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사회과 기능 체계화 연구

이바름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사회과 기능 체계화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가치와 태도
  • 기능
  • 기능 체계화
  • 델파이 조사
  • 사회과교육
  • 역량
  • 지식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936 0

0.0%

' 사회과 기능 체계화 연구' 의 참고문헌

  • 효율적인 사회과 기능 영역의 지도 방안 연구
    한춘희 사회과교육 연구, 16(1), 97-111 [2009]
  • 환경윤리교육의 체계화를 위한 대안
    변종헌 초등교육연구, 6, 37-60 [2001]
  • 호주 국가 교육과정에서의 역량 제시 방식 탐구
    백남진 온정덕 교 육과정연구, 33(2), 99-128 [2015]
  • 현행 사회과 수행평가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김찬미 사회과학교육, 15, 65-79 [2012]
  • 현대의 사회과교육
    차경수 서울: 학문사 [2000]
  • 핵심 역량을 통한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의 가능성과 한계
    신범식 한춘희 사회과교육, 48(4), 123-144 [2009]
  • 핵심 역량 중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내용 체계화 연구
    김아미 노자연 박유신 이지선 전경란 정현선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1), 211-238 [2016]
  • 한글 맞춤법 교육의 체계화 방안, 국어교육연구, 21
    민현식 서울대 학교 국어교육연구소, 7-75 [2008]
  • 학교 경제교육내용의 스트랜드와 표준안에 대한 전 문가 델파이 조사
    조병철 주자문 사회과교육연구, 13(1), 203-232 [2006]
  • 통합 교육과정. 박영무, 강현석, 김인 숙, 허영식 역
    Burns, R. C. Drake, S. M. 서울: 원미사 [2006]
  •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해설
    곽원규 교육부 [2007]
  •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해설
    김용만 교육부 [1997]
  • 초등학교 국어과 맞춤법 교육의 체계화
    이병운 이승왕 한국초등국 어교육, 42, 306-334 [2010]
  • 초등학교 6학년 사회과에서 연표의 제작과 활용
    유영삼 역사와 역 사교육, 10, 19-48 [2005]
  • 초등사회과교육
    구정화 설규주 정문성 파주: 교육과학사 [2009]
  • 초등 사회과교육의 이론과 실제
    정병기 서울: 교육출판사 [1998]
  • 초등 사회과 역사 영역 ‘기능’의 구조 분석과 ‘역사용어’의 기능화. 박사학위논문
    임영태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8]
  • 초등 사회과 수업에 나타난 교육내용의 성격 및 제 시방식 분석
    온정덕 조다운 교육과학연구, 44(2), 69-96 [2013]
  • 초등 사회과 기능 목표 계열화 원리의 개발 및 적용. 박사 학위 논문
    정태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 초등 사회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의 기능 영역 내용 분석
    서영선 사회과수업연구, 4(2), 57-77 [2016]
  • 초등 사회 교과서 내용 구성 체제 국제비교 연구
    이동원 사회과 교 육, 56(4), 39-59 [2017]
  • 초등 사회 교과서 나타난 지도 자료 및 지도 기능 학습의 특 성과 문제점 분석.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이간용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5(2), 109-123 [2007]
  • 초 중등 역사 교육과정 계열화 방안 연구
    신범식 최용규 사회과교 육연구, 17(1), 17-37 [2010]
  • 초 중 고등학교 사회과 국사과 교육과정 기준(1946-1997)
    교육부 교육부 [2000]
  • 청소년의 도덕성, 법의식 발달, 비행 경향성 및 법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강윤정 문용린 박성혁 조영달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9-164 [1992]
  • 청소년을 위한 정보윤리교육의 체계화 방안에 관한 연구
    추병완 도 덕윤리과교육연구, 13, 200-222 [2001]
  • 지식 생성 교육을 위한 지식의 성격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소경희 조덕주 허경철 교육과정연구, 19(1), 231-250 [2001]
  • 지도기능 학습 체계화에 바탕한 초등 사회과 교과서 분석
    김종모 사회과 교육연구, 6, 239-261 [1999]
  • 제7차 교과 교육과정 개발의 쟁점: 제7차 교과 교육과정 지침 상세화 워크숍 자료집
    박순경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 [1997]
  • 저출산ㆍ고령화 사회에서 실과교육 내용 체 계화에 대한 연구
    양정혜 윤인경 전세경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0(1), 127-147 [2007]
  • 인지적 교육목표의 분류-하나의 대안, 한국교육과정 학회
    나동진 왕경수 교육과정연구, 18(1), 181-200 [2000]
  • 인지, 정의, 기능 학습을 위한 전략. 김재복 역
    Foster, C. D. Jarolimek. J. 서울: 배영사 [2005]
  • 유네스코 사회과교육 핸드북
    정세구 서울: 교육과학사 [1984]
  • 외국의 사회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역량기반 교 육과정에서 기능의 의미와 설계 방식 고찰
    온정덕 윤지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3), 315-345 [2017]
  • 외국 초등 사회과 교과서 구성체제 분석 - 미국, 일본, 프랑스 교과서를 중심으로-
    고영호 이종일 정호범 사회과교육연구, 11(1), 153-195 [2004]
  • 역사수업의 원리
    김한종 서울: 책과함께 [2014]
  • 역사교육 계열화의 개념과 원리
    방지원 역사교육연구, 3, 7-60 [2006]
  • 역사교육 계열화를 위한 고등학교 국사교육 내용구성 방안
    김한종 역사와 담론, 40, 79-120 [2005]
  • 역량의 특성에 따른 교과 교육과정의 설계 방식 고 찰: 호주와 싱가포르 과학과 교육과정 비교를 중심으로
    온정덕 윤지영 교육논총, 37(2), 81-112 [2017]
  • 아동의 그림을 통해 본 공간인지와 조작능력
    강경원 한국지역지리 학회지, 6(3), 83-99 [2000]
  • 심리학용어사전
    한국심리학회 http://www.koreanpsychology.or.kr [2014]
  • 수행평가: 이론적 측면
    백순근 서울: 교육과학사 [2002]
  • 세계화를 대비하는 지구시민교육의 필요성: 영국 사례를 중 심으로
    박선영 청소년시설환경, 7(3), 13-24 [2009]
  • 생각의 융합
    김경집 서울: 더숲 [2015]
  • 새로운 패러다임에 기초한 사회과교육
    한면희 서울: 교육과학사 [2006]
  • 새로운 교육목표 분류학. 강현석, 강이철, 권대훈, 박영무, 이원희, 조영남, 주동범, 최호성 공역
    Kendall, J. S. Marzano, R. J. 서울:원미사 [2012]
  • 사회참여기능의 함양을 위한 사회과교육의 전개
    이진석 시민교육연 구, 30, 281-298 [2000]
  • 사회과에서의 집단기능과 사회적 행동을 위한 평가 방향
    구정화 교 원교육, 21(4), 16-31 [2005]
  • 사회과에서 저출산 고령화 교육의 방향 모 색
    박기범 정문성 한동균 사회과교육, 58(3), 115-136 [2019]
  • 사회과에 있어서의 기능신장교육의 의의
    박태암 초등사회과교육, 1, 3-18 [1984]
  • 사회과교육의 이해
    박상준 파주: 교육과학사 [2013]
  • 사회과교육
    모경환 차경수 서울: 동문사 [2008]
  •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수업 까지
  • 사회과 평가 영역 설정의 동향과 과제
    박영석 시민교육연구, 42(2), 61-82 [2010]
  • 사회과 탐구논리. 한면희, 전숙자, 안천, 김재형 역
    Beyer, B. K. 서 울: 교육과학사 [1991]
  • 사회과 지적 기능 목표의 영역 체계화에 관한 연구. 박 사학위논문
    김재형 동국대학교대학원 [1991]
  • 사회과 지적 기능 교수에 관한 연구
    김재형 교육과정연구, 10, 17-31 [1991]
  • 사회과 절대평가 기준 개발의 준거 체제
    김정호 사회과교육, 30, 257-276 [1997]
  • 사회과 수행평가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조사
    김혜진 홍서영 사 회과교육, 55(1), 57-70 [2016]
  • 사회과 수업에서 탐구의 의미
    이종일 사회과교육연구, 13(2), 1-20 [2006]
  • 사회과 법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송현정 시민교육연구, 37(3), 147-176 [2005]
  • 사회과 기본기능 계열화지도를 통한 학습력 신장
    김형수 사회과교 육, 21, 47-54 [1988]
  • 사회과 기능영역 학습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전략적 읽기를 중심으로
    조국남 시민교육연구, 35(2), 201-226 [2003]
  • 사회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방식 및 구조 분석
    설규주 최정순 사회과교육, 53(2), 1-19 [2014]
  •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부 교육부 [2015]
  • 사회과 교수 학습 법
  • 사고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 램 개발 연구(V). (연구보고 RR91-18)
  • 비판적 사고력의 신장을 위한 초등 사회과의 질문법에 관한 연구
    박상준 사회과교육, 45(1), 121-152 [2006]
  •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교육과정 비전 연구(I): 핵심역량준거와 영역 설정 을 중심으로(연구보고RRC 2007-1)
    김영준 윤현진 이광우 전제철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 중등 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II)
    김미영 김혜진 민용성 이광우 전제철 한국교육과정평 가원 연구보고 RRC 2008-7-1 [2008]
  • 미국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기능 영역 분석
    정태호 사회과교육 연구, 23(3), 17-35 [2016]
  • 명제적 지식과 방법적 지식-그 인식론적 조건과 교육원리
    신차균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7]
  • 델파이 조사 방법에 의한 초등학교 사회과 지도서 개선 방안 탐색
    한춘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8), 129-153 [2018]
  • 델파이 방법
    이종성 서울: 교육과학사 [2001]
  • 델파이 기법을 통한 대학생용 세계시민성 측정도구 개발
    강명희 윤성혜 시민교육연구, 49(4), 63-87 [2017]
  • 교육학용어사전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서울: 하우동설 [1995]
  • 교육평가용어사전
    한국교육평가학회 서울: 학지사 [2004]
  • 교수설계이론 모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신동금 석사학위논문 [1993]
  • 교수-학습이론. 진성연, 김수동 역
    Gagne, R. M. 서울: 학지사 [2000]
  • 교과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역량 모델의 가능 성 탐색: 영국, 독일, 캐나다 교육과정 고찰을 중심으로
    강지영 소경희 한지희 비교교육연 구, 23(3), 153-175 [2013]
  • 교과 특수 역량에 기반한 성취기준 개발의 방향 탐색: 호주, 캐나다, 싱가포르 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백남진 교육과정연구, 32(4), 163-194 [2014]
  •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교육부 [2015]
  • 공교육에서의 비판적 사고 교육의 방향과 쟁점
    김명숙 철학연구, 58, 107-144 [2002]
  • 고등 사고력 함양을 위한 사회과교육의 새로운 이해
    전숙자 파 주: 교육과학사 [2007]
  • 『인권친화적 초‧중등학교 인권교육 내용 체계화 연 구』
    강명숙 구정화 설규주 조난심 국가인권위원회 연구보고 인권위 07-31 [2007]
  • 『교육심리학용어사전』
    한국교육심리학회 서울: 학지사 [2000]
  • “인권교육의 사적발달과 초등사회과 인권교육의 원리에 관 한 연구”
    박성혁 초등교육연구, 12, 71-88 [2001]
  • “다문화 시민성을 위한 초등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 구”
    구정화 사회과교육, 51(1), 1-18 [2012]
  • The development of spatial cognition : A reveiw , In R. M. Downs & D . Stea ( Eds. ) . Image and Environment
    [1973]
  • The Ontario curriculum , social studies , grades 1-6 ; History and geography , grades 7-8
    http : //www.edu.gov.on.ca/eng/curriculum/ [2016]
  • The Lognormality of Delphi Estimate.
    1 , 355-358 . [1970]
  • The Ausralian curriculum
    http : //www . australiancurriculum.au [2016]
  • Teaching strategies for the social studies
    [1999]
  •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education ( 10th ed )
    [1997]
  • Social studies for the next generation : Purposes , practice , and implication of theCollege ,Career , andCivic life (C3 ) framework for social studies states standards
    [2013]
  • Social Studies for Elementary SchoolChildren : Developing YoungCitizens
    [1994]
  • Oxfam Education and Youth
  • Minnesota K-12 Academic Standards in Social Studies
    [2011]
  • Method of instruction in social studies education
    [1984]
  • Knowing , learning , and instruction ; Essays in honor of Robert Glaser
    [1989]
  •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hip : A guide for schools
    [2015]
  • Die entwicklung der Rӓumlichen . Denkens beim Kinde
    [1975]
  • Critical thinking : What is it ?
    49 . 4 . [1985]
  • Concepts in the Social Studies , NCSS Bulletin 45
    [1971]
  • Concept-bas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for the thinking classroom
    [2007]
  • Cognitive skills and their acquition
    [1981]
  • Acquisition of cognitive skill
    89 , 369-403 [1982]
  • A taxonomy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and abilitiesTeaching thinking skills : Theory and practice
    [1987]
  • A review of strategies for sequencing and synthesizing instruction
    56 ( 4 ) , 437-471 [1986]
  •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28 ( 4 ) , 563-575 . [1975]
  • A concept of critical thinking
    32 ( 1 ) , 81-111 . [1962]
  • 4차 산업혁명 시대 사회과의 목표와 내용
    김영현 남상준 심민수 조현정 채유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0), 377-398 [2018]
  •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특징 분석, 호주 사회과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동진 김재우 모경환 시민교육연구, 48(4), 27-48 [2016]
  •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총론과 각론, 교과 간 연계 방안은 무엇인가. 2015 국가 교육과정 전문가 포럼(2차) 자료집 (pp. 3-14)
    이광우 정영근 서울: 한국교육과정학회 [2015]
  •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Ⅱ 국가교육 과정 각론 조정 연구
    이광우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구성의 반성적 고찰 - 핵심개념, 일반화된 지식
    이광우 정영근 기능을 중심으로 – 학습자중심교 과교육학회, 17(16), 597-622 [2017]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사회과 성취기준 및 성취 수준 개발 연구.
    박은아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12-5)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