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외래어 교육 방안 연구 = 以中国学习者为对象的韩语外来语教育方案研究

이, 빙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외래어 교육 방안 연구 = 以中国学习者为对象的韩语外来语教育方案研究'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언어
  • 외래어 교육
  • 중국인 학습자
  • 한국어교육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603 0

0.0%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외래어 교육 방안 연구 = 以中国学习者为对象的韩语外来语教育方案研究' 의 참고문헌

  • 金多榮(2008), 「漢韓外來語對比硏究」, 山東大學 碩士學位論文.
  • 黄柏荣(1989), 《现代汉语》, 北京大学出版社.
  • 高燕(2002), 「漢語外來詞研究五十年」, 松遼學刊(人文社會學版) 2006-8, 88.
  • 高明恩(2005), 仿擬型外來詞語與詞匯規範問題[D]. 長春:東北師範大學.
  • 高明凱,劉正埮,麥永乾等(1984), 漢語外來詞辭典[M]. 上海:上海辭書出版社
  • 高明凱,劉正埮(1958), 現代漢語外來詞研究[M]. 北京:文字改革出版社.
  • 高明凱(1995), 語言論[M]. 北京:商務印書館.
  • 馮海霞(2003), 外來詞的漢化[J]. 伊犁師範學院學報.
  • 馮志偉(1998), 字母詞的使用要看對象[J]. 術語標準化與信息技術.
  • 馬西尼(1997), 黃河清譯, 現代漢語詞彙的形成-19世紀漢語外來詞研究. 上海: 漢 語大辭典出版社.
  • 馬曉明(2006),外來語的吸收和使用與民族語言的保護——英、俄、漢語與外來語 的關系比較」, 哈爾濱職業技術學院學報 2006-1, 73-75.
  • 陸卓元譯(1985), 愛德華 薩培爾「美」. 語言論「M」. 北京:商務印書館.
  • 陳法衛(1985), 漢語借詞探討「J」. 河北天津師範學院學報.
  • 陳永明,羅永東(1989), 現代認知心理學:人的信息加工「M」. 北京:團結出版社.
  • 陳榴(1990), 漢語外來語與漢民族文化心理「J」. 遼寧師範大學學報(社科版).
  • 陳望道(1980), 陳望道文集(第三卷「M」. 上海:上海人民出版社.
  • 陳昌義(2003), 「外來語爲載體的西方文化對漢民族文化的沖擊」, 浙江師範大學學報 28-1, 100~101.
  • 陳忠(1963), 漢語借詞研究的幾個問題「J」. 江海學刊.
  • 陳原(1983), 社會語言學「M」. 上海:學林出版社.
  • 陈乾峰(2008), 汉语外来语音译的优选轮分析-以增音为例[J],北京理工大学学报.
  • 金英今(2008), 韓中外來語學習手冊,南開大學出版社.
  • 金晶,李琳琳(2014), 最新韓國語外來詞解析,世界圖書出版公司.
  • 鄭 典(1958), 談現代漢語中的‘日語詞彙’[J], 中國語文.
  • 郭鴻傑(2005), 英語對現代漢語的影響-語言認知研究法[M]. 上海:上海交通大學出 版社
  • 郭伏良(2001), 新中國成立以來漢語詞匯發展變化研究[M]. 保定:河北大學出版社.
  • 邵靜敏(2000), 香港方言外來詞比較研究,語言文字應用.
  • 賈彦德(2001), 漢語語義學, 北京大學 出版社.
  • 谢丰帆(2014),外来语音系学与汉语外来语研究,当代语言学.
  • 许伟(2010), 汉语和韩语外来词对比研究, 全南大学.
  • 董秀芳(2003), 外來詞音節語素化的文化語言闡釋「J」. 語文研究.
  • 葛本儀(2001), 現代漢語詞匯學[M]. 濟南:山東人民出版社.
  • 范晔(2008), 二语韵尾辅音群中的增音分析[J],上海外国语大学学报.
  • 胡行之(1936), 外來語詞典,上海:上海天馬書局.
  • 胡曉清(1998), 外來語,北京:新華出版社.
  • 胡明揚(2002), 關於外文字母詞和原裝外文縮略語問題, 語言文字應用.
  • 羅常培(2011), 語言與文化,北京:語文出版社
  • 符淮青(1985), 現代漢語詞匯[M]. 北京:北京大學出版社.
  • 盧卓群(1988), 望文生義的語言心理和漢語音譯外來語, 語文教學與研究.
  • 現代漢語辭典[M],北京商务印书馆, 1978.
  • 王鐵昆(1993), 漢語新外來語的文化心理透視, 漢語學習.
  • 王莉(2003), 普通话中英语音译词的元音插入现象的优选轮分析[D],湖南师范大学.
  • 王力(1985), 汉语史稿,北京大学.
  • 沈卉(2012), 汉语韩语外来词对比研究,中央大学.
  • 柳澤先(1957), 漢語不能容納外來語嗎,中國語文.
  • 杨锡彭(2007), 汉语外来语研究,南京大学.
  • 李鴻萍(2003), 當代外來詞及其對現代漢語構詞法的影響, 天水師範學院學.
  • 曹學林(2007), 字母詞也是漢語詞語「J」. 語文建設.
  • 昌國安(2004), 實用英漢對比教程 , 重慶大學出版社.
  • 方欣欣(2004), 語言接觸三段兩合論「D」. 武漢:華中師範大學.
  • 張清源(1957), 從現代漢語外來語初步分析中得到的幾點認識, 上海新知識出版社
  • 张吉生(2008), 优选论与外来语音节可接受性研究,『解放军外语学院学报』,2008年.
  • 布隆菲爾德「美」(1980), 袁家驊等譯.語言論「M」. 北京:商務印書館.
  • 岑麒祥(1990), 汉语外来语词典,商务印书馆出版.
  • 孫岩章(1984), 現代漢語外來詞初探,吉林大學社會科學學報.
  • 周殿福,吴宗济(1963),汉语音韵论, 韩国文学社
  • 周定國(1994), 談漢語音譯外來語的規範化, 語文建設.
  • 吴未未(2007), 漢日兩語中英源外來語的對比研究——以外來語對源詞的忠實度爲 中心, 深圳大學學報 2007-1, 142~146.
  • 吴明会(2013), 汉语借词音系学中流音借用的优选论分析,上海外国语大学.
  • 史有爲(2004), 外來詞: 異文化的使者, 上海: 上海辭書出版社.
  • 史有爲(2000), 漢語外來詞, 北京, 商務印書館.
  • 史有爲(1997), 漢語如是觀, 北京:北京語言文化大學出版社.
  • 史有爲(1991), 異文化的使者-外來詞, 吉林:吉林敎育出版社.
  • 史峰(2002), 韩国语外来语词典,北京商务印书馆.中国社会科学院语言研究所词典编辑室编, 现代汉语词典修订本,商务印刷书馆.
  • 卜詳忠(2002), 談漢語外來詞的“漢化”現象「J」. 泰安師專學報.
  • 劉湧泉(2002), 關於漢語字母詞的問題,語言文字應用.
  • 劉正埮(1979), 關於編纂漢語外來詞詞典的一些問題, 辭書研究.
  • 劉喜印(1958), 意譯不是外來語,中國語文.
  • 余鋒(2006), 外來語與漢語引進外來語的方式探, 中國民航飛行學院學報 25, 39-42.
  • 何文照(2000), 漢語意義外來詞歸屬問題探討,安慶師範學院學報.
  • 于辉(2004), 汉语外来语音系学,南开大学.
  • 于辉(2007),汉语中英语借词的直觉音系分析,以音译词中的流音为例,南开大学文学院,2007 年04期.
  • 『현대국어 영어 차용어의 음운론적 연구』
    박선우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1998]
  • 『현대 중국어 신조어에 대한 고찰』
    박인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한글 맞춤법 강의』
    안병희 이희승 신구문화사 [1994]
  • 『한국어의 외래어 교육 방안 연구』
    우홍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한국어와 중국어의 외국어 수용에 관한 연구』
    전락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6]
  • 『한국어와 영어차용어의 비음화 및 유음화 연구』
    심민수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005]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외래어 교육 방안 연구』
    문승실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04]
  • 『한국어 어휘교육 연구』
    조현용 박이정 [2000]
  • 『한국어 어휘 교육 방안 : 의미 관계를 중심으로』
    한정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00]
  • 『한․중․일 외래어 연구』
    김혜순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 『한․일 양국의 외래어 비교 분석:조선일보 한국어판․ 일본어판을 중 심으로』
    이상연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한 중 외래어의 형태․의미적 대조연구』
    담려려 서울시립대학교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0]
  • 『한 중 외래어 대조 연구』
    정혜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표준 중국어의 외국 어휘 수용 연구』
    김선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2006]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의 외래어 교육과 교재 개발』
    천신신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외래어 교육 방안』
    송연화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 문 [2011]
  •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의 외래어 교육 방안』
    장성희 경회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중국어의 외래어의 수용방식 및 유형 분석』
    노종숙 단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0]
  • 『중국어의 비밀』
    김석영 박종한 양세욱 궁리, 170-173 [2012]
  • 『중국어음운론과 응용』
    엄익상 한국문화사, 111-123 [2009]
  • 『중국어 음역 외래어 연구」 :중국어 성모를 외래어 수용법칙 고찰』
    심태갑 경기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중국어 어휘구조에 관한 연구』
    이영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5]
  • 『중국어 속의 외래어 연구』
    노동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74]
  • 『중국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의 외래어 교육 방안 연구: 한 중 외래어 비교를 중심을』
    주천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중국 내 대학교의 한국어 교재 분석과 교재 개발방안』
    지연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장이론을 활용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어휘교육』
    손지영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2007]
  • 『자연 언어에서의 삽입 모음유형 연구』
    허용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어휘교육에 관한 연구』
    이정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1997]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차용 교육론』
    김선정 허용 박이정 출판사 [2014]
  • 『영어 음성학 개론』
    전상법 서울문화사 [1995]
  • 『언론매체에서의 외래어 사용 실태 고찰』
    방정애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004]
  • 『상경계열 외국인 학생을 위한 외래어 계통 전문어휘 교육 연구』
    최선영 부산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마인드맵을 활용한 한어 어휘 학습 지도방안: 외래어 학습을 중심 으로』
    김희숙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국어 음운론 강의』
    이진호 삼경문화사 [2005]
  • 『現代中國語硏究」』
    박소연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中国语의 外来语 受用에 대한 研究』
    김병임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2008]
  • 「현대 중국어의 외래어 연구」
    손경옥 『중국어문논집』 12, 중국어문연구 회, 77-94 [1996]
  • 「현대 중국어의 외래신어 소고」
    맹주억 『중국학연구』 1-1, 중국학연구회, 73-102 [1984]
  • 「한자어와 중국어의 비교연구」
    서영근 『경상어문』 10, 경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경상어문학회 [2004]
  • 「한어 외래어에 대한 회고와 전망」
    진류 『중국어문학』 31-1, 영남중국어문학회, 329-349 [1998]
  • 「한글 맞춤법의 문제점 : 한국어 외래어 표기법의 문제점」
    김하수 『배달말』 25, 배달말학회, 247-259 [1999]
  • 「한국에서의 외래어 문제」
    김완진 『새국어생활』 1-4, 국립국어원, 15~22 [1991]
  • 「한국어의 외래어 교육과 교재 개발」
    오미정 이혜용 『한국어의미학』 23, 한국어 의미학회, 75-97 [2007]
  • 「한국어에서 영어차용어의 음운적 접근」
    초미희 『우리어문연구』 35, 우리어문학 회, 277-300 [2009]
  • 「한국어․중국어․일본어의 외래어 연구」
    박영준 『한국학 연구』 24, 고려대학교 한 국학연구소, 203~235 [2006]
  • 「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 결과 보고서」
    조남호 국립국어원 [2003]
  • 「한국어 차용어 음운론에 대한 최적성이론 분석」
    강옥미 『국어학』 28, 국어학회, 113-158 [1996]
  • 「한국어 어휘교육 연구의 방향 모색」
    원미진 『한국어 교육』, 22-2, 국제한국어교 육학회, 255-279 [2011]
  • 「한국어 어휘교육 연구를 위한 이론의 고찰」
    이유경 『한국어교육』 20-1, 국제한 국어교육학회, 135-160 [2009]
  • 「학습자 자율성에 기초한 한국어 어휘 교육 사례 연구」
    한상미 『한국어 교 육』 13-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79-307 [2002]
  • 「중국의 한국어 교육에서 제기되는 과제」
    최희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제』 30,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211-226 [2005]
  •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과 문제의 해결 방안 : 북경에 있는 대 학을 중심으로」
    노금송 『국어국문학』 18, 동아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43-252 [1999]
  •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 성과 제고 방안 고찰」
    이은숙 『이중언어학』 27, 이중언 어학회, 32-44 [2005]
  • 「정보화 사회에서의 중국어의 변화: 외래어를 중심으로」
    서영빈 『백양인문론 집』 7, 신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5-48 [2002]
  • 「음운 단위로서의 모라에 관한 연구」
    김진두 『영어영문학연구』 35, 한국중앙영어 영문학회, 85-109 [1994]
  • 「외래어의 음가 인식과 음운론적 보존」
    손형숙 『언어연구』 11, 언어과학연구, 33-43 [1994]
  • 「외래어의 개념과 범위」
    정희원 『새국어생활』 14-2, 국립국어원, 5~22 [2004]
  • 「외래어 표기의 변천과 실태」
    김세중 『국어생활』, 국어연구소, 112~130 [1996]
  • 「외래어 표기 양상의 변천」
    박창원 『새국어생활』 14-2, 국립국어원, 59-102 [2004]
  • 「외래어 및 그 표기법에 관련된 몇 가지 문제」
    박종덕 『한민족문화연구』 23, 한 민족문화학회, 5~28 [2007]
  • 「외국인을 위한 외래어 교육-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이은영 『한국어학』 28, 한국어학회, 167-183 [2005]
  • 「국어대사전, 민중서림 국어 외래어 차용에서 본 문화적 차이」
    이희승 『중 한 인문과학연구』, 중한인문과학연구회, 55-78 [1998]
  • 「국어교육용 어휘와 한국어교육용 어휘」
    김광해 『국어교육』 111, 한국어교육학 회, 255-291 [2003]
  • 「구어 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 어휘 교육」
    문금현 『한국어교육』 11-2, 국제한국 어교육학회, 21-61 [2000]
  • 「韓國 外來語考」
    서병국 『국어교육연구』 8, 국어교육학회, 9-44 [1977]
  • 《漢語外來詞詞典》上海辭書出版社,1984.
  • “외래어의 수용과 품사적 변용”
    노명희 『국어학』 63, 국어학회, 73-103 [2012]
  • “외래어 표기의 역사”
    임홍빈 『새 국어 생활』 6-4, 국립국어원, 3-40 [1996]
  • “외래어 표기법의 원리와 실제”
    임동훈 『새국어생활』 6-4, 국립국어원, 41~61 [1996]
  • “외래어 차용의 형태론적 양상”
    노명희 『泮橋語文硏究』 33, 반교어문학회, 35-68 [2012]
  • “외래어 단어형성”
    노명희 『국어국문학』 153, 국어국문학회, 5~29 [2009]
  • Variations English Loanword Adaptation In Korean Phonology
    Vol . 58.No.3 , 88-123 [2012]
  • TheCore-periphery Structure of the Lexicon andConstraints on Reranking
    18 , 181-210 [1995]
  • The phonetics and phonology of Korean
    [2005]
  • The liquid lexicalization and nativization in Sino-Korean and English loans
    [2001]
  • The formal expression of markedness
    [2002]
  • The Principling Role of Korean in Phonology Adaptation , 89-111
    [2005]
  • The Linguistic Society of Korea
    17 ( 1 ) , 1992 , 141-161 [1992]
  • The Emergence of the Unmarked in EnglishLoanwords
    [1998]
  • The Adaptation Pattern of Coda Rhotic Consonants in Korean Loanword Phonology [ D ]
    [2013]
  • The Adaptation Pattern of Coda Rhotic Consonants in Korean Loanword Phonology
    [2013]
  • Sonority-Driven Vowel Epenthesis in L2 Acquisition ,
    [1998]
  • Salience and typology of epenthetic vowels :Case from loanword adaptation [ J ]
    [2008]
  • Phonology in Generative Grammar . Oxford : BasilBlackwell . Kook Chung ( 2004 ) , Is loanword phonology separate from native phonology
    [1994]
  • Phonological contrast and coda saliency of sonorant assimilation in Korean
    [2003]
  • Perceptual – map Hypothesis , Gating in cerebral networks
    [2002]
  • Perception of contrast in Korean loanword adaption
    13 , 49-87 [2004]
  • Optimality Theory : Constraint Interaction in Generative Grammar ms
    [1993]
  • Multiple scansions in loanword phonology : evidence from Cantonese ,
    9 : 289-328 . [1992]
  • Loanword Tonal Phonology of the North Kyungsang , Dialect of Korean : Evidence for Moraic Mismatches
    [1998]
  • Language teaching analysis
    [1965]
  • Guttural deletion in loanwords . Phonology ( 18 ) . Ladefoge ( 2001,2006 ) , A Course in Phonetics
  • Faithfulness and Reduplicative , Identity , Beckman et aeds. , Pap ers in Op timality Theory
    [1995]
  • English Loanwords in Korean
    Morphology 2 , 21-47 [1996]
  • Differnt adaptation patterns of English /f/ in Korean loanword phonology
    [2010]
  • Curriculum development in language teaching
    [2001]
  • Conditional Entropy and Deflected Contrast for Epenthetic Vowels in Korean Loanwords [ D ]
    [2015]
  • Affixation to English Loanwords , S tudies inPhonetics , Phonology and Morphology 5:2
    [1999]
  • Adaptation of English words with liquids into Korean
    [2003]
  • Adaptation of English Liquid into Korea
    [2014]
  • Adaptation of English Liquid Loans in Korean
    [2014]
  • AConstraint-Based Approach to Korean Loanwords
    [1994]
  • A Course in Phonetics . Fort Worth : Hartcourt & Brace . Lee , PonghyungKorean Loanword Phonology : An Optimality Perspective
    121- 151 [1995]
  • <현대 한어의 외래어 표기 연구>
    김지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한국어에 차용된 영어 외래어에 관한 연구>
    유성희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 위논문 [2009]
  • <한국어 학습자의 외래어 표기 오류 분석 및 교수 방안 연구>
    이상숙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한 중 외래어 차용 방식 양상의 대조 연구>
    유정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 <외래어연구-수용과정의 의미 변화를 중심으로>
    이찬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 논문 [1988]
  • <외래어 표기 실태 연구>
    김문향 안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국어 외래어 표기의 변천과 형태적․의미적 특성 연구>
    원흥연 건국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