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개념을 적용한 주거지 재생사업지역 안전수준 평가 : 제천시 사례연구 = Safety Assessment of Urban Residential Regeneration Area Based on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CPTED): The Case of Jecheon City, Korea

이승희 2020년
논문상세정보
'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개념을 적용한 주거지 재생사업지역 안전수준 평가 : 제천시 사례연구 = Safety Assessment of Urban Residential Regeneration Area Based on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CPTED): The Case of Jecheon City, Korea'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People’s Participation
  • Urban Regeneration
  • cpted
  • urban decline
  • urban safety
  • 도시 쇠퇴
  • 도시안전
  • 도시재생
  • 범죄예방환경설계
  • 주민참여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588 0

0.0%

'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개념을 적용한 주거지 재생사업지역 안전수준 평가 : 제천시 사례연구 = Safety Assessment of Urban Residential Regeneration Area Based on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CPTED): The Case of Jecheon City, Korea' 의 참고문헌

  •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 방안.
    경찰청 경찰청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 방안 [2005]
  •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http://27.101.213
    4/(검색일: 년 11월 4일) [2019]
  • 한국조경신문
    http://www.latimes.kr(검색일: 년 10월 22일) [2018]
  • 통계청
    http://kosis.kr/(검색일: 년 11월 5일) [2018]
  • 충북 부동산정보조회 시스템
    http://kras.chungbuk.go.kr(검색일: 년 9월 12일) [2019]
  • 지구단위계획에서 환경설계를 통한 범 죄예방기법 적용에 대한 연구
    강석진 이경훈 이은혜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계획계. 24(2): 129-138 [2008]
  • 주민중심 서울시 주거환경관리사업
    서울시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가 이드라인 [2013]
  • 주거재생사업에의 환경설계(CPTED)기법 적용사례연구
    김주환 서울과학 기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제천시청
    http://stat.jecheon.go.kr/(검색일: 년 10월 3일) [2019]
  • 제천시 원도심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제천시 제천시 원도심 도시재생활성화계획 [2018]
  • 유성구청 공식 블로그
    https://blog.naver.com/yuseonggu/2(검색일: 2019년 11월 19일) [2141]
  • 연합뉴스
    https://www.yna.co.kr(검색일: 년 10월 15일) [2018]
  • 안전한 주거환경 조성을 위한 범죄예방 환경디자인 연구: 부산시 주거지역 골목길 사례를 중심으로
    강승영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산학협력단 범죄유발 지역 공간에 대한 위험성 평가도구 개발 적용 및 정책대안에 관한 연구 (Ⅰ).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 부산지역 노후주거지 CPTED 사업 계획과 인식에 관한 연구
    김현미 부 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범죄예방을 위한 환경설계의 제도화 방안.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 범죄예방을 위한 AHP와 GIS기반 인위적 감시도구(CCTV) 위치 설계 방안 연구
    조명흠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범죄예방디자인연구정보센터
    http://www.cpted.kr/(검색일: 년 10월 5일) [2018]
  • 범죄예방 환경설계 사업의 효과성 제고 방안 연구
    유여경 중앙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범죄두려움 감소를 위한 주거지 생활권의 가로공간 환경계획에 관한 연구
    권주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문화뉴스
    http://www.mhns.co.kr(검색일: 년 10월 15일) [2018]
  • 름다운 도시환경을 위한 공공디자인 진흥방안 연구: 도시가 로환경시설물을 중심으로.
    문화관광부 문화관광부 아름다운 도시환경을 위한 공공디자인 진흥방안 연구: 도시가 로환경시설물을 중심으로 [2005]
  • 도시재생 종합정보체계
    http://www.city.go.kr/(검색일: 년 3월 5일) [2019]
  • 도시재생 뉴딜사업 신청 가이드라인.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 도시재생 뉴딜사업 신청 가이드라인 [2017]
  • 도시범죄예방을 위한 도시설계 방안에 관한 연구: 아파트단지의 적용방안을 중심으로
    이영환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네이버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검색일: 년 10월 25일) [2018]
  • 국가표준인증 통합정보시스템
    https://standard.go.kr/KSCI/(검색일: 년 11 월 11일) [2018]
  • 공동주택단지의 CPTED 계획요소 적 용에 관한 연구
    강수민 김기란 유복희 『한국생활과학회지』, 25(4): 497-514 [2016]
  • 공동주택 방범평가 지표개발연구
    김상균 이상원 『한국공안행정학회 보』, 18(4): 225-259 [2009]
  • 건축물 등의 범죄예방 기준 고시(안)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 건축물 등의 범죄예방 기준 고시(안) [2013]
  •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 (CPTED) 의 한국적 도입을 위한 예비적 고찰” 『한국지역개발학회지』
  • “학교 범죄예방을 위한 CPTED 요소 기대효과와 적용방안: 서 울 경기지역 교장 교사 대상의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박성철 대한건축학회 학 술발표대회 논문집-계획계. 22(10): 43-50 [2011]
  • “학교 범죄 위험성 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 개발 연구”
    김진욱 유용흠 황성은 『교육시설 논문지』23(1): 23-32 [2016]
  • “초중고등학교 CPTED 개선 성과에 관한 기초 연구”
    김진욱 유용흠 『한 국셉테드학회지』, 8(1): 163-191 [2017]
  • “초등학교 주변 보행환경에 대한 초등학생의 범죄 불안감 조사 연구”
    이유미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15(2): 69-78 [2015]
  • “지역경찰제 실시에 따른 경찰서비스 향상방안”
    김지선 『경찰학논총』, 1(1): 119-157 [2006]
  • “중소도시 아파트단지 방범계획의 CPTED 요소 적용에 관한 연구”
    반상철 신희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5(2): 1176-1187 [2014]
  • “주민참여 CPTED 워크샵 연구”
    강석진 정성원 『한국셉테드학회지』, 8(2): 8-35 [2017]
  • “안전한 학교조성을 위한 CPTED 적용방안 연구”
    강석진 박미랑 『敎育 施設』, 18(4): 45-56 [2011]
  • “보다 안전한 도시 만들기의 한 일 사례연구”
    류광수 조창현 『지역발전 연구』, 18(1): 83-106 [2009]
  •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를 활용한 안전한 지역 만들기 현황과 과제”
    권용훈 하혜영 이슈와 논점 [2016]
  • “범죄예방 환경설계 시범사업의 디자인 특성 분석”
    정수진 『인제대학교 디자인 연구소 논문집』, 15(4): 9-20 [2016]
  • “범죄로부터 안전한 골목길 평가에 관한 연구”
    강부성 『한국셉 테드학회지』3(1): 6-36 [2012]
  • “동남아 비공식주거지의 안전을 위한 범죄예방환경설계 (CPTED)의 적용”
    권태호 이승희 2019 한국아시아학회 상반기학술대회 자료집: 75-86 [2019]
  • “도심공동화 문제의 이해와 도심재생의 접근방법”
    김혜천 『도시행정학 보』. 16(2): 79-99 [2003]
  • “도시주거지역에서의 근린관계 활성화를 통한 방범환경조 성에 대한 연구”
    강석진 이경훈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계획계, 23(7): 97-106 [2007]
  • “도시재생사업과 범죄예방 -도시재생사업과 CPTED, 무질서, 그리고 범죄두려움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연수 『한국경찰학회보』, 15(5): 23-59 [2013]
  • “도시발전 패러다임과 CPTED에 관한 연구”
    최선우 『경찰학논총』 11(1): 95-125 [2016]
  • “대구지역 공동주거단지의 CPTED 현황과 개선방안”
    박동균 박주상 『한 국치안행정논집』, 10(4): 73-96 [2014]
  • “공동주택의 CPTED적용에 대한 관계자 인식분석 연구”
    김종대 『한국 셉테드학회지』 8(1): 73-108 [2017]
  • “공동주택단지의 CPTED 도입현황과 문제점”
    김대권 김순석 『한국범죄 심리연구』, 7(1): 55-78 [2011]
  • “공동주택단지에서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기법 적용성 연구”
    강석진 이경훈 이승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계획계, 28(1): 505-508 [2008]
  • “골목길 야간조명 개선을 통한 CPTED 적용”
    김남효 박영화 한국실내디 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8(1): 256-259 [2016]
  • “가로의 가시성이 주거침입절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저층주거지역을 중심으로”
    구태연 이명식 장경란 정성원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 집-계획계32(7): 13-20 [2016]
  • “CPTED인식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천시 남동구 사례를 중심으로”
    김연수 김종길 『한국경찰학회보』 17(1): 3-34 [2015]
  • “CPTED 체크리스트를 통한 다세대 주택 밀집지역의 골 목길 위험성 분석”
    강부성 정상필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7(1): 149-152 [2017]
  • “CPTED 지표를 활용한 지역의 범죄 불안감 연구: 골목길 경관요소를 중심으로”
    노지현 박부미 『Journal of Digital Interaction Design』, 16(4): 91-104 [2017]
  • “CPTED 설계요소에 대한 공동주택 주민인식에 관한 연 구: 중요도-만족도 기법을 활용한 CPTED 적용수준별 비교 평가”
    박준석 최현식 『한 국공안행정학회보』, 18(4): 551-581 [2009]
  • “CPTED 구성요소에 대한 공동주택 주민의 인식과 범죄두려움의 관계”
    이상헌 이창한 『한국경찰학회보』, 16(5): 169-195 [2014]
  • The reasoning criminal : Rational choice perspectives on offending
    [1986]
  •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1961]
  • SocialChange andCrime rate trends : A rountine activity approach
    44 : 588-605 [1979]
  • Second-GenerationCPTED : The Rise and Fall of Opportunity Theory . In : Atlas , R , Ed , 21stCentury Security andCPTED : Designing forCritical Infrastructure Protection andCrime Prevention
    [2008]
  • Effect of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 CPTED ) measures on active living and fear of crime
    8 ( 9 ) : 872-887 [2016]
  • Defensible space
    [1972]
  •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 a management perspective
    25 ( 4 ) : 19-31 [1983]
  •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1971]
  •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 CPTED ) : A Review and Modern Bibliography
    23 ( 5 ) : 328-356 . [2005]
  • CPTED 평가지표를 반영한 다세대 다가구 밀 집지역의 범죄예방디자인 연구
    나준엽 최우철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12(5): 264-274 [2017]
  • Broken Windows : The Police and Neighborhood Safety Atlantic Monthly 249 ( 3 ) : 29-38
    [1982]
  • A review and current status of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 CPTED )
    30 ( 4 ) : 393-412 [2015]
  • A Ladder of Citizen Participation
    35 ( 4 ) : 216-224 . [19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