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학교교육 정상화 담론에 나타난 ‘학교교육’ 용어사용의 적합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levancy of Terminology ‘School Education’ in the Discussion of Normalization of School Education

신현화 2020년
논문상세정보
' 학교교육 정상화 담론에 나타난 ‘학교교육’ 용어사용의 적합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levancy of Terminology ‘School Education’ in the Discussion of Normalization of School Education'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교육관
  • 용어의 해체
  • 입시제도
  • 학교교육
  • 학교교육 정상화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74 0

0.0%

' 학교교육 정상화 담론에 나타난 ‘학교교육’ 용어사용의 적합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levancy of Terminology ‘School Education’ in the Discussion of Normalization of School Education' 의 참고문헌

  • 호모저스티스: 불의의 시대에 필요한 정의의 계보학
    김만권 서울: 여문책 [2016]
  • 한국의 중등교육과 대학입시제도
    강무섭 사학, 69, 108-120 [1994]
  • 한국의 국립대학 개혁에 관한 연구
    홍현길 한국일본교육학연구, 13(2), 19-44 [2009]
  • 한국 교육학 연구에서 이론연구의 성과와 과제
    이종각 2013 한국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109-131 [2013]
  • 학문과 교육(중Ⅲ): 교육연구의 새 지평
    장상호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9]
  • 학문과 교육(중Ⅱ): 교육본위의 삶
    장상호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9]
  • 학문과 교육(중-Ⅰ): 교육이란 무엇인가
    장상호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 학문과 교육(상): 학문이란 무엇인가
    장상호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 학교행정가의 전문성 보장을 위한 대안적 접근: Schon의 실천적 인식론을 중심으로
    김재웅 교육행정학연구, 18(1), 263-278 [2000]
  • 학교중심 블렌디드학습이 학업성취도와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윤수정 이영미 이용운 교육방법연구, 22(4), 195-217 [2010]
  • 학교생활기록부의 활용도 제고를 위한 방안. 고교교육 정상화와 대학 적격자 선발을 위한 고등학교 학교생활기록부 기록 및 활용 개선방안 모색. (연구보고서 RM 2005-44), 7-26
    김재춘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5]
  • 학교교육정상화보완대책연구
    서정화 한국교육개발원(연구자료 RR 85-34), 1-266 [1985]
  • 학교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교육평가의 재구성
    장상호 교육원리연구, 9(1), 83-176 [2004]
  • 학교교육의 정상화 조치 평가: 7.30 교육개혁을 중심으로
    서정화 교육연구논총, 3,93-123 [1987]
  • 학교교육 정상화를 위한 시론
    송병순 사학, 10, 22-27 [1979]
  • 학교교육 정상화를 위한 과열과외 해소대책
  • 학교교육 위기의 실태와 원인분석
    김영화 김정원 류방란 윤종혁 이종태 한국교육개발원(연구자료 RR2000-6), 1-222 [2000]
  • 학교교육 위기론을 통해 본 학교교육 내실화의 의미
    조난심 아시아교육연구, 4(2), 237-253 [2003]
  • 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 및 평가에 대한 공교육정상화법 적용의 가능성과 한계
    이승미 한국교육학회, 55(3), 63-86 [2015]
  • 푸코의 계보학적 분석을 통한 생활무용의 변동적 특성 분석
    강은영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타당화 개념모형을 이용한 대학수학능력시험 체제 진단
    김성훈 교육평가연구, 23(1), 1-27 [2010]
  • 초등실과교육의 정상화 방안을 위한 실태조사[Ⅰ]: 서울시내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최철인 논문집, 2, 233-256 [1969]
  • 초 중등 교육정책의 성과와 전망: 학교교육 정상화 과제를 중심으로
    차성현 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 2013(4), 209-221 [2013]
  • 중등교육상의 문제해결 방안
    심진구 교육논총, 12, 1-30 [1981]
  • 중등교육 정상화를 위한 현행 대학입시제도의 개선방안 탐색
    김민환 안세근 논문집, 15, 1-20 [1990]
  • 조선일보 조선일보, 오늘의 역사
    [1961]
  • 자크데리다: 현상학에서 해체론으로.「프랑스 철학의 위대한 시절」, 201-224
    김상록 서울: 반비 [2014]
  • 입학사정관제도와 학교교육의 정상화
    신차균 교육논총, 29, 1-19 [2009]
  • 입학사정관 평가를 위한 학교생활기록부 정성적 평가 모형 탐색
    김수연 김시라 인문사회과학연구, 1(23), 35-59 [2009]
  • 입시전쟁 잔혹사
    강준만 서울: 인물과사상사 [2009]
  • 이상행동과 적응을 위한 학교교육
    김혁곤 논문집-순천청암전문대학, 4, 21-33 [1978]
  • 의무교육 연구에 사용된 “교육”용어의 해체
    박종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윤리교육과 철학, 그리고 논술
    임덕준 철학윤리교육연구. 21(35), 89-106 [2004]
  • 원격교육논의의 “교육”개념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정연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사교육의 실태와 대처 방안 현안보고
    강영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8]
  • 사교육 문제해결을 위한 공교육의 역할
    서춘래 교육종합연구, 01(4), 47-65 [2003]
  • 사교육 경감을 위한 학교교육의 재구조화 방안
    고형일 이두휴 교육사회학연구, 12(1), 1-42 [2002]
  • 북한주권개념의 계보학
    윤재원 북한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방과후학교 정책의 운영방향에 대한 비판적 고찰
    신현석 이경호 한국교육학연구, 16(3), 225-250 [2010]
  • 박은영 한국의 미술교육정책 분석 연구: 미술교육정책 분석틀 개발을 중심으로
    조형교육, 33, 313-348 [2009]
  • 박은아 사교육유발요인과 입시정책과의 관계 연구 : 경희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공자원 박여진 입학전형연구, 1, 235-261 [2012]
  • 문교부 학교교육정상화의 길
    장학자료 제40호 [1983]
  • 도덕 계보학: 니체의 생리, 심리학과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이창재 한국철학회, 64(524). 161-189 [2000]
  • 데리다 해체철학주의 논리
    이규은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 대학수학능력시험제도가 고등학교 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박병량 변영계 성병창 한대동 교육연구, 5, 1-28 [1995]
  • 대입전형이 고등학교 교육과정 정상화에 미치는 영향
    김보경 유평수 최지은 교육종합연구, 13(1), 93-119 [2015]
  • 단위학교 교육공동체 구축의 원리와 상황적 조건
    주철안 교육연구, 12, 45-59 [2002]
  • 니체「도덕의 계보」. 철학사상 별책 5(9)
    백승영 서울: 서울대학교철학사상연구소 [2005]
  • 국정브리핑 특별기획팀 대한민국교육 40년
    경기: 한스미디어 [2007]
  • 국민학교 체육교육의 정상화방안고
    홍재욱 논문집, 1, 83-109 [1966]
  • 교육행정학원론
  • 교육학의 비본질성
    장상호 교육이론, 1(1). 5-53 [1986]
  • 교육학 패러다임의 전환: 기능주의에서 내재주의로
    최성욱 교육원리연구, 10(2), 71-135 [2005]
  • 교육정상화를 위한 방안 연구
    이영덕 교육학연구, 18(2), 5-11 [1980]
  • 교육의 정체혼미와 교육학의 과제
    장상호 교육원리, 5(1). 21-64 [1990]
  • 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입시제도의 개선방향
    최정훈 교육논집, 6(1), 15-21 [1973]
  • 교육열 연구에 사용된 교육 용어의 해체
    신기현 교육원리연구, 18(2), 1-25 [2013]
  • 교육에 대한 개념과 어휘의 해체
    장상호 교육원리연구, 12(1), 31-64 [2007]
  • 교육관유형연구의 성격과 연구과제 탐색
    신기현 교육원리연구, 15(2), 125-148 [2010]
  • 과학교육론의 정립을 위한 ‘과학교육학’용어 해체의 필요성과 과제
    한수연 교육원리연구, 20(1). -25 [2015]
  • 공교육정상화법의 성과와 한계를 통해 살펴본 공교육 정상화의 방향과 과제
    이명진 최인선 홍선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3). 1035-1051 [2016]
  • 공교육정상화를 위한 학교와 정부의 역할
    신현석 한국교육학연구, 9(1), 141-178 [2003]
  • 공교육정상화 촉진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안의 정책의제 형성과정 분석
    이경옥 교육행정학연구, 33(3), 189-213 [2015]
  •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교육재정운영의 효율화 방안
    이병양 논문집-동남보건대학, 22(2). 191-198 [2004]
  • 고등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정상화를 위한 과제. 「고교-대학」연계를 통한 대입특별전형 연구 제5차 세미나(RM 2004-51), 47-75
    황규호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4]
  • 계보학의 철학적 방법론
    이진우 철학연구, 73, 141-167 [2000]
  • 「고교-대학」
    정광희 연계를 통한 대입특별전형 운영가능성 탐색, 운영방안과 조건. (연구보고서 RM2004-56), 3-66.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4]
  • “참교육”
    이상준 용어의 해체.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교육수요자”
    오형균 개념 및 사용에 대한 비판적 논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교육비 개념의 타당성 검토“
    최성욱 교육원리연구, 8(1), 125-142 [2003]
  • “고등교육”
    김지현 용어의 비판적 해체와 교육학의 과제. 교육원리연구, 20(2). 87-122 [2015]
  • ‘입시교육’과 ‘창의성교육’용어의 해체와 재건
    한수연 교육원리연구, 18(2), 27-60 [2013]
  • ‘교육봉사활동’에 들어있는 ‘교육’용어의 해체와 과제
    김재웅 교육원리연구, 19(2).- 25 [2014]
  • ‘교육목표’에 함축된 ‘교육’개념의 해체
    최성욱 교육원리연구, 19(1), 1-29 [2014]
  • School Is Dead. 김석원 역(1987). 학교는 죽었다
    Reimer, E. 서울: 한마당 [1971]
  • Ryle. G.THE CONCEPT OF MIND. 이현우 역(1994). 마음의 개념
    서울: 문예출판사 [1984]
  • Philosophy and the mirror of nature. 박지수 역(1988). 철학 그리고 자연의 거울
    Rorty, R. 서울: 까치 [1979]
  • Les Mot et les cboses. 이규현 역(2012). 말과 사물
    Foucault, M. 서울: 민음사 [1966]
  • Jacques Derrida. 해체. 김보현 편역 해체
    서울: 문예출판사 [1996]
  • INSTEAD OF EDUCATION. 공양희 역(2007). 존홀트의 학교를 넘어서
    Holt, J. 서울: 도서출판 아침이슬 [2003]
  • 21세기 지식강국 실현을 위한 스마트교육기반 STEAM 교육 모형 설계
    김선회 남동수 이태욱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 369-372 [2012]
  • 2008 내신강화정책이 단위학교에 미친 영향
    김미숙 교육사회학연구, 20(2), 25-52 [2010]
  • (미간행원고)
    장상호 교육에 관한 용어와 개념의 해체 방법. 1-7
  • (1887). Zur Genealogie der Moral : Eine Streitschrift. 홍성광 역 도덕의 계보학
    Nietzsche, F. 경기: 연암서가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