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남한 청동기시대 토기와 주거지의 변천연구 = A Study on the Bronze Age Transition of Pottery and dwelling in South Korea

김현식 2020년
논문상세정보
' 남한 청동기시대 토기와 주거지의 변천연구 = A Study on the Bronze Age Transition of Pottery and dwelling in South Korea'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역사
  • 청동기시대
  • 토기
  • 한국사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67 0

0.0%

' 남한 청동기시대 토기와 주거지의 변천연구 = A Study on the Bronze Age Transition of Pottery and dwelling in South Korea' 의 참고문헌

  • 林永珍, ,「움집의 分類와 變遷」
    『韓國考古學報』제17 18輯 [1985]
  • 李隆助 외
    「提原 黃石里B地區 遺蹟發掘調査 報告」『忠州댐 水沒地區 文化遺蹟發 [1984]
  • 李隆助 禹鐘允, 2001,『忠州 早洞里 先史遺蹟(1)』,忠北大學校博物館.
  • 李秀鴻, ,『檢丹里式土器에 대한 一考察』
    釜山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05]
  • 李秀鴻, ,「울산지역 청동기시대 취락구조의 변화」,『한국청동기학보』2
    한국청동기 학회 [2008]
  • 李相均, , 韓半島 新石器文化의 新動向
    學硏文化社 [2005]
  • 李白圭, ,「漢江流域 前半期 민무늬토기의 編年에 대하여」
    『嶺南考古學』 제2호 [1986]
  • 李白圭, ,「京畿道無文土器․磨製石器」
    『考古學』제3집 [1974]
  • 李熙濬, ,「형식학적 방법의 문제점과 순서배열법의 검토」,『한국고고학보』14 15
    한 국고고학회 [1983]
  • 李熙濬, ,「相對年代決定法의 綜合考察」, 『嶺南考古學』2
    嶺南考古學會 [1986]
  • 李弘鐘,姜元袀, 2001,『黃灘里遺蹟,』(高麗大學校埋藏文化財硏究所,
  • 李康承 朴淳發, 1995,『屯山』, 忠南大學校博物館.
  • 李宗哲, 「松菊里型 住居址의 청동기시대에 대한 試論」,『湖南考古學報』16
    湖南考 古學會 [2002]
  • 李宗哲, 「松菊里型 住居址에 대한 硏究」,『湖南考古學報』12
    湖南考古學會 [2000]
  • 李南奭 李勳 李賢淑, 1998,『白石洞遺蹟』, 公州大學校博物館.
  • 李健茂, 1992,「松菊里型 住居址分類試論」,『擇窩許善道先生停年退任記念韓國史論叢』, 一 朝閣.
  • 李亨源, 2002,「韓國 靑銅器時代 前期 中部地域 無文土器 編年硏究」, 忠南大學校碩士學 位論文.
  • 李亨源, ,「호서지역 가락동유형의 취락구조와 성격」,『호서고고학』17
    호서고고학 회 忠南大學校碩士學位論文 [2007]
  • 李亨源, ,「남한 청동기시대 전기의 상한과 하한」,『한국청동기학보』창간호
    한국청 동기학회 [2007]
  • 李亨源, , 「천전리취락의 편년적 위치 및변천-송국리유형의 형성과 관련하여-」, 『화 성 천전리 청동기시대 취락』17
    한신대학교 박물관 [2006]
  • 嶺南文化財硏究院, 2005,『淸道 陳羅里遺蹟』.
  • 嶺南文化財硏究院, 2002,『蔚山川上里聚落遺蹟』.
  • 嶺南文化財硏究院, 2000,『浦項 草谷里 遺蹟』.
  • 嶺南大學校博物館, 2007,『大邱 月城洞585遺蹟』.
  • 嶺南大學校博物館, 2000,『蔚山鳳溪里遺蹟』.
  • 羅建柱, ,『청동기시대 전기 취락의 성장과 송국리유형 형성과정에 대한 연구』
    충 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羅建柱 姜秉權, 2003,『牙山 鳴岩里遺蹟』, 忠淸埋藏文化財硏究院,
  • 羅建柱
    「중서부지방 송국리유형 형성과정에 대한 검토」 『금강고고』. 2 [2005]
  • 金良善 林炳泰, 1968,「驛三洞住居址 發掘報告」『史學硏究』20,韓國史學會.
  • 金美京, ,「美松里型 土器의 변천과 성격에 대하여」『韓國考古學報』60
    韓國考古學 會 [2006]
  • 金承玉, ,「龍潭댐 無文土器時代 文化의 社會組織과 變遷過程」
    『湖南考古學報』19 [2004]
  • 金元龍, ,「韓國 半月形石刀의 發生과 展開」,『史學志 』6
    檀國大學校史學會 [1972]
  • 金京鎬 李尙勳, 2006,『淸州 飛下洞遺蹟』(中原文化財硏究院).
  • 한림대학교박물관
    『가평 달전리 유적』-청동기시대 취락- [2007]
  • 한국청동기학회, ,「대구지역 청동기시대 전기의 편년」,『한국청동기시대 편년』
    한국 청동기학회 [2013]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철학소사전』
    동녘 [1990]
  • 편, , 『청동기시대 고고학2-편년』
    안재호 이형원 서경문화사 [2016]
  • 조중공동고고학발굴대, ,「쌍타자」,『중국 동북 지방의 발굴 보고 1963-1965』, 사회 과학출판사. 趙載英 외, 2004,『田作』
    鄕文社 [1966]
  • 전남대학교박물관
    「죽산리 복교리」『주암댐 수물지역 문화유적 발굴조사보고서』 [1990]
  • 엘E. R. 서비스(申瀅植 옮김), , 『原始時代의 社會組織』
    三知院 [1986]
  • 앙드레 뷔르기에르 외(정철웅 옮김), , 『가족의 역사』1
    이학사 [2001]
  • 신의주역사박물관, ,「1966년도 신암리유적발굴간략보고」
    『력사과학』2 [1967]
  • 쉐나우어(김연홍 옮김), ,『집(6000년 인류주거의 역사)』
    노버트 다우출판사 [2004]
  •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조선고고학개요』
    과학 백과사전출판사 [1977]
  • 브루스 트리거(성춘택 옮김), , 『고고학사』
    학연문화사 [1997]
  • 리용간 리순진, ,「1965년도 신암리유적발굴보고」
    『고고민속』3 [1965]
  • 리순진, ,「신암리 유적 발굴 중간 보고」
    『고고민속』3 [1965]
  • 루이스 헨리 모간(최달곤,정도호 옮김), ,『고대사회』
    문화문고 [2000]
  • 강원문화재연구소
    『정선 아우라지 유적』1차 지도위원회 자료 [2006]
  • 黃昌漢, ,「청동기시대 석기 제작의 양극기법 연구 : 제작실험을 중심으로 (靑銅器 時代 石器 製作의 兩極技法 硏究 : 제작실험을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보』63 [2009]
  • 黃昌漢, ,「청동기시대 마제석촉의 지역성 연구」
    『야외고고학』 제13호 [2012]
  • 黃昌漢, ,「無文土器時代 磨製石鏃의 製作技法 硏究」,『湖南考古學報』20
    湖南考古學 會 [2004]
  • 黃昌漢 金賢植, ,「船形石器에 대한 考察」,『石軒鄭澄元敎授停年退任記念論叢』
    釜山 考古學硏究會 論叢刊行委員會 [2006]
  • 韓相福 李文雄 金光億, ,『文化人類學槪論』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 韓國考古環境硏究所, 2012,『燕岐 大平里遺蹟』
  • 韓國考古環境硏究所, 2010,『燕岐 松潭里 松院里』
  • 韓國文化財保護財團,『淸州 龍岩遺蹟Ⅰ』(2000).
  • 韓國文化財保護財團, 2000,『淸州 龍岩遺蹟Ⅰ』.
  • 鈴木公雄(尹煥 譯), ,『考古學 入門』
    학연문화사 [1994]
  • 釜山大學校博物館, 2000,『梁山新平遺蹟』.
  • 鄭漢德, ,「東아시아의 環濠集落」,『蔚山檢丹里마을遺蹟』
    釜山大學校博物館 [1995]
  • 鄭漢德, ,「‘欣岩里類型 形成過程 再檢討’에 대한 토론」
    『湖西考古學』創刊號. \ [1999]
  • 都出比呂志, 1989,『日本農耕社會の成立過程』, 岩波書店.
  • 都出比呂志, 1975,「家とムラ」,『日本的生活の母胎』日本生活文化史 1.
  • 近藤義郞, 1959,「共同體と 單位集團」,『考古學硏究』第六券 一号.
  • 車勇杰,「淸州 內谷洞遺蹟 發掘調査 報告」『中部高速道路文化遺蹟發掘報告書』(忠北大學 校博物館, 1986).
  • 車勇杰, 1986,「淸州 內谷洞遺蹟 發掘調査 報告」『中部高速道路文化遺蹟發掘報告書』, 忠 北大學校博物館,.
  • 趙賢庭, ,『蔚山型 住居址에 대한 硏究』
    慶南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01]
  • 趙璣濬, ,『社會經濟史』
    일신사 [1987]
  • 裴眞晟, ,「가락동식토기의 초현과 계통」
    『고고광장』11 [2012]
  • 裴眞晟, ,「無文土器의 成立과 系統」
    『嶺南考古學』32 [2003]
  • 裴眞晟, ,「檢丹里類型의 成立」,『韓國上古史學報』48
    韓國上古史學會 [2005]
  • 蔚山文化財硏究院,2005 2007,『蔚山 梅谷洞遺蹟 Ⅰ Ⅱ Ⅲ地區』.
  • 蔚山文化財硏究院, 2006 2007,『蔚山 梅谷洞新基遺蹟 Ⅰ Ⅱ Ⅲ地區』.
  • 蔚山文化財硏究院, 2005,『蔚山 山下洞山陰遺蹟』.
  • 蔚山文化財硏究院, 2004,『蔚山 華亭洞遺蹟』.
  • 蔚山文化財硏究院, 2004,『蔚山 校洞里456遺蹟』.
  • 蔚山文化財硏究院, 2004,『蔚山 孝門洞 竹田谷遺蹟 孝門洞遺蹟』.
  • 蔚山文化財硏究院, 2003,『蔚山 新峴洞 黃土田遺蹟』.
  • 董眞淑, ,『嶺南地方 靑銅器文化의 變遷』
    慶北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03]
  • 石野博信, 1990,『日本原始 古代住居の硏究』, 日本, 吉川弘文館.
  • 畿甸文化財硏究院, 2002,『安養 冠陽洞 先史遺蹟 發掘調査 報告書』.羅建柱 姜秉權, 2003,
  • 申相孝, , 「松菊里型住居址의 復元的 考察」,『湖南考古學』4
    湖南考古學會 [1996]
  • 甲元眞之, ,「東아시아 先史時代 生業活動」,『한국 신석기시대의 환경과 생업』
    동국 대학교 매장문화재연구소 [2002]
  • 淺川滋男 編, 1998, 『先史日本の住居とその周邊』
  • 河仁秀, ,『嶺南海岸地域의 新石器文化 硏究』
    釜山大學校大學院 博士學位論文 [2006]
  • 江陵大學校博物館, 1996,『江陵 校洞 住居址』
  • 松田智雄(장상환 옮김), ,『서양 경제사 강의』
    미래사 [1985]
  • 朴淳發, 2003,「美沙里類型 形成考」,『湖西考古學』9, 湖西考古學會.
  • 朴淳發, 1999,「欣岩里類型 形成過程 再檢討」,『湖西考古學』創刊號, 湖西考古學會.
  • 朴淳發, ,「송국리유형의 형성」, 『부여의 문화유적』, 부여구지 제7권
    부여군지편찬 위원회 [2003]
  • 朴榮九 2000,『嶺東地域 靑銅器時代 住居址 硏究』,檀國大學校 碩士學位論文.
  • 春成秀彌 今村峯雄編著, 2004,『 彌生時代の實年代』, 學生社.
  • 昌原大學校博物館, 2003,『蔚山 芳基里 靑銅器時代聚落』.
  • 掘調査 綜合報告書』考古 古墳分野(Ⅰ), 忠北大學校博物館.
  • 慶尙北道文化財硏究院,,『大邱上同遺蹟發掘調査報告書』.
  • 慶尙北道文化財硏究院, 2007,『慶州 甲山里遺蹟』.
  • 慶尙北道文化財硏究院, 2004,『大邱上同遺蹟發掘調査報告書』.
  • 慶尙北道文化財硏究院, 2002,『上洞遺蹟發掘調査報告書』.
  • 慶南大學校博物館, 2004,『蔚山 九英里遺蹟』.
  • 忠淸南道歷史文化院,『禮山 揷橋 頭里遺蹟』(2007).
  • 忠淸南道歷史文化院,『鷄龍 豆溪里遺蹟』(2007).
  • 忠淸南道歷史文化院,『公州 濟川里遺蹟』(2007).
  • 忠淸南道歷史文化院, 2007,『禮山 揷橋 頭里遺蹟』.
  • 忠淸南道歷史文化院, 2007,『鷄龍 豆溪里遺蹟』.
  • 忠淸南道歷史文化院, 2007,『公州 濟川里遺蹟』.
  • 忠淸南道歷史文化硏究院, 2012,『燕岐 大平里遺蹟』
  • 忠南大學校百濟硏究所,『錦山 水塘里遺蹟』(2002).
  • 忠南大學校百濟硏究所, 2002,『錦山 水塘里遺蹟』.
  • 忠南大學校博物館,『龍山洞』(2002).
  • 忠南大學校博物館,『大田 老隱洞遺蹟 發掘報告書』(1998).
  • 忠南大學校博物館,『大田 上書洞遺蹟』(2006).
  • 忠南大學校博物館, 2006,『大田 上書洞遺蹟』.
  • 忠南大學校博物館, 1998,『大田 老隱洞遺蹟 發掘報告書』.
  • 忠北大學校 先史文化硏究所,『平澤 玄華里 遺蹟』(1996).
  • 忠北大學校 先史文化硏究所, 1996,『平澤 玄華里 遺蹟』.
  • 彭久松 金在善, ,『原文 東夷傳』
    서문문화사 [2000]
  • 崔鍾圭, , 「所土里遺跡에서 본 松菊里文化의 一斷面」
    『蔚山 所土里 松菊里文化遺 蹟』 [2005]
  • 崔楨苾 외, ,『平澤 防築里遺蹟』
    세종대학교박물관 [2003]
  • 崔楨苾 외, ,『平澤 芝制洞遺蹟』
    세종대학교박물관 [2000]
  • 崔楨苾 외, ,『堤川 綾江里』
    세종대학교박물관 [2001]
  • 崔楨苾 외
    『堤川 綾江里』(세종대학교박물관 [2001]
  • 崔楨苾 외
    『平澤 防築里遺蹟』(세종대학교박물관 [2003]
  • 崔楨苾 외
    『平澤 芝制洞遺蹟』(세종대학교박물관 [2000]
  • 崔完奎 金鍾文 金奎正,『益山 永登洞 遺蹟』(圓光大學校 馬韓 百濟文化硏究所, 2000).
  • 崔完奎 金鍾文 金奎正, 2001,『益山 永登洞 遺蹟』, 圓光大學校 馬韓 百濟文化硏究所.
  • 尹世英 李弘鐘,『館山里遺蹟(1)』,1996, 高麗大學校埋藏文化財硏究所.
  • 小片丘彦, ,「Ⅷ. 金海 禮安里古墳群 出土人骨」,『金海 禮安里古墳群』
    김진정 釜山大 學校博物館 [1993]
  • 密陽大學校博物館, 2004,『蔚山 也音洞遺蹟』.
  • 宮里 修, ,「無文土器時代의 취락 구성」,『韓國考古學報』56
    한국고고학회 [2005]
  • 宮本長二郞, 1998,「平地住居と竪穴住居の類型と變遷」,『先史日本の住居とその周邊』, 同 成社.
  • 宮本長二郞, 1996,『日本原始古代の住居建築』,中央公論美術出版,.
  • 宮本勝, 1984,「東南アシア燒畑農耕民の集落」,『季刊考古學』7.
  • 宋滿榮, , 『중기 무문토기시대 문화의 편년과 성격』
    숭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 宋滿榮, , 「南韓地方 農耕文化形成期 聚落의 構造와 變化」,『한국농경문화의 형성』, 제25회 한국고고학 전국대회 발표요지
    한국고고학회 [2001]
  • 宋滿榮 외, ,『漣川 三巨里遺蹟』
    京畿道博物館 [2002]
  • 安承模, ,『東아시아 先史時代의 農耕과 生業』
    학연문화사 [1996]
  • 安承模, ,「稻作의 出現과 擴散」
    『韓國 古代의 稻作文化』국립중앙박물관 학술심포 지움 발표요지 [2000]
  • 安在晧, ,「韓國 農耕社會의 成立」,『韓國考古學報』43
    韓國上古史學會 [2000]
  • 安在晧, ,「編年을 위한 屬性配列法」,『고고광장』창간호
    부산고고학연구회 [2007]
  • 安在晧, ,「無文土器時代 聚落의 變遷」
    『碩晤尹容鎭敎授停年退任紀念論叢』 [1996]
  • 安在晧, ,「松菊里類型의 檢討」,『嶺南考古學』11
    嶺南考古學會 [1992]
  • 安在晧, ,「墓域式支石墓의 出現과 社會相」『東北亞 靑銅器文化와 支石墓』
    한국학중 앙연구원공동연구팀 [2011]
  • 安在晧, ,「南韓 靑銅器時代 硏究의 成果와 課題」,『동북아 청동기문화 조사연구의 성과와 과제』
    학연문화사 [2009]
  • 安在晧, , 「한국 청동기시대의 시기구분의 현황」,『토기 금속기의 한일 교섭』
    「신 한 일교섭의 고고학-청동기~원삼국시대-」연구회 [2018]
  • 孫晙鎬, ,「 마제석촉의 변천과 형식별 기능검토」
    『 한국고고학보』62 [2007]
  • 孫晙鎬, ,「 韓半島出土半月形石刀의變遷과地域相」
    『 先史와古代』17 [2002]
  • 大阪府文化財センタ, 2004,『尾南遺蹟の調査』尾南遺蹟現地說明會資料.
  • 大貫靜夫, 1996,「欣岩里類型土器の系譜論のめぐって」『東北アジアの考古學』(東亞細亞考 古學硏究會).
  • 大塚 實, 1991,『古代共同體論』, 名著出版
  • 啓明大學校博物館, 2007,『金泉 松竹里遺蹟』Ⅱ.
  • 和島誠一 金井塚良一, 1966,「集落と共同體」,『日本の考古學』古墳時代 下.
  • 千羨幸, ,「한반도 돌대문토기의 형성과 전개」,『한국고고학보』57
    한국고고학회 [2005]
  • 千羨幸, ,「영남지방 무문토기시대 중기로의 문양구성 변화」,『石軒鄭澄元敎授停年 退任記念論叢』
    釜山考古學硏究會 論叢刊行委員會 [2006]
  • 千羨幸, ,「무문토기시대 조기 설정과 시간적 범위」,『한국청동기학보』창간호
    한국 청동기학회 [2007]
  • 任孝宰 金成南 李眞旼, ,『華城 古琴山遺蹟』
    서울대학교박물관 [2002]
  • 任 雄, , 「古게르만 村落共同體의 經濟的 性格」, 『史叢』31
    歷史硏究會 [1987]
  • 中央文化財硏究院,『陰城 下唐里遺蹟』.
  • 中央文化財硏究院,『陰城 下唐里遺蹟』(2004).
  • 中央文化財硏究院,『鎭川 新月里遺蹟』(2005).
  • 中央文化財硏究院,『鎭川 思陽里遺蹟』(2001).
  • 中央文化財硏究院,『淸州 江西洞遺蹟』(2006).
  • 中央文化財硏究院,『淸原 大栗里 馬山里 楓井里遺蹟』(2005).
  • 中央文化財硏究院,『平澤 七槐洞 土津里遺蹟』(2005).
  • 中央文化財硏究院,『大田 官坪洞遺蹟』(2002).
  • 中央文化財硏究院,『報恩 上長里遺蹟』(2004).
  • 中央文化財硏究院, 2006,『淸州 江西洞遺蹟』().
  • 中央文化財硏究院, 2005,『淸原 大栗里 馬山里 楓井里遺蹟』.
  • 中央文化財硏究院, 2004,『報恩 上長里遺蹟』.
  • 中央文化財硏究院, 2003,『大田 加午洞遺蹟』.
  • 中央文化財硏究院, 2002,『大田 官坪洞遺蹟』.
  • 中央文化財硏究院, 2001,『鎭川 思陽里遺蹟』.
  • 中央文化財硏究院, ,2005,『鎭川 新月里遺蹟』.
  • 中央文化財硏究院, ,2005,『平澤 七槐洞 土津里遺蹟』.
  • 『龍山洞』. 충남대학교박물관, 2006,『궁동』
    忠南大學校博物館 [2002]
  • 『嶺南地域 無文土器의 地域性硏究』
    黃炫眞 釜山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04]
  • 『황탄리유적』
    고려대학교매장문화재연구소 [2001]
  • 『화성 천전리 청동기시대 취락』
    한신대학교박물관 [2006]
  • 『화성 반월동 유적』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7]
  • 『화성 반송리 청동기시대 취락』
    한신대학교박물관 [2007]
  • 『호남고속도로 확장구간 문화유적발굴조사보고서Ⅱ』
    전북대학교박물관 [1997]
  • 『해남 황산리 분토유적』
    전남문화재연구원 [2009]
  • 『함평 성천리 와촌유적』
    전남대학교박물관 [2007]
  • 『한반도 중부지역 취락의 발전과 정치체의 성장-청동기시대~한성백제기 를 중심으로』
    宋滿榮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한반도 식생사』
    공우석 아카넷 [2003]
  • 『한국주거문화의 역사』
    강영환 기문당 [1999]
  • 『한국의 옛집』, 민음사.- 176 - 김광언, 1988,『韓國의 住居民俗誌』
    김광언 민음사 [1982]
  • 『한국의 살림집』
    신영훈 열화당 [1983]
  • 『한국목조건축의 기법』
    김동현 도서출판 발언 [1993]
  • 『한국 중서부지역 빗살무늬토기문화 연구』
    임상택 서울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 문 [2006]
  • 『한국 상고시대의 노시설 연구』
    이민석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한국 고대의 온돌-북옥저, 고구려, 발해』
    송기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 『한국 고대 목조건축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김도경 고려대학교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00]
  • 『한국 고고학의 방법과 이론』
    최성락 학연문화사 [1998]
  • 『한강유적 초기철기시대 문화- 집터와 토기를 중심으로-』
    안덕임 한양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1985]
  •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국립산림과학원, 2005,『대나무의 모든 것』
    국립국어연구원 [1999]
  • 『평택 토진리 공장 신축부지내 평택 토진리유적』
    中央文化財硏究院 [2005]
  • 『평택 칠괴동 공동주택 건설부지내 평택 칠괴동유적』
    中央文化財硏究院 [2005]
  • 『평택 소사동 유적』
    고려문화재연구원 [2008]
  • 『촌락지리학』
    홍경희 법무사 [1985]
  • 『청주 비하동유적Ⅱ』
    중원문화재연구원 [2008]
  • 『청주 봉명동유적』
    충북대학교박물관 [2004]
  • 『청주 가경동유적』
    중원문화재연구원 [2006]
  • 『청원 쌍정리 청동기시대유적』
    中央文化財硏究院 [2006]
  • 『청양 학암리 분향리유적』
    충청남도역사문화원 [2006]
  • 『청동기시대전기 호서지역 취락 연구』
    허의행 Ⅰ, 서경문화사 [2014]
  • 『청동기시대의 토기와 주거』
    이홍종 서경문화사 [1996]
  • 『청동기시대 영남지역의 농경사회』
    김권구 학연문화사 [2005]
  • 『청도 진라리유적』 嶺南文化財硏究院, 2005,『淸道 陳羅里遺蹟』
    영남문화재연구원 [2005]
  • 『천안 불당동유적』
    충청문화재연구원 [2004]
  • 『집의 사회사』
    강영환 웅진출판사, 서울 [1992]
  • 『진천 내촌리 당골유적』
    中央文化財硏究院 [2009]
  • 『진주 평거동 유적』 慶北大學校博物館, 1991,『大邱 月城洞遺蹟』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2011]
  • 『진안 용담댐 수몰지구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보고서Ⅸ』
    전북대학교박물관 [2001]
  • 『진안 용담댐 수몰지구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보고서Ⅶ』
    전북대학교박물관 [2001]
  • 『중부지방 원삼국시대 문화에 대한 연구』
    오세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1995]
  • 『주교리유적』
    고려대학교매장문화재연구소 [2004]
  • 『정읍 장수동 신용리유적』
    호남문화재연구원 [2007]
  • 『전주 효자4 유적』
    전북문화재연구원 [2007]
  • 『전주 송암동 유적-B지구-』
    전북대학교박물관 [2004]
  • 『전주 마전유적(Ⅲ)』
    전북문화재연구원 [2008]
  • 『전북지방 원삼국시대 주거지의 연구 -남원 세전리유적을 중심으로』
    온화순 한 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 『전북 오송리 유적』
    전북문화재연구원 [2008]
  • 『장흥 신풍유적』
    호남문화재연구원 [2006]
  • 『장흥 갈두유적Ⅱ』
    호남문화재연구원 [2006]
  • 『임실 망월촌유적』
    호남문화재연구원 [2006]
  • 『익산 광암리 유적』
    호남문화재연구원 [2008]
  • 『이사리 월기리유적』
    고려대학교고고환경연구소 [2005]
  • 『원삼국시대의 주거건축에 관한 연구』
    강연수 건국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1989]
  • 『울산지역 무문토기시대 취락과 주거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엄윤정 蔚山 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1999]
  • 『울산연암동유적』
    蔚山大學校博物館 [2001]
  • 『우리 나라 원시집자리에 관한 연구』
    김용남 사회과학출판사 [1975]
  • 『오창 학소리 장대리유적』
    중원문화재연구원 [2008]
  • 『오석리유적』
    공주대학교박물관 [1996]
  • 『예산 삽교 두리유적』
    충청남도역사문화원 [2007]
  • 『영남지방 원삼국시대의 주거지 연구』
    임영옥 한양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00]
  • 『영광 운당리유적』
    마한문화연구원 [2009]
  • 『영광 마전 군동 원당 수동유적』
    조선대학교박물관 [2003]
  • 『여수 화동리 관기리 유적』
    순천대학교박물관 [2006]
  • 『안영리유적』
    공주대학교박물관 [2002]
  • 『아산 시전리유적』
    충청문화재연구원 [2007]
  • 『아산 명암리유적』
    충청문화재연구원 [2003]
  • 『숭국리』
    국립중앙박물관 [1979]
  • 『순천 죽내리 유적』
    조선대학교박물관 [2000]
  • 『순천 가곡동 유적』
    마한문화연구원 [2009]
  • 『수원 율전동유적』
    畿甸文化財硏究院 [2002]
  • 『석곡리유적』
    고려대학교매장문화재연구소 [2000]
  • 『서천 추동리유적』
    충청문화재연구원 [2006]
  • 『서천 옥남리유적』
    충청문화재연구원 [2008]
  • 『서천 봉선리유적』
    충청남도역사문화원 [2005]
  • 『삼한시대 주거지 내 부뚜막과 구들시설에 대한 연구』
    박강민 동아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04]
  • 『부여-구룡간 도로확장 및 포장공사 구간내 문화유적 발굴보고서』
    고려대학교고고환경연구소 [2006]
  • 『부여 증산리유적』
    충청남도역사문화원 [2004]
  • 『부여 나복리유적』
    충청남도역사문화원 [2004]
  • 『보성 금평유적』
    전남대학교박물관 [1998]
  • 『보성 거석리 구주유적』
    전남문화재연구원 [2007]
  • 『백석 업성동유적』
    공주대학교박물관 [2000]
  • 『문헌과 유적으로 본 구들이야기 온돌이야기』
    김남응 단국대학교출판부 [2004]
  • 『무안 평산리 평림유적』
    전남대학교박물관 [2007]
  • 『무안 통정유적』
    호남문화재연구원 [2007]
  • 『마전리유적』
    고려대학교매장문화재연구소 [2004]
  • 『도삼리유적』
    고려대학교고고환경연구소 [2005]
  • 『대정동유적』
    고려대학교매장문화재연구소 [2002]
  • 『대전 자운동 추목동유적』
    충청문화재연구원 [2004]
  • 『대전 용산 탑립동유적』
    中央文化財硏究院 [2008]
  • 『대전 상서동유적』
    충남대학교박물관 [2006]
  • 『대전 노은동유적』
    한남대학교중앙박물관 [2003]
  • 『대구 동천동유적』 嶺南文化財硏究院, 2003,『蔚山 倉坪洞遺蹟』
    영남문화재연구원 [2002]
  • 『당진 자개리유적Ⅱ』
    충청문화재연구원 [2005]
  • 『당진 자개리유적Ⅰ』
    충청문화재연구원 [2006]
  • 『남한 청동기시대 생산활동과 사회』
    庄田愼失 충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나주 운곡동유적Ⅱ』
    마한문화연구원 [2009]
  • 『나주 영천유적』
    호남문화재연구원 [2007]
  • 『금산 수당리유적』
    충남대백제연구소 [2002]
  • 『광주 성덕유적-장자 신완유적』
    호남문화재연구원 [2008]
  • 『광양 칠성리 유적』
    순천대햑교박물관 [2007]
  • 『광양 용강리 유적Ⅰ』
    순천대학교박물관 [2003]
  • 『광양 용강리 기두유적』
    순천대학교박물관 [2003]
  • 『관창리유적』
    고려대학교매장문화재연구소 [2001]
  • 『관창리유적』
    아주대학교박물관 [1999]
  • 『공주 장원리유적』
    충청매장문화재연구원 [2001]
  • 『공주 장선리 토실유적』
    충남발전연구원 [2003]
  • 『곡성 오지리유적』
    마한문화연구원 [2008]
  • 『고고학 입문』
    최성락 학연문화사 [2005]
  • 『고고학 개론』
    이선복 이론과 실천 [1988]
  • 『계룡 입암리유적』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08]
  • 『경산 임당유적의 공간구성에 대한 연구』
    장용석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2001]
  • 『강원지역 초기철기시대 주거지연구』
    최태용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 『가야 건축에 관한 연구』
    이준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 『韓半島 刻目突帶文土器의 編年과 系譜』
    金材胤 釜山大學校大學院碩士學位論文 [2003]
  • 『靑銅器時代 聚落硏究』
    安在晧 부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蔚州 外光里遺蹟』
    蔚山發展硏究院 文化財센터
  • 『蔚州 九英里遺蹟』
    蔚山發展硏究院 文化財센터
  • 『蔚州 九英里遺蹟』
    蔚山發展硏究院文化財센터 [2007]
  • 『蔚山泉谷洞遺蹟(나地區)』
    蔚山發展硏究院文化財센터 [2005]
  • 『蔚山檢丹里마을遺蹟』
    釜山大學校博物館 [1995]
  • 『蔚山式 住居址 硏究』
    김현식 釜山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06]
  • 『蔚山 西部里 南川遺蹟』
    蔚山發展硏究院 文化財센터 [2003]
  • 『蔚山 泉谷洞가재골遺蹟 Ⅰ Ⅱ』
    蔚山文化財硏究院 [2007]
  • 『蔚山 泉谷洞遺蹟』
    蔚山發展硏究院 文化財센터 [2005]
  • 『牙山 鳴岩里遺蹟』, 忠淸埋藏文化財硏究院,
  • 『無文土器文化의 成立과 階層社會』
    裴眞晟 釜山大學校大學院 博士學位論文 [2007]
  • 『欣岩里住居址』
    서울大學校 博物館 [1974]
  • 『建築用語辭典』
    김평탁 技文堂 [1994]
  • 『大邱 大鳳洞 마을遺蹟』
    慶尙北道文化財硏究院 [2006]
  • 『南韓 前期無文土器의 編年』
    安在晧 慶北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1990]
  • 『南江流域 無文土器文化의 變遷』
    고민정 慶北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03]
  • 『共同體의 基礎理論』
    大塚久雄(이영훈 옮김) [1982]
  • 『 靑銅器時代開始期의漢江中上流地域石器樣相』
    金旼志 嶺南大學校大學院碩士學位 論文 [2012]
  • 「靈岩郡 月松里의 石器文化」
    김원룡 『震檀學報』 [1963]
  • 「金海 禮安里遺蹟의 再檢討」
    김두철 『韓國 古代史와 考古學-鶴山 金廷鶴博士 頌 壽紀念論叢』 [2000]
  • 「흔암리유형 재고:기원과 연대」
    김장석 『嶺南考古學』28 [2001]
  • 「후기무문토기사회의 집단과 주거형태」
    이홍종 『마을의 고고학』제18회 한국고 고학전국대회 발표요지 [1994]
  • 「황성동원삼국취락지의성격」
    김세기 『마을의고고학』, 제18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요지 [1994]
  • 「화전의 역사」
    민병근 『한국민속사입문』, 지식산업사 [1996]
  • 「호서지방 전기 무문토기 문양의 변천과정 연구」
    김현식 『嶺南考古學』44호 [2008]
  • 「호남지역 마한 주거지의 편년」
    김승옥 『호남고고학보』11 [2000]
  • 「한반도 돌대문토기문화의 편년과 계보」
    김재윤 『한국상고사학보』46 [2004]
  • 「한국수혈주거지고(二)」
    김정기 『고고학』제3집, 한국고고학회 [1974]
  • 「한국수혈주거지고(一)」
    김정기 『고고학』제1집, 한국고고학회 [1968]
  • 「한국 청동기시대 주거구조의 복원」
    김재호 『영남고고학』39 [2006]
  • 「한국 선사시대 노지연구」
    임윤미 『숭실사학』제6집, 숭실대학교사학회 [1990]
  • 「한국 古代의 聚落과 住居」
    권오영 『韓國古代史硏究』12, 한국고대사학회 편, 서 경문화사 [1997]
  • 「편년표 작성을 위한 방법적 사례의 정리」
    곽종철 고대연구 제1집, 고대연구회 [1988]
  • 「취락고고학의 세계적 연구경향」
    추연식 『마을의 고고학』, 제18회 한국고고학전 국대회 발표요지문 [1994]
  • 「충청남동지역의 청동기시대 조기~전기 편년」
    공민규 『한국청동기시대 편년』, 한국청동기학회 [2013]
  • 「초기 철기시대의 주거지연구」
    김동현 『한국고대국가형성시기의 고고학적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 「청천강류역 청동기시대 유적들의 년대」
    차달만 『조선고고연구』2. 찰스 다윈, 2004, 『종의 기원』, 한길사 [1993]
  • 「청동기시대 주거지의 편년과 사회변천」
    김승옥 『한국고고학보』60 [2006]
  • 「청동기시대 전기 편년연구 검토: 형식편년과 유형론, 그리고 방사성탄 소연대」
    황재훈 『고고학』 14-1 [2015]
  • 「청동기시대 영남지역의 환경과 생업」
    김도헌 『영남의 청동기시대 문화』, 嶺南考 古學會 [2005]
  • 「청동기 및 초기철기시대의 수혈주거」
    김정기 『한국고고학보』34집, 한국고고학회 [1996]
  • 「지강도 시중군 심귀리 원시 유적 발굴 중간 보고」
    정찬영 『문화유산』2 [1961]
  • 「중서부지역 청동기시대 수도 생산의 정치체계:금강 중하류역 송국리형 취락체계의 위계성과 도작집약화」
    김범철 『한국고고학보』58 [2006]
  • 「중서부지역 송국리복합체 연구」
    우정연 『한국고고학보』 47 [2002]
  • 「중서내륙지역 가락동유형의 전개」
    공민규 『송국리문화를 통해서 본 농경사회의 문화체계』 [2005]
  • 「중부지역 역삼동 유형과 송국리 유형의 관계에 대한 일고찰」
    이진민 『한국고고 학보』54집 [2004]
  • 「주거생활」
    한영희 『한국사론』13, 국사편찬위원회 [1986]
  • 「제5장 영남지역」
    김병섭 『청동기시대 고고학2-편년』, 서경문화사 [2016]
  • 「제4장 호남지역」
    김규정 『청동기시대 고고학2-편년』, 서경문화사 [2016]
  • 「울주 외광리유적의 수종분석결과」
    박상진 『울주외광리 취락유적』, 울산발전연구 원 문화재센터 [2007]
  • 「울산지역 청동기시대 취락의 입지에 대한 검토」
    김도헌 이재희 『嶺南考古學』35, 嶺南考古學會 [2004]
  • 「울산 태화강 중 하류의 Holocene 자연환경과 선사인의 생활 변 화」
    윤순옥 황상일 『韓國考古學報』제43집 [2000]
  • 「우리나라 난방시설인 구들형성에 대한 연구」
    장경호 『고고미술』165, 한국미술사 학회 [1983]
  • 「우리나라 구들의 유래와 발전」
    정찬영 『고고민속』66-4 [1996]
  • 「영동지역 청동기시대 주거지 연구」
    박영구 『강원고고학보』3 [2004]
  • 「역사시대 마을 고고학의 성과와 과제」
    권학수 『마을의 고고학』, 제18회 한국고 고학전국대회 발표요지문 [1994]
  • 「압록강」『無文土器文化의 成立과 階層社會』
    裴眞晟 釜山大學校大學院 博士學位 論文 [2009]
  • 「심귀리집자리」
    정찬영 『유적발굴보고』13 [1983]
  • 「신석기시대의 수혈주거지 재고」
    김정기 『최영희 선생화갑기념논총』, 탐구당 [1987]
  • 「수혈주거지 조사방법론Ⅰ」
    유병록 『영남문화재연구』11, 嶺南文化財硏究院 [1999]
  • 「수혈주거의 벽과 벽구에 관한 연구」
    조형래 부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 「수혈건물의 폐기양식」
    권태용 김병섭 문백성 유병록 이현석 『발굴사례 연구논문 집』창간호, 한국문화조사연구기관협회 [2004]
  • 「송국리유형 형성과정에 대한 검토:경기 충청 자료를 중심으로」
    나건주 『고고학』 8-1, 서울경기고고학회 [2009]
  • 「송국리문화의 문화접변과 문화변동」
    이홍종 『한국상고사학보』48 [2005]
  • 「세죽리 유적 발굴 중간 보고(2)」
    김영우 『고고민속』4 [1964]
  • 「선사시대 살림집의 구조에 대한 연구(가설)-민속학적 자료를 중심으로」
    김홍식 『文化財』, 제11호 [1997]
  • 「선사 고대 논의 발굴사례 검토」
    김도헌 『발굴사례연구논문집』창간호, 한국문화 재조사연구전문기관협회 [2004]
  • 「생활고고학의 연구 성과와 과제」
    박승규 『고고학의 새로운 지향』, 제4회 부산복 천분관 학술발표회 [2000]
  • 「삼한 소국 형성 과정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의 틀- 취락 분포 지형을 중심으로」
    이희준 『한국고고학회』43 [2000]
  • 「부여 송국리유적 장방형주거지 출토 탄화 목재의 연구」
    김민구 『한국상고사학 보』55 [2007]
  • 「문화사적 시기구분으로서의 무문토기시대 조기설정 재검토」
    이기성 『한국상고 사학보』 76 [2012]
  • 「문헌으로 본 한국주택사」
    김정기 『동양학』제 7집 [1977]
  • 「무문토기시대 주거양식의 변화-충남지방을 중심으로-」
    이기성 『호남고고학』 14 [2001]
  • 「무문토기시대 조기설정론 재고」
    김장석 『한국고고학보』 69 [2008]
  • 「목조건물 屋蓋 발생고」
    김정기 『고고미술』129ㆍ130, 고고미술사학회 [1976]
  • 「마한ㆍ백제영역에서 발견된 주거지」
    김정기 『마한ㆍ백제문화』제3 집, 원광대학 교 마한ㆍ백제 문화연구소 [1979]
  • 「두만강유역 청동기시대 문화의 변천과정에 대하여」
    강인욱 『한국고고학보』62 [2007]
  • 「대구지역 청동기시대 전기의 편년」
    하진호 『한국청동기시대 편년』,한국청동기 학회 [2013]
  • 「다위니즘과 진화고고학의 원칙」
    성춘택 『湖南考古學』17, 湖南考古學會 [2003]
  • 「남한지역 조 전기 무문토기 편년 및 북한지역과의 병행관계」
    김병섭 『한국청동 기학보』4 [2009]
  • 「남한지역 신석기-청동기시대 전환:자료의 검토를 통한 가설의 제시」
    김장석 『한 국고고학보』48 [2002]
  • 「남한 청동기시대 조기~전기의 문화사적 의미」
    김현식 『고고광장』2호 [2008]
  • 「남강유역과 북한 청동기시대의 비교」
    고민정 『동북아시아적 관점에서 본 북한 의 청동기시대』제2회 한국청동기학회 학사분과 발표회요지, 한국청동기학회 [2009]
  • 「남강유역 청동기시대 조기~전기 무문토기의 편년」
    고민정 『한국청동기시대 편 년』,한국청동기학회 [2013]
  • 「구룡강유적에 대하여」
    석광준 차달만 『조선고고연구』4 [1997]
  • 「경기지역 역삼동 유형의 정립과정」
    김한식 『서울 경기지역 청동기문화의 유형 과 변천』,제4회 서울경기고고학회 학술대회, 서울경기고고학회 [2006]
  • 「강원 영동지역의 청동기시대 조기~전기 편년」
    박영구 『한국청동기시대 편년』,한 국청동기학회 [2013]
  • 「강계시 공귀리 원시 유적 발굴보고」
    김용간 『유적발굴보고』6 [1959]
  • 「韓國無文土器地域分類試論」
    김원룡 考古學 第一輯 [1968]
  • 「蔚山式 住居址의 增築과 社會的 意味」
    김현식 『嶺南考古學』36 [2005]
  • 「竪穴住居와 半竪穴住居」
    김정기 『장기인선생회갑기념논문집』 [1976]
  • 「牙山 新達里 先史住居址 發掘報告」
    성낙준 한봉규 『淸堂洞』, 國立中央博物館 [1995]
  • 「無文土器時代 前期文化의 地域性硏究-中西部地方을 中心으로-」
    千羨幸 釜山大 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03]
  • 「大田 新岱洞 比來洞 靑銅器時代遺蹟」
    성정용 『호남고고학의 제문제』 [1997]
  • 「南部地方 初期農耕의 現段階-遺構를 중심으로-」
    이상길 『韓日 初期農耕 比較硏 究』 [2002]
  • 「區系類型論과 중국 동북지방의 고고학 -중국 동북지방 고고학에 대한 이론적 접근-」
    강인욱 『한국고고학보』56 [2005]
  • 「Ⅳ. 考察」
    김권구 『金泉 松竹里遺蹟』Ⅱ, 啓明大學校博物館 [2007]
  • 「“청동기시대 영남지역 주거와 마을”에 대한 토론」
    유병록 『영남의 청동기시대 문화』, 嶺南考古學會 [2005]
  • 「“계층 사회와 지배자의 출현” 개별발표에 대한 종합토론 요지문」
    권오영 『계층 사회와 지배자의 출현』한국고고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한국고고학전국대회, 한국고고학회 [2006]
  • 「‘南韓地方 農耕文化形成期 聚落의 變化’에 대하여」
    박순발 『한국 농경문화의 형 성』, 제25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요지 [2001]
  • 「1~3세기 한강유역 주거와 백제의 형성」
    신희권 『동아시아 1~3세기 주거와 고 분』, 문화재연구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 제10 집, 국립문화재연구소 [2001]
  • F. 엥겔스(김대웅 옮김), ,『독일이데올로기』Ⅰ
    마르크스 두레 [1989]
  • F. 엥겔스(김대웅 옮김), ,『가족 사유재산 국가의 기원』
    아침 [1991]
  • Emil. W. Haury (李熙濬 역), , 「미국선사시대 주민 이주의 고고학적 논증 사례:한 국고고학에서의 이주론, 정복설에 대한 방법론적 성찰을 위한 소개」
    『영남고고 학』42 [2007]
  • (하일식 옮김), ,『朝鮮社會經濟史』
    백남운 이론과 실천 [1994]
  • (성낙선 옮김), ,『자본주의적 생산에 선행하는 제형태』
    마르크스 지평 [1987]
  • (김호균 옮김), ,『정치경제학 비판 요강』
    마르크스 백의 [2002]
  • (김영민 옮김), ,『자본』Ⅰ-2
    마르크스 이론과 실천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