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구성주의 기반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의 의미 탐구 = The Meaning of Software Education Based on Constructivism for Young Children

원서연 2020년
논문상세정보
' 구성주의 기반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의 의미 탐구 = The Meaning of Software Education Based on Constructivism for Young Children'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Viscuit
  • 교육용프로그래밍 언어
  • 구성주의
  • 소프트웨어 교육
  • 유아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903 0

0.0%

' 구성주의 기반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의 의미 탐구 = The Meaning of Software Education Based on Constructivism for Young Children' 의 참고문헌

  • 흥미와 노력: 그 교육적 의의 (조영기 역). 대구: 교우사
    Dewey, J. (원저 1913년 출판) [2010]
  • 회복탄력성,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마음 근력의 힘
    김주환 서울: 위즈덤하우스 [2019]
  • 해외 코딩 교육 이러닝 분석
    임용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한정선, 김영수, 주영주, 강명희, 정재삼, 박성희 (미래사회를 위한)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서울: 교육과학사 [2008]
  • 학생이 가고 싶은 학교는 어떤 모습일까?. 국제미래학회 & 한국교육학술정보원(편.), 제4차 산업혁명시대 대한민국 미래교육보고서 (pp.301-310)
    한석수 파주: 광문각 [2017]
  • 핀란드의 코딩기반 소프트웨어교육에 대한 고찰
    배영권 신승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9(1), 127-138 [2015]
  •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김정민 역). 서울: 학지사
    Ginsburg, H. P. Opper, S. (원저 1988년 출판) [2006]
  • 플레이 즐거움의 발견: 우울한 현대인이 되찾아야 할 행복의 조건 (윤미나 역). 서울: 흐름출판
    Brown, S. Vaughan, C. (원저 2009년 출판) [2010]
  • 프뢰벨과 듀이의 유아교육사상 비교
    곽노의 한국교육문제연구, 6, 43-58 [1990]
  • 프로그래밍언어를 활용한 유아 소프트웨어교육 실행과정에서 겪은 유아의 경험
    한지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한 소프트웨어 교육 활동 과정에서 유아교사가 경험한 고민과 반성
    최연철 황성신 어린이미디어연구, 18(3), 109-133 [2019]
  • 코딩의 귀환 (최윤희 역). 성남: 디뷰북스
    Burke, Q. Kafai, Y. B. (원저 2013년 출판) [2017]
  • 코딩(Coding)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관심도 및 인식
    이민영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컴퓨팅적 사고의 필요성
    양순옥 정보처리학회지, 24(2), 4-12 [2017]
  • 컴퓨팅적 사고 및 참여 증진을 위한 스크래치 2.0 활용 방안
    이은경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7(2), 41-44 [2013]
  • 컴퓨팅사고력을 위한 소프트웨어교육
    류미영 한선관 파주: 생능출판 [2016]
  • 컴퓨팅 사고력과 소프트웨어의 이해 (김용우, 김진묵, 김홍수, 정영애, 황석형 공역). 파주: 생능출판사
    Wang, P. S. (원저 2016년 출판) [2017]
  • 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이영준 정웅열 한정민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1(2), 3-5 [2017]
  •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정보소양교육에 관한 연구
    김경민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0(4), 59-66 [2017]
  • 컴퓨터교육 : 에스토니아의 Progetiger를 통한 sw교육 교사지원 방향 고찰
    김민자 김자미 김현철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9(1), 11-14 [2015]
  • 컴퓨터과학이 여는 세계
    이광근 서울: 인사이트 [2015]
  • 컴퓨터과학: 협력학습을 위한 협력지식관리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김현철 한희섭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0(2), 115-123 [2007]
  • 컴퓨터 과학 교육: 집단지성 프로그래밍 수업이 학습자의 태도와 정보 활용 실천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길모 김성식 조성환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3(2), 215-219 [2009]
  • 침묵으로 가르치기: 학생 스스로 생각하고 배우는 핀켈교수의 새로운 교육법 (문희경 역). 서울: 다산북스
    Finkel, D. L. (원저 2010년 출판) [2010]
  • 추론 전제 유형이 아동의 연역적 추론발달에 미치는 영향
    원윤선 최경숙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4(2), 1-13 [2001]
  • 초중등 단계 Computational Thinking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
    백성혜 신재홍 안상진 유헌창 이영준 전성균 정인기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 보고서 [2014]
  • 초연결사회, 집단지성의 기본 단위로서 ‘협업’을 측정하는 도구 개발
    박성미 수산해양교육연구, 29(6), 2048-2057 [2017]
  • 초등학교 저학년을 위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스크래치주니어와 비스킷 사용성 분석
    김자미 이원규 정나은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3(4), 303-314 [2019]
  • 초등학교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초등 소프트웨어 전문가 교사와 일반 교사의 인식 비교
    송미사 정혜영 교과교육학연구, 21(5), 488-497 [2017]
  • 초등소프트웨어교육의 이해와 실제
    문찬규 박정호 한병래 서울: 휴먼싸이언스 [2018]
  • 초?중등 정보교과 교육과정에 교육용프로그래밍언어의 적용
    유승욱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 창의인성 인재 양성을 위한 유아대상 컴퓨팅 사고력 콘텐츠 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
    최연철 유아어린이 교육 콘텐츠와 EBS누리샘의 미디어교육 활용방안, 81-100 [2017]
  • 짝프로그래밍 협업도구를 활용한 SW교육프로그램
    김용옥 전석주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3(4), 375-384 [2019]
  • 집단지성의 구현을 위한 협력학습의 원리 탐색
    양미경 교육방법연구, 23, 457-483 [2011]
  • 질적연구방법으로서의 면담 : 교육학과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자들을 위한 안내서 (박혜준, 이승연 공역). 서울:학지사
    Seidman, I. (원저 2006년 출판) [2009]
  • 질적연구방법 (임은미, 최금진, 최인호, 허문경, 홍경화 공역). 파주: 한울
    Flick, W. (원저 1995년 출판) [2009]
  • 질적연구 방법론. 1: Bricoleur
    김영천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2016]
  • 질적 연구의 다양한 타당성에 대한 비교 분석 연구
    나장함 교육평가연구, 19, 265-283 [2006]
  • 질적 연구와 질적교육
    조용환 교육인류학연구, 7(2), 55-75 [2004]
  • 질적 연구방법론 : 다섯가지 접근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공역). 서울: 학지사
    Creswell, J. W. (원저 2012년 출판) [2015]
  • 지각과 주의의 발달. In V. John-Steiner, E. Souberman & S. Scribner (Eds.), 마인드 인 소사이어티 : 비고츠키의 인간 고등심리 과정의 형성과 교육 (pp.49-59). (정회욱 역).서울: 학이시습
    Vygotsky, L. S. (원저 1978년 출판) [2009]
  •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과 유아교사의 역할
    권귀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4), 47-72 [2018]
  • 제 4 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성태제 교육학연구, 55(2), 1-21 [2017]
  • 정현선.미디어와 교육의 관계를 바라보는 몇 가지 관점과 연구 과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2(4), 1-29 [2012]
  • 정현선, 허경 비판적 사고를 위한 인간의 언어와 컴퓨터 언어의 경계 가로지르기: 미디어 제작 교육에 있어 엔트리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311-320 [2019]
  • 정현선 미디어 교육과 비판적 리터러시: 미디어 분석과 자아표현, 기능 훈련의 사례연구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 정신의 도구 (박은혜, 신은수 공역).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Bodrova, E. Leong, D. (원저 2007년 출판) [2010]
  • 정보교과교육론
    이태욱 최현종 서울: 한빛아카데미 [2016]
  • 정미라 유치원 교사의 집단효능감, 교사효능감, 교육수준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강수경 김민정 유아교육연구, 35(3), 357-375 [2015]
  • 장난꾸러기 개미 두 마리(Two Bad Ants)
    Allsburg, C. V. 파주: 국민서관 [2004]
  • 자유의 교육학 (김종혁, 이유미, 장사형, 조정봉 공역). 서울: 아침이슬
    Freire, P. (원저 2000년 출판) [2007]
  • 인지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에 대한 비교고찰
    방선욱 한국사회과학연구, 27(3), 181-197 [2005]
  • 인지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에 대한 간략한 고찰
    강인애 교육공학연구, 11(2), 48-63 [1995]
  • 인도의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에 대한 분석 및 시사점
    배영권 신승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8(4), 585-594 [2014]
  • 유치원 학습활동에서의 컴퓨터 활용의 발달적 적합성에 관한 고찰
    김선영 교육학연구, 32, 151-166 [1994]
  • 유치원 교사의 유아교육용로봇 제니보 활용실태 조사연구
    김민진 박성미 어린이미디어연구, 12(2), 141-168 [2013]
  • 유치원 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도 분석: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중심으로
    강민정 박선미 정지현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9(2), 462-471 [2018]
  • 유영만 지식생태계의 대변환이 일어난다. 국제미래학회 & 한국교육학술정보원(편.), 제4차 산업혁명시대 대한민국 미래교육보고서 (pp. 65-70)
    파주: 광문각 [2017]
  • 유아용 코딩아트 교육을 위한 커리큘럼 설계
    안성혜 예술교육연구, 17(2), 43-60 [2019]
  • 유아를 위한 사회 도덕성 교육 (이은화, 이경우, 곽향림 공역). 서울: 창지사
    DeVries, R. Zan, B. (원저 1994년 출판) [1997]
  • 유아를 위한 비판적 사고 교수모형의 구성 및 그 적용효과에 관한 연구
    김현경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 유아대상 소프트웨어 교육 수용에 관한 부모 및 유아교사의 인식
    고은현 박정환 양수경 조정원 한국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8, 1-7 [2018]
  • 유아교육의 구성주의적 접근: 구성주의 교수에 대한 성찰
    김선영 아동학회지, 22(4), 271-283 [2001]
  • 유아 컴퓨터 환경에 있어서의 전이와 또래 문화 발달에 관한 연구
    이병호 한국유아교육 보육복지연구, 13(4), 397-416 [2009]
  • 유아 소프트웨어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
    박창현 조준오 홍광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3), 83-106 [2017]
  •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의 현황과 접근방향 제안
    고은현 이경희 조정원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2(1), 7-10 [2018]
  •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 활동에서 교사의 실천과 반성
    임지명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 내용체계 구성을 위한 제언
    고은현 이경희 이영석 조정원 홍찬의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2(2), 15-18 [2018]
  • 유아 사고 교육의 이론적 고찰 : 방향 탐색을 중심으로
    유연옥 조선희 유아교육연구, 18(2), 239-262 [1998]
  • 유아 놀이의 재조명, 그리고 교육적 함의
    지성애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2019(1), 17-40 [2019]
  • 유아 교사의 교수효능감, 행복감, 유아의 기관 및 교사 선호, 또래 놀이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심미영 이문옥 교사교육연구, 57(4). 469-480 [2018]
  • 우리는 모두 메이커다 (이현경 역). 서울: 인사이트
    Conrad, A. Dougherty, D. (원저 2016년 출판) [2018]
  • 왜 구성주의인가?: 정보화시대와 학습자중심의 교육환경
    강인애 서울: 문음사 [1997]
  • 에스토니와의 비교를 통한 국내 SW교육의 한계점과 개선방안
    김다은 신용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2(1), 11-14 [2018]
  • 에밀 (민희식 역). 서울: 육문사
    Rousseau, J. J. (원저 1883년 출판) [2006]
  • 에듀테크
    홍정민 서울: 책밥 [2017]
  • 언플러그드를 활용한 유아 소프트웨어 활동이 유아의 문제해결력과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유영 정유진 Global Creative leader, 8(2), 65-77 [2018]
  • 언플러그드 활동의 학습자 평가기준 연구
    전우천 인터넷정보학회지, 20(1), 41-44 [2019]
  • 언어 교수-학습에 대한 구성주의 관점. In T. C. Fosnot (Ed.), 구성주의 이론, 관점, 그리고 실제 (pp. 143-158). (조부경, 김효남, 백성혜, 김정준 공역). 서울: 양서원
    Gould, J. S. (원저 1998년 출판) [2001]
  • 어린이들의 사회적 능력 배양 : 교사의 역할 (홍용희 역). 서울: 양서원
    Katz, L. G. McClellan, D. E. (원저 2001년 출판) [2001]
  • 앤서니 브라운의 마술연필(Bear's magic pencil)
    Browne, A. 파주: 웅진주니어 [2010]
  • 스크래치 주니어를 활용한 초등 저학년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지윤 이태욱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2), 115-118 [2016]
  • 쉽게 배우는 소프트웨어공학
    김치수 서울: 한빛아카데미 [2015]
  • 소프트웨어교육의 이해와 실제
    김동만 김석희 이철현 파주: 양서원 [2016]
  • 소프트웨어 교육은 미래형 사고력 향상 교육이다. 국제미래학회 & 한국교육학술정보원(편.), 제4차 산업혁명시대 대한민국 미래교육보고서 (pp. 470-479)
    이단형 파주: 광문각 [2017]
  •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온정덕 이철현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0(4), 179-203 [2017]
  • 세상을 만드는 글자, 코딩: 창의와 소통을 위한 코딩 인문학
    박준석 서울: 동아시아 [2018]
  • 사회적 구성주의 교육과정의 공통적 특성 탐구 및 실행 분석
    오문자 어린이교육비평, 2(2), 5-36 [2012]
  •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구성놀이가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김지윤 장영숙 열린부모교육학회, 7(2), 15-32 [2015]
  • 브루너의 이론에 근거한 인도의 정보교육과정 고찰
    김자미 이원규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7(6), 59-69 [2014]
  • 발달에 적합한 유아교육 실제 (강숙현, 최미숙 공역). 광주: 전남대학교출판부
    Bredekamp, S. (원저 1987년 출판) [2000]
  • 박찬, 김병석, 박정민, 전수연, 전은경 4차 산업 수업 혁명: With STEAM 교육 & Maker 교육
    변문경 최인수 서울: 다빈치books [2018]
  • 바트, 장재용 코딩시대
    서울: 클라우드북스 [2017]
  • 민주주의와 교육: 교육철학 개론 (이홍우 역). 파주: 교육과학사
    Dewey, J. (원저 1923년 출판) [2007]
  • 미첼 레스닉의 평생 유치원 (최두한 역). 서울: 다산사이언스
    Resnick, M. (원저 2017년 출판) [2018]
  • 미래사회는 인성교육으로 지속 가능해진다. 국제미래학회 & 한국교육학술정보원(편.), 제4차 산업혁명시대 대한민국 미래교육보고서 (pp. 408-417)
    조벽 파주: 광문각 [2017]
  • 미래 학교제도는 어떻게 변하나?. 국제미래학회 & 한국교육학술정보원(편.), 제4차 산업혁명시대 대한민국 미래교육보고서 (pp. 205-214)
    정제영 파주: 광문각 [2017]
  • 물리적 지식활동. In R. Devries (Ed.), 구성주의 유아교육교수법 (pp. 91-98) (곽향림, 허미화, 김선영 공역). 서울: 창지사
    DeVries, R. (원저 1991년 출판) [2007]
  • 물리적 지식 활동 : 피아제이론이 암시하는 과학 교육 (이경우, 문미옥 공역). 서울: 창지사
    DeVries, R. Kamii, C. (원저 1993년 출판) [1998]
  • 문제해결과 컴퓨팅 사고
    천인국 고양: 인피니티북스 [2017]
  • 면접법
    백욱현 파주: 교육과학사 [2006]
  • 메이커 혁명, 교육을 통합하다 (송기봉, 김상균 공역). 서울: 홍릉출판사
    Martinez, S. L. Stager, G. (원저 2013년 출판) [2015]
  • 마인드셋 (김준수 역). 서울: 스몰빅라이프
    Dweck, C. S. (원서 2008년 출판) [2017]
  • 레지오 에밀리아의 프로젝트 접근법. In T. C. Fosnot (Ed.), 구성주의 이론, 관점, 그리고 실제 (pp. 257-269). (조부경, 김효남, 백성혜, 김정준 공역). 서울: 양서원
    Forman, G. (원저 1998년 출판) [2001]
  • 두 개의 뇌를 가진 미래 아이들을 위한 교육 콘텐츠의 진화. 국제미래학회 & 한국교육학술정보원(편.), 제4차 산업혁명시대 대한민국 미래교육보고서 (pp. 435-445)
    이지현 파주: 광문각 [2017]
  • 대한민국 미래교육의 인재상. 국제미래학회 & 한국교육학술정보원(편.), 제4차 산업혁명시대 대한민국 미래교육보고서 (pp. 172-176)
    안종배 파주: 광문각 [2017]
  • 누리과정 기반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과정 구성방향 탐색
    조준오 홍광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5), 557-583 [2017]
  • 놀이지도: 아이들을 사로잡는 상호작용 (송혜란, 신혜영, 신혜원, 조혜진 공역). 서울: 다음세대
    Trawick-Smith, J. (원저 1994년 출판) [2008]
  • 놀이를 통한 컴퓨팅 사고력 개발을 위한 유아 교 구 개발에 관한 연구
    김경민 김정민 홍일경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2), 187-190 [2016]
  • 놀이로 배우는 컴퓨터 과학 (이원규, 김자미 편역). 서울: 휴먼싸이언스
    Bell, T. Fellows, M. Witten, I. (원저 1998년 출판) [2016]
  • 국내 게이미피케이션 연구의 메타 분석: 동향과 제안
    권보연 류철균 인문콘텐츠, (39), 97-124 [2015]
  • 구성주의와 학습의 사회이론
    손민호 서울: 문음사 [2005]
  • 구성주의교사의 변화와 성장 들여다보기
    곽향림 최성운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3, 25-53 [2016]
  • 구성주의: 학습심리이론. In T. C. Fosnot (Ed.), 구성주의 이론, 관점, 그리고 실제 (pp. 19-25). (조부경, 김효남, 백성혜, 김정준 공역). 서울: 양서원
    Fosnot, C. T. (원저 1998년 출판) [2001]
  • 구성주의(Constructivism)의 교육적 함의
    추병완 교육과정평가연구, 12, 1-15 [2000]
  • 구성주의 인식론과 교수?학습론
    곽영순 파주: 교육과학사 [2016]
  • 구성주의 유아교육에서 테크놀로지의 역할
    나귀옥 하재옥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20, 69-87 [2007]
  • 구성주의 유아교육 교수학습법
    곽향림 고양: 공동체 [2015]
  • 구성주의 본질에 기초한유아교사와 수업의 지향점 탐색
    조부경 한국유아교육연구, 16(1), 69-88 [2014]
  • 구성주의 교육이란 무엇인가? 정의와 교수 원리. In R. Devries (Ed.), 구성주의 유아교육교수법 (pp. 51-72) (곽향림, 허미화, 김선영 공역). 서울: 창지사
  • 구성주의 관점에서 본 유아의 개념변화를 위한 과학교수방법
    곽향림 유아교육학논집, 6(1), 87-109 [2002]
  • 구성주의 관점. In T. C. Fosnot (Ed.), 구성주의 이론, 관점, 그리고 실제 (pp. 19-25). (조부경, 김효남, 백성혜, 김정준 공역). 서울: 양서원
    Glasersfeld, E. (원저 1998년 출판) [2001]
  •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한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 경험의 의미 탐색
    원서연 최연철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6), 1165-1187 [2019]
  •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에 따른 초보학습자의 프로그래밍 인식 변화
    김용천 조선희 최요문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2), 7-10 [2016]
  •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선택 전략
    신수범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4]
  • 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이해
    박성익 이재경 임철일 최정임 서울: 교육과학사 [2007]
  • 교육 기반이 바뀌어야 대한민국이 산다. 국제미래학회 & 한국교육학술정보원(편.), 제4차 산업혁명시대 대한민국 미래교육보고서 (pp. 181-191)
    진대제 파주: 광문각 [2017]
  • 교수매체 환경과 유아의 경험양식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자유선택활 동을 중심으로
    유혜령 유아교육연구, 18(1), 131-153 [1998]
  • 교수 학습을 위한 교육공학 (노석준, 오선아, 오정은, 이순덕 공역). 서울: 학지사
  • 교과교육 분야 질적연구의 타당도 확보 기법에 대한 고찰-참여자 확인, 동료검토, 감사추적을 중심으로
    나장함 교육연구(70), 233-254 [2017]
  • 과학적 지식, 인식론, 질적연구방법
    이윤경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17(2), 356-368 [2017]
  • 공교육의 미래 : 디지털혁명시대의 교육비전 (황기우 역). 서울: 원미사
    Collins, A. Halverson, R. (원저 2009년 출판) [2014]
  • 고차적 사고력 교육 (박진환, 김혜숙 공역). 고양: 인간사랑
    Lipman, M. (원저 2003년 출판) [2005]
  • 경험과 교육 (강윤중 역). 서울: 배영사
    Dewey, J. (원저 1986년 출판) [2011]
  • 게임요소가 재미와 몰입에 미치는 영향
    김상욱 김종우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4(11), 160-163 [2014]
  • 개정된 정보교육과정에서 교육용프로그래밍언어의 교육적 적용방안
    김수환 김현철 이원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2(2), 23-31 [2009]
  • 木村?999마리 개구리 형제의 이사(おひっこし)
    서울: 한국몬테소리 [2005]
  • 『질적연구 ? 철학과 예술 그리고 교육』
    곽영순 서울: 교육과학사 [2009]
  • 『All I Really Need to Know ( AboutCreative Thinking ) ILearned ( By Studying HowChildren Learn ) in Kindergarten』
    [2007]
  •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김영석 김한별 유기웅 정종원 서울: 박영스토리 [2018]
  • ‘제4차 산업혁명’과 미래교육의 과제
    조상식 미디어와 교육, 6(2), 152-185 [2016]
  • Viscuit을 활용한 코딩 교육에 관한 연구
    김지현 박성빈 채지선 황서진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1(3), 1-10 [2018]
  • Unplugged Cybersecurity : An Approach for Bringing Computer Science into the Classroom
    2 ( 1 ) . [2018]
  • The maker movement
    7 ( 3 ) , 11-14 . [2012]
  • The development of conscious control in childhood
    8 ( 1 ) , 12-17 . [2004]
  • The Maker Movement in Education
    84 ( 4 ) , 495-504 [2014]
  • Some reflections on designingConstruction kits for kids . In Proceedings of the 2005Conference on Interaction design andChildren
    pp . 117-122 [2005]
  • SituatingConstructionism
    36 ( 2 ) , 1-11 . [1991]
  • Scratch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습자 특성, 학습몰입, 학습효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박주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Rockstein, M유치원의 시작 (곽노의 역). 서울: 북섬
    Heiland, H. Lehnemann, W. (원저 1999년 출판) [2007]
  • Research in review
    [1993]
  • R-러닝 유아 언어발달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서윤희 최연철 어린이미디어연구, 13(1), 277-311 [2014]
  • Protecting brains , not simply stimulating minds
    333 ( 6045 ) , 982-983 . [2011]
  • Piaget ’ sConstructivism , Papert ’ sConstructionism : What ’ s the difference
    5 ( 3 ) , 438 . [2001]
  • Papert on piaget
    [1999]
  • Nimmo, John.발현적 교육과정 (김경철, 최연철 공역). 파주: 교육과학사
    Johns, E. (원저 1994년 출판) [2015]
  • New frameworks for studying and asesing the development of computational thinking . In Procedings of the 2012 anual m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ociation
    [2012]
  • Mindstorms : Children , computers and powerful ideas
    [1980]
  • Minds in play : Computer game design as a context for children 's learning
    [1995]
  • Fundamental assessment principles for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8 ) , 89-103 [2000]
  • Distributed constructionism . In Proceedings of the 1996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earning sciences
    pp . 280-284 [1996]
  • Designing for tinkerability . In M. Honey & D. E. Kanter ( Eds . ) , Design , make , play : Growing the next generation of STEM innovators
    pp . 163-181 [2013]
  • Designing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s .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models : A new paradigm of instructional theory
    2 , 215-239 [1999]
  • Critical thinking : What , why , when , and how
    23 ( 1 ) , 89-109 [1991]
  • Constructivism : New implications for instructional technology ?
    31 ( 5 ) , 7-12 . [1991]
  • Constructing computational thinking without using computers
    14 ( 3 ) , 342-351 . [2019]
  • Computing in the curriculum : Challenges and strategies from a teacher ’ s perspective
    22 ( 2 ) , 469-495 [2017]
  • Computer pedagogy ? : Questions concerning the new educational technology
    85 , 569-577 [1984]
  • Computer as Mudpie
    4 ( 6 ) , 36 [1984]
  • Computational thinking의 초등교육 활용 방향
    문교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6), 518-526 [2013]
  • Computational thinking(CT)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김성원 이영준 한정민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5(2), 224-227 [2017]
  • Computational thinking is pervasive
    1 ( 2 ) , 67-69 [2007]
  • Computational thinking and thinking about computing
    366 ( 1881 ) , 3717-3725 [2008]
  • Computational thinking : A guide for teachers
    [2015]
  • Computational thinking
    49 ( 3 ) , 33-35 . [2006]
  • Computational Thinking 에 대한 정보교육 교사들의 인식 비교
    류미영 한선관 교육논총, 38(2), 1-19 [2018]
  • Computational Thinking Leadership Toolkit 1st edition
    [2011]
  • Coding and Computational Thinking in Early Childhood : The Impact of ScratchJr in Europe
    3 ( 3 ) , 8 [2018]
  • Classroom Talk and Computational Thinking
    1 ( 4 ) , n4 [2017]
  • CT-Remix 소프트웨어 교육 모델의 개발과 적용
    김승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CSTA K-12 Computer science standards
    [2011]
  • Bringing Computational Thinking to K-12 : What is Involved and What is the Role of the Computer Science Education Community
    2 ( 1 ) , 48-54 . [2011]
  • Beyond Black Boxes : Bringing Transparency and Aesthetics Back to Scientific Investigation
    9 ( 1 ) , 7-30 . [2000]
  • 4차산업혁명과 교육
    김진수 김한별 박상영 이태욱 서울: 공감북스 [2019]
  • 4차 산업혁명, 교육이 희망이다
    류태호 서울: 경희대학교 [2017]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간상과 누리과정 목표와의 연관성
    김충일 김호현 열린교육연구, 26(1), 79-94 [2018]
  • 4차 산업혁명 기반 유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교사교육 요구도에 관한 연구
    박희숙 송윤나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3), 65-90 [2017]
  • 21st Century Skills 와 Computational Thinking 관점에서의 정보 교육과정 분석
    최숙영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4(6), 19-30 [2011]
  • (테크놀로지와 함께하는) 유의미학습 (이영주, 조영환, 최재호 공역).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 (컴퓨팅 사고력을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 방법
    류미영 한선관 파주: 생능출판 [2018]
  • (브루너) 교육의 문화 (강현석, 이자현 공역). 서울: 교육과학사
    Bruner, J. S. (원저 1996년 출판) [2005]
  • (Code.org를 활용한) 컴퓨팅 사고력과 코딩 교육 (김수환, 김찬웅, 김해영공역). 서울: 한빛아카데미
    Krauss, J. Prottsman, K. (원저 2016년 출판) [2017]
  • & Glenn, J.세계미래보고서 2055
    박영숙 서울: 비즈니스북스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