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법화경』 서사의 상징을 통해 본 사회적 실천성 연구 : 법사와 지용보살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ocial Activism Seen through the Symbol of the Lotus Sutra Narratives : Chiefly on Dharma Teacher and Jiyong Bodhisattva

신용산 2020년
논문상세정보
' 『법화경』 서사의 상징을 통해 본 사회적 실천성 연구 : 법사와 지용보살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ocial Activism Seen through the Symbol of the Lotus Sutra Narratives : Chiefly on Dharma Teacher and Jiyong Bodhisattva'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계중명주
  • 명주
  • 법사
  • 법화경
  • 상징
  • 원생보살
  • 지용보살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19 0

0.0%

' 『법화경』 서사의 상징을 통해 본 사회적 실천성 연구 : 법사와 지용보살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ocial Activism Seen through the Symbol of the Lotus Sutra Narratives : Chiefly on Dharma Teacher and Jiyong Bodhisattva' 의 참고문헌

  • 「화엄경 편집의 사상적 배경에 대한 고찰」
    석길암 『인도철학』 제40집 [2014]
  • 「한국불교의 대승보살도 실천을 위한 방안 고찰」, 『동아시아불교문화』 제19 집
    손병욱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 「한국불교사에 나타난 법화회(法華會)의 통시적 특징: 법회인가, 결사인가?」
    김성순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동아시아 법화경 세계의 구축』 Ⅲ [2015]
  • 「초기불교에서 마음의 구조와 붓다의 정서교육」, 『윤리교육연구』 제39집
    장승희 한 국윤리교육학회 [2016]
  • 「초기불교에 나타난 행복의 의미와 추구 방법」
    장승희 『윤리연구』 제106호 [2016]
  • 「천태지의의 불성론」, 『철학사상』 35
    김정희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0]
  • 「질베르 뒤랑의 이미지와 상징 해석이 갖는 현대적 의의 -‘상징적 상상력’과 ‘신화비평’과 ‘신화분석’을 중심으로-」
    박치완 『해석학연구』 제25집 [2010]
  • 「중국불교의 방편사상과 다원주의」, 『철학연구』 80
    김정희 철학연구회 [2008]
  • 「유가행파의 비유적 표현과 소통: 密意를 중심으로」, 『인문논총』 71/2
    안환기 서울 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 「영산회상도상의 기원과 전파」
    주수완 『강좌미술사』 41호
  • 「여인성불에 대한 당위성과 모순점에 대한 一考」
    신명희(정운)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동아시아불교문화』 제33 집 [2018]
  • 「신종교에 나타난 신비사상 연구」
    유승종 『신종교연구』 제21집 [2009]
  • 「신라시대 『법화경』의 수용과 전개」, 『동아시아 법화경 세계의 구축』 Ⅲ, 금 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박광연 도서출판 여래 [2015]
  • 「수기작불(授記作佛)의 교육적 이해」, 『종교교육학연구』 제13권
    이지중 한국종교교 육학회 [2001]
  • 「붓다의 연기법과 불교의 연기설」, 『철학논총』 82
    박태원 새한철학회 [2015]
  • 「불신론(佛身論)의 문제-삼신(三身)의 성립과정」
    정호영 『人文學志』 제35집
  • 「불교적 인간관에 따른 인간유형의 연구-인적자원관리의 불교적 대안을 위한 정초」
    이재수 , 『선문화연구』 22권, 한국불교선리연구원, . [2017]
  • 「불교의 행복 개념과 인식」
    양정연 『철학논집』 제42집 [2015]
  • 「불교의 인간관」, 『철학연구』 68
    이중표 대한철학회 [1998]
  • 「불교의 언어 비판과 그 극복」
    명 법 불교학연구회, 『불교학연구』 9 [2004]
  • 「불교사학 및 응용불교; 法華七喩와 생태학적 상상력」, 『한국불교학』 40권
    이재수 한국불교학회 [2005]
  • 「불교교학: 사리불의 깨달음을 통해 본 『법화경』의 성불관 재고」, 『한국불교 학』 39권
    이상섭 한국불교학회 [2004]
  • 「불교 숫자의 상징성 고찰」, 『종교연구』 55
    염중섭 한국종교학회 [2009]
  • 「보살행에 대한 현대적 관점에서의 재해석」
    조성희 『동양사회사상』, 제22집 [2010]
  • 「보살윤리의 성격과 그 기준」
    안성두 『인도철학』 제21집 [2006]
  • 「법화삼매의 사상체계연구」
    이기운 박사학위논문 [1996]
  • 「법화경의 법사에 대한 연구 -「법사품」과 「법사공덕품」을 중심으로-」
    이윤희(宣雨)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법화경의 관세음보살연구」
    이종섭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법화경에 나타난 增上慢의 사상적 연원과 그 정체성 고찰」
    차차석 『불교학연구』 제4호 [2002]
  • 「법화경 구원석가불사상의 불교신앙사적 의의」
    노권용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33 [2006]
  • 「법화경 관세음보살보문품에 나타난 고통과 구원의 구조」
    이효원 『천태학연구』 제9 집
  • 「법화경 本誓思想에 관한 연구 –사회적 실천이념을 중심으로-」
    차차석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 「법에 대한 갈애: 보살은 집착하는가, 집착하지 않는가」
    이영진 『인도철학』 제36집 [2012]
  • 「동북아 삼국의 法華三昧 行法體系 硏究」
    이기운 『동양철학연구』 제70집 [2012]
  • 「대승불교의 실천 덕목 재조명 -6바라밀을 중심으로-」, 『동아시아불교문화』 제32집
    손병욱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 「깨달음과 교화에 관한 小考」
    신명희(정운) (사)한국불교학회, 『한국불교학』 제80집 [2016]
  • 「계주에 관한 사상적 관점에서의 재조명」, 『종교연구』 61
    염중섭 한국종교학회 [2010]
  • 「高麗末 女身成佛論과 그 영향」
    김영미 『한국사상사학』 제41집 [2012]
  • 「法華經의 法師(dharma-bhanaka)에 대한 考察」
    차차석 한국 불교학회, 『한국불교학』 18권 [1993]
  • 「法華經의 文學的 硏究 - 서사구조를 중심으로」
    박찬두 한국불 교학회, 『한국불교학』 16권 [1991]
  • 「法華 一乘思想의 硏究」
    이상섭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 「天台의 본적사상(本迹思想) 수용과 그 전개」, 『선학』 27
    이기운 한국선학회 [2010]
  • 「天台의 『법화경』 大白牛車 일불승 사상의 수용과 전개」
    이기운 『천태학연구』 제6 집
  • 「大乘佛典에 나타난 女性成佛論」
    구자상 『한국불교학』, 제48집
  • 「初期大乘經典에 나타난 佛身說」
    염점자 『한국불교학』 제50집
  • 「佛敎 共業說의 사회학적 함의 -사회적 실천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불 교학보』 52
    박경준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09]
  • 「『화엄경』 「여래출현품」에 담긴 문학성 연구」
    강기선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동아시아불교문화』, 제22집 [2015]
  • 「『화엄경』 「십회향품」에 담긴 현대 문학성 연구」
    강기선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동아시아불교문화』 34집, 부산 [2018]
  • 「『화엄경』 「세주묘엄품」의 문학적 표현방법에 대한 분석」
    강기선 한국불교학회, 『한국불교학』 70 권 [2014]
  • 「『화엄경』 「보현행원품」의 문학적 표현방법」
    강기선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동아시아불교문화』, 5권 [2010]
  • 「『정토론』의 불토관 고찰」, 『동아시아불교문화』 제11집
    김지곤 동아시아불교문화 학회 [2012]
  • 「『법화경』의 역사의식 탐구를 위한 시론」
    차차석 백련불교 문화재단, 『백련불교논집』 제8집 [1998]
  • 「『법화경』의 사상적 系譜에 대한 고찰」
    차차석 한국종교학회, 『종교연구』 59 [2010]
  • 「『법화경』의 비유 연구 - 예수 비유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종교학연구』 제34호
    김민아 한국종교학연구회 [2016]
  • 「『법화경』에 있어서 신앙의 수행적 의의」,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최기표 한국교 수불자연합회 [2007]
  • 「『법화경』에 나타난 행함과 구원의 상관성 고찰」
    차차석 대각사상연 구회, 『대각사상』 4 [2001]
  • 「『법화경』에 나타난 인간에 대한 이해」, 『천태학연구』 6권
    이재수 천태불교문화연구 원 [2004]
  • 「『법화경』에 나타난 空思想」
    김선근 『한국불교학』 54집 [2009]
  • 「『법화경』에 나타난 禪思想 一考 - 一乘思想을 중심으로-」
    신명희(정운)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동아시아 불교문화』 제21집 [2015]
  • 「『법화경』에 나타난 ‘신앙’의 해석학적 고찰」, 『불교학보』 53
    최기표 동국대학교 불 교문화연구원 [2009]
  • 「『법화경』에 나타난 ‘시간개념’과 ‘수’의 문제」, 『동아시아불교문화』 제20집
    장재진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 「『법화경』에 나타난 ‘공간 장소 방위’와 정토세계」, 『한국불교학』 제71집
    장재진 (사) 한국불교학회 [2014]
  • 「『법화경』에 나타난 ‘白毫大光’의 상징성 고찰」, 『불교문예연구』
    신용산 동방문화대 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18]
  • 「『법화경』 해석에 있어서 몇 가지 문제」
    최기표 『불교학연구』 4 [2002]
  • 「『법화경』 육근청정법문의 일불승 교의와 수행」, 『천태학연구』 9권
    이기운 천태불교 문화연구원 [2005]
  • 「『법화경』 보살 ‘행’에서의 사회구제 사상」, 『천태불교학』 제12집
    고우익 천태불교 문화원 [2009]
  • 「『법화경』 방편사상에 나타난 해석학적 관점」, 『정토학연구』 5
    김종인 한국정토학 회 [2002]
  • 「『법화경』 만선성불론의 성립근거 탐색」
    차차석 (사)한국불교 학회, 『한국불교학』 제42집 [2005]
  • 「『법화경』 견보탑품에 나오는 보탑의 상징성 고찰」
    차차석 한 국선학회, 『한국선학』 제35호 [2013]
  •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에서의 인과응보에 관한 내러티브 고찰」
    박청환(정덕)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동 아시아불교문화』 제23집 [2015]
  • 「『大智度論』의 佛身論 연구」
    윤미경 『한국불교학』 제37집
  •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과 한국 불교사회운동의 패러다임 전환」, 『사회사상 과 문화』 18
    박수호 동양사회사상학회 [2015]
  • 호진 역, 『인도불교사』
    시공사 [2006]
  • 현장 역, 『성유식론』, T31
  • 최상규 옮김, 『서사학』
    제랄드 프랭스 문학과지성사 [1988]
  • 최봉수 역, 『마하박가』
    서울: 시공사 [1998]
  • 천병희 역, 『수사학/시학』
    아리스토텔레스 도서출판 숲 [2017]
  • 차차석 남륜스님 공동편역, 『법화유의』
    서울: 우리출판사 [2013]
  • 지창규 역, 『묘법연화경현의』
    천태지의 서울, 법화학림 [2009]
  • 정승석 역, 『대승불교개설』
    平川 彰 김영사 [1998]
  • 전재성 역, 『맛지마니까야』
    한국빠알리성전협회 [2003]
  • 저, 서동은 옮김, 『시간의 개념』
  • 이원섭 역, 『법화문구』
    영산법화사 [1997]
  • 이원섭 역, 『법화문구』
    천태지의 영산법화사 [1997]
  • 이영자 역주, 『천태사교의』
    체관 록 서울: 경서원 [1988]
  • 용수, 『대지도론』, T30
  • 역주, 『담마빠다』, 서울
    김서리 소명출판 [2013]
  • 안성두 편, 『대승불교의 보살』
    도서출판 씨아이알 [2008]
  • 손명현 역, 『시학』
    아리스토텔레스 고려대학교출판부 [2009]
  • 세친, 『법화론』, T26
  • 세친 釋, 『섭대승론석』, T31
  • 무착 造, 『섭대승론』, T31
  • 대림, 각묵 공역 주해, 『아비담바 길라잡이』
    초기불전연구원 [2008]
  • 대림 역, 『앙굿따라니까야』
    서울: 초기불전연구원 [2006]
  • 나까무라 하지메(中村 元) 편저, 박희준 역, 『불교경전 산책』, 서울
    민족사 [1990]
  • 김종욱 옮김, 『불교철학의 역사』
    D.J. 칼루파하나 운주사 [2014]
  • 김재성 편, 『행복, 채움으로 얻는가 비움으로 얻는가』
    운주사 [2010]
  • 길장, 『법화현론』, T34
  • 길장, 『법화의소』, T34
  • 길장, 『대승현론』, T45
  • 규기, 『법화현찬』, T34
  • 권수경 옮김, 『종교에서의 상징과 신화』
    L.K. 뒤프레 서광사 [1996]
  • 각묵 역, 『디가니까야』
    서울: 초기불전연구원 [2006]
  • 『화엄의 세계』
    해주 서울, 민족사 [2001]
  • 『현대소설의 이론과 분석』
    송명희 서울, 푸른사상 [2006]
  • 『한국현대불교사연구』
    김광식 서울, 불교시대사 [2006]
  • 『한국의 사경』
    김경호 서울, 도서출판 고륜 [2006]
  • 『한국불교학』
    김영길 「법화경의 塔說에 관한 硏究」
  • 『한국불교학』
    김용표 「宗敎言語의 問題와 經典解釋學」
  • 『한국불교학』
    오형근 「法華經 信解品과 會三歸一思想」
  •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김용환 「관음신앙의 사회적 공공성 연구」 [2016]
  • 『포스트모던 사회와 열린 종교』
    길희성 서울, 민음사 [1994]
  • 『천태지관이란 무엇인가』
    오지연 서울, 연기사 [2013]
  • 『증일아함경』
    T2
  • 『중국고대 불사리장엄 연구』
    주경미 일지사 [2003]
  • 『종교와 문화』
    소기석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종교언어관에 대한 연구」
  • 『종교 사회학』
    김종서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 『잡아함경』
    T2
  • 『잡보장경』
    T4
  • 『오분율』
    T22
  • 『예수님의 비유들 연구』
    윤승은 성광문화사 [1997]
  • 『염불의 원류와 전개사』
    이태원 서울, 운주사 [2003]
  • 『실천불교의 이념과 역사』
  • 『시간의 철학적 성찰』
    소광희 서울, 문예출판사 [2004]
  • 『시간과 공간 그리고 지금 바로 여기』
    송항룡 성균관대출판부 [2007]
  • 『소설학 사전』
    한용환 서울, 문예출판사 [2016]
  • 『상징, 은유 그리고 이야기』
    정기철 서울, 문예출판사 [2002]
  • 『비화경』
    T3
  • 『붓다의 심리학』
    김성철 전현수 서울, 학지사 [2007]
  • 『불설장아함경』
    T1
  • 『불설윤왕칠보경』
    T1
  • 『불설무량수경』
    T12
  • 『불설관보현보살행법경』
    T9
  • 『불교학의 사회화 이론과 실제』
    박경준 운주사 [2019]
  • 『불교사상사연구』
    권기종 한국불교연구원 [2004]
  • 『보살지지경』
    T30
  • 『보살예수』
    길희성 서울, 현암사 [2004]
  • 『법화사상론』
    차차석 운주사 [2005]
  • 『법화문구』, T34.
  • 『법화론소』
    김진철 호길장 법화선원 [2011]
  • 『법화경총설』
    석도림 서울, 도서출판 불사리탑 [2014]
  • 『법화경의 보석같은 24비유』
    법성 무량수 [2011]
  • 『법화경』의 ‘방편’에 구현된 하화의 내재율과 ‘방편’의 교육적 의미」, 『교육 원리연구』
    김남희 [2009]
  • 『법화 천태사상연구』
    이영자 동국대학교출판부 [2007]
  • 『법원주림』
    T53
  • 『방광대장엄경』
    T3
  • 『민중불교의 탐구』
    법성 민족사 [1989]
  • 『묘법연화경』
    T9
  • 『마하승기율』
    T22
  • 『동아시아 법화경 세계의 구축』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도서출판 여래 [2015]
  • 『대방편불보은경』
    T3
  • 『대방등대집경』
    T13
  • 『대방광불화엄경』
    (80), T10
  • 『대반열반경』
    T1
  • 『대반야바라밀다경』
    T5
  • 『대반니원경』
    T12
  • 『달라이라마의 행복론』
  • 『기세경』
    T1
  •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약사』
    T24
  • 『과거현재인과경』
    T3
  • 『공간과 사유와 공간이론의 사회적 권유』
    류지석 서울, 소명출판 [2013]
  • 『경률이상』
    T53
  • 『法華經の探求』
    紀野一義 平樂寺書店 [1962]
  • 『天台學硏究』
    김은희 「天台淨土思想의 특징에 대한 연구」
  • 『『법화경』-민중의 흙에서 피어난 연꽃』
    정승석 파주, 사계절 [2004]
  • (宣雨) 정승석, 「일승의 『법화경』과 유일신의 기독교가 지향하는 인간상」, 『한국 불교학』 제83집
    이윤희 (사)한국불교학회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