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중국 현지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요청 화행 교육 방법 연구 = 针对中国当地韩国语学习者的 请求言语行为 教学方法研究

이정화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중국 현지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요청 화행 교육 방법 연구 = 针对中国当地韩国语学习者的 请求言语行为 教学方法研究'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요청 화행
  • 중국인 학습자
  • 한국어 교재
  • 한국어교사
  • 한국어교육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789 0

0.0%

' 중국 현지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요청 화행 교육 방법 연구 = 针对中国当地韩国语学习者的 请求言语行为 教学方法研究' 의 참고문헌

  • 《중국 대학 출판 한국어 교재》
  • 《한국 대학 출판 한국어 교재》
  • 현대국어의 공손성 연구
    김명운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현대 한국어 활용어미의 의미와 부담줄이기의 상관성
    이해영 이화여자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1996]
  •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의 화용 정보 기술에 대한 고찰
    이준호 『이중언어학』 61, 이중언어학회, 215-240 [2015]
  • 체면의 심리적 구조
    김기범 최상진 『한국심리학회지』 14(1), 한국심리학회, 185-202 [2000]
  • 조천 박지현, 「한국인 및 중국인 강사의 한국어 수업에 대한 중국 대학생들의 인 식」, 『교육문제연구』 21(2)
    전북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145-172 [2015]
  • 일본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거절 화행 실현 양상 연구
    이해영 『한국어 교 육』 14(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95-323 [2003]
  • 이슬비, 「한국어 교사의 학습자 오류 평가에 대한 연구 -원어민(NS) 교사 와 비원어민(NNS) 교사의 오류 판정 양상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22
    강남욱 서 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85-227 [2008]
  • 연구조사방법론
    이훈영 청람 [2012]
  • 비원어민 한국어교사 연구의 동향 분석
    김가람 『국어교육연구』 43, 서울대 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31 [2019]
  •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 개발 2단계
    김중섭 국립국어원 연구 보 고서 [2011]
  •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
    김중섭 국립국어원 연구 보고 서 [2017]
  • 『홍콩 한국어 학습자의 요청과 거절 화행 양상 연구』
    Polly Loong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현대영어교육의 이해와 전망』
    고인수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 『한중 한국어 교재 대화문에 나타난 공손표현 연구 -요청화행을 중심으 로-』
    박혜연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 『한중 요청화행의 단계별 대조 연구』
    장우양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 『한중 요청 화행에 관한 연구』
    소남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 『한국어와 중국어의 요청화행 대조 연구』
    양영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한국어교육을 위한 과제활동 연구』
    원해영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한국어교사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개발』
    손주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 『한국어 화행 교육의 필요성과 교수 방안 연구 -‘요청‘ 화행을 중심으 로-』
    임마누엘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불안 연구』
    정진현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요청화행 교육 방안 연구』
    박지영 숙명여자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06]
  • 『한국어 지시화행의 담화문법 연구 -의미, 형태, 사용에 대한 맥락 분석 적 접근을 중심으로-』
    김강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 『한국어 지시 화행과 공손성의 상관관계 연구 -부탁 화행과 제의 화행을 중심으로-』
    장효은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한국어 중고급 교재 대화문에 나타난 사회언어학적 변인 분석 -대화참 여자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서현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 『한국어 의도성 표현의 교육 방안 연구』
    김서형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한국어 요청 화행의 교육 방안 연구 -중국인 초급 KFL 학습자를 대상 으로-』
    왕설교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한국어 요청 화행에서 사용되는 문법표현 위계화 연구』
    강동기 배제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15]
  • 『한국어 문법 총론 Ⅱ』
    구본관 집문당 [2017]
  • 『한국어 문법 교육 연구 -추측 표현을 중심으로-』
    이미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05]
  • 『한국어 명령문의 문법과 화행 연구』
    이지수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한국어 교재의 제시대화문 구성 연구』
    이소림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 『한국어 교재의 공손성 분석 -요청 발화를 중심으로-』
    김수정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한국어 교재 대화문에 나타난 명령 요청 제안의 적절성 연구』
    김은영 경희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10]
  • 『한국어 교재 대화 연구 -대화 구조와 사회언어학적 변인 분석을 중심으 로-』
    방혜숙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
  • 『한국어 교육을 위한 ‘-는데’의 교수-학습 내용 체계화』
    전정미 부산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2019]
  • 『한국어 교수법』
    김재욱 형설출판사 [2015]
  • 『한국어 공손표현의 화용론적 연구』
    허상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 『한국어 공손성 인식 연구 –요청화행을 중심으로-』
    박소연 연세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148 - [2019]
  • 『학습 환경이 요청화행 전략 및 표현에 미치는 영향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정일함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학습 환경에 따른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요청 화행 연구』
    BAYARMAA, T.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표현 의도의 표현 방식에 관한 화용론적 연구』
    이성영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1994]
  • 『태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요청 화행 연구』
    수파펀분룽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07]
  • 『초급 한국어 교재 대화문의 적절성 연구』
    김준희 배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중학교 체육교과에서 보건환경 교육을 위한 모듈 개발』
    박옥자 한국교원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04]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 능력 발달 연구 -요청 화행 실현 전략을 중심으로-』
    이선명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요청화행에 관한 연구』
    Chu Wen Bo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요청화행 사용 양상 분석을 통한 한국어 교재 재구성 방안 연구 -한 중 비교를 중심으로-』
    Liu Qian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의문문의 간접화행 교육 연구』
    진강려 서울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13]
  • 『중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 연구』
    손명양 전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7]
  •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화행 교육 연구』
    Li Ming Ji 서울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10]
  • 『중국 대학의 한국어과 교육과정 및 인식 연구』
    유단청 대진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17]
  • 『중국 대학의 한국어 말하기 교육과정 연구』
    강곤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중국 내 한국어학 전공자를 위한 기본 교재 개발 연구』
    김향란 상명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2019]
  • 『중 고급 토픽 듣기 영역에 나타난 요청화행의 표현 양상에 대한 연구』
    최해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입력중심 화행교수와 출력중심 화행교수가 초등학생 화행 습득에 미치 는 효과 분석 -요청하기와 거절하기-』
    김미나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요청 화행에 관한 연구 -한국인 화자와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간의 대조를 통해-』
    조경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이화 한국어』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영어화용론』
    김경애 종합출판 [2012]
  •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요청 화행에 나타난 언어적 전략과 비언어적 전략 연구』
    황진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영어교재론 개관』
    배두본 한국문화사 [2014]
  • 『영어교육을 위한 화용론』
    이재희 한국문화사 [2011]
  • 『영어 대화에서의 의사소통 장애 원인 분석 연구』
    정주용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0]
  • 『연세 한국어』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연세대학교출판부
  • 『역할극 수행이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지수 이 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아랍권 한국어 학습자의 요청 화행 사용 양상 분석』
    Heba, M.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성별에 따른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요청 화행 적절성 인식 연구』
    문미경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서강 한국어』
    서강대학교 한국어교육원, 서강대학교 국제문화교육원 출판부
  • 『사회적 상호작용 과제 중심의 한국어 수업 연구』
    박헤레나 전북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2017]
  • 『브라질인 한국어 학습자의 공손표현 사용양상 연구: 요청화행을 중심으 로』
    이효숙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북한이탈주민의 요청화행 수행 양상에 대한 연구』
    이주랑 이화여자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16]
  • 『미국 영어와 한국어에서의 공손성 비교 연구 -대학생들의 칭찬과 칭찬 반응 화행을 중심으로-』
    곽지영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말하기 듣기의 본질적 개념과 교육과정 구성 방안 연구』
    전은주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 『말하기 듣기 교육에서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오현진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08]
  • 『대화분석적 관점을 반영한 한국어 요청 화행 교육 방안 -대화참여자 관 계에 따른 요청 대화 인접쌍 분석을 바탕으로-』
    강민경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담화 화용론』
    송경숙 한국문화사 [2005]
  •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 개발(1단계)』
    김중섭 국립국어원 연구 보 고서 [2010]
  • 『국어의 간접화행에 관한 몇 가지 연구』
    정재은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1994]
  • 『국어의 간접 화행에 관한 연구』
    이준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 『과제중심 영어수업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김미영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과제 중심 접근법에 기반한 한국어 교육 과정 개발 방안 연구 -비고츠 키 사회문화이론을 적용하여-』
    김지영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간접화행』
    이준희 역락 [2000]
  • 『韩国语教程』, 张先军 张威威 范若冰, 世界图书出版社.
  • 『韩国语』, 李先汉 金京善 王丹 金成兰 金正佑, 民族出版社.
  • 『标准韩国语』, 安炳浩 张敏 权今淑, 北京大学出版社.
  • 「화행의미론」
    장경희 『한국어 의미학』 2, 한국어의미학회, 41-56 [1998]
  • 「화행과 요청」
    고대영 『배달말』 55, 배달말학회, 1-23 [2014]
  • 「화행 교육을 위한 제언」
    백경숙 『영어교육연구』 17(4),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251-288 [2005]
  • 「한중 언어에서 요청 화행과 거절 화행의 대조 연구」
    채춘옥 『중어중문학』 62, 한중인문학회, 121-151 [2015]
  • 「한국어와 중국어의 요청화행 대조 분석 연구」
    최수진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학술대회, 278-294 [2007]
  • 「한국어와 중국어의 요청표현 대조 분석 -TV 드라마의 대화를 중심으로 -」
    김정은 『중국어문학논집』 41, 중국어문학연구회, 173-192 [2006]
  • 「한국어와 중국어의 요청 화행 대조 연구」
    이명희 『이중언어학』 42, 이중언어 학회 103-133 [2010]
  • 「한국어교육에서의 화행 교육의 목표와 방향 -칭찬 반응 화행을 중심으 로-」
    양명희 『한말연구』 29, 한말연구학회, 193-216 [2011]
  • 「한국어교육에서의 모듈식 교수-학습 모델 개발 연구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의 모듈화를 중심으로-」
    심혜령 이선중 『이중언어학』 69, 이중언어학회, 137-159 [2017]
  • 「한국어교육에서 원어민 교사의 역할에 관한 소고」
    배윤경 『중국조선어문』 2014(4),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40-45 [2014]
  • 「한국어 화행동사의 분석과 분류」
    장석진 『어학연구』 23(3), 서울대학교 어학연 구소, 307-332 [1987]
  • 「한국어 표현문형 담화기능과의 상관성 분석 연구 -지시적 화행을 중심 으로-」
    강현화 『이중언어학』 34, 이중언어학회, 1-26 [2007]
  • 「한국어 요청화행 표현연구」
    정민주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한국어 요청 화행 교수-학습에 관한 비판적 분석 -초급 교재를 대상으로-」
    김혜련 전은주 『새국어교육』 97, 한국국어교육학회, 233-259 [2013]
  • 「한국어 말하기 듣기 교육에서 “실제성 원리”의 적용 층위와 내용」
    전은주 『새국 어교육』 89, 한국국어교육학회, 553-575 [2011]
  •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에 대하여」
    박석준 『문법교육』 3, 한국문법교육학회, 233-251 [2005]
  • 「한국어 교재 대화문의 전형성과 구성 요건」
    김서형 장향실 『한국언어문학』 83, 한국언어문학회, 425-450 [2012]
  • 「한국어 교재 대화문에서 대화 참여자의 상호작용성 연구」
    이미향 『화법연구』 31, 한국화법학회, 213-246 [2016]
  • 「한국어 교육에서의 지시 화행 실현 양상 -한국어능력시험을 중심으로 -」
    이은희 『텍스트언어학』 40,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51-177 [2016]
  • 「한국어 교육에서 화행에 대한 비판적 검토」
    유혜령 『한국어 교육』 20(2), 국제 한국어교육학회, 107-127 [2009]
  • 「한국어 교육에서 기초 문법 항목의 선정과 배열 연구」
    김제열 『한국어 교육』 12(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93-121 [2001]
  • 「한국어 간접 지시 화행 교육의 실태와 교재 구성 방안 -한국어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이은희 『문법교육』 20, 한국문법교육학회, 271-295 [2014]
  • 「한국 중국 미국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 비교 연구- 연세한국어 6, 韓國語 4, Integrated Korean-Advanced Intermediate 1을 중심으로」
    임칠성 『국어교육학연구』 51(3), 국어교육학회, 185-219 [2016]
  • 「학술적 글쓰기를 위한 읽기, 생각하기, 글쓰기 수업 모듈」
    배식한 『작문연구』 10, 한국작문학회, 193-225 [2010]
  • 「평가 기준을 통한 중국 대학교의 한국어 교재 분석 -북경대학 조선문화 연구소 『한국어 1, 2』와 상해복단대학 『초급한국어 (상, 하)』를 중심으로-」
    엄녀 『한 국어 교육』 18(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35-262 [2007]
  • 「통합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 설계 방안」
    김정숙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 국제한국어교육학회, 85-100 [2003]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교원에 대한 인식 연구 -북경 지역 학 습자를 대상으로-」
    김가람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43,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1-29 [2015]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겠-을 포함한 요청 화행의 공손 의미 습득 양 상」, 『한국어 의미학』 40
    정진 한국어의미학회, 415-439 [2013]
  • 「중국의 한국어교육 현황과 문제점 및 해결방안」, 『아시아문화연구』 29
    런샤오리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35-60 [2013]
  • 「중국의 한국어 교재 사용 현황과 개발 방향 연구」
    유쌍옥 『한중인문학연구』 51, 한중인문학회, 189-213 [2016]
  •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재 편찬에서 제기되는 문제점」
    김순녀 『순천향 인문과학 논총』 24,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49-274 [2009]
  •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전망」
    왕단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학술대 회』 2008(8),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17-31 [2009]
  • 「중국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교육에 관한 연구 -중국 출간 한 국어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김지혜 채윤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3), 학습자중심교과 교육학회, 758-775 [2019]
  •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재 개발의 문제점 및 해결 방안」
    장광군 『국어교육연구』 7,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79-97 [2000]
  •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중국 내 한국어교재 편찬 현황과 향후 개 발 방향 -2000년부터 2015년까지의 한국어교재를 중심으로-」, 『어문논총』 76
    김철 민영란 한국문학언어학회, 35-60 [2018]
  • 「중국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의 실제와 문제」
    최우길 『동아인문학』 34, 동아인 문학회, 351-374 [2016]
  • 「중국 한국어교재 중 부정의문문 간접화행 기능 출현 양상」
    이해영 『한국(조 선)어교육연구』 14, 중국한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247-276 [2019]
  • 「중국 연변 조선족 언어의 이질화 연구」
    김선희 『한국어문연구』 11, 한국어문 연구학회, 5-35 [1998]
  • 「중국 산둥지역 한국어교육의 현황 및 전망」
    이호 『국어문학』 61, 국어문학회, 341-365 [2016]
  • 「중국 대학에서의 한국어문학과 개설 현황 및 발전 방안 연구」
    김용범 『한 국학연구』 63,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35-66 [2017]
  • 「중국 대학기관용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에 대한 고찰」, 『중국학연구』 58
    진정란 중국학연구회, 269-292 [2011]
  • 「중국 대학 한국어 교재의 화용적 분석」
    이정화 『2019년 여름 우리말학회 전 국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우리말학회, 23-38 [2019]
  • 「중국 대학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 분석 -요청 화행을 중심으로-」
    이정화 『학 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805-823 [2019]
  • 「중국 내 한국어교육의 과제와 전망」
    조항록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국제한국 언어문화학회, 925 [2004]
  • 「중국 내 한국어 인재 양성 현황 및 교과과정 개선방안」, 『한국학연구』 50
    유창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33-155 [2018]
  • 「일본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요청 화행 연구: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이강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외국인의 요청 표현에 대한 한국인의 반응 연구 -한국인이 선호하지 않는 표현을 중심으로-」
    홍승아 『한어문교육』 36,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113-136 [2016]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
    성기철 『국어교육』 107, 한국국어교육연구학 회, 135-161 [2002]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 –문법 항목의 선정과 단계화를 중심으 로-」
    김유정 『한국어 교육』 9(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9-36 [1998]
  •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요청화행 연구」
    이지혜 『세계한국어문학』 3, 세계한 국어문학회, 273-306 [2010]
  • 「연변 조선족 방언 음성의 실험적 연구」
    김현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1(1), 한 국음성학회, 47-52 [2009]
  • 「양자체면이론 한국적 커뮤니케이션 이론화의 한 시도」
    강길호 『한국소통학보』 12, 한국소통학회, 106-131 [2009]
  • 「상거래 대화에서의 공손 책략」
    김정선 『텍스트언어학』 7, 한국텍스트언어학회, 179-208 [1999]
  • 「범주강삼각주지역의 한국어교육 현황과 과제 -4년제 대학의 한 국어교육을 중심으로-」
    이인순 허세립 『한중인문학연구』 44, 한중인문학회, 131-153 [2014]
  • 「드라마에 나타난 한국어 요청 거절 화행 분석」
    김하나 『한국어와 문화』 15,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131-164 [2014]
  • 「대학 기관의 한국어 교재에 대한 비판적 분석 -문화와 문법 영역을 중 심으로-」
    양영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7),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357-377 [2014]
  • 「기업가정신교육의 교과내용과 방법에 관하여: HAKS모형에 기반 한 모듈식 교육방안」
    김영수 성상기 『상업교육연구』 29(5), 한국상업교육학회, 1-30 [2015]
  • 「기능과 문법 요소의 연결을 통한 한국어 교육 -명령 기능을 중심으로 -」
    한송화 『한국어 교육』 14(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89-313 [2003]
  • 「국어 지시 화행의 유형과 방법 및 지시 강도」
    장경희 『텍스트언어학』 19, 한 국텍스트언어학회, 185-208 [2005]
  • 「공익광고 텍스트에 나타난 지시화행의 실현 양상 연구」
    전정미 『한말연구』 33, 한말연구학회, 245-268 [2013]
  • 「"ウリナラ/한국", "ウリマル/한국어"의 거리 -이양지의 이중언어 문학-」
    이재봉 『현대문학이론연구』 51, 현대문학이론학회, 305-335 [2012]
  • “한국어 화행에서 공손성의 실현 양상”
    김서형 『한국어학』 61, 한국어학회, 123-143 [2013]
  • When the Teacher is a Non-native Speaker ,Teaching English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2001]
  • Towards Tomorrow 's Linguistics
  • Theoretical Based of Communicative Approached to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Testing
    1 , 1-47 [1980]
  • The logic of politeness : Minding your p 's and q 's
    [1973]
  • The Threshold Level in a Unit/Credit System
    [1980]
  • The Studies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1994]
  • The Non-native Teacher
    [1994]
  • Task-based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2003]
  • Speech Acts
    [1969]
  • Sociolinguistics an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1989]
  • Second Language Pedagogy
    [1987]
  •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 IntroductoryCourse ,
    [2001]
  • Role play
    [1992]
  • Requests and Apologies : ACross-Cultural Study of Speech Act Realization Patterns (CCSARP )
    5 , 196-213 [1984]
  • Propositional Structure and Illocutionary Force
    [1977]
  • Principles of Pragmatics
    [1983]
  • Pragmatics
    [1983]
  • Pragmatics
    [1996]
  • Pragmatics
    [2006]
  • Politeness : Some Universals in Language Usage
    [1987]
  • Perspectives : Sociolinguistics and TESOL
    [1989]
  • Native or Nonnative : What Do Students Enrolled in an Intensive English Program Think ? , In L. Kamhi-Stein ( eds . ) , Learning and teaching from experience : Perspectives on nonnative English-speaking professionals
    [2004]
  • Native or Non-Native ?
    4 , 1-18 [2009]
  • Modeling and Assessing Second Language Acquisition
  • Linguistic Communication and Speech Acts :
    [1979]
  • Learning How to Say What You Mean in a Second Language : A Study of Speech Act Performance of Learners of Hebrew as a Second Language
    3 , 29-59 [1982]
  • Language Curriculum Design
    [2010]
  • Language , Culture , and Politeness , Cogito : the Journal of PNU Humanities Institute
    58 , 57-89 [2002]
  • Issues and Terminology ,Focus on Form in Classroom Second Language Acquisition
    [1998]
  •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Korea , In Gudykunst , W. B. , Ting-Toomey , S. , & Nishida , T . ( eds . ) , Communication in Personal Relationships Across Cultures
    [1996]
  • Interlanguage Pragmatics : Requests , Complaints and Apologies
    [1995]
  • Interactional Ritual : Essays on Face-to-Face Behavior ,
    [1967]
  • Input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 How to Do Things with Words
    [1962]
  • Grice, H. P. (1975), Logic and Conversation, In Cole and Morgan (eds.), Speech Acts, New York: Academic Press.
    [1975]
  • Fundamental concepts of language teaching
    [1983]
  • Dilemmas in Planning English/Vernacular Relations in Postcolonial Communities
    9 ( 3 ) , 418-447 . [2005]
  • Designing tasks for the communicative classroom
    [1989]
  • Cross-cultural Pragmatics : Requests and Apologies
    [1989]
  •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1981]
  • Communicative Competence : Some Rules of Comprehensible Input and Comprehensible Output in its Development
    In Gass , S. M. , & [1985]
  • Aspects of the Theory of Syntax
    [1965]
  • Analytical Classification of the Categories of Adults Needing to Learn Foreign Languages , Reprinted in Trim et al
    [1971]
  • An Analysis of Vernacular Performative Verbs , In Shuy , R. W.
    [1974]
  • A framework for the implementation of task-based instruction
    17 , 38-62 [1996]
  • A framework for task-based learning .
    [1996]
  • A Role for Instruction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 Task-based
    [1985]
  • A Descriptiv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agmatic Competence by Korean Learners of English in the Speech Act of Complimenting
    [1996]
  • : 한국어 화용론
    박영순 박이정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