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15~17世紀 朝鮮 官窯 硏究 = A Study on Royal Kilns in the 15〜17th Centuries, Joseon Dynasty

김귀한 2020년
논문상세정보
' 15~17世紀 朝鮮 官窯 硏究 = A Study on Royal Kilns in the 15〜17th Centuries, Joseon Dynasty'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15~17세기
  • 가마
  • 관요
  • 백자
  • 백자 명문
  • 백자 품질
  • 사옹원
  • 왕권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30 0

0.0%

' 15~17世紀 朝鮮 官窯 硏究 = A Study on Royal Kilns in the 15〜17th Centuries, Joseon Dynasty' 의 참고문헌

  • 「「朝鮮時代 分院의 成立과 變遷」에 대한 질의」, 광주분원과 조선도자
    최 건 경기 도박물관 [2001]
  • 「李朝白磁論」, 아세아 1-6
    鄭良謨 월간아세아사 [1969]
  • 「李朝初期 陶磁手工業 經營의 性格」, 동양학 9, 부록 「제8회 東洋學學術會議 講演」
    權丙卓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1978]
  • 「신증동국여지승람 토산 항목의 구성과 특징」, 동방학지 165
    소순규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4]
  •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의 기명류(器皿類) 연구」, 역사와 담론 70
    장남원 호서사학회 [2014]
  • 「訥齋集의 板本과 發掘作品」, 한문학 논집
    朴銀淑, 단국한문학회 [1990]
  • 「회암사지 출토 조선전기 명문백자의 양상과 특징」, 도자 옛 회암사를 빛내는 美
    박정민 회암사지박물관 [2016]
  • 「한양도성 출토 15∼16세기 청화백자의 조형적 특징과 성격」, 미술사학 31
    김혜정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6]
  • 「한반도 출토 중국 청화백자의 유형과 의미」, 중앙사론, 2012
    李鍾玟 중앙사학연구소 [2012]
  •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한국사 1 총설
    李泰鎭 국사편찬위원회 [2003]
  • 「한국 도자사 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 미술사학연구 241
    강경숙 한국미술사학회 [2004]
  • 「한국 도자 제작기술 연구」, 강좌미술사 23
    방병선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04]
  • 「중국 어기창과 광주분원」, 광주분원과 조선도자
    방병선 경기도박물관 [2001]
  • 「조선후기 지방 백자 요장의 성격」, 文化史學 31
    김정애 한국문화사학회 [2009]
  • 「조선초기 ‘時王之制’논의 구조의 특징과 중화 보편의 추구」, 조선시대사학보 52
    최종석 조선시대사학회 [2010]
  • 「조선중기 지방백자 연구」, 미술사연구 21
    최윤정 미술사연구회 [2007]
  • 「조선중기 내수사(內需司)의 운영과 공사(公私) 논쟁」, 역사교육논집 79
    이인복 역사 교육학회 [2019]
  • 「조선전기의 백자 전접시 고찰」, 호암미술관 연구론문집 2
    田勝昌 삼성문화재단 [1997]
  • 「조선전기 분청사기와 백자가마의 구조 연구」, 미술사, 자료와 해석
    姜敬淑 일지사 [2008]
  • 「조선전기 백자 규화배(葵花盃)의 조형과 성격」, 역사와 담론 68
    윤효정 호서사학회 [2013]
  • 「조선시대 중기 지방백자의 기형분석과 변화양상」, 야외고고학 26
    金泰洪 한국문화 유산협회 [2016]
  • 「조선시대 유적 출토 明代 자기에 대한 몇 가지 再考」, 한국학연구 70
    김은경 고려 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9]
  • 「조선시대 백자편병(白磁扁甁)의 연원과 성격」, 미술사학보 46
    정원주 미술사학연구회 [2016]
  • 「조선시대 백자가마의 발굴성과 검토」, 도자(陶瓷)고고학을 향하여
    田勝昌 제29회 한국상고사학회 학술발표대회 [2003]
  • 「조선시대 동궁의 청자사용에 대한 법제화와 그 배경」, 한국문화 78
    오영인 서울 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7]
  • 「조선시대 도자기 가마의 명칭과 관요의 설치시기」, 미술자료 86
    김영원 국립중앙 박물관 [2014]
  • 「조선시대 관요 철화백자의 성격 변화」, 미술사연구 25
    禹玟我 禹玟我 미술사연구회 [2011]
  • 「조선시대 관요 백자 명문의 성격」, 한국상고사학보 82
    김귀한 한국상고사학회 [2013]
  • 「조선시대 관요 백자 명문의 성격」, 역사와 담론 65
    박형순 호서사학회 [2013]
  • 「조선시대 관요 백자 명문 연구」
    김귀한 단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3]
  • 「조선시대 개인문집의 간행과 교정」, 서지학보 34
    장원영 한국서지학회 [2009]
  • 「조선 후기 사기장인 연구」, 미술사학연구 241
    방병선 한국미술사학회 [2004]
  • 「조선 후기 良役政策의 전개와 匠人파악의 변화」, 한국사학보 29
    김경란 고려사학회 [2007]
  • 「조선 초기 관요 백자 연구」
    김미소 명지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9]
  • 「조선 초 인화기법 분청사기의 계통과 의의」, 미술사학 27
    박경자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3]
  • 「조선 중기 관요(官窯) 운영체제 연구」
    이슬찬 명지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 위논문 [2017]
  • 「조선 전기 한글 명문이 있는 자기(瓷器)의 특징과 의의」, 미술사와 문화유산, 1
    박정민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2012]
  • 「조선 전기 인화상감자기(印花象嵌瓷器) 연구」
    구유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술사 학과 석사학위논문 [2016]
  • 「조선 전기 관요의 성립과 그 명칭에 대한 일고찰」, 미술사와 문화유산 3
    박정민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2014]
  • 「조선 전기 관요백자의 명문이 갖는 二元的 성격」, 미술사학연구 290 291
    박정민 한국미술사학회 [2016]
  • 「조선 전기 朝明외교관계의 함수, ‘禮儀之國’」, 대동문화연구 89
    具都暎 성균관대 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4]
  • 「조선 세조대 말엽의 정치적 추이」, 역사와 실학 60
    김순남 역사실학회 [2016]
  • 「조선 말기 望同窯의 기원과 전개」, 한국학연구 49
    김남희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 「조선 말기 望同窯의 再現과 實演」, 도예연구 23
    김남희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2014]
  • 「조선 관요의 분포와 운영체계 연구」, 미술사연구 18
    田勝昌 미술사연구회 [2004]
  • 「조선 17세기 청화백자의 제작과 확산」, 미술사학연구 302
    이슬찬 한국미술사학회 [2019]
  • 「조선 17세기 전반의‘假畵龍樽’」, 미술사논단 38
    송인희 한국미술사연구소 [2014]
  • 「조선 17-18세기 철화백자의 특징과 성격」, 미술사학연구 267
    송인희 한국미술사학회 [2010]
  • 「조선 16세기 백자에 표시된 왕실 관련 한글 명문의 종류와 의미」, 한국학연구 51
    김윤정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 「조선 15세기 전반 경기도 永平縣의 백자제작 배경과 특징」, 강좌미술사 44
    박정민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15]
  • 「인구의 감소」, 한국사 30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李泰鎭 국사편찬위원회 [1998]
  • 「음각운문청자의 제작현황으로 본 조선시대 관요의 설치와 지방 가마」, 문화재 50-4
    오영인 국립문화재연구소 [2017]
  • 「원주지역 조선백자가마터의 성격」, 고문화 61
    김경중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03]
  • 「연속된 두 시기로서의 16 17세기-‘조선 중기론’의 입장에서」, 내일을 여는 역사 24
    김성우 내일을여는역사재단 [2006]
  • 「여말선초 향촌사회의 변화와 埋香활동」, 역사학보 173
    蔡雄錫 역사학회 [2002]
  • 「세조-성종년간의 分院의 設置와 陶磁樣式의 변천」, 미술사논단 2
    金英媛 金英媛 한국미 술연구소 [1995]
  • 「상업과 화폐」, 한국사 19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김동철 국사편찬위원회 [2003]
  • 「분청사기의 소멸과 백자의 발생에 관하여」, 간송문화 20
    尹龍二 尹龍二 한국민족미술연구소 [1981]
  • 「분청사기의 성립 여건에 관한 고찰」, 문화재 21
    崔 健 국립문화재연구소 [1988]
  • 「분원공소기(分院貢所期, 1883-1895) 왕실용 백자의 진상체계와 진상용 백자의 성격」, 역사와 담론 81
    구혜인 호서사학회 [2017]
  • 「분원 관요에 대한 재론」, 동양미술사학 3
    김영원 동양미술사학회 [2015]
  • 「명문백자로 본 15세기 양구(楊口)지역 요업의 성격」, 강좌미술사 32
    박정민 한국불 교미술사학회 [2009]
  • 「명대의 예제 질서에서 조선국왕의 위상」, 역사와현실 84
    정동훈 한국역사연구회 [2012]
  • 「도자고고학을 향하여」, 도자(陶瓷)고고학을 향하여
    姜敬淑 제29회 한국상고사학회 학술발표대회 [2003]
  • 「도자가마터 발굴의 현황과 전망」, 미술사연구 12
    姜敬淑 미술사연구회 [1998]
  • 「광주지역 가마출토 분청사기와 백자」, 광주분원과 조선도자
    姜敬淑 경기도박물관 [2001]
  • 「광주조선백자요지 주변 매장문화재 유존지역 1차 정밀시굴조사 약보고서」.
    경기도자박물관 「광주조선백자요지 주변 매장문화재 유존지역 1차 정밀시굴조사 약보고서」 [2018]
  • 「광주조선백자요지 보존·정비를 위한 문화재 6차 정밀시굴조사 약보고서」.
    경기도자박물관 「광주조선백자요지 보존 정비를 위한 문화재 6차 정밀시굴조사 약보고서」 [2018]
  • 「광주 번천리 9호요지 출토 백자의 제작기술 특성」, 廣州 樊川里 9號 朝鮮白 磁窯址
    강경인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2007]
  • 「광주 도마리 7호 요지 출토 도편의 과학기술적 연구」, 廣州 道馬里 7號 武甲里 14號 窯址
    김현정 이영은 韓國文化遺産硏究院 [2013]
  • 「고유섭의 도자인식-고려시대 靑瓷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 248
    장남원 한국미 술사학회 [2005]
  • 「고려사람들의 사치 허영과 검약 인식」, 한국사학보 22
    朴晉勳 고려사학회 [2006]
  • 「고려말 조선초 정치체제 개편의 방향과 그 의미」, 사총 47
    金昌賢 고대사학회 [1998]
  • 「고려말 조선초 供上用 銘文靑瓷의 이행 과정과 제작 배경」, 석당논총 55
    김윤정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3]
  • 「고려말 房士良의 時務 11事와 정치 성향」, 동양학 44
    김철웅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08]
  • 「고려 케시크(怯薛)의 기능과 개혁 방향」, 민족문화연구 60
    임형수 고려대학교 민족 문화연구원 [2013]
  • 「고려 충렬왕의 케시크(怯薛, kesig)제 도입과 그 의도」, 사학연구 107
    金甫桄 한국 사학회 [2012]
  • 「고려 중기 청자제작의 확산과정과 그 배경」, 호서고고학 34
    李鍾玟 호서사학회 [2016]
  • 「경상도지역 조선시대 자기가마의 구조변화 연구」, 고문화 79
    고준휘 한국대학박물 관협회 [2012]
  • 「경기도 광주 관요 선동리 2호 가마터 출토 도편의 과학기술적 분석」, 번 천리 8호 선동리 2호 요지 일원
    이영은 경기도자박물관 [2013]
  • 「개요」, 한국사 30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李泰鎭 국사편찬위원회 [1998]
  • 「麗末∼鮮初 硬質白磁로의 이행과정 연구」, 역사와 담론 50
    李鍾玟 호서사학회 [2008]
  • 「麗末~鮮初 瓷器 燔造法 변화와 요인」, 조선시대사학보 80
    李鍾玟 조선시대사학회 [2017]
  • 「高麗陶瓷와 李朝陶瓷」, 조광 72호
    高裕燮 조선일보사 [1941]
  • 「高麗末期의 添設職」, 진단학보 44
    鄭杜熙 진단학회 [1977]
  • 「高麗末 朝鮮初 王室用 磁器의 제작 체계 연구」, 미술사학연구 260
    김윤정 한국미 술사학회 [2008]
  • 「高麗末 朝鮮初 司饔의 성격과 역할」, 한국학연구 45
    김윤정 고려대학교 한국학 연구소 [2013]
  • 「高麗後期 經濟倫理와 奢侈禁止」, 龜泉元裕漢敎授定年紀念論叢(上)
    김인호 혜안 [2000]
  • 「高麗前期 지배체제와 工匠」, 한국사론 27
    徐聖鎬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992]
  • 「高麗 末 朝鮮 初 白磁 硏究」
    朴起嬉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3]
  • 「高麗 後期 靑瓷의 器形 變遷」, 미술사학연구 232
    韓盛旭 한국미술사학회 [2001]
  • 「高麗 中期 輸入 中國白磁의 系統과 性格」, 미술사연구 25
    李鍾玟 미술사연구회 [2011]
  • 「韓國工藝史硏究 30年 : 陶磁器」, 미술사학연구 188
    金載悅 한국미술사학회 [1990]
  • 「銘文資料를 통해 본 廣州 牛山里 窯址群의 性格」, 미술사학연구 266
    金奉俊 한국 미술사학회 [2010]
  • 「金剛山의 由來와 그 宗敎的 意味」, 東洋古典硏究 1
    金 鐸 동양고전학회 [1993]
  • 「訥齋集」, 민족문화 12
    李春熙 한국고전번역원 [1989]
  • 「編年資料를 통하여 본 19世紀 靑畫白磁의 樣式的 特徵」, 미술사학연구 212
    崔敬和 한국미술사학회 [1999]
  • 「經國大典註解」, 서울대학교 법학 49-2
    鄭肯植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 「白磁」, 韓國의 美 2
    鄭良謨 중앙일보사 [1978]
  • 「白磁 粉靑沙器」, 國寶 8
    鄭良謨 문예출판사 [1984]
  • 「燕山君代 貢案改定의 방향과 辛酉貢案의 특징」, 사학연구 134
    소순규 한국사학회 [2019]
  • 「梨大博物館 所藏 靑華白磁松竹人物文 항아리와 鐵畵白磁 雲龍文 항아리」
    姜敬淑 미 술사학연구 136 137 [1978]
  • 「李施愛의 亂에 있어서 韓明澮 申叔舟의 역모 연루설」, 전라문화논총 7
    李東熙 전 북대학교 전라문화연구소 [1994]
  • 「李成桂 發願 佛舍利莊嚴具」, 미술사학연구 257
    周炅美 한국미술사학회 [2008]
  • 「朝鮮王朝의 陶磁文化」, 韓國美術全集 10-李朝陶磁
    鄭良謨 동화출판공사 [1973]
  • 「朝鮮時代 靑華白磁 文樣과 繪畵의 비교연구」
    金香熙 金香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술사 학과 석사학위논문 [1986]
  • 「朝鮮時代 鐵畵白磁의 變遷에 관한 硏究」
    朴仙卿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992]
  • 「朝鮮時代 鐵畵白磁의 名稱과 發生」
    朴仙卿 용인대학교 논문집 13, 용인대학교 [1997]
  • 「朝鮮時代 象嵌白磁의 編年 硏究」, 미술사학연구 240
    權素玄 한국미술사학회 [2003]
  • 「朝鮮時代 磁器가마 構造硏究」
    金貞善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3]
  • 「朝鮮時代 磁器製 誌石의 變化와 特徵」, 미술사학연구 271 272
    김세진 한국미술사학회 [2011]
  • 「朝鮮時代 磁器 장군 硏究」
    최남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문화재학협동과정 석사학위논문 [2014]
  • 「朝鮮時代 白磁龍樽의 樣式變遷考」, 미술사연구 12
    張起熏 미술사연구회 [1998]
  • 「朝鮮時代 白瓷항아리」, 조선백자 항아리
    尹龍二 尹龍二 尹龍二 尹龍二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1985]
  • 「朝鮮時代 白瓷墓誌 硏究」
    朴炫玟 朴炫玟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4]
  • 「朝鮮時代 白瓷 工房의 種類와 性格」, 단호문화연구 8
    張南原 용인대학교 박물관 [2004]
  • 「朝鮮時代 明器의 연구」
    李芝賢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0]
  • 「朝鮮時代 後期의 陽刻白磁」, 도예연구 15
    張南原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1993]
  • 「朝鮮時代 後期 白磁의 새로운 傾向」, 미술사학연구 183
    장남원 한국미술사학회 [1989]
  • 「朝鮮時代 宮闕遺跡 出土 磁器 硏究」
    金慧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 학위논문 [2009]
  • 「朝鮮時代 官窯 靑磁 硏究」, 미술사학연구 266
    김영미 한국미술사학회 [2010]
  • 「朝鮮時代 官窯 運營體系 再檢討」, 한국사학보 52
    김귀한 고려사학회 [2013]
  • 「朝鮮時代 地方의 白磁가마에 대한 硏究」
    朴亨順 공주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4]
  • 「朝鮮時代 分院의 變遷에 관한 硏究」
    尹龍二 尹龍二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980]
  • 「朝鮮時代 分院의 成立과 變遷」, 광주분원과 조선도자
    尹龍二 경기도박물관 [2001]
  • 「朝鮮時代 分院의 成立과 變遷에 관한 硏究(二)」, 미술사학연구 151
    尹龍二 한국미 술사학회 [1981]
  • 「朝鮮時代 分院의 成立과 變遷에 관한 硏究(一)」, 미술사학연구 149
    尹龍二 한국미 술사학회 [1981]
  • 「朝鮮時代 17세기 전반의 鐵畵白磁」
    朴仙卿 용인대학교 논문집 15, 용인대학교 [1998]
  • 「朝鮮時代 17世紀 白磁의 硏究」
    張起熏 張起熏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997]
  • 「朝鮮後期 靑畫白磁鳳凰紋壺 硏究」
    남아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 위논문 [2017]
  • 「朝鮮後期 白磁硯滴 硏究」
    黃梨淑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4]
  • 「朝鮮後期 王室 宴享用 白磁 花樽 硏究」
    신승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2]
  • 「朝鮮後期 李圭景의 陶磁認識」, 미술사논단 6
    장남원 한국미술연구소 [1998]
  • 「朝鮮後期 京衙前 書吏 硏究」, 조선시대사학보 32
    원재영 조선시대사학회 [2005]
  • 「朝鮮前期의 靑華白磁」
    李相起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984]
  • 「朝鮮前期工匠考」, 사학연구 12
    姜萬吉 한국사학회 [1961]
  • 「朝鮮前期 靑畫白磁의 變遷」, 朝鮮白磁展Ⅱ
    鄭良謨 호암미술관 [1985]
  • 「朝鮮前期 遞兒職의 設立經緯와 構成」, 역사교육 128
    申幼兒 역사교육연구회 [2013]
  • 「朝鮮前期 漕運試考」, 백산학보 20
    崔完基 백산학회 [1976]
  • 「朝鮮前期 村落의 形成과 村落社會의 諸勢力」, 국사관논총 30
    金武鎭 국사편찬위원회 [1991]
  • 「朝鮮前期 市廛의 成立과 ‘禁廛’問題」, 한국사연구 93
    朴平植 한국사연구회 [1996]
  • 「朝鮮前期 市廛出土 白磁와 消費性向 硏究」
    金知炫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 사학위논문 [2012]
  • 「朝鮮前期 內需司의 性格과 內需司奴婢」, 한국학보 11
    池承鍾 일지사 [1985]
  • 「朝鮮前期 內需司 폐지 논쟁과 君主의 위상」, 대동문화연구 84
    尹仁淑 尹仁淑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3]
  • 「朝鮮初期의 上級胥吏 「成衆官」」, 동아문화 10
    韓永愚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1971]
  • 「朝鮮初期 院相의 設置와 그 性格」, 전북사학 16
    李東熙 전북대사학회 [1993]
  • 「朝鮮初期 開城商人의 商業活動」, 조선시대사학보 30
    朴平植 조선시대사학회 [2004]
  • 「朝鮮初期 白磁의 文樣과 朝鮮初 中期 繪畵와의 關係」, 이화사학연구 13 14
    姜敬淑 한국미술사학회 이화여자대학교 사학연구소 [1983]
  • 「朝鮮初 酒器의 조형 변화와 원인」, 강좌미술사 37
    김윤정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11]
  • 「朝鮮 鐵繪白磁의 연구」
    채효진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985]
  • 「朝鮮 成宗代 貞熹王后의 垂簾聽政」, 조선사연구 10
    金宇基 조선사연구회 [2001]
  • 「朝鮮 成宗代 王權과 政局運營」, 사총 61
    金 範 역사학연구회 [2005]
  • 「朝鮮 後期 陽刻白磁 硏究」, 미술사학연구 263
    具惠仁 한국미술사학회 [2009]
  • 「朝鮮 後期 白瓷의 銘文 硏究」
    朴美花 명지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2]
  • 「朝鮮 後期 地方白磁 硏究」
    金載濙 충북대학교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7]
  • 「朝鮮 官窯에서의 私燔 실태와 영향」, 역사와 담론 86
    李鍾玟 호서사학회 [2018]
  • 「朝鮮 世祖-成宗朝의 功臣研究」, 진단학보 51
    鄭杜熙 鄭杜熙 진단학회 [1981]
  • 「朝鮮 17世紀 前半 分院의 白磁樣式 變化」, 미술사학연구 224
    張起熏 張起熏 한국미술사학회 [1999]
  • 「朝鮮 17-18世紀 백자대호(白磁大壺) 硏究」
    김규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7]
  • 「朝鮮 15世紀 磁器所의 성격」, 미술사학연구 270
    박경자 한국미술사학회 [2011]
  • 「朝鮮 15∼16世紀 扁甁 硏究」
    朴善正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2]
  • 「朝鮮 15 16세기 靑畵白磁의 製作과 使用」, 미술사학연구 250 251
    윤효정 한국미 술사학회 [2006]
  • 「成宗朝의 國政運營體制와 王權」, 조선사연구 10
    崔承熙 조선사연구회 [2001]
  • 「廣州 道馬里 白磁窯址 發掘調査略報」, 미술사학연구 59
    崔淳雨 한국미술사학회 [1965]
  • 「廣州 官窯의 變遷과 靑畫白磁」, 朝鮮白磁展Ⅱ
    尹龍二 호암미술관 [1985]
  • 「原州地域 朝鮮白磁의 生産과 供給」, 한국상고사학보 55
    김경중 한국상고사학회 [2007]
  • 「分院里官窯 運營과 白磁의 編年」
    李珉惠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3]
  • 「分院硏究」, 아세아연구 20
    姜萬吉 姜萬吉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1965]
  • 「分院成立 時期에 관한 小考」, 蕉雨黃壽永博士古稀紀念 美術史學論叢
    姜敬淑 通文館 [1988]
  • 「分院官窯와 地方窯」, 광주분원과 조선도자
    영원 경기도박물관 [2001]
  • 「京畿道 廣州分院 窯址에 대한 編年的 考察」, 韓國白磁陶窯址
    鄭良謨 韓國精神文化 硏究院 [1986]
  • 「世祖代 王位의 취약성과 王權强化策」, 조선시대사학보 1
    최승희 조선시대사학회 [1997]
  • 「‘조선 중기’를 바라보는 두 개의 시선 한국과 미국의 역사학계 비교」, 한 국사연구 143
    김성우 한국사연구회 [2008]
  • 「‘處’명백자를 통해 본 조선 전기 내수사(內需司)의 왕실용 백자제작」, 야 외고고학 22
    박정민 한국문화유산협회 [2015]
  • 「19세기 조선백자에 보이는 청대 자기의 영향」, 강좌미술사 33
    金美景 한국불교미 술사학회 [2009]
  • 「18세기 朝 淸 官窯의 운영체제와 제작기술」, 한국사학보 11
    방병선 고려사학회 [2001]
  • 「18世紀 靑畫白磁의 硏究」
    張南原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988]
  • 「18世紀 前半 京畿道 廣州 金沙里 白磁 硏究」
    尹曉眞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6]
  • 「17세기, 인 숙종기의 백자」, 강좌미술사 33
    방병선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09]
  • 「17世紀 鐵畵白磁 硏究」
    卞銀淑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0]
  • 「17世紀 銘文白磁를 통해 본 官窯의 運營時期」, 한국고고학보 77
    金京中 한국고고학회 [2010]
  • 「16세기 중 후반 조선 관요 운영 시기 및 제작 양상 연구」, 야외고고학 15
    김경중 한국문화유산협회 [2012]
  • 「1609년 영접도감미면색의궤(迎接都監米麵色儀軌)의 중국 사신 접대 器皿類」, 석당논총 64
    송인희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6]
  • 「16-17세기 朝鮮 白磁祭器의 새로운 경향」, 미술사학 22
    安星稀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08]
  • 「15세기 후반 광주(廣州) 관영사기소의 자기제작과 운영에 관한 연구」
    정 담 이화여 자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8]
  • 「15세기 한중 관계사-책봉조공의 확립」, 동양사학연구 140
    曺永憲 동양사학회 [2017]
  • 「15세기 조선과 명의 御用磁器 제작체제의 유사점과 차이점」, 고문화 85
    김윤정 한 국대학박물관협회 [2015]
  • 「15세기 조선 왕실이 택한 관요 자기와 선별배경」, 도예연구 27
    오영인 이화여자대 학교 도예연구소 [2018]
  • 「15세기 경기도 광주 백자의 성립과 발전」, 미술사학연구 237
    姜敬淑 한국미술사학회 [2003]
  • 「15세기 貢物의 운송방법과 분청사기 銘文의 지역별 특징, 역사와 담론 47
    박경자 호서사학회 [2007]
  • 「15世紀 粉靑沙器 및 白磁의 需要와 製磁性格의 變化」, 미술사연구 12
    田勝昌 미술 사연구회 [1998]
  • 「15∼17세기 관요 백자 명문의 변화와 그 배경」, 야외고고학 17
    김귀한 한국문화 유산협회 [2013]
  • 「15∼16세기 조선백자의 양상」, 한 일 도자문화의 교류양상
    尹龍二 경인문화사 [2005]
  • 「15-16세기 관요 백자 제작 양상의 변화와 그 배경」, 사학지 47
    김귀한 단국사학회 [2013]
  • 「15-16세기 朝鮮 白磁에 보이는 明代 磁器의 影響」, 미술사학연구 270
    이현정 한국 미술사학회 [2011]
  • 「14세기 銅器의 유행과 그 의미」, 석당논총 51
    신은제 허선영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1]
  • 「14세기 康津 磁器所의 해체와 窯業 체제의 二元化」, 미술사학연구 238 239
    朴敬子 한국미술사학회 [2003]
  • 「14世紀 後半 高麗象嵌靑磁의 新傾向」, 미술사학연구 201
    李鍾玟 한국미술사학회 [1994]
  • 栗谷全書 
  • 六典條例 
  • 李朝後期 手工業에 관한 硏究
    宋贊植 서울대학교출판부 [1973]
  • 한국 도자사전
    김윤정 경인문화사 [2015]
  • 한국 도자기 가마터 연구
    강경숙 ㈜시공사 [2005]
  • 증보판 한국사회사연구
    이태진 지식산업사 [2008]
  • 중국도자사 연구
    방병선 경인문화사 [2012]
  • 종로2가 40번지 시전행랑 유적.
    한울문화재연구원 종로2가 40번지 시전행랑 유적 [2010]
  • 종로 청진8지구유적.
    한울문화재연구원 종로 청진8지구유적 [2013]
  • 종로 청진5지구유적.
    한울문화재연구원 종로 청진5지구유적 [2012]
  • 종로 청진2∼3지구유적.
    한울문화재연구원 종로 청진2∼3지구유적 [2013]
  • 종로 청진1지구유적
    한울문화재연구원 종로 청진1지구유적 [2011]
  • 종로 청진12∼16지구유적.
    한울문화재연구원 종로 청진12∼16지구유적 [2013]
  • 종로 어영청지 유적.
    한울문화재연구원 종로 어영청지 유적 [2011]
  • 조선후기 백자 연구
    방병선 일지사 [2000]
  • 조선초기 司饔房과 貢納磁器 연구
    朴亨順 朴亨順 충북대학교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 박사 학위논문 [2019]
  • 조선중세수공업사연구
    홍희유 지양사 [1989]
  • 조선중기 국가와 사족
    김성우 역사비평사 [2001]
  • 조선시대 도자기
    김영원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 조선 전기 청화백자 연구
    김혜정 명지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17]
  • 조선 전기 명문백자 연구
    박정민 명지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14]
  • 조선 전기 도자사
    김영원 일조각 [2011]
  • 조선 관요 청자 연구
    吳英仁 서울대학교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17]
  • 용인 초부리 백자가마 발굴조사 보고서.
    명지대학교박물관 용인 초부리 백자가마 발굴조사 보고서 [2009]
  • 왕조실록을 통해 본 조선도자사
    방병선 고려대학교출판부 [2005]
  • 서울 신내동 유적.
    한강문화재연구원 서울 신내동 유적 [2009]
  • 서울 세종로구역 2지구유적.
    한울문화재연구원 서울 세종로구역 2지구유적 [2013]
  • 서울 군기시터 유적.
    한강문화재연구원 서울 군기시터 유적 [2011]
  • 번천리 8호 선동리 2호 요지 일원.
    경기도자박물관 번천리 8호 선동리 2호 요지 일원 [2013]
  • 김영훈 선생 기증도편 자료집.
    경기도자박물관 김영훈 선생 기증도편 자료집 [2016]
  • 국역헌종무신진찬의궤 卷首 卷一
    전통예술원 민속원 [2004]
  • 광주조선백자요지(사적 제314호) 4차 발굴조사보고서.
    경기도자박물관 광주조선백자요지(사적 제314호) 4차 발굴조사보고서 [2019]
  • 광주조선백자요지(사적 제314호) 3차 발굴조사보고서.
    경기도자박물관 광주조선백자요지(사적 제314호) 3차 발굴조사보고서 [2019]
  • 광주백자
    경기도자박물관 광주백자 [2017]
  • 광주 조선백자 요지.
    한강문화재연구원 광주 조선백자 요지 [2019]
  • 광주 신대리 29호 백자가마터.
    경기도자박물관 광주 신대리 29호 백자가마터 [2009]
  • 광주 신대리 18호 백자가마터
    경기도자박물관 광주 신대리 18호 백자가마터 [2008]
  • 광주 송정동 5·6호 백자가마터.
    조선관요박물관 광주 송정동 5 6호 백자가마터 [2008]
  • 광주 무갑리 10호 도요지 내 유적.
    서경문화재연구원 서경문화재연구원 광주 무갑리 10호 도요지 내 유적 [2015]
  • 광주 관음리 유적.
    서경문화재연구원 광주 관음리 유적 [2018]
  • 광주 관음리 8호 백자가마 공방지.
    경기도자박물관 광주 관음리 8호 백자가마 공방지 [2011]
  • 고려중기 청자 연구
    張南原 혜안 [2006]
  • 고려시대의 특수행정구역 所 연구
    이정신 혜안 [2013]
  • 고려 도기 연구, 역락. 허경진 외(2012), 宿踐諸衙圖
    한혜선 민속원 [2019]
  • 고구려 기와의 성립과 왕권
    백종오 주류성 [2006]
  • 경기도 광주 관요 종합분석 보고서.
    경기도박물관 경기도 광주 관요 종합분석 보고서 [2008]
  • 高麗末 朝鮮初 銘文靑瓷 硏究
    金允貞 고려대학교 대학원 문화재학협동과정 박사학 위논문 [2011]
  • 韓國의 陶磁器
    鄭良謨 문예출판사 [1991]
  • 韓國의 科擧制度
    李成茂 집문당 [2000]
  • 韓國陶磁史
    姜敬淑 姜敬淑 일지사 [1989]
  • 韓國陶瓷史硏究
    尹龍二 문예출판사 [1993]
  • 韓國 陶磁史
    강경숙 예경 [2012]
  • 譯註 經國大典註解
    鄭肯植 한국법제연구원 [2009]
  • 譯註 經國大典 飜譯篇
    韓國精神文化硏究院 조은문화사 [1985]
  • 譯註 經國大典 註釋篇
    韓國精神文化硏究院 조은문화사 [1985]
  • 統一新羅 石造美術硏究
    박경식 학연문화사 [1994]
  • 檜巖寺Ⅵ.
  • 檜巖寺Ⅴ.
  • 檜巖寺Ⅳ.
  • 檜巖寺Ⅲ.
  • 檜巖寺Ⅱ.
  • 楊口地域 白磁硏究
    정두섭 강원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11]
  • 楊口 方山의 陶窯址 地表調査報告書.
    梨花女子大學校 博物館 楊口 方山의 陶窯址 地表調査報告書 [2001]
  • 朝鮮王朝實錄 
  • 朝鮮時代 後期 白磁의 硏究
    方炳善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박사학위논문 [1998]
  • 朝鮮時代 商工業史硏究
    姜萬吉 한길사 [1984]
  • 朝鮮後期 肅宗의 政局運營과 王權 硏究
    李相植 李相植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05]
  • 朝鮮後期 分院里 時期 官窯白磁 硏究
    崔敬和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박 사학위논문 [2014]
  • 朝鮮前期의 王權과 政局運營
    金 範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05]
  • 朝鮮前期의 京衙前硏究
    신해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1986]
  • 朝鮮前期 陶磁의 硏究
    金英媛 학연문화사 [1995]
  • 朝鮮前期 貢納制 硏究
    朴道植 혜안 [2011]
  • 朝鮮前期 王室財政 硏究
    宋洙煥 집문당 [2000]
  • 朝鮮前期 儀禮硏究
    池斗煥 서울대학교출판부 [1994]
  • 朝鮮初期 貢納制의 운영과 貢案改定
    소순규 고려대학교 대학원 한국사학과 박사학 위논문 [2017]
  • 朝鮮初期 政治支配勢力硏究
    鄭杜熙 일조각 [1983]
  • 朝鮮初期 政治史硏究
    崔承熙 지식산업사 [2002]
  • 朝鮮初期 地理志 硏究
    徐仁源 혜안 [2002]
  • 朝鮮初期 國家祭禮 硏究
    韓亨周 일조각 [2002]
  • 朝鮮 15世紀 磁器貢納에 관한 硏究
    박경자 충북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09]
  • 景福宮 興福殿址 發掘調査報告書.
    국립문화재연구소 景福宮 興福殿址 發掘調査報告書 [2008]
  • 景福宮 小廚房址 發掘調査報告書.
    국립문화재연구소 景福宮 小廚房址 發掘調査報告書 [2008]
  • 景福宮 咸和堂·緝敬堂 行閣址 發掘調査報告書
    국립문화재연구소 景福宮 咸和堂 緝敬堂 行閣址 發掘調査報告書 [2008]
  • 明宗代 勳戚政治 硏究
    韓春順 혜안 [2006]
  • 明初朝鮮關係史硏究
    朴元熇 일조각 [2002]
  • 日本 九州地域의 朝鮮 被虜沙器匠 硏究
    李美淑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학과 박사 학위논문 [2008]
  • 廣州의 朝鮮陶磁窯址.
    조선관요박물관 廣州의 朝鮮陶磁窯址 [2004]
  • 廣州 牛山里 白磁窯址(Ⅱ)-17號 白磁窯址 試掘調査報告書.
    해강도자미술관 廣州 牛山里 白磁窯址(Ⅱ)-17號 白磁窯址 試掘調査報告書 [1999]
  • 廣州 牛山里 白磁 窯址.
    해강도자미술관 廣州 牛山里 白磁 窯址 [1996]
  • 廣州 武甲里 10號 조선백자 도요지 인접지역.
    梨花女子大學校 博物館 廣州 武甲里 10號 조선백자 도요지 인접지역 [2007]
  • 廣州 建業里 朝鮮白磁 窯址-建業里 2號 가마遺蹟 發掘調査報告書-.
    해강도자미술관 廣州 建業里 朝鮮白磁 窯址-建業里 2號 가마遺蹟 發掘調査報告書- [2000]
  • 宗廟.
    서울역사박물관 宗廟 [2012]
  • 古法典用語辭典
    法制處 서울大學校 [1979]
  • 分院의 設置를 中心으로 한 朝鮮前期 陶磁의 硏究
    金英媛 서울대학교 대학원 고고 미술사학과 박사학위논문 [1995]
  • 傳統陶磁器의 生産과 需要
    權丙卓 영남대학교출판부 [1993]
  • 中國正史朝鮮傳 譯註3
    국사편찬위원회 신서원 [2004]
  • 15∼16世紀 朝鮮時代 京畿道 廣州 官窯 硏究
    田勝昌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08]
  • 高裕燮(1939), 朝鮮の靑瓷, 寶雲舍.
  • 高裕燮 著, 又玄 高裕燮 全集 發刊委員會 編, 高麗靑瓷 又玄 高裕燮 全集 5
    열화당 [2010]
  • 韓國精神文化硏究院(1986), 韓國白磁陶窯址.
  • 韓國文化遺産硏究院(2017), 廣州 新垈里 21 31號 窯址.
  • 韓國文化遺産硏究院(2014), 廣州 大雙嶺里 2號 窯址.
  • 韓國文化遺産硏究院(2013), 廣州 道馬里 7號 武甲里 14號 窯址.
  • 韓國文化遺産硏究院(2011), 廣州 昆池岩里 492番地 遺蹟.
  • 鄭良謨(1980), 「李朝陶磁の編年」, 世界陶磁全集(19) 李朝, 小學館(東京).
  • 遣閑雜錄 
  • 趙世煥日記 
  • 訥齋集 
  • 記言 
  • 藤岡了一(1976), 「明初の陶磁」, 世界陶磁全集(14) 明, 14, 小學館(東京).
  • 續錄 
  • 續大典 
  • 經國大典 
  • 經國大典註解 
  • 白鳥庫吉(1929), 「高麗史に見えた蒙古語の解釋」, 東洋學報 18-2, 東洋協會調査部(東京).
  • 田川孝三(1964), 李朝貢納制の硏究, 東洋文庫(東京).
  • 淺川巧(1931), 朝鮮陶磁名考, 工政會出版部(東京).
  • 淺川 巧 著, 鄭明鎬 譯, 朝鮮陶磁名考
    경인문화사 [1991]
  • 梨花女子大學校 博物館(2007b), 廣州 樊川里 9號 朝鮮白磁窯址.
  • 梨花女子大學校 博物館(2006), 廣州 分院里 白磁窯址.
  • 梨花女子大學校 博物館(1993), 朝鮮白磁窯址 發掘調査報告展-附 廣州牛山里9號窯址 發掘調査報告-.
  • 梨花女子大學校 博物館(1986), 廣州朝鮮白磁窯址 發掘調査報告-樊川里 5號 仙東里 2,3號-.
  • 林園經濟志 
  • 松巖集 
  • 朴祥 著, 車柱環 譯(1979), (譯解)訥齋集, 忠州朴氏 文簡公派 門中 訥齋思菴文集 譯解發刊委員會.
  • 日省錄 
  • 新增東國輿地勝覽 
  • 散稿 
  • 承政院日記 
  • 成俔 著, 朴洪植 등 校勘 標點, 慵齋叢話
    慶山大學校開校二十周年紀念事業團學術行事委員會 [2000]
  • 慶尙道丹城縣戶籍大帳 
  • 慵齋叢話 
  • 左右寶刊行會 編(1980), 世界陶磁全集(19) 李朝, 小學館(東京).
  • 奎章閣(1997), 大典續錄 大典後續錄 經國大典註解.
  • 大典續錄 
  • 大典會通 
  • 大典後
  • 國立文化財硏究所(2001), 韓國考古學事典.
  • 國立中央博物館(1995), 廣州郡 道馬里 白磁窯址 發掘調査 報告書–道馬里 1號 窯址-.
  • 國立中央博物館 京畿道博物館(2000), 京畿道廣州中央官窯(解說篇). 大東文化財硏究院(2012), 高靈 沙鳧里窯址.
  • 國立中央博物館 京畿道博物館(1998), 京畿道廣州中央官窯(圖版篇).
  • 分院磁器貢所節目
  • 備邊司謄錄 
  • 京畿道博物館 畿甸文化財硏究院(2001), 檜岩寺Ⅰ.
  • 五洲衍文長箋
  • 中央日報
  • , 「朝鮮前期 粉靑과 象嵌白磁에 관한 硏究」, 미술사학연구 153
    金英媛 한국미술사학회 [1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