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인물의 정념 이해와 서사 감상 교육 연구 =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Character’s Passion and the Education of Narrative Appreciation

강서희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인물의 정념 이해와 서사 감상 교육 연구 =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Character’s Passion and the Education of Narrative Appreciation'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감정
  • 공감
  • 마음
  • 서사
  • 서사 감상 교육
  • 서사교육
  • 인물의 마음
  • 정념
  • 정서
  • 주요어 : 문학교육
  • 추론
  • 플롯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023 0

0.0%

' 인물의 정념 이해와 서사 감상 교육 연구 =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Character’s Passion and the Education of Narrative Appreciation' 의 참고문헌

  • 정념과 그 대상: 정신분석 개념을 중심으로
    김석 『기호학 연구』, 28.pp. 51-76 [2010]
  • 장미, 『심층적 갈등 중심의 플롯 이해 교육 연구 : <사씨남정기>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학 사전』
    서울 : 대교출판 [1999]
  • 서양근대철학회, 『서양근대철학의 열가지 쟁점』
    파주 : 창비 [2006]
  • 문학교육원론
    김대행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2019]
  •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최종 검색일 :http://ncic
    go.kr/ [2019]
  • 『현상학과 질적 연구』
    이남인 서울 : 한길사 [2014]
  • 『현대 아동소설의 열린 결말 연구』
    심선연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 『현대 기호학』
    김성도 서울 : 서울 : 민음사 [1998]
  • 『허구서사의 추론적 읽기 교육 연구』
    장동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한국아동문학의 쟁점』
    원종찬 파주 : 창비 [2010]
  • 『한국 근대 소설의 신체성 중심의 읽기에 대한 연구』
    문영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 『특이성의 문학과 제3의 시간』
    나병철 파주 : 문예출판사 [2018]
  • 『토지의 정념 연구』
    박창범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타인의 얼굴 : 레비나스의 철학』
    강영안 서울 : 서울 : 문학과지성사 [2005]
  • 『친밀한 권력과 낯선 타자 : 친밀사회에서의 문학과 정치』
    나병철 서울 : 소명출판 [2019]
  • 『초등국어교육학 개론: 2015 개정 국어교육과정과 새 교과서 반영』
    신헌재 서울 : 박이정 [2017]
  • 『책 밖의 어른 책 속의 아이』
    최윤정 서울 : 문학과지성사 [1997]
  • 『정념 기호학-문학 텍스트에 나타난 희로애락』
    홍정표 서울 :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지식출판원(HUINE) [2014]
  • 『작중 인물의 의미화를 통한 소설교육 연구』
    최인자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 『읽기 교육의 원리와 방법』
    이경화 서울 : 박이정 [2014]
  • 『인물 형상화 양상을 통한 소설교육 연구 : 채만식 풍자소설을 중심으로』
    임경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 『인문?사회과학의 새로운 연구방법론』
    강현석 서울 : 한국문화사 [2016]
  • 『이야기 문학교육론』
    한명숙 서울 : 박이정 [2007]
  • 『윤리적 가치 중심의 소설 읽기 연구』
    정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우화소설의 인물 교육 연구 : 인물 형상화 방식을 중심으로』
    이은주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욕망 이론』
    권택영 편역 파주 : 문예출판사 [1994]
  • 『영화와 소설 속의 욕망이론』
    권택영 서울 : 민음사 [1995]
  • 『엄마의 마흔 번째 생일』
    최나미 파주 : 사계절 [2012]
  • 『어린이문학 만세』
    김서정 서울 : 푸른책들 [2003]
  • 『어린이, 세 번째 사람』
    김지은 파주 : 창비 [2017]
  • 『어느 날 구두에게 생긴 일』
    황선미 서울 : 비룡소 [2014]
  • 『아동소설이 재미있는 이유』
    김서정 서울 : 서울 : 문학과지성사 [2006]
  • 『아동소설과 윤리』
    유영진 파주 : 민음사 [2015]
  • 『아동소설과 어린이』
    원종찬 파주 : 창비 [2004]
  • 『아동문학과 비평정신』
    원종찬 파주 : 창비 [2000]
  • 『실용과 실천의 문학교육』
    우한용 서울 : 새문사 [2009]
  • 『신화적 조화성에 기반한 아동소설 감상 교육 연구』
    김상한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시적 감성의 교육내용 설계 연구』
    이향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시 해석경험의 교육내용 연구』
    유진현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시 읽기 교육에서 정서 체험의 구조와 작용 연구』
    민재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슬픔을 공부하는 슬픔』
    신형철 서울 : 한겨레출판 [2018]
  • 『소설의 해석과 교육』
    최시한 서울 : 문학과지성사 [2010]
  • 『소설감상방법론 연구』
    김중신 서울 :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 [1996]
  • 『소나기밥 공주』
    이은정 파주 : 창비 [2009]
  • 『서사수용에서 공감의 조정 교육 연구』
    우신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서사 텍스트의 심미적 체험의 구조와 유형에 관한 연구』
    김중신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 『보다, 읽다, 사귀다』
    박숙경 파주 : 창비 [2013]
  • 『박태원 소설에 나타난 근대주체의 '정념성' 연구』
    김정란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문학체험연구』
    진선희 서울 : 박이정 [2006]
  • 『문학비평 용어사전』
    이상섭 서울 : 민음사 [2018]
  • 『문학교육에서의 태도 교육내용 연구: 초등에서의 서사 텍스트를 중심으로』
    하근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문학교육에서의 공감에 관한 연구』
    박치범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문학교육에서 욕망의 이해에 관한 연구 : 욕망의 중개를 중심으로』
    유홍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 『문학교육심리학 : 이해와 체험에 관한 문학교육적 설명』
    최지현 서울 : 역락 [2014]
  • 『문학교육론』
    구인환 서울 : 삼지원 [2016]
  • 『문학교육과정론』
    우한용 서울 : 삼지원 [1997]
  • 『문학 수용에서의 공감 교육 연구』
    김효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몸의 상상력과 아동소설』
    유영진 파주 : 민음사 [2008]
  • 『몰락의 에티카』
    신형철 파주 : 민음사 [2008]
  • 『멋진 판타지』
    김서정 서울 : 굴렁쇠 [2002]
  • 『마당을 나온 암탉』
    황선미 파주 : 사계절 [2003]
  • 『독자가 구성하는 이야기 구조 교육에 관한 연구』
    한명숙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3]
  • 『독자 반응 비평』
    차봉희 서울 : 고려원 [1992]
  • 『도덕교육의 이해』
    추병완 서울 : 백의 [2004]
  • 『글쓰기 교육의 원리와 방법』
    이재승 파주 : 교육과학사 [2003]
  • 『근대, 삶 그리고 서사교육』
    우한용 서울 : 한국문화사 [2013]
  • 『국어교육학 개론』
    최현섭 서울 : 三知院 [2005]
  • 『교육과정탐구』
    이홍우 서울 : 박영사 [2010]
  • 『경험의 플롯 구성을 통한 서사 창작 교육 연구』
    김태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거짓말하는 어른』
    김지은 파주 : 민음사 [2016]
  • 『강의실에서 읽은 아동소설』
    권혁준 파주 : 민음사 [2018]
  • 『감성정치와 사랑의 미학』
    나병철 서울 : 소명출판 [2017]
  • 『가치 수용적 심미 체험을 위한 문학교육 연구』
    서민정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가상놀이를 통한 허구서사 창작 교육 연구』
    천효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高麗詩歌의 情緖』
    김대행 서울 : 開文社 [1986]
  • 「현실을 반영하는 인물시점과 감정이입 미학의 소설교육 - 윤흥길의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연작을 중심으로 - 」
    정은주 『교원교육』, 34(4), pp. 81-106 [2018]
  • 「허구적 서사물의 플롯 이해에 기반한 서사 추론 교육」
    최인자 『국어교육』 22. pp. 439-465 [2007]
  • 「해석학적 순환에 대하여」
    이기언 『불어불문학연구』, 74, pp. 273-318 [2008]
  • 「플롯 구성을 통한 인물 이해 교육의 가능성 탐색」
    방은수 『문학교육학』 64, pp.83-111 [2019]
  • 「통속심리학적 타자 이해 원리에 대한 3가지 해석 : 이론 이론, 시뮬레이션 이론, 구현 이론의 재구성」
    이기흥 『철학』, 80, pp. 315-340 [2004]
  • 「통속심리학 이론들과 과학철학의 만남」
    박승배 『철학논총』 38, pp. 229?243 [2004]
  • 「텍스트 타자와 독자 자아 ? 레비나스의 타자 철학을 중심으로 -」
    김도남 『새국어교육』 114. pp. 95-120 [2018]
  • 「테오듈 리보의 정념 이론」
    박인철 ?『기호학연구』. 28. pp. 77-106 [2010]
  • 「타자 지향의 서사 윤리와 소설교육」
    최인자 『독서연구』, 22, pp. 279-310 [2009]
  • 「타자 마음의 문제에 대한 이인칭적 접근과 철학상담」
    김효은 『철학탐구』 42. pp. 169-204 [2016]
  • 「크로노토프를 활용한 타자 인식과 소설교육」
    선주원 『국어교육』, 116, pp.463-490 [2005]
  • 「초코칩 쿠키, 안녕」
    이숙현 『초코칩 쿠키, 안녕』, 파주 : 창비 [2010]
  • 「초등학교 문학 영역 성취기준에 대한 비판적 고찰」
    곽춘옥 『청람어문교육』, 49, pp. 377-411 [2014]
  •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학습용어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이창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4), pp. 553-573 [2015]
  • 「초등 문학교육에서 서사교육의 방향」
    신헌재 『한국초등교육』, 24(3), pp. 251-265 [2013]
  • 「초등 문학교육내용의 실제와 논리의 방향 모색」
    선주원 『새국어교육, 98, pp.609-637 [2014]
  • 「창작동화에 나타난 모성성의 의미 탐색 -『마당을 나온 암탉』을 중심으로-」
    김상한 『한국아동문학연구』. 18. pp. 157-174 [2010]
  • 「정의적 영역 성취기준을 반영한 문학 교과서학습 활동 연구 - 2015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자아 성찰과 타자 이해’를 중심으로 -」
    김두열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23(3). pp. 261-288 [2019]
  • 「정서 함양 읽기 교육 방향」
    김도남 『국어교육』, 120, pp. 287-324 [2006]
  • 「정서 조정을 위한 극적 체험 교육 연구 -서사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방은수 『새국어교육』, 117, pp. 55-81 [2018]
  • 「정념의 관점에서 본 김유정 소설의 미학 -「봄봄」, 「노다지」, 「소낙비」, 「가을」을 중심으로-」
    장수경 『한민족문화연구』, 55, pp. 237-270 [2016]
  • 「작중인물의 욕망 이해에 초점을 둔 소설교육내용 연구」
    선주원 『문학교육학』, 38, pp. 303-330 [2012]
  • 「작중 인물 이해를 통한 소설교육 연구 -언어적 이미지와 상징성을 중심으로-」
    선주원 『새국어교육』, 67, pp. 69-90 [2004]
  • 「읽기에 대한 대화적 접근의 모색 : Bakhtin의 ‘정동 의지적 어조’를 중심으로」
    이재기 『독서연구』, 49. pp. 81-124 [2018]
  • 「인지와 감성이 융합된 문학 독서 학습 모형 개발 연구」
    엄해영 조재윤 『새국어교육』, 93, pp. 149-180 [2012]
  • 「인공지능시대 문학 독서 교육의 쟁점 : ‘자각'으로서 문학 독서 교육의 방향을 중심으로」
    진선희 『독서연구』 51, pp. 9-40 [2019]
  • 「인간 이해를 위한 소설교육의 방향 -일인칭 주인공 시점 소설을 중심으로-」
    김혜영 『문학교육학』, 36, pp. 187-218 [2011]
  • 「이청준 「벌레 이야기」에 나타난 분노의 정념과 서사적 상상력」
    오은엽 『국제어문』, 78, pp. 269-293 [2018]
  • 「아동문학과 인성교육의 방향」
    진선희 『청람어문교육』, 55, pp. 89-117 [2015]
  • 「소설 읽기지도 방법의 모색-인물을 중심으로」
    최시한 『문학교육학』, 16, pp. 29-56 [2005]
  • 「소설 읽기의 윤리와 소설교육의 실천 방향 : 김현의 소설 읽기를 중심으로」
    정진석 『국어교육연구』, 55, pp. 443-478 [2014]
  • 「소설 읽기 교육의 "전유" 방법 연구 -『문학』 교과서 "활동" 을 중심으로-」
    정래필 『새국어교육』, 103, pp. 113-136 [2015]
  • 「소설 교육의 개념적 지식 제시 양상」
    홍인영 『우리말 글』 76. pp [2018]
  • 「설화 텍스트에서 행동과 정념의 상관관계 -프랑수와 모리악의 『테레즈 데스케루』를 중심으로-」
    박인철 『기호학 연구』, 42, pp. 139-180 [2015]
  • 「설화 텍스트에서 정념의 역할과 정념의 구조」
    박인철 『인문과학』, 90, pp.125-151 [2009]
  • 「서사의 작중인물과 "마음의 이론(Theory of Mind)" -인지과학의 관점에서 본 인물 이론-」
    노대원 『현대문학이론연구』, 61, pp. 95-117 [2015]
  • 「사회정서학습의 문학교육적 함의 고찰」
    이향근 『새국어교육』, 104, pp. 513-540 [2015]
  • 「사회 정서 학습을 위한 내러티브 기반 교과 융합 인성교육」
    최인자 『국어교육연구』, 36, pp. 337-360 [2015]
  • 「분노의 문학과 정념기호학 -김사과의 『미나』를 중심으로」
    김미현 『기호학 연구』, 44, pp. 61-90 [2015]
  • 「미적 정서의 특성과 문학교육적 함의」
    염창권 『한국초등국어교육 36, pp.301-333 [2008]
  • 「문학능력 신장을 위한 문학 지식 교육 방향 연구」
    유진현 『문학교육학』 45. pp. 303-336 [2014]
  • 「문학교육의 정서 탐구」
    한명숙 『청람어문교육』, 24, pp. 231-267 [2002]
  • 「문학교육의 목표이자 내용으로서 문학능력의 개념, 교육 방향」
    우한용 『문학교육학』, 28,pp. 9-40 [2009]
  • 「문학교육에서의 국민 형성을 위한 정전과 감정의 역학 -중 고등학교 국어교과서 현대소설 제재를 중심으로-」
    김근호 『국어교육』, 156, pp. 93-124 [2017]
  • 「문학교육에서 정전 (正典)과 학습자의 정서체험이 갖는 위계적 구조에 관한 연구」
    최지현 『문학교육학』, 5, pp. 53-99 [2000]
  • 「문학교육과 허구적 인식능력 -이문열의 〈황제를 위하여〉를 대상으로-」
    우한용 『국어교육연구』, 14. pp. 7-66 [2004]
  • 「문학교육과 문학에 대한 관점의 전환」
    우한용 『국어교육연구』, 40, pp. 137-160 [2007]
  • 「문학교육과 도덕적 상상력」
    정재찬 『문학교육학』, 14. pp. 41-78 [2004]
  • 「문학감상교육의 교수학습모형 탐구」
    최지현 『선청어문』, 26. pp. 309-357 [1998]
  • 「문학 평가 제재에서의 줄거리 활용 방안 연구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현대소설 제재를 중심으로-
    마운용 『문학교육학』, 52, pp. 113-142 [2016]
  • 「문학 텍스트의 종합적 감상을 위한 교육 TV 프로그램 설계 방략」
    박인기 『국어교육』, 65, pp. 21-48 [1989]
  • 「문학 교육에서의 `반응 중심 학습`에 대한 이론적 재고」
    정정순 『문학교육학』, 53, pp. 253-279 [2016]
  • 「문학 교과서의 교수학적 지식 개발 연구: ‘사건’, ‘인물’, ‘배경’의 정의를 중심으로」
    김태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5), pp.443-458 [2015]
  • 「문학 교과서가 학습자의 정서를 다루는 방식에 관한 비판적 고찰 -2009개정 국어와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박치범 『문학교육학』, 51, pp. 109-154 [2016]
  • 「데카르트의 정념론과 그 이후」
    김상환 『기호학 연구』, 28, pp. 9-50 [2010]
  • 「대화 중심의 현대시 교수?학습 방법」
    최미숙 『국어교육학연구』, 26, pp. 227-252 [2006]
  • 「노동소설과 정념, 그리고 민주주의 -김한수, 방현석, 정화진의 소설을 중심으로」
    조현일 『민족문학사연구』, 54, pp. 81-109 [2014]
  • 「내 이름은 백석」
    유은실 『만국기 소년』, 파주 : 창비 [2007]
  • 「김유정 소설의 정동 연구 - 연애, 결혼 모티프를 중심으로 -」
    김윤정 『현대문학이론연구』, 71, pp. 101-126 [2017]
  •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정념의 기호학적 연구 - <金따는 콩밧>, <금>, <노다지>를 중심으로 -」
    오은엽 『한중인문학연구』, 47, pp. 135-161 [2015]
  • 「김동인의 단편 소설 <배따라기>에 나타난 정념의 기호학적 분석」
    홍정표 『기호학연구』 20(1), pp. 285-344 [2006]
  • 「근대문학 형성 과정에 나타난 열정이라는 감정의 역할」
    소래섭 『현대문학연구』 37, pp. 5-32 [2012]
  • 「그레마스 기호학에서 ‘정념 도식’의 적용과 한계 - 이효석의 『화분』을 중심으로 -」
    홍정표 『기호학연구 24』,pp. 457-486 [2008]
  • 「국어과 교육과정과 초등 문학교육에서의 ‘맥락’」
    염은열 『한국초등국어교육』 47. pp. 149-172 [2011]
  •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 성취 기준"의 진술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서영진 『국어교육학연구』, 46. pp. 415-450 [2013]
  • 「국어과 교수 학습 모형의 특징과 적용 방안」
    이재승 『한국초등교육』, 28(1), pp. 265-276 [2017]
  • 「구어체 소설의 문학교육적 가치」
    박기범 『문학교육학』, 51, pp. 209-234 [2016]
  • 「공감의 구성요소와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 연구」
    박성희 『敎育學硏究』 35(5). pp.143-166 [1996]
  • 「고학년 아동을 독자로 하는 서사물은 ‘아동소설’이다」
    권혁준 『창비어린이』, 8(3). pp. 27-33 [2010]
  • 「고전시가 학습자의 정서 체험 야상 연구 -정서 비평을 활용하여-」
    조희정 『문학교육학』, 42, pp. 397-434 [2013]
  • 「고전소설의 인물 비평 교육 연구 서설 ? 인물 비평의 개념, 위상, 방법-」
    이상일 국어교육학연구 44. pp. 425-452 [2012]
  •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정서 이해 학습활동 연구 ?고려속요를 중심으로-」
    류수열 『고전문학과 교육』, 24, pp. 39-66 [2012]
  • 「감정의 윤리학을 위한 서설 1 - 주제와 대상에 대한 개요 및 단상들」
    신형철 『문학동네』, 22(1), pp. 1-15 [2015]
  • 「감정 형상화를 통한 감성 소통의 방법에 관한 연구」
    김순규 『한국아동문학연구』 19. pp. 187-219 [2010]
  • 「감성의 홀로주체성」
    김상봉 『기호학 연구』, 14, pp. 9-52 [2003]
  • 「감성문화콘텐츠의 정념기호학적 고찰」
    김강석 백승국 이혜지 『기호학 연구』, 35, pp. 121-146 [2013]
  • 「감성 신장을 위한 아동소설 지도 방법 연구」
    최경희 『한국초등국어교육』, 23. pp. 291-326 [2003]
  • 「감성 소통을 위한 문학교육의 방향」
    신헌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8(2) pp. 251-273 [2008]
  • 「가추법의 교육적 적용을 위한 탐색」
    김정섭 『한국교육』, 30(1), 177-200 [2003]
  • 「“꼼꼼하게 읽기(close reading)”의 재조명: 독서 이론과 교수학습 측면의 의미를 중심으로」
    이순영 『독서연구』, 37, pp. 39-65 [2015]
  • 「<사씨남정기>의 정서 읽기 교육 연구」
    서유경 『고전문학과 교육』, 20, pp.67-99 [2010]
  • 「<구운몽>의 정서 형성 방식에 대한 교육적 고찰」
    황혜진 『고전문학과 교육』, 20, pp. 101-133 [2010]
  • 「1970년대 타자의 윤리학과 ’공감‘의 서사」
    박숙자 『대중서사연구』 25.pp. 181-203 [2011]
  • Writing and reading : The transactional theory
    no . 416 [1988]
  • Why we read fiction : Theory of mind and the novel
    [2006]
  • Upheavals of thought: The intelligence of emotions
    Nussbaum, M. C. Cambridge University Press.; 조형준 역(2015), ??감정의 격동 2: 연민?? 서울 : 새물결 [2003]
  • Understanding motivation and emotion. John Wiley & Sons. 정봉교 외 역(2003) 『동기와 정서의 이해』
    Reeve, J. 서울 : 박학사 [2001]
  • Toward a definition of narrative . Herman , D. , & Herman , R. D . ( Eds. ) . The Cambridge companion to narrative
    [2007]
  • These Things Called Empathy : Eight Related but Distinct Phenomena in Decety , J. E. , & Ickes , W. E. ed .. The social neuroscience of empathy
    [2009]
  • Theory of mind: How children understand others' thoughts and feelings
    Doherty, M. Psychology Press.; 이현진 역(2013), 『마음이론』, 파주 : 학지사 [2009]
  • The return of the reader: Reader-response criticism. New York: Methuen.; 신명아 역(2005), 『독자로 돌아가기』
    Freund, E. 고양 : 인간사랑 [1987]
  • The phenomenological mind. Routledge.; 박인성 역(2013), 『현상학적 마음 : 심리철학과 인지과학 입문』
    Gallagher, S. Zahavi, D. 서울 : 도서출판 b [2008]
  • The nature of narrative: Revised and expanded. OUP USA.; 임병권 역(2007), 『서사문학의 본질』
  • The mind and its stories : Narrative universals and human emotion
    [2003]
  • The literary in theory
    Culler, J. Stanford University Press.; 조규형 역(2016), 『문학이론』, 파주 : 교유서가 [2007]
  • The empathic brain: How the discovery of mirror neurons changes our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Keysers, C. Social Brain Press.; 고은미 김잔디 역(2018), 『인간은 어떻게 서로를 공감하는가 : 거울뉴런과 뇌 공감력의 메커니즘』, 서울 : 바다출판사 [2011]
  • The culture of education, 강현석.이자현 역(2014),『교육의 문화』
    Bruner, J. 파주 : 교육과학사 [1996]
  • The construction of fictional minds
    10 ( 1 ) , 30 . [2002]
  • The concept of mind. Routledge.; 이한우 역(1994), 『마음의 개념』
    Ryle, G. 파주 : 문예출판사 [1949]
  • The body in the mind: The bodily basis of meaning, imagination, and reason
    Johnson, M. University of Chicago Press.; 노양진 역(2000), 『마음 속의 몸 ?의미 ? 상상력 ? 이성의 신체적 근거-』, 서울 : 철학과 현실사 [1987]
  • The Columbia Dictionary of Cultural Criticism
    Childers, J. Hentzi, G.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황종연 역(2014), 『현대 문학, 문화 비평 용어사전』, 파주 : 민음사 [1995]
  • The Cambridge Introduction to Narrati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우찬제 외 역(2010), 『서사학 강의』
    Abbott, H. P. 서울 : 문학과지성사 [2002]
  • The Aesthetic Transaction
    20 ( 4 ) , 122-128 . [1986]
  • Temps et re'cit Ⅰ, 김한식이경래 역(1999),『시간과 이야기1』
    Ricoeur, P. 서울 : 문학과지성사 [1983]
  • Story and discourse: Narrative structure in fiction and film
    Chatman, S. B. Cornell University Press.; 한용환 역(2003), 『이야기와 담론』, 서울 : 푸른사상 [1980]
  • Spinoza's' Ethics': An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이혁주 역(2016), 『에티카를 읽는다』
    Nadler, S. 서울 : 그린비 [2006]
  • Soi-meme comme un autre. Le Seuil.; 김웅권(2006), 『타자로서 자기 자신』
    Ricoeur, P. 서울 : 동문선 [2015]
  • Social: Why our brains are wired to connect. OUP Oxford.; 최호영(2015), 『사회적 뇌 : 인류 성공의 비밀』
    Lieberman, M. D. 서울 : 시공사 [2013]
  • Social minds in fiction andCriticism
    45 ( 2 ) , 196-240 . [2011]
  • Semiotique des passions: des etats de choses aux etats d'ame. Seuil.; 유기환 외 역(2014), 『정념의 기호학』
    Fontanille, J. Greimas, A. J. 서울 : 강 [1991]
  • See Me , Feel Me ” : Two Modes of Affect Recognition for Real and Fictional Targets
    [2019]
  • Secrets and narrative sequence. Critical Inquiry, 7(1), 83-101.; 전승혜 역(1991), 「비밀과 서술 순서」, 『현대 서술 이론의 흐름』
    Kermode, F. 서울 : 솔 [1980]
  • Richardson ’ sClarissa and a Theory of Mind ; Spolsky , E. ( ed ) , The Work of Fiction :Cognition ,Culture , andComplexity
    [2004]
  • Reading for the plot: Design and intention in narrative
    Brooks, P. Harvard University Press.; 박혜란 역(2011), 『플롯 찾아 읽기』, 서울 : 강 [1984]
  • Reading for learning :Cognitive approaches toChildren 's literature
    Vol . 3
  • Reading Other People ’ s Minds Through Word and Image
    [2012]
  • Reader-responseCriticism : From formalism to post-structuralism
    [1980]
  • Reader, come home: The reading brain in a digital world. Harper.; 전병근(2019), 『다시, 책으로 ? 순간접속의 시대에 책을 읽는다는 것』
    Wolf, M. 서울 : 어크로스 [2018]
  • Possible worlds , artificial intelligence , and narrative theory
    [1991]
  • Poetic Justice: The Literary Imagination and Public Life. Beacon Press; 박영준 역(2013), 『시적 정의』
    Nussbaum, M. C. 파주 : 궁리 [1994]
  • Picturebooks And Emotional Literacy
    67 ( 4 249-254.2
  • Phenomenological Distinctions Between Empathy De Vivo and Empathy in Fiction : From Contemporary Direct Perception Theory Back to Edith Stein ’ s Eidetics of Empathy
    [2019]
  • Passion and reason: Making sense of our emotions
    Lazarus, B. N. Lazarus, R. S. Oxford University Press, USA.; 정영목 역(1997), 『감정과 이성』, 파주 : 문예출판사 [1994]
  • O'neill, P.Fictions of discourse: Reading narrative theory
    University of Toronto Press.; 이호 역(2004), 『담화의 허구』, 서울 : 예림기획 [1994]
  • Nietzzche Werke, Kritische Gesamtausgabe, vol, VI 2, Walter de Gruyter; 김정현 역(2003), 『니체전집 14(KGW VI2) 선악의 저편 ? 도덕의 계보』
    Nietzsche, F. 서울 : 책세상 [1968]
  • Narratology: The form and functioning of narrative. Walter de Gruyter.; 최상규 역(2015), 『서사학이란 무엇인가』
    Prince, G. 서울 : 예림기획 [1986]
  • Narrative time
    7 ( 1 ) , 169-190 . [1980]
  • Narrative knowing and the human sciences
    Polkinghorne, D. E. Suny Press.; 강현석 외 역(2009), 『내러티브, 인문과학을 만나다』, 파주 : 학지사 [1988]
  • Narrative identity. Philosophy today, 35(1), 73-81.; 석경징 외 역(1997), 「서술적 정체성」,『현대 서술 이론의 흐름』
    Ricoeur, P. 서울 : 솔 [1991]
  • Narrative form
    [2003]
  • Narrative fiction: Contemporary poetics. Routledge.; 최상규 역(1999), 『소설의 현대 시학』
    Rimmon-Kenan, S. 서울 : 예림기획 [1983]
  • Narrative discourse: An essay in method (Vol. 3)
    Genette, G. Cornell University Press.; 권택영 역(1992), 『서사 담론』, 서울 : 교보문고 [1983]
  • Mirroring people: The new science of how we connect with others. Farrar, Straus and Giroux.; 김미선 역(2009), 『미러링 피플』
    Iacoboni, M. 서울 : 갤리온 [2008]
  •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Harvard university press.; 정회욱 역(2009), 『마인드 인 소사이어티』
    Vygotsky, L. S. 서울 : 학이시습 [1980]
  • Mind in life
    Thompson, E. Harvard University Press.; 박인성 역(2016), 『생명 속의 마음』, 서울 : 도서출판 b [2007]
  • Mimesis as make-believe: On the foundations of the representational arts
    Walton, K. L. Harvard University Press.; 양민정 역(2019), 『미메시스 ? 믿는 체하기로서의 예술』, 성남 : 북코리아 [1990]
  • Metaphors We Live By
    Johnson, M. Lakoff, G.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노양진, 나익주 역(2006), 『삶으로서의 은유』, 서울 : 박이정 [1980]
  • Mensonge romantique et verite romanesque. Grasset.; 김치수, 송의경 역(2001), 『낭만적 거짓과 소설적 진실』
    Girard, R. 서울 : 한길사 [1961]
  • Memory of the present : Empathy and identity in young adult fiction
    4 ( 2 ) . 86-107
  • Looking for Spinoza: Joy, sorrow, and the feeling brain. Houghton Mifflin Harcourt.; 임지원 역(2007), 『스피노자의 뇌』
    Damasio, A. 서울 : 사이언스 북스 [2003]
  • Living to tell about it : A rhetoric and ethics of character narration
    [2005]
  • Literature for today 's young adults
    [2001]
  • Literary education: A revaluation
    Gribble, J. Cambridge University Press.; 나병철 역(1988), 『문학교육론』, 서울 : 문화출판사 [1983]
  • Levinas: an introduction. John Wiley & Sons.; 주완식 역(2014), 『처음 읽는 레비나스』
    Davis, C. 파주 : 동녘 [1996]
  • La partage du sensible: esthetique et politique. La fabrique editions.; 오윤성 역(2008), 『감성의 분할』
    Ranciere, J. 서울 : 도서출판 b [2000]
  • La croute, Editions Flammarion; 이경혜 역(2010), 『무릎딱지』
    Moundlic, C. 서울 : 한울림어린이 [2009]
  • L\'Hermeneutique du sujet: Cours au College de France (1981-1982). Seuil; 심세광 역(2007), 『주체의 해석학』
    Foucault, M. 서울 : 동문선 [2001]
  • Kritik der reinen Vernunft, 백종현 역, 『순수이성비판Ⅰ』
    Kant, I. 서울 : 아카넷 [2006]
  • Korean adolescent engaged readers- Their self-perceptions , literacy practices , and negotiations inside and outside of a seventh grade classroom
    [2007]
  • Kinds of minds: Toward an understanding of consciousness
    Dennett, D. C. Basic Books.; 이희재 역(2006), 『마음의 진화』, 서울 : 사이언스 북스 [1997]
  • Kinds of minds : On alan palmer 's `` social minds
    45 ( 4 ) . [2011]
  • Fictional minds
    [2004]
  • Feministische Narratologie . Nunning/Nunning ( eds . ) , 35-72
    [2002]
  • Ethica in Ordine Geometrico Demonstrata; 강영계 역, 『에티카』
    Spinoza, B. 서광사 [2007]
  • Estetika slovesnogo tvorchestva.; 박종소, 김희숙 역(2006), 『말의 미학』
    Bakhtin, M. M. 서울 : 길 [1979]
  • Empathy and the Novel
    [2007]
  • Ed.The sign of three Dupin, Holmes, Peirce.. Indiana university press.; 김주환?한은경 역(1994), 『논리와 추리의 기호학』
    Eco, U. Sebeok, T. A. 서울 : 인간사랑 [1983]
  • Die dunklen Seiten der Empathie. Suhrkamp Verlag.; 두행숙 역(2019), 『나도 그렇게 생각한다 : 공감의 두 얼굴』
    Breithaupt, F. 서울 : 소소의 책 [2017]
  • Die Theorie des Romans: ein geschichtsphilosophischer Versuch uber die Formen der gro en Epik. P. Cassirer.; 김경식 역(2007), 『소설의 이론』
    Lukacs, G. 파주 : 문예출판사 [1916]
  • Did you Feel as if you Hated People ? ” : Emotional Literacy Through Fiction
    19 ( 2 ) , 95-107
  • Creating Capabilities: The Human Development Approach. Harvard Univ Pr; 한상연 역(2015), 『역량의 창조』
    Nussbaum, M. C. 파주 : 돌베개 [2013]
  • Cognitive poetics: An introduction. Routledge.; 이정화 서소아 역(2009), 『인지시학개론』
    Stockwell, P. 서울 : 한국문화사 [2005]
  • Beyond the poetics of plot: Alternative forms of narrative progression and the multiple trajectories of Ulysses. Phelan, J., & Rabinowitz, P. J. (Eds.). A companion to narrative theory. John Wiley & Sons.; 최라영 역(2015), 『서술 이론 Ⅰ』
    Richardson, B. 서울 : 소명출판 [2005]
  • Barthes. R, S/Z, Seuil, 김웅권 역, 『S/Z』
    고양 : 연암서가 [2015]
  • Aristoteles, Ethika Nikomacheia; 이창우 외 역, 『니코마코스 윤리학』
    이제이북스 [2008]
  • Anthropologie in pragmatischer Hinsicht.; 백종현 역, 『실용적 관점에서 인간학』
    Kant, I. 서울 : 아카넷 [2014]
  • Acts of Meaning
    Vol . 343 [1990]
  • A theory of semiotics
    Eco, U. Indiana University Press.; 김운찬 역(2009), 『일반 기호학 이론』, 파주 : 열린책들 [1976]
  • A natural history of human thinking
    Tomasello, M. Harvard University Press.: 이정원 역(2017), 『생각의 기원』, 서울 : 이데아 [2014]
  • A dictionary of narratology
    Prince, G.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이기우 ? 이용재 역(1992), 『서사론사전』, 서울 : 민지사 [1987]
  • A Treatise of Human Nature. 김성숙 역, 『인간이란 무엇인가 :오성 정념 도덕 本性論』
    Hume, D. 서울 : 동서문화사 [2009]
  • ?해석 텍스트 쓰기의 서사교육 방법 연구?
    양정실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서사교육론?
    우한용 서울 : 동아시아사 [2001]
  • ?고전소설의 인물 이해 교육 연구 : 인물 정보소를 중심으로?
    이상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일제 파시즘기의 과학자 연애서사와 정동 관리」,?
    황지영 『한국문학이론과 비평』,?23(1),?pp. 185-206 [2019]
  • ?「스피노자의 욕망 윤리학과 정신분석」,?
    박삼열 『근대철학』,?7,?pp. 167-188 [2012]
  • ?The strange order of things: Life, feeling, and the making of cultures. Antonio Damasio; 임지원 고현석 역(2019), 『느낌의 진화 : 생명과 문화를 만드는 놀라운 순서』
    Damasio, A. 파주 : arte [2017]
  • ? 김혜선,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의 상세화 원리 체계화 연구」
    이경화 『국어교육학연구』, 33, pp. 525-555 [2008]
  •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교육과학기술부 [2015]
  •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시안 개발 연구
    민현식 교육과학기술부 [2011]
  •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해설서
    교육부 교육과학기술부 [2008]
  • (Eds.).The affect theory reader
    Ahmed, S. Gregg, M. Seigworth, G. J. Duke University Press.; 최성희 외 역(2015), 『정동 이론』, 서울 : 갈무리 [2010]
  • (Eds.).Neue Ansatze in der Erzahltheorie (Vol. 4). Wissenschaftlicher Verlag Trier.; 조경식 외 역(2018), 『서사론의 새로운 연구 방향』
    Nunning, A. Nunning, V. 서울 : 한국문화사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