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한국 근대 아동 독자의 형성 연구 : 일제강점기 아동용 정기간행물의 독자 전략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volution of Modern Child Readers in Korea

김민령 2020년
논문상세정보
' 한국 근대 아동 독자의 형성 연구 : 일제강점기 아동용 정기간행물의 독자 전략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volution of Modern Child Readers in Korea'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붉은 져고리
  • 소년
  • 식민지 시기 아동문학 형성
  • 아동 신문
  • 아동독자
  • 아동문학의 독자
  • 아동잡지
  • 아이들보이
  • 어린이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41 0

0.0%

' 한국 근대 아동 독자의 형성 연구 : 일제강점기 아동용 정기간행물의 독자 전략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volution of Modern Child Readers in Korea' 의 참고문헌

  • 《少年》(신문관)
  • 《붉은져고리》
  • 《아이들보이》
  • 《어린이》
  • 《少年》(조선일보사)
  • 헤더 몽고메리, 정연우 옮김, 『유년기 인류학』
    연암서가 [2015]
  • 편, 『근대주체와 식민지 규율권력』
    김진균 정근식 문화과학사 [1997]
  • 청소년문학 장르론』
    청동거울 [2013]
  • 지크프리트 슈미트, 박여성 옮김, 『구성주의 문학체계 이론』
    책세상 [2004]
  • 존 로 타운젠드, 『어린이문학의 역사』
    시공주니어 [1996]
  • 움베르토 에코, 김운찬 옮김, 『이야기 속의 독자』
    (개정판) [2009]
  • 옮김, 『어린이관의 근대』
  • 옮김, 『동화의 정체』, 문학동네, 전미경, 『근대계몽기 가족론과 국민 생산 프로젝트』
    김정아 자이프스 소명출판 [2005]
  • 역, 『공론장의 구조변동-부르주아 사회의 한 범주에 관한 연구』
  • 아이, 유은경 이원희 옮김, 『일본 근대 독자의 성립』
    마에다 이룸 [2003]
  • 버틀러, 『젠더트러블』
    주디스 문학동네 [2008]
  • 마리아 니콜라예바, 김서정 옮김, 『용의 아이들 : 아동문학 이론의 새로운 지 평』
    문학과지성사 [1998]
  • 마리아 니콜라예바, 고선주 외 옮김, 『어린이문학에 나타난 힘과 목소리, 주체 성』
    교문사 [2012]
  • 마리아 니콜라예바, 『아동문학의 미학적 접근』
    교문사 [2009]
  • 로버트 C. 홀럽, 최상규 옮김, 『수용미학의 이론』
    예림기획 [1999]
  • 가라타니 고진, 박유하 옮김, 「아동의 발견」, 『일본근대문학의 기원』
    민음사 [1997]
  • 『한국현대아동문학사』
    이재철 일지사 [1978]
  • 『한국아동문학의 계보와 정전』
    원종찬 청동거울 [2018]
  • 『한국소년운동사』
    김정의 민족문화사 [1992]
  • 『한국 아동문학의 형성』
    조은숙 소명출판 [2009]
  • 『한국 아동문학의 쟁점』
    원종찬 창비 [2010]
  • 『한국 아동문학 연구』
    김자연 서문당 [2000]
  • 『조선시대 상업출판:서민의 독서, 지식과 오락의 대중화』
    이윤석 민속원 [2016]
  • 『조선시대 방각본 출판 연구』
    부길만 서울출판미디어 [2003]
  • 『정본 방정환 전집』
    한국방정환재단 창비 [2019]
  • 『작가의 탄생과 근대문학의 재생산 제도』
    박헌호 소명출판 [2008]
  • 『이광수전집』
    이광수 17, 삼중당 [1963]
  • 『아동문학입론』
    이원수 소년한길, (개정판) [2001]
  • 『아동문학과 비평 정신』
    원종찬 창작과비평사 [2001]
  • 『아동문학개론』
    이재철 서문당 [1983]
  • 『식민지하 근대가족의 형성과 젠더』
    김혜경 창비 [2006]
  • 『식민지 초등 교육의 형성』
    오성철 교육과학사 [2000]
  • 『속물 교양의 탄생』
    박숙자 푸른역사 [1912]
  • 『소파 방정환과 근대 아동문학』
    염희경 경진출판 [2014]
  • 『세책과 방각본:조선의 독서 열풍과 만나다』
    김미해 김효경 봉성기 유춘동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연구소 [2016]
  • 『사소절』
    이덕무 이동희 편역 전통문화연구회 [2013]
  • 『방정환과 ‘어린이’의 시대』
    염희경 이기훈 정용서 청동거울 [2017]
  • 『미디어의 출현과 근대소설 독자』
    전은경 소명출판 [2017]
  • 『문학제도 및 민족어의 형성과 한국 근대문학』
    김영민 소명출판 [2013]
  •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3』
    아르놀트 하우저 창비, (개정판) [1999]
  • 『근대교육 형성기의 모성담론』
    채성주 학지사 [2009]
  • 「한국 아동문학의 어제와 오늘」
    원종찬 『아동문학과 비평정신』, 창비 [2000]
  • 「일제 강점기 아동문학 서사 장르의 용어와 개념 고찰」
    조은숙 『한국 아동
  • 「어린이 잡지 『아이들보이』」
    박진영 『책의 탄생과 이야기의 운명』, 소명출 판 [2013]
  • 「‘소년’, ‘청춘’의 힘과 일상의 재편」
    권보드래 『<소년>과 <청춘>의 창-잡지 를 통해 본 근대 초기의 일상성』,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7]
  • 《한국 아동문학의 형성과 장르 분화;동화와 아동소설을 중심으로》
    오현숙 서 울대 박사학위 논문 [2016]
  • 《한국 근대 창작동화 형성과정 연구》
    박숙경 인하대 석사논문 [1999]
  • 《한국 근대 소설 독자와 소설 수용 양상에 대한 연구》
    천정환 서울대 박사 학위 논문 [2002]
  • 《근대계몽기 잡지의 국한문체 연구》
    임상석 고려대 박사논문 [2006]
  • N. 스턴스 지음, 김한종 옮김, 『인류는 아이들을 어떻게 대했는가』
    피터 삼천리 [2017]
  • <한국 재담의 지속성과 변화>
    강은해 《한국총논집》 21 [2001]
  • <한국 아동문학 형성 과정-『소년』에서 『어린이』(1923)까지>, 《동북아문화연구》 15
    원종찬 동북아시아문학학회, 2008 [1908]
  • <탐정이 된 소년과 ‘명랑’의 시대 : 아동잡지 『소년』의 탐정소설 연 구>
    류수연 《현대문학의 연구》 61 [2017]
  • <조선후기 서당의 사회적 성격>
    김무진 《역사와현실》 16 [1995]
  • <잡지 『학생계』 연구-년대 초반 중등학교 학생들의 ‘교양주의’와 문학적 욕망의 본질>
    박지영 《상허학보》 20, 2007 [1920]
  • <잡지 『소년』의 기획과 독자 전략>
    전은경 《한국현대문학연구》41 [2013]
  • <잡지 『소년』에 실린 년대 후반 아동소설의 존재양상과 그 의 미>, 《아동청소년문학연구》 7
    송수연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0. 12 [1930]
  • <일제식민통치하 조선인의 교육열에 관한 연구>
    한우희 《교육사학연구》 3 [1990]
  • <일제 강점기 제1차 조선교육령 제정과 학제 개편>
    강명숙 《한국교육사학》 제31권 제1호 [2009]
  • <이순옥 아동문학 개성-년대 이태준의 삶과 그 주변>
    야나가와 요스케 《상허학보》 54, 2018. 10 [1930]
  • <이솝우화의 수용과 개화기 교과서>, 《한국학보》 7권 3호
    김태준 일지사(한 국학보) [1981]
  • <식민지시기 소년탐정소설과 모험의 상관관계-방정환, 김내성, 박태원 의 소년탐정소설을 중심으로>
    송수연 《아동청소년문학연구》 제8호 [2011]
  • <식민지시기 ‘불량소년’ 담론의 형성-‘민족/국민’ 만들기와 ‘협력’의 역학>
    소현숙 《사회와 역사》 107 [2015]
  • <숨은 방정환 찾기-방정환의 필명 논란을 중심으로>
    염희경 《아동청소년문 학연구》 14 [2014]
  • <순수와 동심, 타락한 천사의 기원>
    원종찬 《창비어린이》 14 [2016]
  • <소학교령기(1895~ 관 공립소 학교교육의 성격에 대한 고찰>
    김정효 이성은 이해지 정희숙 허선영 초등교육연구 Vol. 17, 2004 [1905]
  • <서당 교육과 풍속 및 놀이>
    장재천 《한국사상과 문화》 48집
  • <동화의 시대-년대 동화집 발간과 ‘어린이’의 형성과정>
    이기훈 《역사 문제연구소 월례발표회 발표문》, 2001. 6 [1920]
  • <대한매일신보』의 편편기담과 쓰는 독자의 출현>
    전은경 《한국현대문학연 구》 30 [2010]
  • <다이제스트 세계문학이라는 소비상품과 미디어자본의 문화정치학>
    차혜영 《상허학보》 45집 [2015]
  • <년대 후반 동인문학 장의 형성과 세대론의 전개-시인부락을 중 심으로>
    최호빈 《한국근대문학연구》 19. 2018. 4 [1930]
  • <년대 아동문학의 독자와 텍스트 미학 연구>, 《한민족문화연구》 48
    오현숙 한민족문화학회, 2014 [1920]
  • <년대 아동 신문 『붉은 저고리』 연구>, 《한국근대문학연구》 4
    조은숙 한국근대문학학회, 2003 [1910]
  • <년대 식민지 조선의 소년탐정소설과 아동문학으로서의 위상-박 태원, 김내성, 김영수를 중심으로>
    오현숙 《현대소설연구》 53, 2013. 8 [1930]
  • <년대 『어린이』지 독자공동체의 형성과 변화>
    이기훈 《역사와 현실》 102 , 2016 [1920]
  • <근대소년잡지 『어린이』의 ‘독자담화실’ 연구-세대 간 소통 양상과 기 능을 중심으로>
    최배은 <근대소년잡지 『어린이』의 ‘독자담화실’ 연구-세대 간 소통 양상과 기 능을 중심으로> 《세계한국어문학》 2 [2009]
  • <근대 아동독자의 형성과정 연구>, 《동화와 번역》 25
    최윤정 동화와번역연 구소 [2013]
  • <근대 소년잡지 『신소년』의 독자투고제도 연구>
    박정선 《국어교육연구》 60 [2016]
  • <개화기 관립소학교(보통학교) 연구>
    전민호 최승현 《한국교육학연구》 제22 권 제3호 [2016]
  • <冒險探偵小說과 김내성 『白假面』의 관계 연구>
    최애순 《東洋學》 제44집 [2008]
  • <『신소년』 독자담화실의 특성과 기능>
    박정선 《어문학》 128 [2015]
  • <『별나라』와 계급주의 아동문학의 의미>
    류덕제 《국어교육연구》 46 [2010]
  • <‘청년’, 갈 곳을 잃다-년대 청년담론에 대한 연구>
    이기훈 《역사비평》, 2006. 8 [1930]
  • <~20년대 교양-문예 담론 형성에 대한 고찰>
    권유성 《교양학연구》 4, 2016.12 [1910]
  • <3.1운동과 ‘학생’-‘학생-청년’의 담론적 재편성 고찰>
    소영현 《현대문학의 연구》 39 [2009]
  • <1929년 창간된 『학생』지와 소파 방정환>
    이정석 《한국아동문학연구》 35, 2018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