시아 문화 연구소, 35-60쪽 [2013]
  • 량빈, 연변 지역어 사용자의 SNS 부호 전환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2019]
  • 량빈 장람 김현정, 중국 대학에서의 한국어문학과 개설 현황 및 발전 방안 연구, 한국학연구 63
    구려나 김용범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35-66쪽 [2017]
  • 두 개의 혀
    변지원 에피스테메 [2016]
  • 대화분석론
    박용익 역락 [2001]
  • 대학교 본과 외국어 비통용 어종 학과 규범의 측면에서 본 중국에 서의 한국어 교육,韩国(朝鲜)语教育国际学术研讨会论文集(上)
    강은국 중국한국(조 선)어교육연구학회, 234-244쪽 [2010]
  • 국어교육 연구에서 수업 대화 연구의 경향과 과제, 우리말교육현장 11(2)
    김주영 우리말교육현장학회. 357-385쪽 [2017]
  • 교사의 학습자 모어 사용이 교실 상호작용과 정의적 요인에 미치 는 영향
    조윤경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2]
  • 교과교육과 수업 연구에서의 질적 접근 : 질적 연구 샘플링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교육연구 53
    나장함 성신여대 교육문제연구소, 75-104쪽 [2012]
  • 고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중급 한국어정독 교재 개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6]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수업 대화 분석』
    진제희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 “한국어 문법 교수 지식 교육 연구: 보조용언 구성을 중심으 로.”
    신현단 서 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5]
  • “한국어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지식(PCK) 연구.”
    신은경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4]
  • “한국어 교사 발화에 나타난 관여 유발 전략.”
    백승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 사 학위 논문 [2011]
  • When the teacher is a non-native speaker
    3 , pp . 429-442 [2001]
  • When does teacher talk work as input ? In G. Susan and Madden , C. , ( eds . ) , Input in Second Language Acquisit on
    pp . 17–50 [1985]
  • What do students think about the pros and cons of having a native speaker teacher ? ” In E. Llurda ( Ed . ) , Non-native language teachers : P erceptions , challenges , and contributions to the profession
    pp . 217–242 [2005]
  • What Is The Basic Teaching Skill ?
    24 , pp . 144-151 [1973]
  • Using the first language in the classroom
    57 ( 3 ) , pp . 402-423 [2001]
  • Troike & Mae-Ran Park, Constraints in Korean-English Code-Switching
    Jun-Eon Park Rudolph C. 응용언어학, 제 6호. 115-133쪽 [1993]
  • Towards an Analysis of Discourse
    [1975]
  • There is a role for the L1 in second and foreign language teaching
    57 , pp . 531– 540 [2001]
  • The teachers ’ use of first language and foreign language as means of communication in the foreign language classroomLearning and teaching languages for communication
    pp . 41–58 [1983]
  • The sociocultural turn and its challenges for second language teacher education
    40 ( 1 ) , pp . 235-257 [2006]
  • The role of first language in the second language classroom : Friend or Foe
    57 ( 1 ) , pp . 17-31 [2002]
  • The pragmatics of code-switching : a sequential approach . In L. Milroy and Muysken , P . ( eds. ) . One speaker , two languages , ( pp . 115-135 )
    [1995]
  • The input hypothesis : Issues and implications
    [1985]
  • The differential effects of teacher code-switching on the vocabulary acquisition of adult and young EFL learners : A study in the Korean context
    [2010]
  • The Use of L1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 P art of the Cambridge P apers in ELT Series
    pp . 1-20 [2019]
  • The Preference for Self-Correction in the Organization of Repair in Conversation
    53 , pp . 361-382 [1977]
  • The Non-native Teacher
    [1994]
  • The Interactional Architecture of the Language Classroom : A Conversation Analysis P erspective
    [2004]
  • Teachers ’ perceptions about 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
    57 ( 1 ) , pp . 131-148 . [2002]
  • Teachers ’ and Students ’ Perceptions on L1 and L2 Use in Korean High School English Classrooms
    26 ( 2 ) , pp . 167-190 . [2012]
  • Teacher use of the learners ’ native language in the foreign language classroom
    58 , pp . 402–426 [2002]
  • Teacher use of code switching in the second language classroom : Exploring “ optimal ” use . In M. Turnbull & J. Dailey-O ’ cain ( Eds . ) , First Language Use in Second and F oreign Language Learning
    pp . 35-49 [2009]
  • Teacher Learning in Language Teaching
    [1996]
  • Teacher Cognition in Language Teaching : A review of research on what language teachers think , know , believe , and do
    36 ( 2 ) , pp . 81-109 [2003]
  • Task‐based second language learning : The uses of the first language
    4 , pp . 251– 274 [2000]
  • Talking science : Language , learning , and values
    [1990]
  • Talk in Action : Interactions , Identit es and Institutions
    [1984]
  • Students ’ views regarding the use of the first language : An exploratory study in a tertiary context maximizing target language use
    65 , pp . 249–273 [2008]
  • Strategies for language learning and for language use : Revis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90 ( 3 ) , pp . 320-337 [2006]
  • South Korean high school English teacher ’ sCode switching : Questions andChallenges in the drive for maximal use of English in teaching
    38 ( 4 ) , pp . 605-638 [2004]
  • Sometimes I 'll Start a Sentence in Spanish y Termino en Espanol : Toward a Typology ofCode-switching
    18 , pp . 581-618 . [1980]
  • Socio-Cognitive Functions of L1Collaborative Interaction in the L2Classroom
    83 ( 2 ) , pp . 233-247 [1999]
  • SixCases inClassroomCommunication : A Study of Teacher Discourse in the Foreign LanguageClassroom . In J. P. Lantolf A . Labarca ( Eds . ) , .Research in Second Language Learning : Focus on theClassroom. ( pp.173-193 )
    [1987]
  • Sequence Organization in Interaction ( 5th ed. )
    [2010]
  • Seong-Chul Shin Language Instructors’ Use of Learners’ L1 and L2 in Classroom-Perceptions by Students and Teachers of Korean, <언어사실 과관점> 24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157-186쪽 [2009]
  • Reexamining English on1y in the ESLClassroom
    27 ( 1 ) , pp . 9-32 . [1993]
  •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 ( 3nd ed. )
    [2002]
  • P rinciples and P ractice in Second Language Acquisit on
    [1982]
  • Own-language Use in ELT : Exploring global practices and attitudes
    pp . 6-48 [2013]
  • Non-Native English Speaking Teacher in the ProfessionTeaching English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 4th ed )
    pp . 586-600 [2014]
  • Native speaker/non-native speaker conversation and the negotiation of comprehensible input
    4 , pp . 126-141 . [1983]
  • Native or non-native : What do the students think . Learning and teaching from experience . In L. D . Kamhi-stein ( Ed . ) , P erspectives on Nonnative English-speaking P rofessionals
    pp . 121-147 [2004]
  • Linguistic imperialism
    [1992]
  • Levinson, S. C. (1983), P ragma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 Learning Lessons . Social organization in the classroom.
    [1979]
  • Language choices and pedagogic functions in the foreign language classroom : A cross-linguistic functional analysis of teacher talk
    9 , pp . 355–380 [2005]
  • Language Teaching research & Language P edagogy
    [2012]
  • Investigating age in the use of L1 or English-only instruction : Vocabulary acquisition by Korean EFL learners
    97 ( 4 ) , pp . 887-901 [2013]
  • Introduction . In H. Atkinson ( Ed . ) , Structures of Social Action : Studies in Conversation Analysis ( pp . 1-15 )
    [1984]
  • How much foreign language is there in the foreign language classroom ?
    74 ( 2 ) , pp . 154-166 [1990]
  • Functions of L1 in the collaborative interaction of beginning and advanced second language learners
    22 ( 2 ) , pp . 160-188 [2012]
  • French immersion research agenda for the 90s
    46 , pp . 638–674 [1990]
  • Five years of 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
    63 ( 1 ) , pp . 51-70 . [2008]
  • First language and target language in the foreign language classroom
    44 , pp . 64–77 [2011]
  • First Language Use in Second and Foreign Language Learning , New York , NY : Multilingual matters . Van Lier , L.The Classroom and the Language Learner
    [2009]
  • Discourse strategies
    [1982]
  • Contextualization and understanding . In A. Duranti and C . Goodwi ( Eds . ) , Rethinking context ( pp . 229-252 )
    [1992]
  • Communication strategies , foreigner talk , and repair in interlanguage
    30 ( 2 ) , pp . 417-431 . [1981]
  • Classroom code-switching : Three decades of research
    4 ( 1 ) , pp . 195-218 [2013]
  • Bil ngual conversation
    [1984]
  • Basics of Grounded Analysis : Emergence vs . Forcing
    [1992]
  •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 Grounded theory P rocedures and Techniques
    [2008]
  • Approaches to L1 use in the EFL classroom
    8 ) , pp . 7-11 [2007]
  • Analysing student teachers ’ code switching in foreign language classrooms : Theories and decision making
    85 ( 4 ) , pp . 531-548 [2001]
  • A Vygotskian sociocultural perspective on immersion education : The L1/ 2 debate
    1 ( 1 ) , pp . 101–129 . [2013]
  • A Study on Non-native Teacher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23 , pp . 343-364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