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인터넷 텍스트 읽기 교육 내용 연구 = A Study on Educational Contents of Internet Text Reading

신윤경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인터넷 텍스트 읽기 교육 내용 연구 = A Study on Educational Contents of Internet Text Reading'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인터넷 텍스트
  • 델파이 기법
  • 디지털 문식성
  • 인터넷 텍스트 읽기 과정
  • 인터넷 텍스트 읽기 능력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00 0

0.0%

' 인터넷 텍스트 읽기 교육 내용 연구 = A Study on Educational Contents of Internet Text Reading' 의 참고문헌

  • 한정선ㆍ오정숙ㆍ임현정ㆍ전주성, 「지식 정보 역량 개발 지원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지수 개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 CR 2006-13 [2006]
  • 한정선ㆍ오정숙,「21세기 지식정보역량 활성화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작적 정의 및 하위영역 규명」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자료; RM 2006-78 KERIS 이슈리포트 [2006]
  • 한국어문교육연구소ㆍ국어과교수학습연구소, 『독서교육사전』
    서울: 교학사 [2006]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미래교육 대응, 디지털리터러시가 답이다!」
    제130회 미래교육포럼 자료집 [2017]
  • 조정아,「디지털 시대 문해의 교육적 함의」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정현선,「언어ㆍ텍스트ㆍ매체ㆍ문화 범주와 복합 문식성 개념을 통한 미디어 교육의 교육적 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 28, pp. 307-337 [2005]
  • 정현선,「디지털 리터러시의 국어교육적 고찰」
    『국어교육학연구』, 21, pp. 5-42 [2004]
  • 정현선,「'언어 문화 소통 기술'의 관점에서 본 미디어 리터러시의 고찰」
    『한국학연구』, 25, pp. 71-101 [2006]
  • 정현선, 「초등 국어 교과서에 반영된 미디어 리터러시 학습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3-4학년군 1학기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 65, pp. 191-224 [2018]
  • 정현선 외,「핵심역량 중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내용 체계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1), pp. 211-238 [2016]
  • 정현선 외,「초등학생의 매체 문식 활동에 관한 조사 연구」
    『독서연구』, 33,pp. 127-170 [2014]
  • 이소라,「청소년 독자의 인터넷 글 읽기와 눈동자 움직임 특성 분석」
    『국어교육학연구』, 49(2), pp. 417-444 [2014]
  • 윤대석 역, 『디지털 미디어의 이해』
    Ishida, H. 사회평론아카데미 [2017]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학 사전』
    서울: 대교출판 [1999]
  • ㆍ정현선, 「교과 교육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노은희 신호재 이재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8-7 [2018]
  • ㆍ미국영어교육과정 Common Core State Standards Initiative
    http://www.corestandards.org/ELA-Literacy/ [2010]
  • ㆍ귄이은ㆍ김별희, 「인쇄 텍스트와 디지털 텍스트 문식 활동에 대한 초 중 고등학생들의 인식 연구」
    이순영 『 교육종합연구』, 11(4), pp. 115-136 [2013]
  • ㆍ『인터넷이용실태조사』(국가승인 지정통계 제1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한국인터넷진흥원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345 [2000]
  • 『하이퍼텍스트문학』
    류현주 서울: 김영사 [2000]
  • 『텍스트 이론 : 언어 문학통합론의 이론과 실제』
    고영근 아르케 [2002]
  • 『초등학교 국어 학습부진의 이해와 지도』
    이경화 서울: 박이정 [2012]
  • 『초등국어교육학 개론』
    신현재 서울: 박이정 [2015]
  • 『초등 국어 수업의 이해와 실제』
    신헌재 서울: 박이정 [2015]
  • 『질문지작성방법론』
    박도순 서울: 교육과학사 [2008]
  • 『중학생의 읽기 발달을 위한 읽기 교육 방법론』
    최숙기 역락 [2011]
  • 『장르 중심 작문 교수 학습론』
    박태호 서울: 박이정 [2000]
  •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한 독서 전략 지도』
    천경록 서울: 교육과학사 [2006]
  • 『읽기 지도의 이해』
    박수자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 『읽기 교육의 원리와 방법(개정판)』
    이경화 서울: 박이정 [2008]
  • 『인터넷과 사이버 사회』
    이재현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0]
  • 『인터넷, 하이퍼텍스트 그리고 책의 종말』
    배식한 서울: 책세상 [2000]
  • 『인터넷, 평생학습으로 읽기』
    정민승 파주 :교육과학사 [2010]
  • 『영상미디어 교육의 이해』
    김영순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 『열린 수업을 위한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
    신헌재 서울: 박이정 [1996]
  • 『언어심리학』
    조명한 서울: 학지사 [2009]
  • 『미디어리터러시와 비판적 사고』
    황치성 경기: 교육과학사 [2018]
  •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이해』
    김아미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 『문식성 연구』
    노명완 이차숙 서울: 박이정 [2002]
  • 『문식성 교육 연구』
    노명완 박영목 서울: 한국문화사 [2008]
  • 『매체언어와 국어교육』
    윤여탁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 『디지털 시대의 읽기 문화 쟁점과 전망』
    김예란 박진우 한국언론진흥재단 [2011]
  • 『디지털 미디어의 이해』
    김주환 서울: 생각의 나무 [2008]
  • 『독서교육론』
    박영목 서울: 역락 [2008]
  • 『델파이 방법』
    이종성 서울: 교육과학사 [2006]
  • 『대중매체의 기호학』
    박정순 서울: 나남출판 [1997]
  • 『기호학과 뇌인지과학의 커뮤니케이션』
    조창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 『국어교육학원론』
    박영목 서울: 박이정 [2010]
  • 『국어교육학개론』
    최현섭 서울: 삼지원 [1999]
  • 『국어교육학개론(제4판)』
    노명안 서울: 삼지원 [2012]
  • 『국어교육학』
    이삼형 서울: 소명출판 [2001]
  • 『국어교육의 내용 연구』
    이성영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 『국어교육과 미디어 텍스트』
    박인기 서울: 삼지원 [2000]
  • 『국어교육 연구 방법론』
    한철우 서울: 박이정 [2012]
  •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5] [2015]
  •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 탐구』
    박영목 윤희원 한철우 서울: 교학사 [1995]
  • 『국어 교육의 이해』
    최미숙 사회평론아카데미 [2011]
  • 『교육과정 개발: 주요 쟁점 및 새로운 접근』
    소경희 서울: 교육과학사 [2005]
  • 『TheCure of souls : Science , values , and psychotherapy』
    [1998]
  • 『Technology , Reading Digital Literacy』
    [2014]
  • 『Technology , Reading Digital Literacy Strategies to Engage the Reluctant Reader』
    [2014]
  • 『Teaching and Learning Multiliteracies』
    [2006]
  • 『Social Linguistics and Literacies : Ideology in Discourses』 ,
    [2015]
  • 『Reading for understanding . Toward a R D program for readingComprehension』
    [2002]
  • 『PopularCulture , new media and digital literacy in earlyChildhood』
    [2005]
  • 『New literacies and 21stCentury technologies : A position statement』 ,
    [2009]
  • 『Information literacyCompetency standards for higher education』
    [2000]
  • 『Hypertext 2.0 . Baltimore』
    [1997]
  • 『Digital transformation : A framework for ICT literacy』
    [2003]
  • 『Digital reading : What ’ s essential in grades 3-8
    [2015]
  • 『Digital literacy in practice :Case studies of primary and secondaryClassrooms』
    [2010]
  • 『Digital Literacy across theCurriculum : a futurelab handbook』
    [2010]
  • 『Designing a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 Experts in Assessment』
    [2001]
  • 『Cyberethics : Social and moral issues in theComputer age』
    [2000]
  • 『Comprehension instruction : Research-based best practices』
    [2002]
  • 『Cognitive psychology and its implication』
    [1980]
  • 『Close reading and writing from sources』
    [2014]
  • 『Changing Literacies』
    [1997]
  • 『Bridging technology and literacy : Developing digital reading and writing practices in grades K-6』
    [2015]
  • 『Assesing AnonymousCommunication on the internet』
    [2000]
  • 『A Taxonomy for Learning , Teaching , and Assessing : A Revision of Bloom '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2001]
  •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담은 독서교육론』
    이순영 사회평론아카데미 [2015]
  • 「핵심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조화 방안 연구」
    이근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 보고 CRC 2013-17 [2013]
  • 「해석을 통한 필자의 상승적 의미 구성 교육 연구」
    전제응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 「한국와 미국의 과학 교과서에 반영된 교과문식성 연구」
    이경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4), pp.707-728 [2019]
  • 「학습클리닉 부진학생 국어(읽기)학습 콘텐츠 개발 연구」
    이경화 『청람어문교육』, 42, pp. 243-269 [2010]
  • 「학습전략으로서의 초등 읽기? 쓰기 교육 점검」
    이수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7), pp. 423-442 [2015]
  • 「학습자의 지식 구성 분석을 통한 문법 교육 내용의 조직과 표상 연구」
    이관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하이퍼텍스트를 통한 읽기 교육 개념의 재설정」
    권순희 『국어교육학연구』, 16, pp. 1-27 [2003]
  • 「하이퍼텍스트 기반의 작문 교수 학습 모형에 관한 연구」
    임천택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통합적 문법 교육 내용 설계의 원리와 실제 연구」
    주세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텍스트와 시각자료가 함께 제시되는 디지털 학습자료 읽기 과정 메커니즘 연구」
    최효선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텍스트언어학 : 응용편(독어 및 외국어) ; "텍스트"에서 "하이퍼텍스트"로」
    김요한 『텍스트 언어학』, 16, pp. 179-203 [2004]
  • 「텍스트 이해의 과정과 전략에 관한 연구:‘비판적 읽기’ 이론 정립을 위한 학제적접근」
    김혜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크로스플랫폼 환경에서 지식 정보 읽기의 몰입감 강화를 위한 멀티모달 UX/UI 디자인 연구 : 읽기 앱 ‘Researcher’ 중심으로」
    강민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추론적 읽기 교육 내용 연구」
    전지영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초등학생 독자의 인터넷 읽기 전략 연구」
    기세령 『독서연구』, 31, pp. 221-266 [2014]
  • 「초등학교 저학년 문식성 교육과정의 향방」
    정혜승 『한국초등국어교육』, 42, pp.186-216 [2010]
  • 「초등 저학년을 위한 문식성 교육」
    노명완 『한국초등국어교육』, 42, pp.6-50 [2010]
  • 「청소년 독자의 인터넷 독서 전략에 관한 문헌 연구」
    조병영 『국어교육학 연구』, 44, pp. 483-515 [2012]
  • 「창의ㆍ융합적 인재 양성을 위한 초등 뉴 리터러시 교수학습 방법과 프로토콜」
    김지숙 『영미어문학』, 117, pp. 293-320 [2015]
  •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의 읽기 능력 개발 방안: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박진용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5-5 [2015]
  • 「지식 기반 사회의 핵심능력과 국어교육」
    임택균 한철우 『청람어문교육』, 42, pp. 363-395 [2010]
  • 「증강현실 기반 학습에서 매체특성, 현존감, 학습몰입, 학습효과의 관계 규명」
    계보경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증강 텍스트 읽기 교육의 방향성과 가치」
    신윤경 『독서연구』, 38, pp.131-158 [2016]
  • 「중학생의 쓰기 상위인지 검사 도구 개발 연구」
    문광진 『작문연구』, 13, pp. 321-352 [2011]
  • 「중등 국어과 디지털텍스트의 개발 원리 및 전략에 관한 연구」
    오은하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정보 텍스트의 추론적 읽기 특성 연구:잠재 의미 분석(LSA)을 활용하여」
    이경남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전자매체시대의 독자」
    최명우 『독서연구』, 16, pp. 55-75 [2006]
  • 「장르 문법 교육 내용 연구」
    제민경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읽기의 의미와 읽기 과정 모형에 대한 고찰」
    천경록 『청람어문교육』, 38, pp.239-271 [2008]
  • 「읽기와 쓰기 교육의 탐색: 21세기 문식 환경과 인터넷 읽기 전략-인터넷 텍스트 환경의 부정확성의 문제와 비판적 읽기」
    조병영 『한국어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 79-94 [2014]
  • 「읽기 활동의 복잡계 네트워크 특성 고찰」
    김도남 『새국어교육』, 104, pp. 7-38 [2015]
  • 「읽기 상호텍스트성의 기제와 교육」
    김도남 『한국초등국어교육』, 40, pp. 6-38 [2009]
  • 「읽기 부진 학생의 눈동자 추적을 통한 읽기 과정 특성 분석 연구」
    박영민 『국어교육』, 139, pp. 335-362 [2012]
  • 「읽기 매체 환경의 변화와 < 읽기와 보기 > 교육과정 설계」
    이경화 『청람어문교육』, 22(1), pp. 67-85 [2000]
  • 「읽기 능력에 따른 상위인지 인식분석 연구」
    김선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읽기 기초학력의 재개념화와 평가 틀의 개선 방향」
    이경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9(3), pp. 252-272 [2009]
  • 「읽기 교육의 쟁점과 읽기의 중핵 성취기준 개발」
    천경록 『국어교육』, 133, pp. 83-107 [2010]
  • 「읽기 교육의 상위인지 수용 양상에 대한 비판적 검토 ?2011 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최숙기 『새국어교육』, 89, pp. 405-428 [2011]
  • 「읽기 교육에서 지식 문제에 대한 비판적 검토」
    김명순 『국어교육』, 111, pp. 1-32 [2003]
  • 「읽기 과정에서의 읽기 전략과 상위인지 전략」
    김경주 『우리말글』, 32, pp. 29-50 [2004]
  • 「인터페이스 메타포에 대한 체현 인지 접근」
    송주영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인터넷 활용 조사 활동 과정에서 나타나는 독해 특성 분석」
    하근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9), pp. 267-300 [2014]
  • 「인터넷 환경에서의 초인지적 독서전략-사고 구술 연구로부터의 증거들」
    조병영 『국어 교육』, 124, pp. 281-316 [2007]
  • 「인터넷 환경에서의 읽기 부정확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김종윤 조병영 『국어교육』, 148, pp. 367-397 [2015]
  • 「인터넷 하이퍼텍스트 독서 전략의 탐색과 기술」
    조병영 노명완, 박영목 외 편,『문식성 교육연구』, 서울: 한국문화사, pp. 567-594 [2008]
  • 「인터넷 텍스트 읽기를 위한 상위인지 지도 방안 연구」
    정희수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 「인터넷 접근과 활용 및 인지요인이 디지털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장은우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인터넷 매체언어의 읽기와 쓰기 특성과 효과적 통합 지도 전략 연구」
    김성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인터넷 매체 언어 교육의 적용 방안-고등학교 국어(하)를 중심으로」
    김효진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인지양식과 메타인지가 대학생의 정보탐색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문정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인쇄텍스트와 인터넷텍스트에 대한 초등학생의 비판적 읽기 활동 연구」
    임형남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인간, 언어, 교육, 그리고 문식성」
    노명완 노명완, 박영목 외 편, 『문식성 교육 연구』, 서울: 한국문화사, pp. 13-41 [2008]
  • 「웹 기반 한글해득 표준화 진단 검사 도구 개발 연구」
  • 「웹 기반 학습의 설계」
    백영균 서울: 양서원 [1999]
  • 「외국 초등국어과 교과서의 특징과 시사점」
    김병수 이주섭 전제응 최규홍 『학습자 중심교과교육연구』, 6(2), pp.235-263 [2006]
  • 「온라인 정보 검색 과정에서의 읽기 전략 사용 양상」
    왕효성 『새국어교육』, 95, pp. 127-160 [2013]
  • 「온라인 읽기에서 독자의 인지적 과부하 해결을 위한 교육 방안 연구」
    신윤경 『국어교육학회(제65회) 한국독서학회(제40회) 연합 전국 학술대회: 인공지능 시대의 국어교 육의 방향 자료집』, pp. 337-346 [2017]
  • 「온라인 다문서를 활용한 글쓰기 과제에서 나타난 읽기? 쓰기 전략 연구」
    이지영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교과 교육내용 구성 방식’에 대한 국제 비교 연구」
    김선영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 「언어영재 교수ㆍ학습 전략 구조화 연구」
    김주연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안구운동 추적 기법을 활용한 6학년 과학 교과서의 과학 이야기 읽기 과정 분석」
    박효정 신동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3), pp. 383-393 [2015]
  • 「쓰기 전이 교육의 내용과 방법 연구」
    최종윤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쓰기 윤리 교육의 내용 연구」
    강민경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쓰기 멈춤의 요인과 발생 양상 분석」
    강동훈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쓰기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구성 방안」
    이수진 『작문연구』, 41, pp. 225-254 [2019]
  • 「쓰기 교육 내용으로서의 독자 연구」
    양경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신화적 조화성에 기반한 동화 감상 교육 연구」
    김상한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신문식성 측면에서 본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인터넷 텍스트 읽기 과정 분석」
    한혜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시선 추적 장치를 활용한 초등학생의 인터넷 텍스트 읽기 양상 연구」
    최혜선 한국교원대 석사학위논문 [2016]
  •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읽기 교육의 ‘자기평가’ 방안 연구」
    신윤경 『청람어문교육』, 55, pp. 267-295 [2015]
  • 「스마트 교육 환경에서의 핵심역량 기반 국어과 교육과정의 재구성 방향」
    서혁 오은하 『청람어문교육』, 48, pp.7-40 [2013]
  • 「상호텍스트성을 바탕으로 한 읽기 지도 방법 연구」
    김도남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사회적 문식성에 기반한 읽기 교육에 대한 시론」
    안부영 『독서연구』, 23, pp.41-69 [2010]
  • 「비판적 읽기 개념과 비판적 읽기 교육과정 개선방향 」
    최양우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비판적 문식성 신장을 위한 읽기 교육 연구」
    이재형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비판적 담화분석을 활용한 읽기 교육 연구」
    김유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블룸의 디지털 텍사노미」
    계보경 김재옥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이슈리포트, RM, 6 [2013]
  • 「복합 문서 처리 전략 검사 도구의 타당도 검증 및 전략 수행 양상 분석 ?학생의 복합 문서 요약 과제 수행을 중심으로」
    최숙기 『작문연구』, 21, pp.291-313 [2014]
  • 「미디어폴리스 시대의 텍스트 과학-미디어와 하이퍼텍스트에 대한 고찰」
    박여성 『독어학』, 4, pp. 241-266 [2001]
  • 「미국 공통핵심기준의 내용 및 교육과정 실행 양상 분석」
    이선영 『국어교육』, 146, pp. 375-407 [2014]
  • 「미국 공통핵심기준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읽기 영역을 중심으로」
    서수현 조병영 『국어교육학연구』, 49(1), pp. 626-656 [2014]
  • 「미국 공통핵심기준(Common Core State Standards)의 내용 제시 방식 고찰: 쓰기 영역을 중심으로」
    이주섭 『청람어문교육』, 46, pp. 193-219 [2012]
  • 「미국 공통핵심기준(Common Core State Standards)과 2009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읽기 영역의 계열성 비교 분석」
    이경남 이경화 『초등교과교육연구』, 18, pp. 147-169 [2013]
  • 「문학 교육에서의 태도 교육 내용 연구」
    하근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문식성(Literacy)의 변화와 기호학적 관점의 국어과 교육과정 모델」
    정혜승 『교육과정연구』, 26(4), pp. 149-172 [2008]
  • 「문식성 재개념화와 새로운 문식성 교수ㆍ학습을 위한 방향 탐색」
    옥현진 『청람어문교육』, 47, pp. 61-86 [2013]
  • 「문식성 교육의 사회 , 문화적 접근」
    최인자 『국어교육연구 』, 8(1), pp. 191-220 [2001]
  • 「문식성 교육 연구 방법론-실험 연구 방법론을 중심으로」
    윤준채 이형래 『국어교육학연구』, 30, pp.357-378 [2007]
  • 「문식성 교육 담론과 주체 형성에 관한 연구」
    이재기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문법 현상 인식 중심의 초등학교 문법 교육 연구」
    최규홍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모바일 탐구학습을 위한 수업설계 모형 개발 연구」
    김성욱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맥락 중심 문식성 교육 방법론 고찰」
    이재기 『청람어문교육』, 34, pp. 99-128 [2006]
  • 「매체언어교육의 내용 선정 연구」
    하숙자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매체언어 (媒體言語) 교육론 (敎育論) 서설 (序說)」
    김대행 『국어교육』, 97, pp. 7-44 [1998]
  • 「매체 언어 교육의 한계와 변화 방향성」
    김대희 『독서연구』, 37, pp. 67-84 [2015]
  • 「디지털 필자의 문식 실행 연구 : 전문 블로거의 텍스트 생산과정을 중심으로」
    김지연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디지털 텍스트를 구현하는 실제 요인에 관한 고찰」
    주민재 『새국어교육』, 93, pp. 279-308 [2012]
  • 「디지털 텍스트 평가 기준에 대한 독자의 인식 연구」
    김지연 『국어교육학연구』, 49(1), pp. 280-303 [2014]
  • 「디지털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리터러시: 의미와 연구방향의 모색」
    안정임 『교육정보미디어연구』, 8(3), pp. 5-24 [2002]
  • 「디지털 시대의 청소년 독자와 비판적 읽기」
    이순영 『독서연구』, 24, pp. 85-107 [2010]
  • 「디지털 시대의 읽기 쓰기」
    이재현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 「디지털 시대의 읽기 능력」
    옥현진 『새국어생활』, 국립국어연구원, 22(4), pp.49-62 [2012]
  • 「디지털 시대의 독서와 독서교육의 정체성」
    우한용 『독서연구』, 30, pp. 9-40 [2013]
  • 「디지털 시대의 교육학의 자기변모: 그 특징과 한계」
    정민승 『교육학연구』, 45(3), pp. 53-81 [2007]
  •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에 관한 연구 : 이해능력과 활용능력을 중심으로」
    김정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디지털 문식성 교육을 위한 학습자 프로파일 구성 요소 탐색」
    서수현 옥현진 『청람어문교육』, 52, pp. 87-114 [2014]
  • 「디지털 리터러시의 정의적 영역 평가 도구 개발 방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김종윤 김지연 서수현 옥현진 『국어교육학연구』, 50(2), pp. 206-230 [2015]
  • 「디지털 리터러시의 인지적 영역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김종윤 『청람어문교육』, 62, pp. 7-39 [2017]
  •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 탐색」
    김종윤 서수현 옥현진 『국어교육』, 150, pp. 263-294 [2015]
  •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평가 도구개발 및 타당화 연구」
    옥현진 『국어교육』, 152, pp. 251-283 [2016]
  • 「디지털 글쓰기 소통 양상과 교육적 수용 연구」
    신선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 「디지털 격차와 디지털 리터러시」
    안정임 『한국언론정보학보』, 36, pp. 78-108 [2006]
  • 「독서교육연구에 있어서의 사회ㆍ문화적 접근」
    박영목 『독서연구』, 7, pp.1-18 [2002]
  • 「독서교육에서 비판의 성격과 지도 내용」
    김봉순 『독서연구』, 19, pp.167-199 [2008]
  • 「독서(讀書)와 매체환경(媒體環境)」
    박인기 『독서연구』, 1, pp. 123-147 [1996]
  • 「도서의 수준과 도서 선정의 제 문제 : 텍스트 난도와 텍스트 선정에 관한 독자요인 ?초,중,고등학교 독자들의 반응을 중심으로 한 시론」
    이순영 『독서연구, 26, pp. 61-96 [2011]
  • 「다중모드 문식성」
    옥현진 노명완, 박영목 외 편, 『문식성 교육 연구』, 서울: 한국문화사, pp. 224-253 [2008]
  • 「다중 텍스트 읽기 연구의 연구 동향 및 전망」
    김종윤 『국어교육학연구』, 49(3), pp. 138-163 [2014]
  • 「다중 텍스트 읽기 교육 연구」
    강미정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다문화교육의 목표와 내용 체계 연구」
    김상돈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눈동자 추적과 회상적 사고구술을 적용한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수록 설명문 제재 난도 측정」
    박영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5), pp. 417-442 [2015]
  • 「눈동자 움직임 분석을 통한 중학생, 고등학생 및 대학생의 읽기 특성 비교」
    박영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2), pp. 165-189 [2012]
  • 「논술 텍스트의 구조적 특성 연구」
    원진숙 『국어교육』, 87, pp. 95-116 [1995]
  • 「네트워킹 읽기의 교육 방향 탐색」
    김도남 『독서연구』, 26, pp. 383-412 [2011]
  • 「국어교육의 사회적 책무 ? 국어교육과 사회 변동의 상호성」
    박인기 『국어교육』, 160, pp.1-36 [2018]
  • 「국어교육에서 실제성과 가상성의 관계」
    이성영 『독서연구』, 28, pp.52-81 [2012]
  •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 모형 개발」
    옥현진 정혜승 『교육과정연구』, 30(2), pp. 155-178 [2012]
  • 「국어과 교육과정의 쟁점과 체계화 방안」
    박영민 『국어교육학연구』, 52(1), pp. 35-60 [2017]
  • 「국어과 교육 내용 범주 구분 양상과 개선의 시사점」
    김명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4), pp. 945-966 [2018]
  • 「국어 교사의 읽기수업 문식성 연구」
    김소현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교과 교육과 독서 지도의 방향 : 학교 독서 지도의 방향과 과제」
    한철우 『독서연구』, 14, pp. 9-33 [2005]
  • 「경험의 은유적 혼성을 통한 서사 창작 교육 연구」
    방은수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가짜뉴스와 팩트체크 효과 연구 : 수용자의 심리적 기제를 중심으로」
    염정윤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PISA 2009 디지털 읽기 소양 평가에 따른 읽기 교육 개선 방안」
    조지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53-12 연구자료 ORM [2011]
  •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PISA 2018 결과 보고서」
    조성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9-11 [2019]
  • 「21세기를 대비한 국어 교과서 개발 방향- 국어 전자 교과서 개발의 실제와 방향」
    서유경 『국어교육학연구』, 10, pp. 43-72 [2000]
  • 「21세기 독서와 독서 교육」
    이순영 『새국어생활』, 국립국어연구원, 22(4), pp.37-47 [2012]
  • 「21세기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 탐색 :미국의 "공통핵심기준"의 특성과 시사점 분석을 중심으로」
    이순영 『청람어문교육』, 43, pp. 7-35 [2011]
  •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개발 연구Ⅱ-국어과 교육과정」
    김창원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연구보고 CRC 2015-25-3 [2015]
  • 「2009 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의의와 과제」
    이경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6), pp. 69-99 [2014]
  • 「 초등 고학년 학생들의 디지털 문식 활동에 대한 가치 인식과 참여 양상의 관계」
    서수현 옥현진 『한국초등국어교육 』, 59, pp. 45-68 [2015]
  • 「 LESC 온라인 독해 과정 모형에 따른 청소년 독자의 읽기 특성 분석」
    최숙기 『독서연구』, 30, pp. 169-224 [2013]
  • “읽기 전략에 대한 독자의 상위인지 인식 양상에 관한 연구.”
    최숙기 『청람어문교육』, 41, pp. 313-349 [2010]
  • “복합 양식 텍스트에 대한 독자의 읽기 행동 분석에 기반한 디지털 시 대의 읽기 교육 방안 탐색.”
    최숙기 『독서연구』, 29, pp. 224-264 [2013]
  • “디지털 텍스트 읽기 능력과 디지털 텍스트 읽기 평가에 대한 일고 찰.”
    옥현진 『새국어교육』, 94, pp. 83-108 [2013]
  • “디지털 리터러시 인지적 영역의 평가 요소 개발.”
    김인숙 김종윤 김지연 서수현 옥현진 조병영 『청람어문교육』, 66, pp. 133-166 [2018]
  • ¡°Models in information behaviour research¡±
    pp . 249-270 [1999]
  • semiotics for beginners, 강인규 옮김(2006), 『미디어 기호학』
    Chandler, D. 소명출판 [1994]
  • scrolling ,Clicking , and reading English : Online reading strategies in a second/foreign language
    pp . 1-33 [2003]
  • Wrong turn on the information superhighway : Education and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Internet
    [2004]
  • Who said that ? Investigating the Plausibility-Induced Source Focusing assumption with Norwegian undergraduate readers
    46 , pp . 253-262 . [2016]
  • Where do we go now ? Understanding research on navigation in complex digital environmentsHandbook of research on new literacies pp
    [2008]
  • Weaving the literacy Web : Changes in reading from page to screen
    55 ( 7 ) , pp . 662-669 [2002]
  • Uncertainty in Information Seeking , Final Report to the British Library Research and Innovation Centre /Library and Information Commission on a Research Project carried out at the Department of Information Studies
    [1999]
  • Trust matters : Examining the role of source evaluation in students ' construction of meaning within and across multiple texts
    44 ( 1 ) , pp . 6-28 [2009]
  • Toward a theory of new literacies emerging from the internet and othe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 Theoretical models and processes of reading 5th
    [2004]
  • Toward a model of text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85 ( 5 ) , 363 [1978]
  • The web as an object of study
    6 ( 1 ) , pp . 114-122 . [2004]
  • The web and information literacy : Scaffolding the use of web sources in a project-based curriculum
    35 , pp . 173-186 [2004]
  • The skills of document use : From text comprehension to Web-based learning
    [2006]
  • The role of subject-matter knowledge and interest in the processing of linear and nonlinear texts
    64 ( 2 ) , pp . 201-252 [1994]
  • The role of epistemic beliefs in the comprehension of multiple expository texts : Towards an integrated model
    46 ( 1 ) , pp . 48-70 . [2011]
  • The price of information : Critical literacy , education , and today ’ s InternetHandbook of research on new literacies pp
    [2008]
  • The medium is the message .
    123 , pp . 126-128 [1967]
  • The media and the literacies : Media literacy
    33 ( 2 ) , pp . 211-221 . [2011]
  • The literacy dictionary : the vocabulary of reading and writing
    [1995]
  • The futures of learning 2 : What kind of learning for the 21st century ?
    19 , January , 2018 , from http : //unesdoc.unesco.org/images/0024/002429/242996E.pdf [2015]
  • The emergence of community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995]
  • The constructivist metaphor: Reading, writing, and themaking of meaning, 신헌재 외 옮김(2004). 『구성주의와 읽기?쓰기』
    Spivey, N. N. 서울: 박이정 [1997]
  • The assessment of reading comprehension : A review of practices ? Past , present , and future , In Paris , S. G. , Stahl , S. A . ( Eds . ) , Children ’ s reading comprehension and assessment pp
    [2005]
  • The Web as an Information Resource in K ? 12 Education : Strategies for Supporting Students in Searching and Processing Information
    75 ( 3 ) , pp . 285-328 . [2005]
  • The Shallows : What the Internet Is Doing to Our Brain, 최지향 옮김(2011),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인터넷이 우리의 뇌 구조를 바꾸고 있다』
    Carr, N. 청림출판 [2010]
  • The Digitally Literate Citizen , Fundamentals of Technology Communication
    [2012]
  • Text belief consistency effects in the comprehension of multiple texts with conflicting information
    31 ( 2 ) , pp . 151-175 [2013]
  • Techniques that reduce extraneous cognitive load and manage intrinsic cognitive load during multimedia learning
    [2010]
  • Teaching fourth and fifth graders to evaluate information sources during text comprehension
    31 ( 2 ) , pp . 204-226 . [2013]
  • Supporting understanding through task and browser design
    [2001]
  • Summary versus argument tasks when working with multiple documents : Which is better for whom ?
    35 ( 3 ) , pp . 157-173 . [2010]
  • Strategies for Internet reading with different reading purposes : A descriptive study of twelve good Internet readers
    40 , pp . 128-162 [2008]
  • Social media and fake news in the 2016 election
    31 ( 2 ) , pp . 211-36 . [2017]
  • Scholer, 김상욱 옮김(1995),『문학이론과 문학교육』
    하우 [1985]
  • SELF-MANAGEMENT OFCOGNITIVE LOAD . Advances inCognitive Load Theory
    157 [2019]
  • SEARCHing for an answer : TheCritical role of new literacies while reading on the Internet .
    59 , pp . 614-627 [2006]
  • Rethinking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 Promoting Digital Literacy
    pp . 997-1005 . [2003]
  • ResearchChallenges in the use of multiple documents
    19 ( 1 ) , pp . 62-68 . [2011]
  • Research on instruction and assessment in the new literacies of online readingComprehension ,Comprehension instruction , Research-based best practices , pp.321-346
    [2008]
  • Research and development of multiple sourceComprehension assessment , Reading : From words to multiple texts
    [2013]
  • Relevance: Communication and cognition. Oxford: Blackwell(Second edition 1995), 김태옥?이현호 옮김(1994), 『인지적 화용론-적합성 원리와 커뮤니케이션』
    D. Wilson Sperber, D. 한신문화사 [1986]
  • Relevance processes in multiple documentComprehension , In M. T. McCrudden , J. P. Magliano , G . Schraw ( Eds . ) , Text relevance and learning from text pp
    [2011]
  • Recall of previously unrecallable information following a shift in perspective
    17 ( 1 ) , pp . 1-12 . [1978]
  • ReadingComprehension on the Internet : Expanding our understanding of readingComprehension to encompass new literacies
    56 , pp . 458-464 [2003]
  • Reading visual and multimodal texts : how is 'reading Different ?
    [2004]
  • Reading strategies and practices: a compendium(6th), Boston : Allyn and Bacon, 노명완 외 옮김(2012), 『읽기 전략과 읽기 수업』
    Readence, J. E. Tierney, R. J. 서울: 한우리북스 [2005]
  • Reading on the Internet : The link between literacy and technology
    47 , pp . 80-85 [2003]
  • Reading multiple texts aboutClimateChange : The relationship between memory for sources and textComprehension
    20 ( 3 ) , pp . 192-204 [2010]
  • Reading for details in online and printed text : A prerequisite for deep reading
    42 , pp . 58-63 [2011]
  • Reading Strategies and HypertextComprehension
    Volume 40 , Issue 3 . [2005]
  • Readers ’ use of source information in textComprehension
    40 ( 4 ) , pp . 450-465 . [2012]
  • Read something once , why read it again ? : Repetitive reading and recall
    21 ( 4 ) , pp . 351-360 . [1989]
  • R. , Dressler W. Textlinguistik : eine einfuhrung, 김태옥? 이현호 옮김(1995). 『텍스트 언어학 입문』
    De Beaugrande 서울: 한신문화사 [1981]
  • Promoting argument-counterargument integration in students Writing
    76 ( 1 ) , pp . 59-92 . [2007]
  • Principles of instructional design
    [1974]
  • Predicting readingComprehension on the Internet :Contributions of offline reading skills , online reading skills , and prior knowledge
    43 ( 4 ) , pp . 352-392 [2011]
  • Postmodern virtualities , Body Society
    1 ( 3-4 ) , pp . 79-95 . [1995]
  • Performance in e ? learning : online participation and student grades
    36 ( 4 ) , pp . 657-663 [2005]
  • Pedagogy , connectivity , multimodality , and interdisciplinarity
    38 ( 3 ) , pp . 397-403 . [2003]
  • Paul Gilster Digital Literacy, 김정래 옮김(1999), 『디지털 리터러시:인터넷 정보 활용을 위한 마인드 혁명』
    서울: 해냄 [1997]
  •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 2008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 (2008). A Report and Mile Guide for 21st Century Skills, Retrieved September 10, 2008.
  • Origins and concepts of digital literacy
    30 , pp . 17-32 [2008]
  • Orality and literacy, 이기우 외 옮김,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Ong, W. J. 서울: 문예출판사 [1995]
  • New forms of deep learning on the Web : Meeting the challenge of cognitive load in conditions of unfettered explorationCognitive effects of multimedia learning pp
    [2009]
  • Network competence and information seeking on the Internet : From definitions towards a social cognitive model
    [2002]
  • Multiple visions of multimedia literacy : Emerging areas of synthesis . In McKenna , M. , Labbo , L. D. , Kieffer , R. D. , Reinking , D . ( Eds . ) , International handbook of literacy and technology pp
    [2006]
  • Multiple View , Contexts , and Symbol Systems in Learning with Hypertext/Hypermedia , A Critical Review of Research
    37 ( 2 ) , pp . 5-19 . [1997]
  • Multiple Analogies for Complex Concepts : Antidotes for Analogy-Induced Misconception in Advanced Knowledge Acquisition , In S. Vosniadou & A. Ortony ( Eds . ) , Similarity and analogical reasoning .
    [1988]
  • Multiliteracies ” : New literacies , new learning . Pedagogies
    4 ( 3 ) , pp . 164-195 . [2009]
  • Modes of openness and flexibility in cognitive flexibility hypertext learning environments
    [2007]
  • Metacognitive aspects of problem solving
    pp . 231-235 [1976]
  • Metacognition and cognitive monitoring : A new area of cognitive–developmental inquiry
    34 ( 10 ) , 906 . [1979]
  • Megan Watkins Genre, text, grammar: Technologies for teaching and assessing writing
    Peter Knapp UNSW Press, 주세형ㆍ김은성ㆍ남가영 옮김, 『장르, 텍스트, 문법: 쓰기 교육을 위한 문법』, 서울: 박이정 [2005]
  • Media literacy : A report of the national leadership conference on media literacy
    [1993]
  • Media education and the end of the critical consumer
    73 ( 3 ) , pp . 309-327 [2003]
  • Measuring strategic processing when students read multiple texts
    6 ( 2 ) , pp . 111-130 [2011]
  • Maureen McLaughlin, Glenn L. DeVoogd Crititical literacy: Enhancing students comprehension of text, 이경화 외 옮김(2018), 『한 학기 한 권 읽기를 위한 다양한 관점으로 세상읽기』
    미래엔 [2004]
  • Matthew Lipman Thinking in Education, 2nd ed, 박진환ㆍ김혜숙 옮김(2005), 『고차적 사고력 교육』
    고양: 인간사랑 [2003]
  • Maryanne Wolf, Reader-come home, 전병근 옮김(2019), 『순간접속의 시대에 책을 읽는다는 것 다시, 책으로』
    어크로스 [2018]
  • Managing , understanding , applying , and creating knowledge in the information age : Next-generation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31 ( 2 ) , pp . 255-269 . [2013]
  • Literacy in the new media age
    [2003]
  • Literacy for the 21st Century . Educational Technology Division , Ministry of Education , Singapore
    http : //iresearch . edumall . sg/iresearch/slot/fm3_posts/ah01/4c8407c08_u3112 . pdf [2006]
  • Literacy and technology : Deictic consequences for literacy education in an information age
    [2000]
  • Literacy Moves On』
    [2004]
  • Literacy , media and multimodality : A Critical response
    47 ( 2 ) , pp . 95-102 . [2013]
  • Literacies for the digital ageDigital literacies for learning pp
    [2006]
  • Leu, D. J., Castek, J., Hartman, D., Coiro, J., Henry, L., Kulikowich, J., Lyver, S. (2005). Evaluating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knowledge and new forms of reading comprehension during online learning, Final report presented to the North Central Regional Educational Laboratory/Learning Point Associates. Retrieved from http://www.newliteracies.uconn.edu/ncrel.html
  • Lenses on Reading, 박태호ㆍ이경화ㆍ이향근ㆍ안부영ㆍ최민영 옮김(2015),『읽기 교육 이론의 새로운 지평』
    Morrow, L. M. Tracey, D. H.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2012]
  • Knowledge acquisition for application : Cognitive flexibility and transfer in complex content domain
    [1987]
  • John Sweller at el.Cognitve Load Theory, 이현정 외 옮김(2013), 『Sweller의 인지부하이론』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2013]
  • Janasse , Susan M. Land Theoretical Foundations of Learning Environments, 김현진? 정종원? 홍선주 옮김(2012),『학습자 중심 학습의 연구? 실천을 위한 이론적 토대』
    David H. 경기: 교육과학사 [2000]
  • J. L. G. , Wiley , J. , Graesser , A. C. , & Brodowinska , K.Comprehending and learning from internet sources : Processing patterns of better and poorer learners
    47 ( 4 ) , pp . 356-381 [2012]
  • Irwin,Teaching reading comprehension process, 천경록 이경화 서역 역(2016), 『독서 교육론 :독해 과정의 이해와 지도』
    Judith W. 서울: 박이정 [2012]
  • Interactive Multimodal Learning Environments
    19 ( 3 ) , pp . 309-326 . [2007]
  • Integrating Scenario-Based and Component Reading Skill Measures to Understand the Reading Behavior of Struggling Readers
    29 ( 1 ) , pp . 36-43 . [2014]
  • Information and digital literacies ; a review of concepts
    57 ( 2 ) , pp . 218-259 . [2001]
  • In C. Jewitt & G. Kress ( Eds. )
    pp . 1-18 [2003]
  • Improving Comprehension Instruction : Rethinking Research , Theory , and Classroom Practice , Education Review/Resenas Educativas/Resenhas Educativas
    [2003]
  • Identifying and describing constructively responsive comprehension strategies in new and traditional forms of readingHandbook of reading comprehension research
    pp . 69-90 [2008]
  • Hypermedia and learning : Freedom and chaos
    28 ( 11 ) , pp . 8-12 . [1988]
  • Human Memory : A Proposed System and Its Control Process , The Psychology of Learning and Motivation
    Vol 2. ed [1968]
  • Heim
    MichaelThe Metaphysics of Virtual Reality(New York:Oxford University Press), 여명숙 옮김(1997), 『가상현실의 철학적 의미』, 서울:책세상 [1993]
  • From print to pixels : The evolution of cognitive conceptions of reading comprehension
    [2010]
  • Fostering multiple text comprehension : How metacognitive strategies and motivation moderate the text-belief consistency effect
    9 ( 1 ) , pp . 51-74 . [2014]
  • Failures to detect contradictions in a text : What readers believe versus what they read
    3 ( 4 ) , pp . 229-235 [1992]
  • Exploring the online reading comprehension strate giesused by sixth-grades killed readers to search for and locate information on the Internet
    42 , pp . 214-257 [2007]
  • Exploring models of information behaviour : the ‘ uncertainty ’ project
    35 ( 6 ) , pp . 839-849 . [1999]
  • Expanding the new literacies conversation
    38 , pp . 264-269 . [2009]
  • Evaluating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knowledge and new forms of readingComprehension during online learning , Final report presented to the NorthCentral Regional Educational Laboratory/Learning Point Associates
    from http : //www.newliteracies.uconn.edu/ncrel.html [2005]
  • Eum, C.A phenomenological study of never married women over 40 (Order No. 3195881). Available from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Global. (305391058).
  • Element interactivity and intrinsic , extraneous , and germane cognitive load
    22 ( 2 ) , pp . 123-138 . [2010]
  • Effects of a Visible Author in Statistical Texts ,
    87 ( 1 ) , pp . 47-65 . [1995]
  • Documents as entities , Reading ? From words to multiple texts
    pp . 160-179 [2013]
  • Discourse across disciplines : discourse analysis in researching social change
    12 ( 1 ) , pp . 3-17 . [1997]
  • Digital readers : The next chapter in E-book reading and response
    64 , pp.15-22 [2010]
  • Digital literacy and its application in technology-based instruction
    [2001]
  • Digital literacy and informal learning environments : an introduction
    38 ( 4 ) , pp . 355-367 . [2013]
  • Digital literacy across the curriculum
    9 ( 10 ) [2011]
  • Digital literacy : A conceptual framework for survival skills in the digital era
    13 ( 1 ) , pp . 93-106 [2004]
  • Digital and Media Literacy : A Plan of Action . A White Paper on the Digital and Media Literacy Recommendations of the Knight Commission on the Information Needs of Communities in a Democracy . Aspen Institute . 1 Dupont Circle NW Suite 700
    [2010]
  • Developing expertise in reading comprehension . In Samuels , S. J. , Farstrup , A. E . ( Eds . ) , What research has to say about reading instruction , 2nd ed.
    pp . 145-199 [1992]
  • Defining digital literacy-What do young people need to know about digital media ?
    10 ( Jubileumsnummer ) , pp . 21-35 [2015]
  • Defining digital literacy , In Medienbildung in neuen Kulturraumen pp
    [2010]
  • Deeper into the machine : The future of electronic literature ,
    5 . Retrieved 6 [2005]
  • Dealing with multiple documents on the WWW : The role of metacognition in the formation of documents models ,
    2 ( 2-3 ) , pp . 191-210 . [2007]
  • Cybertext : Perspectives on Ergodic Literature
    [1997]
  • Critical thinking in the management classroom : Bloom 's taxonomy as a learning tool
    27 ( 5 ) , pp . 533-555 [2003]
  • Critical literacy as comprehension : Expanding reader response
    48 , pp . 52-62 [2003]
  • Critical literacy and Digital texts
    46 ( 1 ) , pp.51-70 [1996]
  • Critical Discourse Analysis : The Critical Study of language
    [2013]
  • Cooperative learning and achievement : Theory and research
    pp . 177-198 [2003]
  • Connecting multiliteracies and engagement of students from low socio-economic backgrounds : using Bernstein 's pedagogic discourse as a bridge
    25 ( 3 ) , pp . 203-220 . [2011]
  • Comprehension: A paradigm for cognition, 김지홍?문선모 역(2010b). 『이해:인지 패러다임 2」
    Kintsch, W. 서울: 나남출판사 [1998]
  • Comprehension: A paradigm for cognition, 김지홍?문선모 역(2010a). 『이해:인지 패러다임 1」
    Kintsch, W. 서울: 나남출판사 [1998]
  • Comprehension skill and word ? to ? text integration processes
    22 ( 3 ) , pp . 303-318 . [2008]
  • Common Core State Standards Initiative. (2010a).
  • Cognitive load theory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 design principles and strategies
    44 ( 1 ) , pp . 85-93 [2010]
  • Cognitive load theory and the format of instruction
    8 ( 4 ) , pp . 293 ? 332 [1991]
  • Cognitive load theory . In Psychology of learning and motivation
    Vol . 55 , pp . 37-76 [2011]
  • Cognitive load theory , learning difficulty , and instructional design
    4 ( 4 ) , pp . 295-312 [1994]
  • Cognitive flexibility and hypertext : Theory and technology for the nonlinear and multidimensional trafersal of complex subject matter , In D. Nix & R. spiro ( Eds . ) , Cognition , education , and multimedia : Exploring ideas in high technology
    pp . 163-205 [1990]
  • Cognitive flexibility , constructivism , and hypertext : Random access instruction for advanced knowledge acquisition in ill-structured domains
    pp . 57-76 [1992]
  • Cognitive architecture and instructional design
    10 ( 3 ) , pp . 251-296 . [1998]
  • Cognitive Flexibility Theory : Hypermedia for Complex Learning , Adaptive Knowledge Application , and Experience Acceleration
    43 ( 5 ) , pp . 5-10 . [2003]
  • Children ’ s hypertext navigation strategies
    34 ( 3 ) , pp . 274-284 . [2002]
  • Children 's reading strategies , metacognition , and motivation
    6 ( 1 ) , pp . 25-56 . [1986]
  • Casey Man Kong Lum Perspectives on culture,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이동후 옮김(2008), 『미디어 생태학 사상:문화,기술,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한나래 [2005]
  • Building and activating students ’ background knowledge : It 's what they already know that counts : Teachers must assess and build on the background knowledge students possess
    43 ( 3 ) , pp . 22-31 [2012]
  • Bransford at el( How people learn, 신종호 외 옮김(2007), 『학습과학: 뇌, 마음, 경험 그리고 교육』
    John D. 서울: 학지사 [1999]
  • Blurring borders , visualizing connections : Aligning information and visual literacy learning outcomes
    38 ( 4 ) , pp . 523-535 [2010]
  • Bloom ’ s taxonomy blooms digitally
    1 , 1-6 [2008]
  • Australian and New Zealand Information Literacy Framework , Principles , standards and practice
    [2004]
  • Assessing students ' metacognitive awareness of reading strategies
    USA [2002]
  • Approaches to differentiated guidance in reading
    2 ( 4 ) , pp . 7-11 . [1950]
  • An experimental analysis of decision channeling by restrictive information display ,
    15 ( 5 ) , pp . 419-432 . [2002]
  • An Introduction to Cognitive Linguistics, 2nd ed, 임지룡? 김동환 옮김(2010),『인지언어학 개론』(개정판)
    Friedrich, U. Schmid, H. J. 경기: 태학사 [2006]
  • Adolescents ' constructively responsive reading strategy use in a critical Internet reading task
    [2011]
  • Accessing the discourse representation during reading
    26 ( 2-3 ) , pp . 131-157 [1998]
  • Aarseth Cyber text, 류현주 옮김(2007), 『사이퍼텍스트』
    Espen J. 서울:글누림 [1997]
  • A revision of Bloom 's taxonomy : An overview
    41 ( 4 ) , pp . 212-218 [2002]
  •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1
    28 ( 4 ) , pp.563-575 [1975]
  • A comparison of seeking-finding behaviours across the contexts of environmental space
    paper documents , and on-screen [2019]
  • A Taxonomy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ment, 강현석 외 옮김(2005)
    Anderson, David R. Krathwohl Lorin W. 『교육과정 수업 평가를 위한 새로운 분류학: Bloom 교육목표분류학의 개정』경기: 아카데미프레스 [2001]
  • A Pedagogy of Multiliteracies : Desigining Social Futures
    66 , pp . 60-92 . [1996]
  • ? 최태진, 『교육연구방법론』
    김석우 서울: 학지사 [2007]
  • ? 서윤경 ? 김성미, 「청소년의 디지털 시민성에 관한 연구: 미디어 리터러시와 교육경험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안정임 『시민교육연구』, 45(2), pp. 161-191 [2013]
  • .『Reading Across Multiple Texts in theCommonCoreClassroom
    [2014]
  • .『Multiliteracies』
    [2000]
  • .『La definicion y seleccion deCompetenciasClave』
    [2015]
  • .『Handbook of research in new literacies』
    [2008]
  •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the English Language Arts :Co-Sponsored by th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and the NationalCouncil of Teachers of English』
    [2011]
  • .『Academic reading online : Digital reading strategies of graduate-level English language learners』
    [2015]
  • .『A taxonomy for learning , teaching , and assessing : A revision of Bloom '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2009]
  • .The Improvisational in Teaching Reading
    5 ( 9 ) . [2002]
  • .Patterns of effective strategy use among adolescent online readers . In Leu , D. J. , Reinking , D. (Chairs ) , Studying the new literacies of online readingComprehension among adolescents at risk to become dropouts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