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아비투스 분석으로 본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Curriculum Implementation by using Habitus Analysis

이윤미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아비투스 분석으로 본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Curriculum Implementation by using Habitus Analysi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교육과정 실행
  • 교육과정 실행 전략
  • 교육과정 실행 행위
  • 아비투스
  • 초등교육과정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58 0

0.0%

' 아비투스 분석으로 본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Curriculum Implementation by using Habitus Analysis' 의 참고문헌

  •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Ⅰ): 총론, 국어, 수학. 교육부(편)
    교육부 서울: 대한교과서 [1997]
  •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경험으로 본 교육과정 실행 관점과 의미
    이윤미 정광순 교육과정연구, 33(4), 66-89 [2015]
  •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교육과정 통합 및 재구성 유형에 대한 연구
    신재한 추갑식 교사교육연구, 54(1), 120-137 [2015]
  • 초등교사가 교육과정을 사용하는 양상 탐색
    정광순 통합교육과정연구, 11(1), 213-238 [2017]
  • 초등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에 나타난 교육과정 변화의 내용에 대한 연구
    이경진 초등교육연구, 19(2), 69-98 [2006]
  •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김영석 김한별 유기웅 정종원 서울: 박영스토리 [2012]
  • 자유학기제의 정책 특징에 따른 교사들의 제도 인식: 정책 정당성, 교사 정체성 및 전문성을 중심으로
    성열관 교육문제연구, 66, 27-58 [2018]
  • 일상적 활동과 생활양식: 사회불평등 연구의 문화론적 전환. 현택수(편)(1998). 문화와 권력:부르디외 사회학의 이해(pp. 77-98)
    정선기 서울: 나남출판 [1997]
  • 이한나 통합교육과정 실행으로 본 내러티브적 지식으로서 교사 지식 탐구
    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 이승은 해석학적 순환으로서의 교육과정 재구성
    초등교육연구, 28(4), 241-265 [2015]
  • 이론과 현실 사이에서: 브루디외 이론의 적용과 변용, 혹은 생성
    강명구 이상규 언론과 사회, 19(4), 87-133 [2011]
  • 아비튀스와 상징폭력의 사회비판이론. 현택수(편)(1998). 문화와 권력:부르디외 사회학의 이해(pp. 101-120)
    현택수 서울: 나남출판 [1998]
  • 아비튀스와 상징질서의 새로운 사회이론. 현택수(편)(1998). 문화와 권력:부르디외 사회학의 이해(pp. 121-161)
    이상호 서울: 나남출판 [1994]
  • 실행을 중심으로 본 교육과정의 의미와 교사의 역할
    김경자 이경진 교육과정연구, 23(3), 57-80 [2005]
  • 신규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추갑식 통합교육과정연구, 8(2), 70-97 [2014]
  • 시 도교육청 교육과정 지침 개발 방향 연구
    박승배 박정기 이윤미 교육부 연구보고 CR 2018-24 [2018]
  • 새교육운동과 열린교육운동의 특징 비교 연구
    강일국 교육사회학연구, 19(3), 1-23 [2009]
  • 사회질서의 재생산과 상징권력: Bourdieu의 계급이론. 현택수(편)(1998). 문화와 권력:부르디외 사회학의 이해(pp. 163-181)
    이상호 서울: 나남출판 [1997]
  • 박은영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문화와 아비투스: Bourdieu와 유럽정치사상
    홍성민 파주: 나남 [2000]
  • 문교부 국민학교 교육과정(문교부령 제 119호 별책; 1963. 2. 15)
    서울: 문교부 [1963]
  • 동서독 행정 비교 연구서설: Bourdieu의 아비투스와 장 개념을 중심으로
    안지호 한국행정학보, 45(2), 139-157 [2011]
  • 단위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중심으로 한 학교자치의 법적 기반과 과제
    박상철 박창언 초등교육연구, 22(4), 405-426 [2009]
  • 누구나 경험하지만 누구도 잘 모르는 수업
    이혁규 서울: 교육공동체 벗 [2013]
  • 근거이론을 적용한 교육과정 재구성 저해요인 분석
    강현석 방기용 교육종합연구, 12(3), 23-54 [2014]
  •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 요인의 작용 양상에 관한 연구
    정혜승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국민학교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1992-16호: 1992.9.30.)
    교육부 서울: 교육부 [1992]
  • 국가수준에서 개발된 교육과정의 실행 양상에 대한 이해
    소경희 교육과정연구, 12(1), 129-153 [2003]
  • 국가교육과정의 법적 성격 지위 및 기능에 관한 연구
    정기오 교육법학연구, 21(2), 275-298 [2009]
  • 국가교육과정에 대한 초등교사의 해석과 실행 연구. 석사학 위논문
    강지영 서울대학교 [2012]
  • 국가교육과정 문서 안에서의 ‘교육과정 재구성’ 용어의 의미 연역
    김현규 통합교육과정연구, 9(2), 54-81 [2015]
  • 교육인적자원부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7-79호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2007]
  •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10]
  • 교육과정에 관한 교사의 관심?인식?실행 결정 요인분석
    추광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교육과정, 수업, 거대담론, 해체
    김외솔 박상현 서명석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2012]
  • 교육과정 편성권에 대한 문제점과 대안 탐색
    박창언 교육과정연구, 21(1), 89-110 [2003]
  • 교육과정 지역화의 성격과 과제
    박채형 교육과정연구, 21(4), 115-132 [2003]
  • 교육과정 재구성의 개념적 애매성과 모호성 비판
    서명석 교육과정연구, 29(3), 75-91 [2011]
  • 교육과정 재구성 저해요인 탐색
    추광재 한국교원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8, 427-442 [2018]
  •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을 통한 교사의 전문성 성장
    한신영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교육과정 재구성 논쟁
    서경혜 교육과정연구, 34(3), 209-235 [2016]
  • 교육과정 자료 사용자로서의 교사와 교육과정 자료 개발자로서 교사 개념 탐색
    김현규 정광순 통합교육과정연구, 12(3), 49-72 [2018]
  • 교육과정 실행과 실행형태의 탐색; 연구동향과 발전동향
    손승희 교육연구논총, 29(2), 1-20 [2008]
  • 교육과정 실행 관점 국내 연구에 대한 문제제기
    이윤미 정광순 조상연 교육과정연구, 33(3), 79-100 [2015]
  • 교육과정 실행 과정에서 교사가 경험하는 갈등에 대한 고찰
    김가은 김선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 261-285 [2015]
  • 교육과정 분권화의 출발점과 방향 타진을 위한 시론
    박순경 교육과정연구, 26(2), 87-105 [2008]
  • 교육과정 분권화 정책의 방향과 과제: 초?중등교육법의 개정안을 중심으로
    민용성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8), 737-754 [2018]
  • 교육과정 변화에 대한 신제도주의 분석;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신은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9]
  • 교사의 아비투스에 따른 교육과정 실행 방식의 차이: 중학교 국어과 교사에 대한 사례 연구
    백병부 교육사회학연구, 18(3), 61-86 [2008]
  • 교사의 교육과정 해석과 교육과정 잠재력
    백남진 교육과정연구, 31(3), 203-225 [2013]
  •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방식과 특징에 대한 사례연구
    이자연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아비투스 분석'의 가능성 탐색
    이윤미 정광순 조상연 교육과정연구, 35(2), 118-143 [2017]
  • 교사의 교육과정 목표 및 내용 재구성 양상과 그 교육적 의도에 대한 연구
    이상호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교사에 의한 교육과정 재구성 전략의 구안
    남유리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교사들이 형성한 '교육과정 재구성'의 의미 탐색
    김종훈 교육과정연구, 35(4), 281-301 [2017]
  •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서경혜 교육과정연구, 27(3), 159-189 [2009]
  • 교과내용 재구성의 의미와 발전 방향
    손승희 교육연구논총, 27(2), 109-125 [2005]
  • 결혼이주여성의 자녀교육 어려움에 대한 종단적 사례연구: 학력에 따른 아비투스와 문화접변 전략을 중심으로
    서덕희 교육사회학연구, 25(1), 211-247 [2015]
  • 강운선 관심기반 선택모형에 근거한 초중고 교사의 2009 개정 교육과정에 관한 관심 수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4), 633-651 [2017]
  • research and practice. Journal ofCurriculum Supervision, 9(1), 77-87.
    9 ( 1 ) , 77-87
  • Vive la crise ! : for heterodoxy in social science
    17 , 773-787 [1988]
  • Three levels of questions addressed in the field of curriculum
    [1993]
  • They employ cleaners to do that ’ : Habitus in the primary classroom
    16 , 353-371 [1995]
  • The teacher curriculum encounter: Freeing teachers from the tyrannyof texts
    Ben-Peretz, M.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정광순, 김세영 (역)(2014), 교사 교육과정을 만나다. 서울: 강현출판사 [1990]
  • The study of the curriculum
    [1981]
  • The phenomenological habitus and its construction
    30 ( 1 ) , 81-120 [2001]
  • The genesis of the concepts of habitus and of Field
    2 ( 2 ) , 11-24 . [1985]
  •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1967]
  • The cultural dimensions of class formation and class struggle : on the social theory of Pierre Bourdieu
    31 , 53-78 [1986]
  • The concept of teacher autonomy in curriculum materials : An operative interpretation
    3 ( 1 ) , 29-44 [1987]
  • The Teacher as Curriculum Decision Maker . F. Bolin , & Falk , J. ( Eds . ) , Teacher renewal ; Professional issues , personal choices
    pp . 92-108 [1987]
  • The Practical 4 : Something for curriculum professors to do
    13 ( 3 ) , 239-265 [1983]
  • The Logic of Practice
    [1990]
  • Teaching preservice teachers a critical approach to curriculum design : A descriptive account
    16 , 179-201 [1986]
  • Teachers as curriculum planners; Narratives of experience. 강현석, 박민정, 소경희, 조덕주, 홍은숙 (역)(2007). 교사와 교육과정: 교사들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Clandinin, J. Connelly, N. 파주: 양서원 [1988]
  • Teacher as curriculum makerHandbook of research on curriculum
    pp . 363 ? 401 [1992]
  • Structuralist analysis in contemporary social thought; A comparison of the theories of Claude Levi-strauss and Louis Althsser, London: RKP. 정수복 (역)(1983). 구조주의와 현대마르크시즘
    Glucksman, M. 서울: 한울 [1974]
  • Schoolteacher-A Sociological Study. 진동섭 (역)(2017). 미국과 한국의 교직사회
    Lortie, D. C. 파주: 양서원 [1975]
  • School-basedCurriculum development and nationalCurriculum :Can theyCoexist ?
    10 ( 1 ) , 47 ? 53 [1995]
  • Review essay on Pierre Bourdieu ,
    84 , 1460-1474 [1979]
  • Research onCurriculum and Instruction Implementation
    47 ( 2 ) , 335-397 [1977]
  • Research into educational innovation
    [1988]
  • Qualitative research & evaluation methods :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4th ed). CA: Sage. 김진호, 나장함, 차동춘, 조대훈, 조윤경, 임정완, 임부연, 최윤정, 이연선, 최진혁, 박주영 (역)(2017). 질적연구 및 평가 방법론
    Patton, M. Q. 경기: 교육과학사 [2015]
  • Professional development to promote school-wide inquiry
    18 , 243 ? 257 [2002]
  • Premiere lecons sur La sociologie de P. Bourdieu, France: Press Unuversitaires. 문경자 (역)(2000). Bourdieu 사회학 입문
    Partrice, B. 서울: 동문선 [1997]
  • Power and resistance in the new sociology of education : beyond theories of social andCultural reproduction
    2 ( 3 ) , 1-13 [1982]
  • Pierre Bourdieu and the reproduction of determination
    16 , 270-281 [1982]
  • Pierre Bourdieu
    [1992]
  • Knowledgeable Women
    [1989]
  • It ’ s all becoming a habitus ’ : Beyond the habitual use of habitus in educational research
    25 ( 4 ) , 431-444 [2004]
  • In other words : essays towards a reflexive sociology
  • From episteme to phronesis to artistry in the study and improvement of teaching
    18 , 375 ? 385 [2002]
  • From curriculum guide to classroom practice : teachers ’ narratives of curriculum application
    41 ( 6 ) , 833-854 [2009]
  • Feminist theory , habitus and social class : Disrupting notions of classlessness Women 's Studies International Forum
    20 , 225-233 [1997]
  • Distinction .
    [1984]
  • Curriculum: Foundations, principles and issues. (4th ed). Boston: Allyn & Bacon. 장인실, 한혜정, 김인식, 강현석, 손민호, 최호성, 김평국, 이광우, 정영근, 이흔정, 정미경, 허창수 (역)(2007). 기초 원리 쟁점, 교육과정
    Hunkins, F. P. Ornstein, A. C. 서울: 학지사 [1993]
  • Curriculum stability and changeHandbook of research on curriculum
    pp . 216-247 [1992]
  • Curriculum renewal in school foreign language learning
    [1987]
  • Curriculum implementation . In P. W. Jackson ( Ed . ) , Handbook of research on curriculum
    pp . 402-435pp . 135-162 [1992]
  • Curriculum development : Theory and Practice
    [1962]
  • Curriculum and pedagogy . In P. W. Jackson ( Ed . ) , Handbook of research on curriculum
    pp . 486-516 [1992]
  • Curriculum : Alternative approaches , ongoing issues
    [1995]
  • Cultural capital : Allusions , Gaps and Glissandos in recent theoretical developments
    6 , 153-168 [1988]
  • Conceptions of curriculum and curriculum specialistsHandbook of research on curriculum
    pp . 3-40 [1992]
  • Classroom-level curriculum development : EFL teacher as curriculum-developers , curriculum-makers and curriculum-transmitters
    26 , 173-184 [2010]
  • Can the curriculum guide both emancipate and educate teachers ?
    28 ( 2 ) , 209 ? 229 [1998]
  • Bourdieu의 아비투스 장 자본의 상호형성 메커니즘: 이론적 고찰과 경험적 연구의 활성화 방안
    이성회 교육사회학연구, 23(2), 151-171 [2013]
  • Bourdieu의 아비투스 개념으로 바라본 초등교사 교육과정 실행 방식 탐색
    추갑식 교육정치학연구, 23(3), 1-29 [2016]
  • Bourdieu의 교육재생산론에 관한 고찰
    강창동 교육사회학연구, 5(1), 1-16 [1995]
  • Bourdieu 사회학의 주요개념. Bourdieu & Wacquant(편)(2015). 성찰적 사회학으로의 초대(pp. 477-538)
    이상길 서울: 그린비 [2015]
  • Aspects of structural and processual theories of knowledge
    [1993]
  • An invitation toreflexive sociology
    Bourdieu, P. Wacquant, L.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이상길(역)(2015). 성찰적 사회학으로의 초대. 서울: 그린비 [1992]
  • 2015개정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서울: 교육부 [2015]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안전한 생활’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관심도와 실행형태에 관한 연구
    김은주 이진숙 교육학연구, 56(1), 155-185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