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중년여성의 분노감정 해결을 위한 말씀묵상 프로그램 연구 : 승리교회 제자훈련을 중심으로

김회천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중년여성의 분노감정 해결을 위한 말씀묵상 프로그램 연구 : 승리교회 제자훈련을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말씀 묵상
  • 분노감정
  • 상담자 하나님
  • 소화
  • 억압
  • 중년여성(나오미)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81 0

0.0%

' 중년여성의 분노감정 해결을 위한 말씀묵상 프로그램 연구 : 승리교회 제자훈련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한준. “88%가 빈부차 불만 ‘앵그리 사회’...정부, 불평등 고쳐야.” http://news.jtbc.j 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1024940, [2015. 09. 09.].
    [2015]
  • 한국조직신학회. 『조직신학 속의 영성』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2]
  • 청소년 분노표현방식의 모델 및 조절효과 검증
    채유경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 연합뉴스. “여성들의 분노의 이유...조남주 르포 ‘그녀 이름은’
    ” https://www.yna.c o.kr/view/AKR, [2018. 05. 27.] [2018]
  • 승리교회. “교회 소개 및 교회 5대 비전.” http://www.gosl.net, [2019. 11. 15 접 속.].
    [2019]
  • 서믿음. “조현민 사태로 본 ‘분노조절장애’...‘욱’하는 마음, 어찌할까?.” http://www. readers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9157, [2018. 04. 17.].
    [2018]
  • 도시경제연구원, “고양시 여성정책 중장기 발전계획
    ” 고양시 [2014]
  • 네이버국어사전, “제자 1 ”, https://ko.dict.naver.com
    [접속.] [2019]
  •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윤순임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1995]
  • 『피로사회』
    한병철 서울: 문학과 지성사 [2012]
  • 『평신도를 깨운다』
    옥한흠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9]
  • 『큐티와 신앙』
    이기훈 서울: 두란노 서원 [2017]
  • 『초월상담의 이론과 실제』
    김용태 서울: 학지사 [2018]
  • 『중년의 배신』
    김용태 서울: 덴스토리Denstory [2016]
  • 『조직신학 Ⅱ』
    김광식 서울: 대한 기독교서회 [1990]
  • 『제자의 삶』
    박원호 2권. 서울: 주님의교회 예수친구사역원 [2015]
  • 『어디서 살 것인가』
    유한준 경기도 고양시: 을유문화사 [2018]
  • 『아스피린과 기도』
    이만홍 서울: 로뎀 [2009]
  • 『신약성경 해설』
    박창환 서울: 장로교출판국 [1990]
  • 『수도 생활의 향기』
    엄두섭 서울: 보이스사 [1989]
  • 『성경과 분노심리』
    이관직 서울: 도서출판 대서 [2007]
  • 『비전성경사전』
    하용조 서울: 두란노 [2001]
  • 『발달 심리학』
    정옥분 서울: 학지사 [2016]
  •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유한준 경기도 고양시: 을유문화사 [2015]
  • 『내적 상처의 회복과 상담』
    강경호 서울: 한사랑가족상담연구소 [2000]
  • 『기독교 신학개론』
    정경옥 서울: 삼원서원 [2010]
  • 『그분이 내 안에, 내가 그분 안에』
    김영봉 서울: 홍성사 [2015]
  • 『구원 이후의 여정은...』
    김진 서울: 생명의 말씀사 [2010]
  • 『가짜 감정』
    김용태 서울: 덴스토리Denstory [2014]
  • 『가만히 위로하는 마음으로』
    김영봉 서울: IVP [2019]
  • 『82년생 김지영』
    조남주 서울: 민음사 [2014]
  • “화풀이 신앙여정 프로그램을 통한 분노 치유 목회 연구.”
    손의석 목회신학박사학위 논문, 장로회신학대교 목회전문대학원 [2010]
  • “한국사회에서 증가하고 있는 분노 문제에 대한 기독교 인문학적 성찰.”
    이철 『한국 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5]
  • “프랑클의 실존분석과 로고테라비, 그 이론적 기초.”
    김정현 『철학연구』 87 [2009]
  • “초월의 기초로서 실존주의 심리치료.”
    김용태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13 [2007]
  • “중세적 세습사회의 귀환.”
    송호근 『중앙일보』, , A31 [2014]
  • “중년여성의 특성 분노 및 분노표현양식과 우울과의 관계.”
  • “중년여성의 삶의 질과 행복.”
    김명소 한영석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 06(1) [2014]
  • “중년여성의 분노표현 유형과 정신건강.”
    최일림 『대한간호 학회지』 제39권 제4호 [2009]
  • “중년여성의 분노 경험에 관한 연구.”
    이용미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 2
  • “중년기 우울 여성의 심리적 경험 양상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춘경 『학술논문』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0(3) [2011]
  • “중년기 여성의 회복탄력성이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이성주 박사학위논문,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7]
  • “중년기 여성의 우울구조모형.”
    박금자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 “존 오웬을 통해 본 말씀과 성령.”
    오창록 『개신논집』 8 [2008]
  • “역기능 가정에서 성장한 중년 기독교인 여성의 분노경험연구.”
    이순자 한재희 『한 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 23, No. 3 [2016]
  • “야곱의 심리적 변화과정에 대한 연구.”
    김용태 이수미 『서울: 한국기독교상담학회 지』 25(3) [2014]
  • “분노하는 기독교인을 위한 변명.”
    정연득 『장신논단』 45(1) [2013]
  • “분노의 시대 ②.”
    전상인 『매일경제신문』, , B3 [2014]
  • “분노에 대한 연구.”
    김용섭 『고신대학교 논문집』 제12권 [1984]
  • “분노에 대한 성경적 이해와 상담적 대안.”
    우혜자 석사학위논문, 안양대학교 신학대 학원 [2004]
  • “분노란 무엇인가.”
    Les Carter 『빛과 소금』 [1999]
  • “롤로 메이의 실존적 인간 이해와 실존 치료.”
    배지연 『철학실천과 상담』 5 [2014]
  • “기독중년여성이 삶 속에서 경험한 하나님표상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전희숙 석사 학위논문,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18]
  • “기독교인중년여성이 겪는 분노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종철 박사학위논문, 중앙신학대학원대학교 [2018]
  • “S.A. KierKegaard의 실존적 이해와 상담.”
    나동광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6, 20 03
  • kitamori Kazo. Theology of the Pain of God. 이원재 역. 『하나님의 아픔의 신 학』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7]
  • Yoder John Howard. The Politics of Jesus. 신원하, 권연경 역. 『예수의 정치학』
    서울: IVP [2017]
  • Willams Rowan. Being Disciples. 김기철 역. 『제자가 된다는 것』
    서울: 복있는 사람 [2017]
  • Walke Williston r. A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강근환 외 3인 역. 『세계 기독교회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5]
  • Volf Miroslav. Exclusion and Embrace. 박세혁 역. 『배제와 포용』
    서울: IVP [2012]
  • Six Secrets to a powerful Quiet Time
    [2005]
  • McKay Mattew. When Anger Hurts: Quieting the Storm Within. 정동섭 역. 『분 노의 기술- 나만의 폭풍 잠재우기』
    서울: 학지사 [2008]
  • Lester Andrew D. The Angry Christian. 이희철, 허영자 역. 『앵그리 크리스천』
    경기도 부천시: 돌봄 [2016]
  • Lester Andrew D. HOPE in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신현복 역. 『희망의 목회상담』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7]
  • L. B Smedes. The Art of Forgiving. 이여진 역. 『용서의 미학』
    서울 : 이레서원 [2005]
  • Kierkegaard Sψren Aabye. Sygdommen til D den. 임춘갑 역. 『죽음에 이르는 병』
    서울: 종로서적 [1992]
  • Johnson Henry. Stories of Great Revivals. 정일오 역. 『부흥 운동 이야기』
    서 울: 솔로몬 [2003]
  • Family Evaluation. 남순현 외 역. 『보웬의 가족치료 이론』
    Bowen M. Kerr M.E. 서울: 학지사 [1988]
  • Collins Gary R. Christian counseling. 심리치료학회 역. 『뉴 기독교 카운슬링 : 종합상담 안내서』
    서울: 두란노 서원 [2008]
  • Chambers Oswald. Approved unto God : the spiritual life of the Christian w orker. 스데반 황 역. 『하나님께 인정받는 사역자』
    서울: 토기장이 [2009]
  • 82년생 김지영.
    김도영 감독. 정유미 그리고 공유 (주)봄바람영화사 [2019]
  • 3인. 『화풀이 신앙여정』
    임창복 서울: 한국기독교교육연구원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