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교육의 가치” 담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 = A Critical Analysis on the Discourses of “the Value of Education”

이상준 2020년
논문상세정보
' “교육의 가치” 담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 = A Critical Analysis on the Discourses of “the Value of Education”'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교과교육
  • 교육의 가치
  • 교육적 가치
  • 교육정의
  • 발전교육
  • 이돈희
  • 이홍우
  • 정범모
  • 해체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81 0

0.0%

' “교육의 가치” 담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 = A Critical Analysis on the Discourses of “the Value of Education”' 의 참고문헌

  • 한국의 교육지표?지수 개발 연구(Ⅰ): 교육정의지수 개발 연구. 연구보고 RR 2012-22
    김창환 한국교육개발원 [2012]
  • 한국의 교육세력
    정범모 서울: 나남출판 [2000]
  • 한국교육학의 과제와 전망. 교육학연구, 17(2), 5-14
    유형진 한국교육학회 [1979]
  • 한국교육철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교육철학연구, 9, 7-18
    이돈희 한국교육철학학회 [1991]
  • 한국교육의 문제점: 비약을 위한 한국의 숙제
    정범모 세대, 4(30). 100-107 [1966]
  • 한국 교육의 전망과 도전. 한국교육학회 편. 교육탐구의 세월, 576-599
    정범모 서울: 교육과학사 [1993]
  • 한국 교육에서 수월성의 의미와 실현 조건 탐색. 교육정책연구, 3, 39-81
    김인희 이혜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연구소 [2016]
  • 탈발전의 교육과 평가
    정범모 교육개발, 62, 58-60 [1989]
  • 탈발전과 교육. 인간과 사회와 교육Ⅰ, 50-62
    정범모 서울: 나남출판 [1985]
  • 창의력과 공의식
    정범모 서울: 학지사 [2016]
  • 질성적 사고의 교육적 가치. 교육학연구, 30(3), 33-41
    이돈희 한국교육학회 [1992]
  • 지식중심 교육과정의 재조명. 이영덕 편. 인간교육을 위한 교육과정과 수업의 탐구, 41-68
    이홍우 서울: 교육과학사 [1991]
  • 지식의 구조와 교과(개정?증보판)
    이홍우 서울: 교육과학사 [2006]
  • 지식의 구조와 교과
    이홍우 서울: 교육과학사 [1979]
  • 지식?정보의 팽창과 교육내용의 선정. 한국교육학회 편. 사회변천과 교육의 역할, 164-178
    이홍우 서울: 능력개발사 [1977]
  • 주희와 듀이: 교육이론의 메타프락시스적 성격. 이홍우 역. 민주주의와 교육(개정?증보판), 527-550
    이홍우 서울: 교육과학사 [2006]
  • 좋은 교과서란 어떤 것인가? 교과서연구, 15, 5-13
    이돈희 한국교과서연구소 [1993]
  • 정범모의 “발전교육” 논의에서 “교육”과 “교육의 가치” 개념에 대한 해체적 분석. 교육원리연구, 24(1), 107-128
    이상준 한국교육원리학회 [2019]
  • 전통 가정교육의 방법적 원리. 이계학 외 편. 한국인의 전통 가정교육사상, 131-193
    이홍우 서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3]
  • 자유교육의 재음미. 청뢰 한기언교수 정년기념논문집간행위원회 편. 한국교육학의 성찰과 과제, 339-374
    이돈희 서울: 교육과학사 [1990]
  • 인지학습의 이론
    이홍우 서울: 교육출판사 [1973]
  • 인간이해를 위한 교육학의 방법과 한계. 교육학연구, 7(3), 54-65
    김인회 한국교육학회 [1969]
  • 인간의 자아실현
    정범모 서울: 나남출판 [1997]
  • 이홍우의 “교과교육론”에서 “교육”과 “교육의 가치” 개념에 대한 해체적 분석. 교육원리연구, 24(2), 109-137
    이상준 한국교육원리학회 [2019]
  • 이십일 세기 학교교육의 과제. 신수 교육과정 이론, 443-469
    이홍우 파주: 교육과학사 [2000]
  • 이기철학에 나타난 교육이론. 사대논총, 30, 1-18
    이홍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1985]
  • 의무교육 연구에 사용된 ‘교육’ 용어의 해체. 교육원리연구, 21(1), 73-97
    박종근 한국교육원리학회 [2016]
  • 윤리교육의 회고와 전망. 세기적 전환과 교육학적 성찰, 169-179
    이돈희 서울: 교육과학사 [1992]
  • 우송 김태길 전집 1: 윤리학
    김태길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10]
  • 신수 교육과정이론
    이홍우 파주: 교육과학사 [2017]
  • 성리학의 교육이론(증보판)
    이홍우 파주: 교육과학사 [2014]
  • 선악의 존재방식. 도덕교육연구, 27(1), 215-233
    이홍우 한국도덕교육학회 [2015]
  • 배움과 상구의 치환가능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교육원리연구, 22(2), 35-63
    최성욱 한국교육원리학회 [2017]
  • 발전의 서장: 교육계획을 위한 수상
    정범모 서울: 배영사 [1966]
  • 발전을 넘어: 한국교육의 과제. 미래를 되돌아 본다, 197-209
    정범모 서울: 나남출판 [1988]
  • 발전교육이론
    차경수 서울: 교육출판사 [1977]
  • 발전교육론의 업적과 과제. 교육학연구, 14(3), 169-180
    차경수 한국교육학회 [1976]
  • 미래의 인간과 교육. 인간과 사회와 교육Ⅰ, 118-140
    정범모 서울: 나남출판 [1989]
  • 미래의 선택 (제 2판)
    정범모 서울: 나남출판 [1998]
  • 미래의 선택
    정범모 서울: 나남출판 [1989]
  • 미래와 교육. 정범모 외 편. 한국교육의 미래, 219-246
    정범모 서울: 배영사 [1972]
  • 미국 교육학의 정체
    이홍우 파주: 교육과학사 [2018]
  • 마음의 신비와 교육의 신비. 이홍우 외 편. 마음과 교과, 1-40
    이홍우 서울: 성경재 [2000]
  • 도덕교육원론
    이돈희 서울: 교육과학사 [1986]
  • 도덕교육
    이돈희 서울: 교육과학사 [1979]
  • 대한민국의 희망은 교육이다
    이돈희 횡성군: 민사고 [2007]
  • 대전환기의 교육 패러다임. 세기적 전환과 교육학적 성찰, 37-61
    이돈희 서울: 교육과학사 [2000]
  • 대승기신론통석
    이홍우 서울: 김영사 [2006]
  • 기여입학제의 교육적 정당성. 교육행정학연구, 26(3), 25-48
    홍창남 한국교육행정학회 [2008]
  • 기독교의 심성함양 프로젝트: 메타프락시스적 관점. 도덕교육연구, 31(1), 239-263
    이홍우 한국도덕교육학회 [2019]
  • 기능론자의 교육여건 평등론 비판. 교육원리연구, 15(2), 63-84
    최성욱 한국교육원리학회 [2010]
  • 국가발전의 문제와 인간요인. 박동서 외 편. 발전론 서설, 12-54
    정범모 서울: 박영사 [1965]
  • 국가발전과 교육. 정범모 외 편. 교육계획: 국가발전을 위하여, 2-71
    정범모 서울: 현대교육총서출판사 [1966]
  • 교육학의 학문적 이론수립의 현황과 발전좌표. 세기적 전환과 교육학적 성찰, 271-306
    이돈희 서울: 교육과학사 [2002]
  •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이홍우 외. 교육학 개론, 207-230
    이홍우 서울: 교육과학사 [1983]
  •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교육학연구, 6(1), 9-14
    이규호 한국교육학회 [1967]
  • 교육학의 새로운 파라다임 탐색. 한국교육문제연구, 1, 15-23
    이돈희 한국교육문제연구회 [1983]
  • 교육학의 비본질성. 교육이론, 1(1), 5-53
    장상호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1986]
  • 교육평가의 타당도: 재해석. 교육학연구, 22(2), 73-81
    이홍우 한국교육학회 [1984]
  • 교육평가의 새로운 이론체계 확립을 위한 시도: 교육평가의 구성요소와 구조적 관계. 교육학연구, 37(2), 209-226
    채선희 한국교육학회 [1999]
  • 교육평가의 새 영역: 교육의 내재적 가치 평가를 중심으로. 교육원리연구, 4(1), 141-187
    신기현 최성욱 한국교육원리학회 [1999]
  • 교육평가의 내재적 가치와 그 실현방안. 교육학연구, 35(4), 155-177
    채선희 한국교육학회 [1997]
  • 교육평가의 내재성과 외재성. 교육원리연구, 3(1), 39-76
    신기현 최성욱 한국교육원리학회 [1998]
  • 교육평가
    정범모 서울: 풍국학원 [1955]
  • 교육철학개론
    이돈희 서울: 박영사 [1977]
  • 교육제도의 정의론적 조건. 사대논총, 39, 23-43
    이돈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1989]
  • 교육제도와 분배정의. 교육철학연구, 8, 31-14
    이돈희 한국교육철학학회 [1990]
  • 교육제도 운영의 정의론적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10(1), 1-16
    이돈희 한국교육행정학회 [1992]
  • 교육정의론(수정판)
    이돈희 서울: 교육과학사 [1999]
  • 교육정의론
    이돈희 서울: 고려원 [1992]
  • 교육적 정의론 서설. 사대논총, 33, 1-20
    이돈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1986]
  • 교육적 가치에 관한 개념적 혼동
    최성욱 한국교육, 22(1), 17-34 [1995]
  • 교육의 향방
    정범모 서울: 교육과학사 [2009]
  • 교육의 목적과 난점(7판)
    이홍우 파주: 교육과학사 [2016]
  • 교육의 목적과 난점
    이홍우 서울: 교육과학사 [1984]
  • 교육의 내재적 관점에서 본 평등성의 의미. 도덕교육연구, 26(2), 141-162
    최은순 한국도덕교육학회 [2014]
  • 교육의 근본: 말살과 회복. 신수 교육과정 이론, 419-442
    이홍우 파주: 교육과학사 [2004]
  • 교육의 개념(주석?증보판)
    이홍우 파주: 교육과학사 [2009]
  • 교육연구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방략. 교육원리연구, 6(1), 1-35
    장상호 한국교육원리학회 [2001]
  • 교육에 대한 개념과 어휘의 해체. 교육원리연구, 12(1), 31-64
    장상호 한국교육원리학회 [2007]
  • 교육복지의 개념에 관한 고찰. 교육행정학연구, 24(3), 289-314
    김인희 한국교육행정학회 [2006]
  • 교육발전론 재검토. 교육원리연구, 2(1), 214-245
    최성욱 한국교육원리학회 [1997]
  • 교육과학의 좌표. 이돈희 편. 한국교육학의 성장과 과제, 365-401
    장상호 서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3]
  • 교육과학의 논리
    이돈희 서울: 교육출판사 [1974]
  • 교육과정탐구(증보한글판)
    이홍우 서울: 박영사 [2010]
  • 교육과정탐구(증보판)
    이홍우 서울: 교육과학사 [1992]
  • 교육과정탐구
    이홍우 서울: 박영사 [1977]
  • 교육과정
    정범모 서울: 풍국학원 [1956]
  • 교육과 정치
    이돈희 서울: 에듀팩토리 [2016]
  • 교육과 국가발전. 정범모 외 편. 교육과 국가발전, 11-29
    정범모 서울: 교육출판사 [1969]
  • 교육과 교육학(개정판)
    정범모 서울: 배영사 [1976]
  • 교육과 교육학
    정범모 서울: 배영사 [1968]
  • 교육?심리 통계적 방법
    정범모 서울: 풍국학원 [1955]
  • 교과교육학의 성격과 과제. 황정규 외
    이돈희 교과교육학탐구, 9-35 [1994]
  • 과학교육론 정립을 위한 ‘과학교육학’용어 해체의 필요성과 과제. 교육원리연구, 20(1), 1-25
    한수연 한국교육원리학회 [2015]
  • 고교 평준화 정책과 특목고 정책의 논증적 고찰. 교육행정학연구, 35(1). 113-140
    유길한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 가치론의 주요문제들
    김영정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05]
  • 가치론의 문제와 역사
    이대희 대구: 정림사 [2010]
  • 『교육적 경험의 이해』
    이돈희 서울: 교육과학사 [1993]
  • “참교육” 논의에 포함된 “교육”
    이상준 개념의 해체. 교육원리연구, 19(2), 27-57. 한국교육원리학회 [2014]
  • “교육정의론”에서 “교육”과 “교육의 가치”
    이상준 개념에 대한 해체적 분석. 교육원리연구, 23(2), 1-27. 한국교육원리학회 [2018]
  • ‘입시교육’과 ‘창의성교육’ 용어의 해체와 재건. 교육원리연구, 18(2), 27-60
    한수연 한국교육원리학회 [2013]
  • ‘교육열’ 연구에 사용된 ‘교육’ 용어의 해체. 교육원리연구, 18(2), 1-25
    신기현 한국교육원리학회 [2013]
  • ‘교육봉사활동’에 들어있는 ‘교육’ 용어의 해체와 과제. 교육원리연구, 19(2), 1-25
    김재웅 한국교육원리학회 [2014]
  • ‘교육목표’에 함축된 ‘교육’ 개념의 해체. 교육원리연구, 19(1), 1-29
    최성욱 한국교육원리학회 [2014]
  • ‘고등교육’ 용어의 비판적 해체와 교육학의 과제. 교육원리연구, 20(2), 87-122
    김지현 한국교육원리학회 [2015]
  • Ways of Worldmaking
    [1978]
  • Umriss padagogischer Vorlesungen ( 2nd ed ) . ( A. F. Lange , Trans . Outlines of Educational Doctrine
  • Tracing the province of teacher educationCritical Studies in Teacher Education
    pp . 221-241 [1989]
  • The Study of Education
    [1966]
  • The Logic of Modern Physics
    [1927]
  • The Language of Morals
    [1952]
  • The Economic Value of Education
    [1963]
  • Structure and process in modern societies
    [1960]
  • Principia Ethica
  • O’Connor, D. J. /1983). The Nature and Scope of Eduational Theory. In G. Langford & D. J. O’Connor (Eds.), New Essays in the Philosophy of Education (pp. 47-65). (이돈희 역. 교육이론의 성격과 과제. 이홍우외. 교육학개론, 283-309
    서울: 교육과학사.) [1973]
  • Living, Knowing and Education
    이홍우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5]
  • Lee, Hong-Woo『Living, Knowing, and Education』에 대한 논평. 사회과학논평, 6, 139-155
    이돈희 한국사회과학 연구협의회 [1988]
  • Korean Development in Retrospect and prospect. 인간과 사회와 교육Ⅱ, 190-203
    정범모 서울: 나남출판 [1992]
  • Experience and Its Modes
    [1933]
  • Ethics and Language
    [1944]
  • Education of Development and Beyond. 인간과 사회와 교육Ⅱ, 160-175
    정범모 서울: 나남출판 [1989]
  • Education and Political Development
    [1965]
  • Development and Education
    정범모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 Development Education: an After Thought. 인간과 사회와 교육Ⅱ, 140-159
    정범모 서울: 나남출판 [1980]
  • Collected papers Ⅰ : The Problem of Social Reality
    [1973]
  •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49]
  • Ayer, A, J. /2010). Language, Truth, and Logic(2nd ed). (송하석 역. 언어, 논리, 진리
    파주: 나남.) [1944]
  • A Confusion of Contexts : The Interdisciplinary Study of Education
    24 , 219-229 [1974]
  • 21세기의 사회와 한국의 교육. 세기적 전환과 교육학적 성찰, 9-35
    이돈희 서울: 교육과학사 [1993]
  • /2019). Ethics : discovering right and wrong. (류지한, 조현아, 김상돈 공역. 윤리학: 옳고 그름의 발견
    Fieser, J. Pojman, L. P. 서울: 울력.) [2016]
  • /2014). Justice: What's the Right Thing to Do? (김명철 역. 정의란 무엇인가
    Sandel, M. J. 서울: 미래엔.) [2009]
  • /2013).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50th Anniversary Edition. (김명자, 홍성욱 공역. 과학 혁명의 구조
    Kuhn, T. S. 서울: 까치.) [2012]
  • /2010). De la Grammatologie. (김성도 역. 그라마톨로지
    Derrida, J. 서울: 민음사.) [1967]
  • /2009). What Is Analytic Philosophy? (한상기 역. 분석철학이란 무엇인가?
    Glock, H. 파주: 서광사.) [2008]
  • /2008). History of Western Education(11th ed). (이홍우, 박재문, 유한구 공역. 서양교육사
    Boyd, W. 파주: 교육과학사.) [1975]
  • /2007). Der Baum der Erkenntis: Die bilogischen Wurzeln des menschlichen Erkennens. (최영호 역. 앎의 나무
    Maturana, H. R. Varela, F. J. 서울: 갈무리.) [1987]
  • /2003). Ethics and Education. (이홍우 역. 윤리학과 교육
    Peters, R. S. 서울: 교육과학사.) [1966]
  • /1999). Spheres of Justice: A Defence of Pluralism and Equality. (정원섭 외 역. 정의와 다원적 평등: 정의의 영역들
    Walzer, M. 서울: 철학과현실사.) [1983]
  • /1999). Historical Spectrum of Value Theories Ⅰ. (최병환 역. 가치론의 역사적 조명
    Werkmeiste, W. H. 파주: 서광사.) [1970]
  • /1998). Send und Zeit. (이기상 역. 존재와 시간
    Heidegger, M. 서울: 까치.) [1927]
  • /1998). Philosophy and the Mirror of Nature. (박지수 역. 철학 그리고 자연의 거울
    Rorty, R. 서울: 까치.) [1979]
  • /1997). Anarchy, State, and Utopia. (남경희 역. 아나키에서 유토피아로: 자유주의 국가의 철학적 기초
    Nozick, R. 서울: 문학과지성사.) [1974]
  • /1997) After Virtue. (이진우 역. 덕의 상실
    MacIntyre, A. 서울: 문예출판사.) [1984]
  • /1993) From a Logical Point of View. (허라금 역. 논리적 관점에서
    Quine, W. V. O. 서울: 서광사.) [1980]
  • /1992). Lehrbuch der Phiosophie. Zweiter Band. (진교훈 역. 가치론
    Hessen, J. 서울: 서광사.) [1959]
  • /1986). The Analytic Tradition in Philosophy: Background and Issues. (곽강제 역. 분석철학: 그 전통과 쟁점들
    Corrado, M. 파주: 서광사.) [1975]
  • /1986). Education and National development. (윤정일, 강무섭 공역. 교육과 사회발전
    Fagerlind, I. Saha, L. 서울: 대영문화사.) [1982]
  • /1985). A Theory of Justice
    Rawls, J. Harvard University Press. (황경식 역. 사회정의론. 파주: 서광사.) [1971]
  • /1983). Educational Theory. In J. W. Tibble (Ed.), The study of Education (pp. 29-58). (이홍우 역. 교육이론. 이홍우외. 교육학개론, 249-281
    Hirst, P. H. 서울: 교육과학사.) [1966]
  • /1978). Pedagogy and sociology. (S. D. Fox, Trans.), Education and Sociology. (이종각 역. 교육과 사회학, 141-173
    Durkheim, E. 서울: 배영사.) [1902]
  • /1973). The Process of Education. (이홍우 역. 교육의 과정
    Bruner, J. S. 서울: 배영사.) [19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