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듀이의 경험 이론에 기초한 감성과 지성이 통합된 수업 구성 = Integrating Emotion and Intelligence in Class Based on John Dewey’s Theory of Experience

장경주 2020년
논문상세정보
' 듀이의 경험 이론에 기초한 감성과 지성이 통합된 수업 구성 = Integrating Emotion and Intelligence in Class Based on John Dewey’s Theory of Experience'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감정
  • 경험
  • 몰입
  • 수업혁신
  • 신체화된 인지
  • 연속성의원리
  • 존 듀이
  • 즉흥적 상황기반 역할토론
  • 질성적 사고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665 0

0.0%

' 듀이의 경험 이론에 기초한 감성과 지성이 통합된 수업 구성 = Integrating Emotion and Intelligence in Class Based on John Dewey’s Theory of Experience' 의 참고문헌

  • 현상학의 “비(非) 정립적 의식”개념을 통해 본 학습의 새로운 차원
    조상식 교육철학연구, 1(47), 187-202 [2010]
  • 혁신학교는 수업을 혁신하는가?
    서근원 교육의 이론과 실천, 23(1), 67-87 [2018]
  • 혁신학교 수업에서 나타난 협력학습 활동 양태와 학생 참여 특징 분석. 교육학 박사학위논문.?
    강에스더 경희대학교 [2018]
  • 행위 내 반성적 사고, 바깥의 사유 그리고 질적 기술의 가능성
    손민호 조현영 교육철학연구, 37(2), 117-136 [2015]
  • 한국의 수업혁신과 전망.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연구보고서
  • 한국의 수업 연구 역사에 대한 일 견해
    이혁규 교육문화연구, 25(2), 57-82 [2019]
  • 하부르타로 보는 하브루타 과학 수업. 오늘의 교육, 36권(2017년 1, 2월호), 82-117
    이혁규 서울: 교육공동체 벗 [2017]
  • 프랑스의 청소년활동정책. 독일-프랑스-덴마크의 청소년활동정책 현황과 과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세미나자료집(33-66). 13-S29
    신선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 최고의 교수법
    박남기 쌤앤파커스 [2017]
  • 초등교사의 핵심역량 개발 및 교사인식 분석
    박현주 안홍선 윤초희 한국교원교육연구, 35(3), 243-273 [2018]
  • 창의 인재 교육 방향 재검토. 한국초등교육학회 뉴스레터
    박남기 2018년 3월호, 1-13 [2018]
  • 참여하며 깨닫는 공동체 게임 세트: 시민의 연회비 세금
    김상희 휴머니스트 [2013]
  •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조용환 교육과학사 [1999]
  • 질적 사고와 창의성: 예술교육을 위한 새로운 개념
    김연희 미학 예술학 연구, 33, 309-344 [2011]
  • 질성적 사고의 통합적 인식작용에 비추어 본 앎의 성격
    박철홍 교육철학, 70, 37-65 [2019]
  • 직무분석을 통한 교원의 적정 업무량 산정 방안
    김민희 김숙이 김이경 정영수 한국교원교육연구, 29(2), 397-420 [2012]
  • 지역사회협력 청소년 자치배움터의 학습과 실천에 대한 의미 분석: 학습자 배움중심교육과 학습권 실현 조건 탐색을 중심으로. 교육정책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홍제남 한국교원대학교 [2019]
  • 중등교사의 핵심 역량 분석
    한승욱 교육종합연구, 17(2), 1-22 [2019]
  • 주제중심 토론극화수업의 정립
    이경현 청람어문교육, 39, 135-172 [2009]
  • 좋은 수업의 조건들에 대한 비판적 검토: 듀이의 성장 개념을 중심으로
    김무길 교육철학연구, 33(3), 25-47 [2011]
  • 존 듀이의 경험의 개념과 유형 분석을 통한 교육적 의미
    박주희 인문학연구, 53. 441-470 [2017]
  • 조영은 존 듀이 미적 경험의 미학 교육적 함의-일상 속 대중예술을 활용한 미학 교육적 함의-일상 속 대중예술을 활용한 미학 교육.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2018]
  • 전국사회교사모임 대안사회분과 주제가 있는 사회교실
    돌베개 [2004]
  • 장하석의 과학, 철학을 만나다
    장하석 지식플러스 [2014]
  • 있지만 보이지 않는 시간을 사는 다 큰 지구인. 오늘의 교육, 51권(2019년 7,8월), 169-188
    박진환 서울: 교육공동체 벗 [2019]
  • 인지과학의 관점에서 본 서사극 이론
    김용수 한국연극학, 1(49), 133-169 [2013]
  • 이홍우 지식교육론에 전제된 지식관의 성격과 그 한계에 대한 논의
    김종수 교육원리연구, 23(1), 91-116 [2018]
  • 이성, 정서, 느낌의 관계-안토니오 다마지오의 “신체화된 마음”이론을 중심으로
    안수현 동서사상 5, 55-98 [2008]
  • 원숙함과 균형 감각 그리고 창조적 탈주: 장곡중 배움의 공동체 수업을 참관하고. 오늘의 교육, 32권(2016년, 5,6월호), 202-238
    이혁규 서울: 교육공동체 벗 [2016]
  • 예술과정으로 본 창의성의 기원-존 듀이의 ‘질적 사고’의실천적 함의
    김연희 미학, 35-73 [2012]
  • 역량의 총체성에 따른 교육과정 설계방향 탐방
    온정덕 윤지영 교육과정연구, 34(2), 19-45 [2016]
  • 암기위주 교육의 극복을 위한 대안 탐색: 의미로서의 지식관과 교육적 의의
    박철홍 교육철학, 22, 81-97 [2002]
  • 아동 미술활동에 내재된 탐구활동의 통합적 사고작용에 관한 연구: 듀이 예술론의 질성적 사고를 중심으로
    옥영희 조형교육, 48, 321-353 [2013]
  • 싱가포르의 교사핵심 역량틀 탐구: 역량기반 교사양성 교육과정 설계에 주는 시사점
    백남진 온정덕 초등교육연구, 30(3), 43-70 [2017]
  • 신체화된 마음, 은유, 진리
    배식한 인문과학연구, 38(1), 111-138 [2018]
  • 수업비평
    윤양수 살림터 [2014]
  • 수업 혁신의 대안적 접근 탐색
    서근원 손종현 교육종합연구, 12(2), 57-77 [2014]
  • 송하인 한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수업의 성찰적 이해: "아이의 눈으로 수업 보기" 방법을 적용하여
    서근원 교육인류학연구, 21(4), 43-92 [2018]
  • 서울교사노동조합 보도자료 4차 산업 혁명? 학교 청소혁명부터!-합리적인 학교 청소 예산 확보하라
    서울교사노동조합 [2018]
  • 서구 근대의 지식관 형성배경에 관한 비판적 고찰
    박범석 교육철학, 26, 1-17 [2004]
  • 새로운 학력개념 정립 및 구현방안.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연구보고서
  • 새로운 학교 문화 속에서 형성되는 학생들의 자유관 탐구: 햇빛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교육과 석사학위 논문
    장경주 서울대학교 [2013]
  • 사회과 내러티브 지식관의 지식생산적 의미와 성격 탐색
    배영호 사회과교육, 54(3), 35-52 [2015]
  •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부 교육부고시 2015-74호 [2015]
  • 미국 InTASC 핵심교사기준의 교사역량 탐구: 교사역량 기반 교사양성 교육과정 설계에 주는 시사점
    백남진 온정덕 교육과정연구, 35(3), 29-57 [2017]
  • 문화역사 활동이론을 통한 1년차 서울형 혁신학교의 수업 혁신 활동의 이해
    김남수 이혁규 열린교육연구, 20(4), 357-382 [2012]
  • 몸이 철학을 말하다-인지적 전환과 체험주의의 물음
    노양진 서광사 [2014]
  • 몸의 세계, 세계의 몸
    조광제 이학사 [2004]
  • 듀이의 흥미 개념과 초등교사의 실천적 과제
    양은주 임황룡 교육사상연구, 24(2), 105-127 [2010]
  • 듀이의 탐구 연속성 원리와 지식교육
    양은주 교육철학, 26, 119-142 [2001]
  • 듀이의 경험철학에 기초한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경험의 성장과정 및 교육방안탐색
    박기용 교육공학연구, 35(3), 935-962 [2019]
  • 듀이의 경험론에서 본 지식의 총체성과 탐구의 성격: 메논의 패러독스 해소방안
    박철홍 윤영순 교육철학, 38, 85-111 [2007]
  • 듀이의 경험개념에 비추어 본 사고의 성격: 이성적 사고와 질성적 사고의 통합적 작용
    박철홍 교육철학연구, 33(1). 79-104 [2011]
  • 듀이 예술철학을 통해 본 교육적 경험의 의미
    양은주 교육과정평가연구, 3(1). 47-62 [2000]
  • 듀이 미학의 교육학적 해석. 교육학 박사학위논문
    이은미 서울대학교 [2008]
  • 듀이 경험 이론에서 두 가지 사고 방법의 의미와 교육적 시사
    박수원 학습자중심교과교육과정연구, 18(11), 75-103 [2018]
  • 독일의 청소년활동정책. 독일-프랑스-덴마크의 청소년활동정책 현황과 과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세미나자료집(1-32). 13-S29
    이민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 내재성이란 무엇인가
    신지영 그린비 [2009]
  • 나를 비운 자리에 아이들을
    서근원 교육과학사 [2012]
  • 구리나 발견학습과 반응중심학습의 매력과 함정
    한국도덕교육학회, 29(3), 113-131 [2017]
  • 교육적 경험의 의미와 방법: 듀이의 교육이론과 실험학교 실천에 기초한 탐색
    박주희 교육과정평가연구, 22(2), 185-212 [2019]
  • 교육의 미학적 탐구
    한명희 집문당 [2002]
  •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
    ‘2010 교과서 선진화 방안’ [2010]
  • 교사의 자기연구(Self-Study) 필요성 탐색
    김남수 심영택 이혁규 이현명 교육문화연구, 18(2), 5-43 [2012]
  • 교사들의 반성적 글쓰기를 통해 본 배움중심수업의 특징과 의미
    길현주 남미자 노시구 오춘옥 시민교육연구, 46(1), 59-86 [2014]
  • 교사, 수업에서 나를 만나다
    김태현 좋은교사 [2012]
  • 교과서 완결 학습 체제 구현 방안 탐색. 연구보고 RRT 2014-2
    남창우 양윤정 주형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 과정 드라마를 통한 역사적 판단력 발달
    김찬우 교육연극학, 9(2), 1-19 [2017]
  • 공감수업
    강영아 김홍탁 맘에드림 [2018]
  • 경험철학을 반영한 역할 토론수업에서 학생들의 사고 과정과 감정의 관계
    김미숙 장경주 교육사회학연구, 29(2), 267-299 [2019]
  • 거울뉴런의 발견이 의미하는 연극의 존재이유와 필요성
    전영지 한국예술연구, 1(22), 325-336 [2018]
  • 거울뉴런에 대한 최근 연구들: 모방과 공감을 중심으로
    장대익 정보과학지, 30(12), 43-51 [2012]
  • “연출과 연행: 미래교육의 핵심역량.”
    이병준 이유리 문화예술교육연구, 9(6), 171-190 [2014]
  • “경험의 창조적 재연으로서의 학습의 의미”
    박철홍 아시아교육연구, 4(2), 169-191 [2003]
  • ‘역할토론’을 활용한 토론 지도 방법
    김혜련 돈암어문학, 25, 243-270 [2012]
  • Yuriy The neo-vygotskian approach to child development. 교사와 부모를 위한 비고츠키 교육학-네오비고츠키주의 아동발달이론. 실천교육교사번역팀 역(2017)
    Karpov, V. 살림터 [2005]
  • We feel , therefore We learn : The relevance of affective and social neuroscience to education . Mind , Brain , and Education
    1 ( 1Inc. 3 [2007]
  • Varela, Francisco & Tompson, Evan & Rosch, Eleanor The Embodied Mind: Cognitive Science and Human Experience. 석봉래 옮김(2013). 몸의 인지과학
    김영사 [1991]
  • Tomas,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 김명자 역(1992). 과학혁명의 구조
    Kuhn, S. 동아출판사 [1962]
  • The journey of making meaning in drama : a case study in a metropolitan priority school
    [1995]
  • Student-centered education and constructivism : Challenges , concerns , and clarity for teachers
    89 ( 3 ) , 97-105 [2016]
  • Qualitative thought in John Dewey , the later works , 1925-1953
    Volume 5. ed [1930]
  • Polanyi, Michael Tacit Dimension. 김정래역(2015). 암묵적 영역
    박영사 [1966]
  • Nietzsche, Friedrich Wilhelm(1883-1885), Also sprach Zarathustra. 정동호 옮김,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책세상 [2002]
  • Minsky, Marvin The Society of Mind. 조광제 옮김(2019). 마음의 사회
    새로운현재 [1986]
  • Mind incarnate : From Dewey to Damasio . DaedalusOn Body in Mind ( Summer
    135 ( 3 [2006]
  • Meyer, Hilbert Was ist guter Unterricht? 손승남, 정창호 옮김(2011), 좋은 수업이란 무엇인가?
    삼우반 [2004]
  • Merleau-Ponty, Maurice Phenomenologie de la Perception. 류의근 옮김(2002).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 지성사 [1945]
  • Lipman , Dewey , and Philosophical inquiry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28 ( 2 ) , 81-94 [2012]
  • Learning Science through Aesthetic Experience in Elementary School
    [2008]
  • Lakoff, George & Johnson, Mark( Philosophy in the Flesh. 임지룡, 윤지수, 노양진, 나익주 옮김(2002), 몸의 철학
    도서출판 박이정 [1999]
  • Lakoff, George & Johnson, Mark Metaphors we live by. 노양진, 나익주 역(2006). 삶으로서의 은유
    도서출판 박이정 [1980]
  • Johnson, Mark The body in mind. 노양진 역(2000). 마음속의 몸
    철학과 현실사 [1987]
  • Johnson, Mark The Meaning of the Body. 김동환, 최영호 역(2012). 몸의 의미
    동문선 [2007]
  • Johnson, Mark Morality for Humans. 노양진 옮김(2017). 인간의 도덕
    서광사 [2014]
  • Implications of affective and social neuroscience for educational theory
    43 ( 1 ) , 98-103 [2011]
  • Gallagher, Shaun & Zahavi, Dan The Phenomenological Mind. 박인성 옮김(2013). 현상학적 마음
    도서출판 b [2008]
  • Freire, Paulo Pedagogy of the oppressed. 성찬성 역(1995). 페다고지
    한마당 출판사 [1970]
  • Emotions and values ? a case study of meaning-making in ESE
    [2017]
  • Drama and citizenship-devised drama for education
    15 ( 4 ) , 32-39.m [2016]
  • Dewey, John Reconstruction in Philosophy. 이유선 역(2010). 철학의 재구성
    아카넷 [1920]
  • Dewey, John Experience and Education. 강윤중 옮김(1995). 경험과 교육
    배영사 [1938]
  • Dewey, John Democracy and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Education. New York, Macmillan, 이홍우 역(2007). 민주주의와 교육
    교육과학사 [1916]
  • Dewey, John Art as Experience. 박철홍 옮김(2016), 경험으로서 예술(1권, 2권)
    나남출판사 [1934]
  • Descartes, Rene(1642). Meditationes de Prima Philosophia. 양진호, 성찰
    책세상 [2011]
  • Deleuze, Gilles Spinoza et le probleme de l’expression. 이진경, 권순모 옮김(2002). 스피노자와 표현의 문제
    인간사랑 [1968]
  • Deleuze, Gilles & Guattari, Felix Qu’est-ce que la philosophie? 이정임, 윤정임 옮김(1995). 철학이란 무엇인가
    현대미학사 [1991]
  • Damasio, Antonio Looking for Spinoza. 임지원 옮김(2007), 스피노자의 뇌
    사이언스북스 [2003]
  • Damasio, Antonio Descartes’s Error. 김린 옮김(2017), 데카르트의 오류
    (주)눈출판그룹 [1994]
  • Csikszentmihalyi, Mihaly Finding Flow. 이희재 옮김(1999). 몰입의 즐거움
    해냄 [1997]
  • Creative engagement : Embodied metaphor , the affective brain , and meaningful learning
    12 ( 2 ) , 72-82 [2018]
  • Amos Doing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settings. 진영은 역(2008). 교육 상황에서 질적연구 수행하기
    Hatch, J. 학지사 [2002]
  • All smoke and mirror neurons : Goals as sociocultural and emotional organizers of perception and action in learning , Mind , Brain , and Education
    2 ( 2 ) 67-73 [2008]
  • ?체험주의의 영상도식과 신체화된 경험?, ?
    김혜영 범한철학, 83(4), 137-162 [2016]
  • ??신체와 자유: 칸트의 자유에서 메를로-퐁티의 자유로??
    심귀연 그린비 [2012]
  • 2019 교사들의 업무실태 조사결과 보고서-한국의 교사들은 어떻게 동원되는가
    장경주 서울교사노동조합 [2019]
  • '감정이입'을 활용한 사회과 수업 실천 전략
    허수미 사회과교육, 51(3), 103-122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