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음악 감상 프로젝트 학습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사회적 공유조절 학습 = Action research on the socially shared regulation of learning among 5th-grade students in a music appreciation project

이해심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음악 감상 프로젝트 학습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사회적 공유조절 학습 = Action research on the socially shared regulation of learning among 5th-grade students in a music appreciation project'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사회적 공유조절
  • 실행연구
  • 음악 감상 학습
  • 음악교육
  • 초등학교
  • 프로젝트학습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644 0

0.0%

' 음악 감상 프로젝트 학습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사회적 공유조절 학습 = Action research on the socially shared regulation of learning among 5th-grade students in a music appreciation project' 의 참고문헌

  • 협력학습 환경에서 메타인지적 자기조절, 정 서조절과 성취도 간의 관계: 협력적 자기조절과 협력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김시원 김영주 임규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0), 685-707 [2015]
  • 협동학습과 협력학습 구조 비교분석
    강인구 한국교육문제연구, 18, 183-197 [2003]
  • 협동학습. 기독초등학교협동학습연구모임 역
    Kagan, S. 서울: 디모데 [1999]
  •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활동중심의 음악수업 지도 방안
    김우식 오세규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논문집, 7, 23-48 [2011]
  •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조절, 집단효능감과 교수자의 스캐폴딩이 프로젝트학습의 학습참여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양영선 허희옥 교 육과학연구, 47(3), 99-123 [2016]
  • 학교에서의 음악 감상
    석문주 파주: 교육과학사 [2015]
  • 하위 요소 설정을 중심으로 (연구보고 RRC -7-1)
    서울: 한국교 육과정평가원 [2008]
  • 피아노 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 learning) 성향에 관한 고찰
    정진원 음악교육연구, 27, 197-225 [2004]
  • 플립러닝을 활용한 중학교 음악 감상 수업의 효과 연구
    조정은 음 악교육공학, 32, 167-191 [2017]
  • 프로젝트학습 내 팀 활동에서의 학습자 상호작용 양상 분석: 활동이론(Activity theory)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김명기 경희대학교 [2018]
  •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한 음악 창작 활동이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이혜진 예술교육연구, 10(1), 93-109 [2011]
  • 프로젝트 학습: 초등교사를 위한 안내. 설양환, 박한숙, 이수영, 황윤한 역
    Hallermann, S. Larmer, J. Mergendoller, J. R. 파주: 아카 데미프레스 [2018]
  • 팀프로젝트기반학습에서 협력적 조절의 매개효과: 협 력적 자기효능감, 공유정신모형, 만족도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지현 임규연 교육정 보미디어연구, 24(4), 805-831 [2018]
  • 팀 프로젝트기반학습에서 협력적 조절의 매개효과: 협력적 자기효능감, 공유정신모형, 만족도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 문
    이지현 이화여자대학교 [2019]
  • 통합적 접근에 의한 음악과 교수 학습방법
    석문주 파주: 교육과 학사 [2014]
  • 킬패트릭의 The Project Method 관점에서 본 초등학교 프로 젝트 수업에 대한 몇 가지 쟁점
    김경하 통합교육과정연구, 10(2), 71-95 [2016]
  • 컴퓨터 기반 협력적 문제해결에서 그룹조절 활동에 따른 군집별 학습과정과 결과
    강다현 설보연 이현경 조영환 교육공학연구, 33(3), 625-652 [2017]
  • 초등학교 음악수업 그룹과제(컵타) 수행과정에서 인지적 사 회적 상호작용과 학습전략 연구. 한국음악교육학회 창립 6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333-340
    임혜숙 한국음악교육학회 [2016]
  • 초등학교 음악(5-6학년군) 6
    석문주 서울: 동아출판 [2019]
  • 초등학교 음악(5-6학년군) 5
    석문주 서울: 동아출판 [2019]
  • 초등학교 국악교육에서 음악적 반응을 위한 감상수업 모형 연구
    박주만 문화예술교육연구, 8(1), 127-150 [2013]
  • 초등학교 5학년 음악수업에서의 프로젝트 접근법 적용
    채경순 음악 교육연구, 26, 153-179 [2004]
  • 참여관찰법. 신재영 역
    Spradley, J. P. 서울: 센게이지러닝코리아 [2006]
  • 집단탐구 협동학습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 협력적 자기효능 감, 학업 성과의 관계
    임규연 교육의 이론과 실천, 16(2), 19-36 [2011]
  • 질적자료분석 파랑새 2.0 소프트웨어
    오영범 이현철 정상원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2016]
  • 질적연구자를 위한 부호화 지침서. 박종원, 오영림 역
    Saldana, J. 서울: 신정 [2012]
  • 질적연구방법론 Ⅴ
    김영천 정상원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2017]
  • 질적 연구자 되기(5판). 안혜준 역
    Glesne, C.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2017]
  • 질적 연구 설계. 이명선, 김춘미, 고문희 역
    Maxwell, J. A. 서울: 군자출판사 [2004]
  • 중등 음악 감상 교육의 실태 분석
    조성기 황여진 음악교육공학, 33, 135-153 [2017]
  • 자기조절학습의 모형 탐색과 타당화 연구. 박사학위논문
    양명희 서 울대학교 [2000]
  • 자기조절학습 탐구
    정미경 파주: 한국학술정보 [2008]
  • 이미선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한 음악교과 협동학습 지도방안 연구
    서대환 한국웰니스학회지, 11(3), 133-143 [2016]
  • 음악학습과정에서 나타나는 ‘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 learning)요소’에 대한 이해와 교수 학습적 시사점
    정진원 음악교육연구, 32, 127-158 [2007]
  • 음악적 창의성: 활동유형별 특성 및 사고과정을 통한 재조명
    정진원 예술교육연구, 8(3), 77-94 [2010]
  • 음악수업 모형의 이론과 실제
    권덕원 파주: 교육과학사 [2017]
  • 음악교육의 기초 (3판)
    권덕원 석문주 최은식 함희주 파주: 교육과 학사 [2014]
  • 음악교육에서 ‘구성’의 의미와 활용
    권덕원 음악교육연구, 36, 1-27 [2009]
  • 음악교육 연구방법
    최은식 파주: 교육과학사 [2014]
  • 음악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음악교사 기준 고찰
    석문주 미래음악 교육연구, 1(2), 23-37 [2016]
  • 음악감상학습을 위한 수업모형 적용
    정재은 최미영 미래음악교육 연구, 1(2), 85-101 [2016]
  • 음악감상 수업모형의 이론적 탐색
    정재은 최미영 교사교육연구, 55(1), 47-56 [2016]
  • 음악 감상을 위하여. 양일용 역
    Miller, H. M. 서울: 태림출판사 [2007]
  •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과제실제성과 학 습성과 사이에서의 과제가치 매개효과
    강명희 임현진 허보라 교육과학연구, 43(4), 33-55 [2012]
  • 예비음악교사의 감상 수업에 관한 인식 형성 과정 탐색
    신혜경 학 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4), 469-496 [2015]
  •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정의 유형과 자기조 절학습(self-regulate learning) 형성에 대한 고찰
    정진원 서양음악학, 10(1), 137-157 [2007]
  • 연구자로서의 교사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
    조재식 교육인류학연 구, 5(2), 193-224 [2002]
  • 역사적 사고력 함양을 위한 박물관 교육 내러티브 실행 연 구. 박사학위논문
    고지훈 한양대학교 [2018]
  • 실행연구방법
    이용숙 서울: 학지사 [2018]
  • 실행연구(Action Research)를 통한 교육 실제의 개선
    이명숙 대구 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논총, 17(2), 381-408 [2001]
  • 실행연구 이론과 방법
    박창민 조재성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2016]
  • 실행 연구. 노경주, 박성선, 서순식, 윤혜경, 이연우, 추병완 역
    Mertler, C. A. 서울: 창지사 [2015]
  • 스마트 교육으로서 음악 감상 지도 방법 연구
    민경훈 음악교수법연 구, 15, 63-87 [2015]
  • 셴커식 분석 이론을 적용한 음악 감상 교수 학습 방법에 관 한 연구
    조성기 음악교육연구, 40(2), 135-159 [2011]
  • 세 마을평생교육지도자의 삶과 마을평생교육 실천전략. 박사 학위논문
    홍은진 대구대학교 [2015]
  • 사범계열 음악교사 교육과정의 역사적 변천
    석문주 최은식 미래음 악교육연구, 1(1), 133-148 [2016]
  • 베넷 리머의 경험중심 음악교육철학의 이해와 적용
    권덕원 미래음 악교육연구, 3(2), 51-76 [2018]
  • 반성을 통한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 교육: PDS
    유솔아 한국 교원교육연구, 22(3), 97-121 [2005]
  • 반성과 실천: 교사 전문성 개발에 대한 소고
    서경혜 교육과정연구, 23(2), 285-310 [2005]
  • 박하나, 김시원 협력학습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과 협력적 자기조절의 관계: 집단 응집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임규연 교육방법연구, 27(2), 211-228 [2015]
  •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 중등학교교육과정 비전 연구(Ⅰ) - 핵심역량 준거와 영역 설정을 중심으로(연구보고 RRC 2007-1)
    김영준 윤현진 이광우 전제철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 미래 사회의 新학습모델, 소셜 러닝의 부상. (IT & Future Strategy 제 4호)
    한국정보화진흥원 한국정보화진흥원 대구: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 리머의 경험중심 음악교육철학. 최은식, 곽덕주, 김경화 역
    Reimer, B. 파주: 교육과학사 [2017]
  • 대학생용 협력적 자기조절 척도의 구성요인 탐색
    김혜준 임규연 임지영 교육공학연구, 33(3), 567-598 [2017]
  •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전자 포트폴리오 평가에 관한 협력적 실행연구. 박사학위논문
    조재성 한양대학교 [2018]
  • 기악 앙상블을 통한 협력학습이 자기조절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임혜숙 서울대학교 [2018]
  • 근거이론의 구성: 질적 분석의 실천 지침. 박현선, 이 상균, 이채원 역
    Charmaz, K. 서울: 학지사 [2018]
  • 근거이론 분석의 기초: 글레이저의 방법. 김인숙, 장혜 경 역
    Glaser, B. G. 서울: 학지사 [2014]
  • 국내 교육관련 실행연구(action research) 동향분석
    강지영 소경희 아시아교육연구, 12(3), 197-224 [2011]
  • 구조 중심 협동학습을 적용한 초등 음악교과 SEL 프로그램 의 효과
    최미영 음악교육연구, 47(2), 211-235 [2018]
  • 교육현장 개선을 위한 실행연구 방법
    이혁규 교육비평, 25, 196-213 [2009]
  • 교육과정 실행연구. 이광우, 정영근, 민용성, 이근호, 박창언, 홍원표, 허창수, 김사훈 역
    McKernan, J. 파주: 교육과학사 [2015]
  • 교육과정 Ⅰ
    김영천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2009]
  • 교육 심리 사회 연구방법론
    이종승 파주: 교육과학사 [2013]
  •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한 가정과 교사의 성찰적 실천에 대한 실행연구
    유태명 이경숙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4(4), 365-384 [2016]
  •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한 가정과 교사의 성찰적 실천에 대한 실행연구
    김미영 김혜진 민용성 이광우 전제철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 진을 위한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Ⅱ): 핵심 역량 영역별 [2008]
  • 교사중심 수업연구를 통한 초등교사의 음악수업전문성 신장 사례연구
    정진원 음악교수법연구, 19(1), 107-137 [2018]
  • 교사를 위한 실행연구. 강성우 외 역
    Mills, J. E. 서울: 우리교육 [2007]
  • 교사교육에 대한 새로운 요구와 방향
    유현숙 한국교원교육연구, 19(3), 127-145 [2002]
  • 교사 전문성과 수업
    오영범 파주: 교육과학사 [2017]
  • 감상능력 육성을 위한 음악과 학습지도 방법에 대한 연구
    이연경 음악교육연구, 15, 1-52 [1996]
  • 『프로젝트 학습의 운영』
  • What do you mean by collaborative learning ?
    P [1999]
  • Three dilemmas in action research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Tavistock experience
    23 ( 6 ) , 499-513 [1970]
  • Thomas, J. W. (2000). A review of research on project-based learning. San Rafael, CA: The Autodesk Foundation. Retrieved September 23, 2019, from http://www.bobpearlman.org/BestPractices/PBL_Research.pdf.
  • The impact of perceived group success-failure on motivational beliefs and attitudes : A causal model
    79 ( 5 ) , 755-766 [1994]
  • The fatal flaw : A narrative of the fragile body-self
    2 , 463–494 . [1996]
  • The construction of shared knowledge in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Computer 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pp . 69-97 [1995]
  • The action research reader
  • The Reflective Practitioner :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1983]
  • Teachers as researchers . In J. Sikula , T. J . Buttery and E. Guyton ( Eds . ) ,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pp . 53-64 [1996]
  • Studying as self-regulated learning . In D. J. Hacker , J. Dunlosky , & A. C. Graesser ( Eds . ) , Metacognition in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pp . 277-304 [1998]
  • Stahl, G. (2000). A model of collaborative knowledge-building. Retrieved September 23, 2019, from http://www.umich.edu/~icls/proceedings/pdf/Stahl.pdf.
  • Socially shared regulation of motivation and emotions inCollaborative lerarning
    [2010]
  • Socially shared regulation of learning : A review
    20 ( 3 ) , 190-203 [2015]
  • Socially shared regulation inCollaborative groups : An analysis of the interplay between quality of social regulation and group processes
    29 ( 4 ) , 375-415 [2011]
  • Share the music : Grade 2 .
    [2003]
  • Self-reported versus observedClassroom activities in elementary general music
    45 ( 3 ) , 444-456 [1997]
  • Self-regulation of musical learning . In R.Colwell , &C. Richardson ( Eds . ) , The new handbook of research on music teaching and learning : A project of the Music Educators NationalConference ( pp.327-347 )
    [2002]
  • Self-regulation ,Coregulation , and socially shared regulation : Exploring perspectives of social in self-regulated learning theory
    113 ( 2 ) , 240-264 [2011]
  •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 Theoretical perspectives ( 2nd ed. )
    [2001]
  • Self-regulated ,Co-regulated , and socially shared regulation of learning . In B. J. Zimmerman D. H. Schunk ( Eds . ) , Handbook of self-regulation of learning and performance
    pp . 65-83 [2011]
  • Qualitative data analysis
    [1984]
  • Project-based learning in virtual groups :Collaboration and learning outcomes in a virtual trainingCourse for teachers
    228 , 100-105 [2016]
  • Project-based learning in post-secondary education : Theory , practice and rubber sling shots
    51 ( 2 ) , 287-314 [2006]
  • Practical action research forChange
    [1997]
  •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 In N. Denzin & Y. Lincoln ( Eds . ) ,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 2nd Ed. )
    [2000]
  • OECD 고등 교육 학습성과 평가사업: 실행가능성 평가를 위한 한국적 평가체제 개발 구축을 중심으로 (연구보고 RR 2010-16)
  • Nurturing young composers : Exploring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ion and transfer in 9 to 12 year old students
    [2003]
  • New frontier : Regulating learning in CSCL .
    48 ( 1 ) , 25-39 . [2013]
  • Naturalistic inquiry
    [1985]
  • Musical voices from the margins : Popular music as a site of critical negotiation in an urban elementary classroom .
    [2016]
  • Music matters : a new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1995]
  • Motivating project-based learning : Sustaining the doing , supporting the learning
    26 ( 3 & 4 ) , 369-398 . [1991]
  • Metacognition and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 In C. E. Hmelo-Silver , C. A. Chinn , C. K. K. Chan , & A. O'Donnell ( Eds . ) , Educational psychology handbook series . The international handbook of collaborative learning
    pp . 462-479 [2013]
  • Mentoring in music education : The collaborative relationship among the student teacher , cooperating teacher and college supervisor - a qualitative action research study
    [2003]
  • Making listening instruction meaningful : A literature review
    31 ( 2 ) , 4-10 [2013]
  • Listening lesson practices in the elementary general music classroom
    [2016]
  • Learning together and alone : Cooperative , competitive and individual learning ( 5th ed.
    [1999]
  • Katz, L. G., & Chard, S. D. (1993). The project approach. In J. E. Johnoson & J. Roopnarine (Eds.), Approaches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pp. 1-27). New York: Nacmillan Publishing Company. Kemmis, S. (1988). Action research in retrospect and prospect. In S.
  • How individual self-regulation affects group regulation and performance : A shared regulation intervention
    46 ( 4 ) , 431-454 [2015]
  • How do students self-regulate ? Review of Zimmerman ’ s cyclical model of self-regulated learning
    30 ( 2 ) , 450-462 . [2014]
  • Goodyear, P., Jones, C., & Thompson, K. (2014).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Instructional approaches, group processes and educational designs. In J. M. Spector, M. D. Merrill, J. Elen, & M. J. Bishop (Eds.), Handbook of research on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pp. 439-451). New York: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 Facilitating collaborative learning : 20 things you need to know from the pros
    http : //www.opencolleges.edu.au/informed/features/facilitating-collabor ative-learning-20-things-you-need-to-know-from-the-pros/ [2012]
  • Exploring the effects of web-mediated socially-shared regulation of learning and experience-based learning on improving students ’ learning
    26 ( 6 ) , 815-826 . [2018]
  • Exploring socially shared regulation in the context of collaboration
    12 ( 3 ) , 267-286 [2013]
  • Expanding learning presence to account for the direction of regulative intent : Self,Co, shared regulation in online learning
    19 ( 3 ) , 15-31 . [2015]
  • Enhancing socially shared regulation in collaborative learning groups : designing for CSCL regulation tools
    63 , 125-142 [2015]
  • Emotion control in collaborative learning situations : Do students regulate emotions evoked by social challenges ?
    79 , 463-481 [2009]
  • Educational research : Fundamentals for the consumer ( 4th ed. )
    [2004]
  • Educational priority
    volume 1 [1972]
  • Educational action research : Some general concerns and specific quibblesIssues in educational research
    pp . 152-174 [1983]
  • Cooperative learning : Theory , research and practice
    [1995]
  • Collaborative versus cooperative learning. Retrieved November 3, 2011, from http://home.capecod.net/~tpanitz/tedsarticles/coopdefinition.htm Phillips, D. K., & Carr, K. (2010). 교사를 위한 실행연구: 과정과 맥락, 그 리고 자기연구. 황미향 외 역
    Panitz, T. 파주: 교육과학사 [1999]
  • Collaborative reasoning : Expanding ways for children to talk and think in school
    15 ( 2 ) , 181-198 [2003]
  • Collaborative learning in music therapy education as experienced in a course in the foundations and principles of music therapy
    [2001]
  • Collaborative learning : Higher education , interdependence , and the authority of knowledge ( 2nd ed. )
    [1999]
  • Collaborative learning : Cognitive and computational approaches ( pp . 1-19 )
  •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for English language teachers
    [1999]
  • Collaboration : A social work practice method
    80 ( 1 ) , 6-13 . [1999]
  • Capturing temporal and sequential patterns of selfCo , and socially shared regulation in the context of collaborative learning
    49 , 160-174 [2017]
  • Becoming critical : Education , knowledge and action research
    [1986]
  • Applications of informal music learning and critical pedagogy with eighth-grade general music students : An action research
    [2014]
  • Action research and minority problems . In G. W. Lewin ( Ed . ) , Resolving social conflicts
    pp . 201-215 [1946]
  • Action research .. Thousand Oaks
    [1999]
  • Action Research for Educational Change
    [1991]
  • A review of self-regulated learning : Six models and four directions for research
    8 , 1-28 [2017]
  • A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2003]
  • 21세기 핵심역량: 이 시대가 요구하는 핵 심스킬. 한국교육개발원 역
    Fadel, C. Trilling, B. 서울: 학지사 [2012]
  • 21세기 학습자 및 교수자 역량 모델 링. (연구보고 KR 2011-2)
    김영애 서정희 임규연 허희옥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
  •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교육부 서울: 저자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