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스마트교육 기반의 체육과 프로젝트 학습을 위한 수업설계 모형 개발 =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Project Learning in Physical Education Based on Smart Education

고정길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스마트교육 기반의 체육과 프로젝트 학습을 위한 수업설계 모형 개발 =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Project Learning in Physical Education Based on Smart Education'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수업설계모형
  • 스마트 교육
  • 체육수업
  • 프로젝트학습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656 0

0.0%

' 스마트교육 기반의 체육과 프로젝트 학습을 위한 수업설계 모형 개발 =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Project Learning in Physical Education Based on Smart Education' 의 참고문헌

  • 효율적인 초등학교 주제중심 통합 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길형석 학습자 중심교과교육학회, 9(1), 85-106 [2005]
  • 효과적인 비계설정을 위한 수업설계모형
    강정찬 이상수 황주연 교육정보 미디어연구, 12(3), 149-175 [2006]
  • 환경 프로젝트 학습 활동이 초등학생의 자기중심화에 미치는 효과
    곽홍탁 이옥희 환경 교육, 18(3), 45-58 [2005]
  • 홈페이지를 활용한 체육수업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오문호 임상용 체육과학연구, 10, 141-149 [2004]
  • 형식 교육과 비형식 학습 경험을 통합한 스마트 프로젝트학습 활동 개발 및 적용
    강의성 김용대 류숙희 서정희 조미헌 허희옥 한국정보 교육학회지, 17(3), 291-304 [2013]
  • 협력적 문제해결력 교수․학습 및 평가를 위한 PISA와 ATC21S의 특징 비교 분석
    박혜영 임해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9), 439-462 [2014]
  • 협력 중심의 창의적 지식 구성을 위한 융합형 학습환경의 설계 및 효과 분석
    강의성 김경자 김영수 김현진 조경원 허희옥 교육정보미디 어연구, 18(1), 95-119 [2012]
  • 현장 맞춤형 스마트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세종시 J 중학교를 중심으로
    전형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한정선, 김동식 CSCL 환경에서 협력학습 지원 도구의 유형이 협력적 지식 구축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5(4), 203-229 [2009]
  • 한국형 체육교과 태도 척도 개발과 타당화
    김종환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04]
  • 한국어교육을 위한 스마트러닝의 재개념화와 구현 방안
    홍은실 국어교육학 연구, 49(1), 125-145 [2014]
  • 한국스포츠교육학 연구의 분석
    김승재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7(2), 75-86 [2000]
  • 한국U러닝연합회, 「플립 러닝 성공전략」
    서울: 콘텐츠미디어 [2014]
  • 한국 중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변천사
    김정수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8]
  • 한국 스포츠교육모형의 연구 동향: 성과와 과제
    김무영 문호준 이승배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7(2), 21-39 [2010]
  • 학위논문 작성을 위한 교육연구 및 통계분석
    백순근 파주: 교육과학사 [2004]
  • 학습자주도적 학습 활동으로서의 프로젝트법에 대한 고찰
    박순경 교육과정 연구, 17(2), 21-38 [1999]
  • 학습자 주도적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모형 구축
    김정랑 마대성 양진화 정보 교육학회논문지, 4(2), 187-201 [2000]
  • 학생의 체육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동향과 과제
    신기철 한국초등체육학회지, 15(1), 1-11 [2009]
  • 플립러닝형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이영준 정웅열 정은우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6(2), 415-416 [2018]
  • 플립러닝 학습이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강신천 김창석 이희숙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8(2), 47-57 [2015]
  • 플립러닝 성공전략-거꾸로 교실 활성화 방안
    정현재 서울: 한국 U러닝연합회 [2014]
  •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교수학습 설계모형 탐구
    이동엽 디지털정책 연구, 11(12), 83-92 [2013]
  • 플립 러닝형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설계 모형 개발
    이은영 서울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프로젝트중심학습에서 수행역량기반 학습지원체제 설계모형 개발
    김혜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프로젝트기반학습 입문서. 노선숙, 김민경, 임해미 역(2006)
    Larmer, J. Markham, T. Ravitz, J. 파주: 교육과학사 [2003]
  • 프로젝트 학습을 통한 교육개혁
    김부열 박윤수 이주호 최승주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2016]
  •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한 체육수업이 여중생의 체육수업 참여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김유니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프로젝트 접근법을 수행한 교사들의 실천적 지식의 변화 탐색
    유승희 열린 교육연구, 22(3), 57-83 [2014]
  • 프로젝트 수업의 개발과 적용
    유승희 열린교육연구, 11(2), 261-280 [2003]
  • 프로젝트 수업 사례를 통한 프로젝트 수업의 의미 탐색
    오영범 한국교육, 44(1), 5-32 [2017]
  • 프로젝트 기반수업을 통한 대학원 학생들의 학습경험에 관한 연 구
    박민정 교육과정연구, 25(3), 265-288 [2007]
  • 프로젝트 기반 학습이 고차적 사고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연구
    정미경 서울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연구 동향 분석
    채영숙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 대회 발표자료집, 2016(10), 143-147 [2016]
  • 팀프로젝트학습에서 학습자의 효능감과 스캐폴딩이 학습참여도와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김영수 양영선 허희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4), 495-519 [2014]
  • 팀 프로젝트에 기반한 액트 수업에서 동료평가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
    정은숙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 771-794 [2018]
  •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지식공유 행동에 대한 자기효능감, 신뢰, 지식공유 의도의 예측력
    강명희 윤성혜 학습과학연구, 9(3), 22-46 [2015]
  • 팀 프로젝트 체육 수업이 자기주도 학습과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고정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특별활동 중학교 교사용 지도서
    교육부 서울: 대한교과서 [2001]
  • 테니스 실기 수업에서 블랜디드 학습의 적용 가능성 탐색
    박승하 서보경 한국체육과학회지, 18(3), 477-488 [2009]
  • 컴퓨터교과교육: 블랜디드 학습에 기반한 통합교과 프로젝트 학습 전략 및 효과
    신수범 한희정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9(4), 25-34 [2006]
  • 초등학생의 프로젝트 기반 체육수업 경험 탐색
    김상목 김영식 여홍진 학습자 중심교과교육연구, 18(3), 973-993 [2018]
  • 초등학생의 체육수업 참여 및 성취수준에 대한 스포츠교육모형의 효과
    이재용 인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논총, 14, 1-17 [2002]
  • 초등학생용 PAPS 콘텐츠 개발
    김효중 박익렬 신승환 우재홍 이병근 전태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9), 96-105 [2011]
  • 초등학교에서 실시하는 프로젝트 학습의 계획과 운영에 관한 평가 연구
    김대현 교육과정연구, 16(2), 297-327 [1998]
  • 초등학교 프로젝트중심학습 설계모형의 실행전략 개발
    여상한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초등학교 표현활동 영역에서 스마트러닝(Smart Learning) 적용가능성 탐색
    박상봉 안양옥 황숙영 한국초등체육학회지, 18(4), 1-16 [2013]
  • 초등학교 체육 수업의 프로젝트 학습 사례 연구
    최동식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 초등 교육과정과 연계한 프로젝트중심학습 설계 모형 개발
    엄우용 여상한 교육공학연구, 30(2), 259-283 [2014]
  • 초, 중등학교에서 교실수업과 웹기반 학습을 연계한 커뮤니티 기반 프로젝트 학습모형 개발 연구
    김세리 임병노 임정훈 최성희 교육공학연구, 20(3), 103-135 [2004]
  • 초 중 고에서의 스마트교육 교수 학습 유형 분석
    임희석 한해숙 디지털 융복합연구. 11(2), 51-58 [2013]
  • 체육수업에서 효과적인 모델로서 스포츠교육
    류태호 문호준 한국스포츠 교육학회지, 4(2), 76-90 [1997]
  • 체육수업 모형. 유정애, 신기철, 김선희, 최희진, 김윤희, 조남용, 김종환, 문도순 역(2003)
    Metzler, M. 서울: 대한미디어 [1999]
  • 체육교사행동에 대한 중등학생의 인식태도 분석
    박윤식 한국체육학회지, 41(2), 241-251 [2002]
  • 체육교사의 인터넷에 대한 이용현황 및 태도 조사 연구
    김자혜 이화여자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체육교과용 웹 기반 프로젝트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안성훈 장종철 최숙영 한국콘텐츠학회지, 6(12), 216-225 [2006]
  • 체육과교육 연구의 과제와 전망
    윤명희 교원교육, 11(1), 105-119 [1995]
  • 체육과 수업 모형 연구의 성과와 과제
    류태호 박중길 이병준 한국스포츠 교육학회지, 13(3), 1-26 [2006]
  • 체육과 내용 교수 지식(PCK) 및 수업컨설팅 연수
    유정애 서울: 한국교육 과정평가원 [2007]
  • 체육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교육부 서울: 대한교과서(주) [1997]
  • 체육 블랜디드 러닝이 초등학생의 자기 효능감과 수업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안수 최인규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7(3), 95-114 [2010]
  • 체육 바라보기: 반성적 체육수업과 학생 그리고 교사
    전용진 한국스포츠 교육학회보, 39, 10-13 [2006]
  • 체육 교육에서의 멀티미디어 활용 방안
    조순묵 교원교육, 15(1), 198-203 [1999]
  • 체력요소별 신체활동을 통한 건강체력 신장
    신명숙 대한체육회 학교체육 연구논문 [2011]
  • 청소년 체육수업 현황 및 발전방안
    이준우 정채원 최재일 한국청소년시설 환경학회 학술대회, 2012(1), 57-69 [2012]
  • 청소년 자살행동에 대한 생활 스트레스와 심리사회적 자원의 영향
    홍영수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책임감모형(TRSR)과 스포츠교육모형과의 통합을 통한 초등 학생의 책임감 변화 과정의 탐구
    김명수 최흥섭 교과교육학연구, 13(4), 773-801 [2009]
  •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이러닝 지원시스템 설계원리 개발연구 CPS 모형을 중심으로
    홍미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2]
  • 집단 구성에 따른 사회과 프로젝트 학습 효과 연구
    박주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질문이 있는 교실: 실천편
  • 중학교 체육 학습의욕 척도개발 및 타당화
    손정욱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03]
  • 중등학교 체육교과교육 50년: 반성과 전망
    강신복 한국교원대학교 개교 20주년 기념 학술심포지움 발표논문 [2004]
  • 중/고등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체육교과 어플리케이션 개발
    김봉수 류민정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2(1), 89-107 [2015]
  • 좋은 체육수업을 위한 교사의 역량 및 역할 탐색
    이대형 학습자중심교과 교육연구, 12(4), 281-307 [2012]
  • 제7차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이종목 한국체육교육 학회지, 6(2), 1-15 [2002]
  • 제6차 중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 1992-11호 [1992]
  • 정성아 프로젝트 수업, 교육과정을 만나다 (1판)
  • 정보교과교육: 웹 2.0 도구를 활용한 교수, 학습 모형의 설계 방향 연구
    김재현 정미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6(2), 23-26 [2012]
  • 정민 Flipped Classroom 학습이 초등학생의 수학과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자기주도적 신체활동이 건강체력 및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에 미 치는 효과
    정은경 2012년도 전국학교체육연구대회 보고서 [2012]
  • 인터넷을 활용한 프로젝트중심학습방법 (NetPBL)의 활용 유형과 절차
    조미현 교육공학연구, 15(3), 3-24 [1999]
  • 이해중심게임수업이 중학생의 인지 및 정의적 발달에 미치는 효과
    문익수 박중길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9(2), 43-67 [2008]
  • 이러닝 환경에서의 감성적 어포던스 설계원리 개발
    박태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융합인재교육(STEAM)의 스마트러닝 전략
    이철현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5(4), 123-147 [2012]
  • 웹기반 프로젝트중심학습 환경에서 과제해결능력을 촉진시키는 스캐폴딩 설계모형 개발 연구
    이명규 장선영 교육공학연구, 28(2), 371-408 [2012]
  •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 설계에 관한 고찰
    이재경 교육정보미디어연구, 7(1), 165-195 [2001]
  • 웹기반 가상교육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활동모형개발
    나일주 정현미 교육 공학연구, 17(2), 27-52 [2001]
  • 운동소양 함양을 이끄는 통합적 초등 체육을 위한 스마트교육 콘텐츠 개발
    문경남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우리의 교실혁명 스마트교육의 현황과 발전 방향. 한국교육학술 정보원, 현안보고
    김영애 OR 2011-02-7 [2011]
  • 요구분석 실천가이드
    최정임 서울: 학지사 [2009]
  • 온라인 카페(online cafe) 활용 체육수업을 통한 여고생들의 교실 공동체, 상호학습 및 수업 만족도
    류민정 교과교육학연구, 18(4), 1225-1238 [2011]
  • 오예은, 이호 동료의 대면 피드백과 익명 피드백이 대학생의 영작문 수정에 미치는 영향 탐구
    영어영문학21, 28(1), 219-243 [2015]
  • 예비 현직 교사를 위한 수업 모형의 실제
    김민환 추광재 서울: 원미사 [2012]
  • 실과 가정영역에서의 스마트교육 활용 방안
    이성숙 실과교육연구, 19(1), 53-72 [2013]
  • 신체활동과 인성향상을 위한 체육 수업모형 개발
    김병준 김윤희 이옥선 21(1), 199-227 [2015]
  • 신자유주의 학교체육의 전개양상과 대응과제
    구강본 김동규 한국체육 학회지, 42(3), 33-43 [2003]
  • 스포츠와 책임감 가르치기. 이재용, 정진홍 역(2007)
    Hellison, D. R. 서울: 대한미디어 [2003]
  • 스포츠교육학
    최의창 서울: 무지개사 [2003]
  • 스포츠교육모형이 체육수업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원주연 정봉해 한국 사회체육학회지, 19(1), 129-143 [2003]
  • 스포츠교육모형의 중등체육수업 사례연구
    문호준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7(1), 1-19 [2000]
  •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통합수업의 스마트 러닝(smart learning)
    이용일 미술 교육논총, 27(3), 331-354 [2013]
  • 스마트폰 활용을 위한 초 중등 교육용 이러닝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김용 손진곤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2(4), 135-143 [2011]
  • 스마트폰 기반 자기모니터링이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운 동기능 수행에 미치는 영향
    김의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스마트러닝의 방향성 및 특징의 탐색
    강인애 손정은 주은진 한국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집, 3-17 [2011]
  • 스마트러닝의 교수? 학습 도구로써 3D 콘텐츠 제작 및 활 용
    김미용 배영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7), 483-496 [2012]
  • 스마트러닝의 개념 및 구현 조건에 관한 탐색적 연구
    노규성 정진택 주성환 디지털정책연구, 9(2), 79-89 [2011]
  • 스마트러닝을 활용한 수학과 교수-학습 지도방안
    현세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스마트러닝을 위한 스마트워크 국가전략
    김돈정 한국이러닝산업협회 2010 스마트러닝 리더스 세미나 자료집 [2010]
  • 스마트러닝 활성화를 위한 자기주도 학습 전략 연구
    방선희 평생학습사회, 8(1), 93-112 [2012]
  • 스마트러닝 환경에서의 프로젝트 학습 전략 및 요인 분석
    김수환 한선관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7(3), 243-252 [2013]
  •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토론 활성화 방안 도출
    김소현 김희봉 박종민 학습 과학연구, 5(1), 79-113 [2010]
  • 스마트러닝 기반 개별학습 및 협력학습이 학업성취도, 자기 주도학습 및 사회적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상홍 임정훈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9(1), 1-24 [2013]
  • 스마트러닝 기반 STEAM 직업교육 프로그램이 특수학급 고등학생 들의 직업에 대한 태도와 직업 인식 및 교사의 직업 수업 운영에 미치는 영향
    송은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스마트러닝 교수학습 설계모형 탐구
    임걸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4(2), 33-45 [2011]
  •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체육수업 SCAN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박종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스마트교육의 핵심요소에 대한 제안
    류희수 이성근 한국정보교육학회 논문지, 17(2), 101-113 [2013]
  • 스마트교육의 특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 스마트교육에 대한 인식과 활용방안
    이현화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5]
  • 스마트교육동향 2013-18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편). 스마트교육 글로벌 동향
    계보경 김재옥 정원순 서울: 서보미디어 [2013]
  • 스마트교육기반 STEAM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맹준희 전미애 천세영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4(2), 258 ? 287 [2014]
  • 스마트교육 환경 분석과 정책 제언
    노규성 주성환 디지털융복합연구, 11(4), 35-44 [2013]
  • 스마트교육 현장 적용을 위한 스마트교육 모형 개발
    김미용 배영권 인터넷 정보학회논문지, 13(5), 77-92 [2012]
  • 스마트교육 혁명
  • 스마트교육 콘텐츠 품질관리 및 교수학습 모형 개발 이슈.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KERIS 이슈리포트
    김현철 연구자료 RM 2011-20 [2011]
  • 스마트교육 수업 설계 모형 개발
    김미용 배영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 467-481 [2013]
  • 스마트교육 선도 교사들의 교수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이동성 정민수 교육종합연구, 12(3), 85-104 [2014]
  • 스마트교육 기반의 교량모형만들기 STEAM 프로 그램이 흥미도와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효과
    김방희 김진수 배덕현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4(1), 158-176 [2014]
  •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 수업모형 개발.
    김상홍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5]
  • 스마트 러닝의 의미와 전망. 스마트러닝 코리아 발표자료집
    곽덕훈 서울: 한국이러닝산업협회 [2011]
  • 스마트 교육 환경기반 교육콘텐츠 모형 연구
    이영근 한국정보과학회 학술 발표논문집, 39(1), 137-139 [2012]
  • 스마트 교육 핵심 속성 및 스마트 교육 콘텐츠 유 형 탐색
    성은모 임병노 임정훈 교육공학연구, 29(3), 459-489 [2013]
  • 수업설계의 원리. 송상호, 박인우, 엄우용, 이상수 역(2007)
    Gagne, R. Golas, K. Keller, J. Wager, W.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2005]
  • 세계의 대학교수
    이성호 서울: 문이당 [1995]
  • 선생님! 비 오는데 체육해요?: 다양한 웹기반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교실체육수업의 실천
    이만희 임영택 진성원 황성우 체육과학연구, 21(1), 1076-1093 [2010]
  • 상황인지 기반 스마트러닝 모형 연구
    장재경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1]
  • 사회과교육에서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의 교육적 함의
    박기범 사회과 교육, 53(3), 107-120 [2014]
  • 사회과교육
    모경환 차경수 서울: 동문사 [2008]
  • 사례기반학습을 위한 사례설계 원리 개발연구
    연은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블렌디드 러닝 기반‘함께 역사하기’프로젝트 학습 연구
    이승실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블랜디드 러닝을 적용한 체육수업의 실행: 중학생들의 경험적 의미 탐색을 중심으로
    권승민 박윤식 이만희 임영택 체육과학연구, 20(4), 885-899 [2009]
  • 배수을 중학교 체육교과서 내 무용단원내용 분석을 통한 디지털무용교육 콘텐츠 개발 및 현장 적용
    대한무용학회논문집, 67, 161-180 [2011]
  • 방과 후 체육수업 참여 초등학생의 신체적 자기 개념과 체육 가치 인식과의 관계
    이소미 황순광 한국초등체육학회지, 15(2), 97-109 [2009]
  • 민주주의와 교육. 이홍우 역(2007)
    Dewey, J. 서울: 교육과학사 [1916]
  • 미술교육의 Smart-Learning 활용에 대한 인식조사
    홍정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 KISTEP, KAIST 10년 후 대한민국, 미래 일자리의 길을 찾다
    경기: 지식공감 [2017]
  • 미국 초등학교 사회과 교실수업의 프로젝트 수행과정과 교육적 함의
    송인주 사회과교육연구, 48(2), 15-28 [2009]
  • 문제해결검사의 타당화 연구: 한국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을 중심으로
    황설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문교부(1987). 제5차 중학교 교육과정
    문교부 고시 제87-7호 [1987]
  • 문교부 초 중 고등학교 교육과정(1946~1981) 체육과 교련과
    서울: 대한교과서 [1986]
  • 문교부 교수요목집
    서울: 서울조선교학도서(주) [1948]
  • 모바일 기반 스마트 러닝: 개념 탐색과 대학교육에의 적용 가능성
    임정훈 2011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자료집, 1-13 [2011]
  • 메타분석을 통한 체육과 수업 모형 적용 효과에 관한 연구
    김영식 이범기 정진성 한국체육학회지, 51(4), 185-196 [2012]
  • 멀티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 전략 개발 및 적용
    류진선 이영민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3(1), 213-232 [2008]
  •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포럼연극 수업 설계 모형 개발
    김선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디지털 네이티브를 위한 스마트 교육
    임희석 2011 글로벌 교육 심포지엄 발표자료집 [2011]
  • 대학에서의 거꾸로 학습(Flipped Learning) 사례 설계 및 효과성 연구: 학습 동기와 자아효능감을 중심으로
    김남익 전보애 최정임 교육공학연구, 30(3), 467-492 [2014]
  • 대학 프로젝트 수업 환경에서 분업화, 상호작용, 공유정신모형이팀 수행성과와 개인 학습에 미치는 영향
    조일현 교육공학연구, 26(3), 1-20 [2010]
  • 단위 학습에서 스마트교육 교수 학습 사례
    정계웅 한국열린교육학회 학술 대회 논문집, 2013(1), 165-169 [2013]
  • 다양한 체육수업 모형이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주병하 경희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다매체적 교수 학습 전략을 통한 통합적 체육교육으로의 접근과 적용
    문호준 홍석호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2(1), 75-94 [2005]
  • 능동적 시민성에 미치는 사회과 프로젝트 학습의 효과
    박새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내러티브 사고와 표현 중심 수업설계 모형 개발 연구
    안정민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개정 방식 개선에 관한 연구: 교실 수업 이 해의 관점에서
    김왕근 시민교육연구, 35(2), 1-24 [2003]
  • 교육인적자원부 [별책3] 중학교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고시 제 2007-79호 [2007]
  • 교육과학기술부 인재대국으로 가는 길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2011. 06. 29 [2011]
  • 교육과학기술부 [별책11] 체육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 2011-361호 [2011]
  • 교육공학연구를 위한 설계 개발연구. 정현미, 김광수 역(2012)
    Klein, J. D. Richey, R. C. 서울: 학지사 [2007]
  • 교육 3.0과 스마트러닝
    장상현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교육정보화 수요포럼 발표자료집 [2011]
  • 교수설계 이론과 모형(제2판)
    임철일 파주: 교육과학사 [2012]
  • 교수설계 모형과 실천 사이의 차이와 원인 분석
    박기용 교육공학연구, 23(4), 1-30 [2007]
  • 과학 프로젝트 학습에서 드러나는 초등학생의 행위성 탐색
    김현애 서울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체육과 교수내용지식(PCK)
    유정애 서울: 한국교육 과정평가원 [2007]
  • 개선되어야 할 체육 수업 문화 분석
    박종률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4(4), 25-42 [2007]
  • 가지 않은 길-국민체육진흥과 전문체육인의 역할 재검토
    최의창 체육과학 연구, 6(3), 144-159 [2005]
  • 가장 바람직한 체육교사는 누구인가?: 체육교사교육 논의의 최근 동향과 과제
    최의창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1(2), 25-49 [2004]
  • 「스마트 러닝 활성화를 위한 SNS 활용 방안 연구」
    강정화 디지털정책연구, 9(5), 265-274 [2011]
  • 「모바일 탐구학습을 위한 수업설계 모형 개발 연구」
    김성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스마트 러닝’의 개념화와 교수학습전략 탐색: 대학에서의 활용을 중심으로
    강인애 박정영 임병노 교육방법연구, 24(2), 283-303 [2012]
  • ‘김치’프로젝트 수업에 적용한 프로젝트 접근법의 관찰 및 효과
    윤지현 지경옥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1(3), 75-98 [2008]
  • ‘The Flipped Learning’ :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 Hybrid Instructional Model
    박성열 임걸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논문지, 9(1), 1-11 [2014]
  • e-Learning을 활용한 체육수업 개선연구
    이윤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0]
  • e-Learning 환경에서의 협력학습을 위한 학습모형 및 학습행위 요소 개발
    성은모 이인숙 임정훈 진성희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9(2), 27-36 [2006]
  • [별책11] 체육과 교육과정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2015]
  • Young investigators : The project approach in the early years ( 2nd ed. )
    [2011]
  • Wireless and mobile technologies to enhance teaching and learning
    19 ( 3 ) , 371-382 [2003]
  • William Glasser의 리드형 관리 요소를 적용한 중학교 체육수업모형 개발
    김승모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What is sport education and how does it work ?
    6 9 ( 4 ) , 18-20 [1998]
  • What field did you say you were in ? Defining and naming our field . In R. A. Reiser , & J. V. Dempsey ( Eds . ) , Trends and issues in instructional design and technology ( 3rd ed. )
    [2012]
  • Web-based instruction and the traditional classroom :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62 , 41-46 [1997]
  • Web service architecture for M-Learning .
    2 ( 1 ) , 203-216 . [2004]
  • Was ist guter Unterricht ?
    [2014]
  • W. H. ( 1919 ) . The project method
    19 , 319-335
  • Using a search protocol to identify sources of information : The COSI model . Etext on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 HTA ) Information Resources
    http : //www.nlm.nih.gov/archive/20060905/nichsr/ehta/chapter3.html > [2004]
  • Using Google Drive to facilitate a blended approach to authentic learning
    4 4 ( 4 ) , 594-606 [2013]
  • Theoretical Aspects of Project ? Bas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14 ( 1 ) , 66-78 [1983]
  •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 ( 8th ed. )
    [2015]
  •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 ( 6th ed. )
    [2005]
  • The quality school : Managing students without coercion
    [1990]
  • The project method : The use of the purposeful act in the educative process
  • The power of the personal : Discovering the M in M-learning . In Z. L. Berge , & L. Y. Muilenburg ( Eds . ) , Handbook of mobile learning ( 187-195 )
    [2013]
  • The one world schoolhouse : Education reimagined
    [2012]
  • The instructional design knowledge base : Theory , research and practice
    [2011]
  • The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of a personal problems-solving inventory
    29 , 66-75 [1982]
  • The Learning Economy
    1 ( 2 ) , 23-42 . [1994]
  • Teaching physical education ( 5th ed. )
    [2002]
  • Teaching games for understanding
    [2005]
  • Teaching functions in instructional program
    8 3 ( 4 ) , 335-350 [1983]
  • Teacher as curriculum maker . In P. W. Jackson ( Ed . ) , Handbook of research on curriculum : A project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1992]
  • Tactical and skill approaches to teaching sport and games introduction
    1 5 ( 4 ) , 397-398 [1996]
  • Systematic planning for ICT integration in topic learning
    1 0 ( 1 ) , 148-156 . [2007]
  • Survey of instructional development models
    [1981]
  • Smith, J. M. (2002). Blended-learning: An old friend gents a new name. <http://www.gwsae.org/executiveupdate/2001/march/blended.htm>
  • Smart 교육환경에서의 Blended PBL 수업 모형 개발
    정주영 사고개발, 10(1), 145-162 [2014]
  • Situated Learning :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1991]
  • Seven essentials for project-based learning
    6 8 ( 1 ) , 34-37 . [2010]
  • Selection and use ofContent experts for instrument development
    2 0 ( 3 ) , 269-274 . [1997]
  • Science instruction in the middle and secondary Schools ( 6th ed.
    [2006]
  • Scaffolding reflection and articulation of scientific explanations in a data-rich , project-based learning environment : An investigation of progress portfolio
    5 1 ( 4 ) , 65-84 . [2003]
  • Project-based learning in post-secondary education : Theory , practice and rubber sling shots
    5 1 ( 2 ) , 287-314 . [2006]
  • Project-based learning handbook : a guide to standards-focused Project-Based learning for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 ( 2nd ed. )
    [2003]
  • Project-Based Learning in Distance EducationClasses : Oxymoron or Optimizer
    2 0 1 4 ( 1 ) , 59-82 . [2014]
  • Project methods in higher education
    [1975]
  • Principles and labs for physical fitness and wellness
    [1988]
  • Personla being
    [1983]
  • Peer feedback to facilitate project-based learning in an online environment
    14 ( 5 ) [2013]
  • Peer evaluation in blended team project based learning : what do students find important ?
    1 5 ( 4 ) , 214-224 [2012]
  • PBL에 근거한 공학설계 교과의 교수학습 전략
    김성미 대한기계학회, 13(3), 123-127 [2013]
  • Online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project based learning . Paper presented at meetings of the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2004]
  • Online Community of Inquiry Review : Social , Cognitive , and Teaching Presence Issues
    1 1 ( 1 ) , 61-72 [2007]
  • Objectifying content validity : Conducting a content validity study in social work research
    2 7 ( 2 ) , 94-104 . [2003]
  • Motivating students at a distance : The case of an international audience
    5 0 ( 2 ) , 94-110 [2002]
  • Motivating project-based learning : Sustaining the doing , supporting the learning
    2 6 ( 3-4 ) , 369-398 . [1991]
  • Models of teaching ( 5th ed. )
    [1996]
  • Meaningfull earning with technology ( 4th ed. )
    [2012]
  • Limits to self ? organising systems of learning ? the Kalikuppam experiment
    41 ( 5 ) , 672-688 . [2010]
  • Learning , beliefs , and products : students ’ perspectives with project-based learning
    5 ( 2 ) , 6 [2011]
  • Integrating educational technology into teaching ( 5th ed. )
    [2010]
  • Instructional models for physical education
    [2005]
  • Instructional designers and P-12 technology integration . In R. A. Reiser , & J. V. Dempsey ( Eds . ) , Trends and issues in instructional design and technology ( 3rd ed . ) ( 208-217 )
    [2012]
  • Instructional design for teachers : Improving classroom practice ( 2nd ed. )
    [2016]
  • Inquiry in project-based science classrooms : Initial attempts by middle school students
    7 ( 3-4 ) , 313-350 . [1998]
  • Increasing student engagement and motivation : From time-on-task to homework
    [2000]
  • Identifying the pitfalls for social interaction in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 : a review of the research
    1 9 ( 3 ) , 335-353 . [2003]
  • How People Learn : Brain , Mind , Experience and Practice
    [2000]
  • Health measurement scales : a practical guide to their development and use
    [2008]
  • Group Project Work and Student-centred Active Learning : Two different experiences
    2 5 ( 3 ) , 325-345 [2000]
  • Glasser 좋은 학교 설립과 운영 전략의 탐색
    박재황 현실치료연구, 2(1), 1-18 [2013]
  • Flipping for mastery .
    7 1 ( 4 ) , 24-29 . [2013]
  • Flipped learning : Gateway to student engagement
    [2014]
  • Enhancing project-based learning through online between-group collaboration
    1 0 ( 4 - 6 ) , 419-440 . [2004]
  • Engaging the minds of young children : The project approach
    [1989]
  • Engaging Children 's Minds : The Project Approach ( 2nd )
    [2000]
  • Educational research : Quantitative , qualitative and mixed approaches ( 3rd ed. )
    [2008]
  • Educational Research : An introduction ( 6th ed. )
    [1996]
  • Doing a literature search : A guide for the social sciences
    [2001]
  • Distributed cognitions :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considerations . In G. Salomon ( Ed . ) , No distribution without individuals ’ cognition : A dynamic interactional view ( 111-138 )
    [1993]
  • Direct instruction reconsidered
    3 1 ( 8 ) , 714-718 [1988]
  • Development of a questonnaire to measure achievement orientation in physical education
    6 5 ( 1 ) , 11-20 [1994]
  •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
    3 5 ( 6 ) , 382-386 . [1986]
  •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 In Handbook of Research on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 141-150 )
    [2014]
  • Declines in wintering populations of Red Knots in southern South America
    1 0 6 ( 1 ) , 60-70 . [2004]
  • Context-aware support for computer supported ubiquitous learning
    [2004]
  • Constructivism : New implications for instructional technology ?
    [1991]
  • Comparing problem-based with conventional education ; a review of the University of Limburg Medical School experiment
    5 , 193-198 [1992]
  • Collaborative project-based learning and problem-based learning in higer education : A consideration of tutor and student role in learner-focused strategiesEmerging issues in the practice of university learning and teaching ( 87-98 )
    [2005]
  • Classroom instruction that works : Research-based strategies for increasing student achievement
    [2012]
  • Children helping children
    [1990]
  • Changing classroom practice to include the project approach
    8 ( 2 ) [2006]
  • Attitude organization and change
    [1960]
  •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heuristics
    [2007]
  • An instructional design framework for authentic learning environments
    4 8 ( 3 ) , 23-48 [2000]
  • A theory for programs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schools
    [1968]
  • A review of research on project-based learning
    [2000]
  • A preliminary statement to a theory of attitude structure and changePsychology : A study of a science ( 425-475 )
    [1959]
  • A new look at school failure and school success
    7 8 ( 8 ) , 596-602 [1997]
  • A Computer-mediated sup port system for project-based learning .
    4 6 ( 1 ) , 73-86 . [1998]
  • <아름다운 성> 프로젝트 수업을 통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성의식 함양
    유승희 하미경 열린교육연구, 18(2), 261-289 [2010]
  • <달리기>프로젝트를 통한 초등학생의 체육적 삶의 태도 변화
    윤명진 대구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3차원 가상세계 역할놀이를 통한 초등학교 예비 교사의 문제해결력 증진 방안에 관한 사례연구
    김윤강 조영환 황매향 교육공학연구, 30(1), 45-75 [2014]
  • 21세기 학습능력 및 스마트 러닝 교수설계 모형 연구
    김선회 남동수 이태욱 정재훈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 151-154 [2012]
  • 21세기 지식강국 실현을 위한 스마트교육기반 STEAM 교육 모형 설계
    김선회 남동수 이태욱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 369-372 [2012]
  • (Ed.)교수설계의 이론과 모형. 박성익, 임정훈 역(1993)
    Reigeluth, C. M. 서울: 교육과학사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