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초등학교 교사들의 협동학습 교실 실천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김대권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초등학교 교사들의 협동학습 교실 실천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교실생태학
  • 근거 이론
  • 생태학
  • 참여형 학습
  • 협동
  • 협동학습
  • 협동학습 생태학
  • 협동학습 실천
  • 협력학습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888 0

0.0%

' 초등학교 교사들의 협동학습 교실 실천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의 참고문헌

  • 효과적인 협동학습을 위한 모둠 구성 도구 개발
    고주형 이경희 조정원 좌찬익 디 지털융복합연구, 16(7), 243-248 [2018]
  • 협력학습환경에서 메타인지적 자기조절, 정서조절과 성취도 간의 관계
    김시원 김영주 임규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0), 685-707 [2015]
  • 협력학습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과 협력적 자기조절의 관계 : 집단 응집성의 조절효과를 중심. 교육방법연구, 27(2), 211-228.
    김시원 박하나 임규연 교육방법연구, 27(2), 211-228 [2015]
  • 협동학습전략과 경쟁학습전략의 교육효과비교
    박성익 교육학연구, 23(2), 53-64 [1985]
  • 협동학습이 학습장애학생의 학업 성취도, 자아 존중감, 또래 수용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강병호 세종대학교대학원 [2014]
  • 협동학습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 관련변인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신문승 학습자중 심교과교육연구, 18(15), 471-491 [2018]
  • 협동학습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강만철 강홍숙 아동교육, 15(1), 69-82 [2006]
  • 협동학습의 인지적 기제와 테크놀로지의 지원
    정혜선 인지과학, 30(1), 1-30 [2019]
  • 협동학습의 이해와 실천
    정문성 서울: 교육과학사 [2006]
  • 협동학습의 이론과 실제
    김광휘 변영계 서울: 학지사 [1999]
  • 협동학습을 활용한 사랑성품 프로그램 개발 : 초등학교 4학년을 중심으로. 석 사학위논문
    정택함 한동대학교교육대학원 [2015]
  • 협동학습을 기반으로 한 유아 자아존중감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박사 학위논문
    김현주 강릉원주대학교대학원 [2018]
  • 협동학습에서 팀 구성원의 자기 및 동료평가를 위한 평가문항 개발
    박찬정 부성미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6(4), 1-10 [2003]
  • 협동학습에서 모둠 세우기 활동이 수학 학업성취도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김종숙 강원대학교교육대학원 [2015]
  • 협동학습에서 과제와 사회적 요소의 작용
    김은주 도승이 교육심리연구, 21(4), 1047-1070 [2007]
  • 협동학습에 의한 일본어 발화수업 연구. 박사학위논문
    신옥천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 원 [2017]
  • 협동학습에 대한 중등 교사들의 인식 조사 연구
    유종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1), 203-228 [2011]
  • 협동학습에 관한 최근 연구의 고찰과 영어 읽기 교육에 관한 협동학습 모형 제안
    박기표 이영경 순천향인문과학논총, 36(2), 163-196 [2017]
  • 협동학습과 협력학습 구조 비교분석
    강인구 한국교육문제연구소 논문집, 183-197 [2003]
  • 협동학습과 그 이론적 기초
    이명숙 초등교육연구논총, 19(2), 61-80 [2011]
  • 협동학습 전략이 학업성취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 실업 계 고등학교 지리수업을 사례로 하여
    박성익 이경숙 이희연 교육학연구, 41(1), 225-251 [2003]
  • 협동학습 수용에서 LT접근법
    이종일 초등교육연구논총, 19(2), 29-59 [2003]
  • 협동학습 소집단 활동의 효과와 한계 : 사회과 수업비평 사례를 중심으로
    허수미 사 회과교육, 50(4), 63-81 [2011]
  • 협동학습 모형 탐색
  • 협동학습 맥락에서 대학생의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문제해결능력 간의 관계 :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고장완 박지회 교육혁신연구, 26(1), 169-192 [2016]
  • 협동학습 구조에 의한 사회적 기술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강유선 김창복 발도르프교육연구, 3(1), 113-134 [2011]
  • 협동 학습이 중학생의 과학 지식, 탐구 능력 및 학습환경 인식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이양락 서울대학교대학원 [1997]
  • 협동 학습 실행을 위한 유기체적 협동 학습 문화
    이종일 사회과 교육 연구, 14(1), 1-23 [2007]
  • 현정석 협동적 웹기반 학습에서 학습자 평가항목 개발 및 수업유형에 따른 평가사례 분석
    박찬정 컴퓨터교육학회지, 7(6), 15-35 [2004]
  • 혁신학교 학부모들의 학교참여 제약에 관한 질적 연구 : 입시교육 현 실에 갇힌 교육공동체의 실상
    전하람 최윤진 한국교육학연구, 25(2), 289-322 [2019]
  • 한국인 교사와 원어민 교사의 영어 협동수업 역할 분담 모형 개발
    김옥중 박사학위 논문 [2015]
  • 한국의 사회갈등 구조 연구
    서문기 한국사회학. 38(6), 195-218 [2004]
  • 한국사회의 갈등구조
    송복 서울 : 경문사 [1997]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연보. 2019. 9. 9
    일자 보도자료 [2019]
  •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교사평가제도에 대한 비교 연구: 메타평가를 중심으로
    김민아 김혜숙 한국교육, 46(3), 31-63 [2019]
  • 학습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이 교육평가에 주는 시사
    백순근 아시아교육연구, 3(1), 27-42 [2002]
  • 학습양식의 차이가 협동학습에 미치는 효과
    민경일 교육과정연구, 17(1), 265-300 [1999]
  • 학습생태를 존중하는 사회교과서 개발. 각 과 교과서 개발 연구. 제18회 학습 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남상준 서울 [2006]
  • 학교현장의 수업설계 실태에 대한 생태학적 탐색 -사회 교과를 중심 으로
    정한호 한춘희 초등교육연구. 23(4), 253-278 [2010]
  • 학교폭력을 예방하는 학교의 일상적 교육활동 방안에 대한 연구: 학교교육에서 자기주도학습과 협동학습, 인성교육과 사회성교육의 균형. 2012국제교과서심포지엄 자료집: 주요국 교과서정책 및 인성교육 동향(2012.10.26
    홍후조 서울역사박물관 강당), 177-208 [2012]
  • 평생학습과 학습생태계: 평생교육론의 새로운 패러다임
    한숭희 서울: 학지사 [2001]
  • 팀활동에 기반한 협동학습에서 변혁적 리더십
    고수일 한주희 직업 교육 연구, 28(3), 111-132 [2009]
  • 팀 활동하기에 참여한 초등학교 5학년 아동들의 책임감 변화
    이재용 이형석 교육논 총, 31(2), 109-129 [2011]
  • 팀 보상 유무에 따른 STAD 협동학습의 효과 :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학업성취도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대학원. [2012]
  • 토론수업에서 학습자의 협동적, 경쟁적 학습스타일과 자기주도성이 동료평가 와 토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권성연 열린교육연구, 18(1), 47-66 [2010]
  • 초중등학교에서 협동 증진을 위한 교육과정기준 개발, 박사학위 논문
    박지혜 고려대 학교 대학원 [2018]
  • 초중등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국제지질자원인재개발센터 를 중심으로
    김형범 이윤수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2(1), 82-93 [2019]
  • 초등학생의 협동학습 팀빌딩 프로그램 참여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김대권 박인우 교육문제연구, 66(4), 87-120 [2018]
  • 초등학교교육과정 설계 모형 구안 연구. 박사학위논문
    민부자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 초등학교교실수업에서의 e-러닝에 대한 교사, 학생, 학부모의 인식
    박인우 정한호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2(3), 197-239 [2006]
  • 초등학교 신규교사들의 도덕과 수업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문성윤 초등도덕교육, 58(1), 227-255 [2017]
  • 초등학교 교실수업과 e-러닝의 부조화-생태학적 관점에서의 수업관찰을 통하 여
    정한호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3(2), 5-51 [2007]
  • 초등학교 교실 공간이 고려해야 할 요소
    황은진 초등교육학연구, 21(2), 95-112 [2014]
  • 초등학교 교사문화에 대한 문화기술적 사례 연구
    김병찬 이은주 초등교육연구, 26 (2), 1-28 [2013]
  •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좋은 교사’의 인식 탐색: 의미연결 망 분석방법의 사용. 한국교육학회, 57(2), 175-196.
    정윤희 정윤희 정윤희 한국교육학회, 57(2), 175-196 [2019]
  •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수업 자율성의 구성 요인 탐색
    고재천 학습자중심교과교육 연구, 19(2), 355-375 [2019]
  • 초등지리환경교육 지도학습을 위한 스마트 교실용 학습환경 설계와 스토리텔링 인터랙티브 맵 에디터 개발
    김현진 남광우 윤옥경 한정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3(2), 31-44 [2015]
  • 집단적 교사효능감, 개인적 교사효능감 및 교사협력 간 구조적 관계
    권순형 김도기 한국교원교육연구, 31(2), 161-180 [2014]
  • 지식생태학과 교육공학 : 생태학적 교육공학의 정처마련을 위한 시론적 탐색
    이길흥 교육공학 연구, 21(1), 159-194 [2005]
  • 지리과 교실수업 연구의 동향과 과제
    박승규 사회과학교육연구, 제4호, 43-66 [2001]
  • 주영, 강훈식, 노태희 초중등 예비교사들의 과학과 협동학습에 대한 인식과 교육요구
    대한화학회지, 53(4), 432-444 [2009]
  • 좋은 수업에 대한 교사와 학생 및 학부모의 관점
    서경혜 유신영 교육학연구, 42(4), 285-315 [2004]
  • 제4차 산업혁명과 미래교육 실천방안(2017 교육부 정책연구 보고서)
  • 정의란 무엇인가-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가치, 자유와 평등, 형평. 한국사회이 론학회
    김철 사회이론, 39(4), 37-74 [2011]
  •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 여부에 따른 교사협력정도
    김주영 박인우 장재홍 교사교육 연구, 57(1), 1-15 [2018]
  • 전문성을 지닌 교사리더로 성장하기: 협동학습연구회에 대한 문화기술 적 연구
    김성천 양정호 교육사회학연구, 17(4), 1-33 [2007]
  • 전국 시 도교육연수원의 교원연수과정 실태 분석
    김경원 서공주 정성수 한국교원교 육연구, 34(3), 29-51 [2017]
  • 자기생산(Autopoiesis) 활동으로서의 자기주도적 학습 원리 탐구. 박사학위논 문
    최영란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2007]
  • 임파워먼트에 기반한 초등사회과 협동학습 원리의 고찰
    남상준 홍혜경 사회과교육연 구, 24(4), 131-142 [2017]
  • 이전이.학습활동으로서 교사협력이 수업개선 정도에 미치는 효과
    박주호 송인발 한 국교원교육연구, 33(1), 243-265 [2016]
  • 이러닝 협동학습 평가 모델 개발
    오양가 오양가 오양가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 지, 11(1), 135-144 [2015]
  • 유아기 언어교육에서 협동학습의 효율성
    체렝검버 아동교육, 12(2), 223-236 [2003]
  • 위키기반 CSCL 에서 그라운딩 지원도구의 설계기반연구
    김동석 선종삼 교육공학연 구, 26(2), 149-186 [2010]
  • 위키 기반 협동학습과제 수행에서 혼합학습 유형과 협동학습 구조화 전략이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승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9(3), 311-330 [2009]
  • 웹기반 언어학 협동학습에 있어서 원격학습과 면대면학습의 효율성 비교
    강옥미 한 국어학, 14(1), 71-92 [2001]
  • 웹 기반 협동학습에서 상호의존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김명랑 박인우 교육 과학연구, 40(1), 89-116 [2009]
  • 웹 기반 토론학습에서 교수자의 토론촉진전략에 따른 학습자의인지적 참여도, 사회적 참여도,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박정미 한정선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3(1), 5-30 [2007]
  • 우리에게 연고는 무엇인가
    김성국 석현호 유석춘 임현진 서울 : 전통과 현대 [2003]
  • 온라인 협동학습환경에서 사회적 실재감, 집단자존감, 집단응집력 및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남창우 이현응 교육공학연구, 29(2), 407-434 [2013]
  • 예술중점학교 성과 평가 연구
    권덕원 윤정현 이주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3), 45-69 [2013]
  • 예비교사와 현직교사가 생각하는 좋은 유아교사의 자질
    석은조 이경하 열린유아교육 연구, 15(5), 167-187 [2010]
  • 예비 중등 교사의 직소우(Jigsaw) 모형 경험에 관한 연구
    김인수 홍선주 교육방법연 구, 23(2), 277-298 [2011]
  • 영어 학습자 문학을 이용한 중학교 영어 협동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 및 적용, 박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 신동로, 김강식, 서길주 STAD 협동학습 방법이 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김강식 서길주 신동로 교육논총, 21(2), 1-22 [2011]
  • 시민성 함양을 위한 사회과 협동학습 전략
    한관종 사회과교육연구, 12(2), 263-291 [2005]
  • 스마트미디어를 활용한 토론수업의 효과분석:웹기반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희배 연고운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1(4), 645-665 [2015]
  • 스마트 수학 프로그램을 적용한 STEAM 교육이 수학적 신념과 학습태도에 미 치는 효과
    안종수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7), 95-125 [2018]
  • 수학교과에서 협동학습을 통한 수행평가연구
    김기원 이민정 자연과학논문집, 11(1), 43-67 [2003]
  • 수학과 협동 학습에서 협동적 문제 해결의 평가
    김남균 이기석 수학교육논문집, 9(1), 31-40 [1999]
  • 수준별 역할을 제시한 소집단 게임이 영어 읽기 쓰기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 는 영향 : 초등학교 6학년 대상으로, 석사학위논문
    고무희 인천대학교대학원 [2015]
  • 수업방법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의 맥락
    길양숙 교육과정연구, 17(2), 39-63 [1999]
  • 수업모형의 친상황성에 대한 맥락주의적 해석
    임진영 교육문화연구, 20(2), 31-58 [2014]
  •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한 교양영어 독해수업 방안 연구
    김혜경 교양교육연구, 0(4), 209-236 [2016]
  • 소집단 협동학습에서 구성원들과의 친밀도와 학습 플로우 관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최진영 건국대학교교육대학원 [2012]
  • 세계화의 딜레마: 세계주의와 국지주의의 갈등
    성경륭 한국사회학, 35(2), 29-57 [2001]
  • 생태학적 국어교육: 듣기 말하기 교육을 중심으로
    김윤옥 청람어문교육, 31(3), 31-51 [2005]
  • 생태학적 관점에서 본 사회과의 진화에 대한 반성과 전망
    설규주 시민교육연구, 41(2), 129-164 [2009]
  • 생태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문제해결학습과 교실환경
    박인우 교육방법연구, 15(1), 89-103 [2003]
  • 생태학과 교육과정탐구: 학교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또 다른 접근
    주재홍 교육과정연 구, 30(2), 1-26 [2012]
  • 생태적 사회과 교육의 방향 탐색
    남상준 문현진 사회과 교육 연구, 15(3), 41-63 [2008]
  • 생태적 담론의 교육학적 함의- 새로운 생태교육관의 모색
    노상우 한국교육학회 교육 학연구, 41(1), 1-21 [2003]
  • 생태적 관점에서 본 현대교육의 문제점과 대안
    이민정 최규일 교육사상연구, 29(2), 129-148 [2015]
  • 생태문해력의 사회과교육적 의미 탐색.
    남상준 진소라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3(3), 145-158. [2015]
  • 생태계 교란 생물을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태 도에 미치는 효과
    이상원 정해솔 한국초등교육, 30(2), 17-35 [2019]
  • 사회정서학습(SEL)을 적용한 학교인성교육 정책방향 연구. 박사학위논문
    김윤경 서울 대학교대학원 [2017]
  • 사회의 구조와 변동
    오갑환 서울 : 박영사 [1976]
  • 사회과 협동학습의 의의와 이론적 토대
    손병노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사회과교육, 제29호, 163?190 [1996]
  • 사회과 수업의 생태비평: 생태지역 개념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이현진 한국교원 대학교 대학원 [2017]
  • 사회과 수업에서 ‘초등다움’의 의미 탐색
    문현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17), 519-541 [2018]
  •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체계이론에 의거한 장애인 복지정책 및 서비스의 분 석
    허창덕 재활복지, 16(2), 57-80 [2012]
  • 바로 지금 협동학습
    김대권 서울:즐거운 학교 [2014]
  • 미래사회 준비 PCP협동학습프로그램 구안 적용이 민주시민의식 함양에 미치는 영향
    김한옥 미래교육연구, 6(1), 35-59 [2016]
  • 딜레마 토론을 활용한 협동학습상황에서의 도덕적 민감성 연구
    최지영 열린교육연구, 18(4), 171-194 [2010]
  •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실생태계 분석 연구
    김혜숙 교육과정평가연구, 18(3), 109-138 [2015]
  • 대학영어 협동학습 과정에서 나타난 학습자들의 수업경험. 박사학위논문
    최은영 전남 대학교대학원 [2007]
  • 대학수업에서의 웹기반 협동학습에 대한 인식 분석 : 사회적 상호의존성 이론 에 근거하여
    김명랑 교육공학연구, 27(2), 267-287 [2011]
  • 대학생의 팀 기반 프로젝트학습 과정 탐색강경리
    강경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7), 385-421 [2018]
  • 대학생의 조별과제 경험 매너리즘과 변화의 필요성
    이의용 한희정 사회과학연구, 31 (4), 121-150 [2015]
  • 대학 수업 조별과제의 집단효능감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문지윤 신태섭 한국교육심 리학회, 29(1), 41-64 [2015]
  • 대규모강의에서의 학습자참여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김상무 김세곤 김수동 김영규 주재훈 동국대학교교육연구소 교육연구, 3(1), 91-114 [2018]
  • 국내 언어교사 연수체제 개선을 위한 요구조사 분석 및 시사점 : 경기도 지역 언어교사를 대상으로
    최희재 교원교육, 35(4), 305-330 [2019]
  • 국내 교육공학 학문공동체의 지식 구조의 모습과 특성 탐색: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통한『교육공학연구』와 『교육정보미디어연구』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찬희 조규락 교육공 학연구, 32(3), 571-609 [2016]
  • 구조화된 토론 안내의 제시가 온라인 토론 글에 미치는 영향
    김선희 연은경 임철일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7(3), 283-308 [2011]
  • 교육공학분야의 협력학습관련 연구동향 분석: 2006-2016까지 『교육공 학연구』 및 『교육정보미디어연구』에 실린 논문을 대상으로
    교육공학연구, 33(3), 769-797 [2017]
  • 교육공학 탐구의 새 지평
  • 교원의 능력개발을 위한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 방안. 이슈페이퍼
    이석열 1(CP2015-01-1) [2015]
  • 교원연수제도의 문제와 개선에 대한 역사적 신제도주의적 분석
    신현석 전상훈 교육 문제연구. 32(1), 167-192 [2008]
  • 교원능력개발평가에서 과학 교사의 수업 능력 평가를 위한 이해당사 자 기반의 평가 관점 분석
    윤지현 한재영 교과교육학연구, 16(4), 941-960 [2012]
  • 교양수업에 참여한 대학생의 협동학습 경험에 관한 연구
    김영순 최희 열린교육연구, 26(1), 145-164 [2018]
  • 교실수업 방해원인에 대한 질적 고찰
    정한호 교육문제연구, 32(5), 63-94 [2008]
  • 교실생태학적 관점에 따른 수학교육의 방향 탐색
    이대현 초등수학교육, 14(1), 1-12 [2011]
  • 교실생태학적 관점에 근거한 중등 지리수업의 질적 사례연구. 박사학위논문
    김혜숙 고려대학교대학원 [2006]
  • 교사의 전문성 개발활동이 교과 및 교수 전문성향상에 미친 효과
    박주호 송인발 아 시아교육연구, 16(1), 63-83 [2015]
  • 교사들의 협동학습에 대한 태도 및 인식에 관한 연구
    김종욱 남정권 실과교육연구, 19(4), 319-337 [2013]
  • 교사들의 ‘반(半) 자발성’에서 출발한 학교 내 교사학 습공동체 운영 사례 연구
    김남균 김민조 김종원 심영택 한국교원교육연구, 33(4), 223-248 [2016]
  • 과학교사들이 진단한 과학과 협동학습의 실태
    곽영순 한국지구과학회지, 22(5), 360-376 [2001]
  • 과학교과에서 협동적 형성평가 문제 만들기 및 해결을 통한 학습 정 리 활동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소정 이규호 초등과학교육, 37(4), 339-351 [2018]
  • 과학 수업에서의 협동학습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노태희 이지영 이혜인 한재영 열 린교육연구, 14(3), 103-117 [2006]
  • 과제 중심 협동학습 지원 환경의 설계 및 구현
    정미실 최은만 정보처리학회논문지, 11(3), 217-226 [2004]
  • 고등학교 사회과 토론수업에 관한 질적 연구
    최형규 교육연구, 19(3), 247-274 [2005]
  • 경남대학교대학원. 김우식 연결망, 불평등, 위법행동
    한국사회학, 40(5), 29-60 [2006]
  • 『교육공학연구』
    양용칠 정현미 20년 연구 흐름 분석. 교육공학연구, 21(4), 167-194 [2005]
  • “초등교사의 반성적 수업성찰을 위한 수업연구 (LessonStudy)의 이해”
    김현욱 학습자 중심교과교육연구, 18(17), 673-695 [2018]
  • “Strauss와 Glaser의 근거이론방법론 비교”
    최귀순 정신간호학회지, 14(1), 82-90 [2005]
  •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 확정 발표”
    교육부 보도자료(’15. 09. 23.) [2015]
  • ‘다름의 관계성’의 사회과교육적 의미 ? 근본 생태론의 ‘관계’와 에코 페미니즘의 ‘다름’을 중심으로
    남상준 조현정 사회과교육연구, 17(2), 77-90 [2010]
  • e-포트폴리오 학습 환경에서 활동 인식 지원 도구의 설계 기반 연구
    류완영 전은화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5(1), 187-214 [2009]
  • e-Learning 환경에서 성인학습자의 독립적, 협동적 학습양식에 따른 학습전 략 사용 및 학습활동 선호도 분석
    권성연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12(2), 1-28 [2009]
  • What works ? Issues in synthesizing educational program evaluations
    37 ( 1 ) , 5-14 . [2008]
  • Weber, Max. 양회수 옮김 세계의 사상. 사회과학논총
    서울 : 을유문화사 [1987]
  • Vygotsky , Piaget , and Bandura : Perspectives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social world and cognitive development
    36 ( 2 ) , 61-82 . [1993]
  • Using Grounded Theory in Nursing . New York : Springer . Sharan , Y .Cooperative learning for academic and social gains Valued pedagogy , problematic practice
    45 , 300-310 [2001]
  • The web of life. 김용정?김동광 (역) (1998). 생명의 그물
    Capra, F. 서울: 범양 출판 [1996]
  • The structural approach : six keys to cooperative learning . In S. Sharan ( Ed . ) , Handbook of cooperative learning methods
    [1994]
  • The psychology of the language learner .
    [2005]
  • The process of education
    Bruner, J. S. Harvard University Press. 이홍우 옮 김(2005). 브루너 교육의 과정. 서울: 배영사 [1960]
  • The influence of the quality of the physical environment , food , and service on restaurant image , customer perceived value , customer satisfaction , and behavioural intentions
    24 ( 2 ) , 200-223 [2012]
  • The effect of prolonged implementation of cooperative learning on social support within the classroom
    119 , 405 ? 411 [1985]
  •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on elementary students ’ science achievement and social skills in Kuwait
    10 , 293-314 [2012]
  •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1979]
  • The behaviors , interactions , and perception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during small-group learning
    5 ( 1 ) , 137 ? 147 [2008]
  • The Twisting Path of Concept Development in Learning to Teach
    105 ( 8 ) , 1399-1436 [2003]
  •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Cooperative Learning and Problem based Learning in EFL Writing Class : Teachers and Students ’ Perspectives
    11 ( 4 ) , 657-672 [2018]
  • The Sociology of George Simmel
    [1950]
  • The Elementary Forms of Religious Life
  • The Division of Labor in the Society
    [1933]
  • The Construction of Shared Knowledge in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1995]
  • The Bioecological Model of Human Development .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 6th ed. )
    [2006]
  • The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 Grounded Theoy Procedures and Techniques ( 2nd Ed.
    [1998]
  • Teaching by principles : An Interactive approach to language pedagogy ( 2nd ed )
    [2011]
  • Student team learning : a practical guide to cooperative learning
    [1991]
  • Student interaction and learning in small groups : A research summary . In R. Slavin , S. Sharan , S. Kagan , R. Hertz-Lazarowitz , C. Webb , & R. Schmuck ( Eds . ) , Learning to cooperate
    [1985]
  •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ies
    [1988]
  • Social work practice : people and environments
    [1979]
  • Sharing our toys :Cooperative learning versusCollaborative learning
    27 ( 1 ) , 12-18 [1995]
  • Sense And Nonsense : Evolutionary Perspectives On Human Behaviour , Second Edition
    [2011]
  • Self-regulation ,Coregulation , and socially shared regulation : Exploring perspectives of social in self-regulated learning theory
    113 ( 2 ) , 240-264 [2011]
  • SNS를 활용한 협동학습에서의 인지적 평가와 대처 전략에 대한 연구
    김명랑 교육정 보미디어연구, 20(4), 597-620 [2014]
  • Restructuring theClassroom :Conditions for productive small groups
    64 , 1 ? 35 [1994]
  • Research for futureresearch onCooperative learning and achievement : what we know , what we need to knowContemporary
    21 , 42-49 [1996]
  • Reasoning . In B. M . Foss ( Ed. New Horizons in Psychology
    [1996]
  •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 2nd ed. )
    [2007]
  • Qualitative Research and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1998]
  • Psychology applied to teaching ( 9th ed. )
    [2000]
  • Prospects : TheCongressionally Mandated Study of Educational Growth and Opportunity .
    [1993]
  • Promoting effective helping behavior in peer-directed groups
    39 ( 1-2 ) , 73-97 [2003]
  • Professional Development forCooperative Learning : Issues and Approaches
    [1998]
  • Parent engagement as a school reform strategy
    135 ( ED419 031 [1998]
  • Palmer, G., Peters, R., & Streetman, R. (2003). Cooperative learning. In M. Orey (Ed.), Emerging perspectives on learning, teaching, and technology. [Electronic document], Retrieved October 10, 2007 from http://projects.coe.uga.edu/epltt/ "http://projects.coe.uga.edu/epltt/index.php?title=Cooperative_Learning"
  • On The Origin of Species. 김관선 역(2014). 종의 기원
    Darwin, C. R. (1859) 서울: 한 길사 [2014]
  • Odum, Eugine E.Ecology : A Bridge between Science and Society. (이도원 외 공역 (2004). 생태학
    사이언스북스) [1997]
  • Naturalistic inquiry
    [1985]
  • NCS 기반 회계 수업에서 협동학습의 효과에 대한 연구 : STAD 방법의 적용 을 중심으로
    최영규 상업교육연구, 29(6), 25-48 [2015]
  • Mass media research : an introduction , ( 6th ed. )
    [2000]
  • Li, M. P., & Lam, B. H. (2013). Cooperative learning. The Active Classroom: The Hong Kong Institute of Education, Retrieved from http://www.ied.edu.hk/aclass.
  • Lessons from good language learners
    [2008]
  • Lesson construction and student participation . In J . Green & J. Harker ( Eds . ) , Multiple perspective analyses of classroom discourse
    [1988]
  • Learning together and alone : Cooperative , competitive , and individualistic learning ( 5th Ed. )
    [1998]
  • Learning styles and instructional preferences : A comparison of an online and traditional counseling course
    5 ( 1 ) , 4 [2008]
  • Learning Together ’ , Shlomo Sharan ed
    [1999]
  • Learning Together and Alone : competition , and individualization
    [1999]
  • Kagan cooperative learning .
    [2009]
  • Joining together : Group theory and group skills ( 7th ed. )
    [2000]
  • Johnson, D. W., Johnson, R. T., Edythe J, Holubec. (1994). Cooperative Learning in the Classroom. Virgini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1994]
  • Johnson, D. W., Johnson, R. T., & Stanne, M. B. (2000). Cooperative learning methods: A metaanalysis. Retrieved October 15, 2003 from http://www.clcrc.com/pages/c1-methods.html.
  • Jigsaw 협동학습에의한토의 토론수업이토익학습자에게 미치는 효과: 학습태도 와 학습동기를중심으로
    정숙희 열린교육 연구, 22(4), 186-206 [2014]
  • How cooperative learning works for special education and remedial students
    69 ( 3 ) , 279-290 [2003]
  • Handbook of Individual Differences , Learning , and Instruction
    [1993]
  • Group processes in the classroom . In D. C. Berliner & R. C. Calfee ( Eds . ) , Handbook of educational psychology
    [1996]
  • Group cognition : Computer support for building collaborative knowledge
    [2006]
  • George Simmel on Individuality and Social Forms .
    [1971]
  • Fostering the Computation Competence of Low Achievers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in Inclusive Classrooms : A Longitudinal Study
    16 ( 1 ) , 19-35 . [2018]
  • Emotion and classroom talk : Toward a model of the role of affect in students ' experiences of classroom discussions
    96 ( 4 ) , 619-634 [2004]
  • Elements of ECOLOGY(9th ed.). 강혜순, 이우 신, 오인혜 역(2016). 생태학 제9판
    Robert, L. S. Thomas, M. S. 서울: 라이프사이언스 [2015]
  • Effects of the Learning Together Model of cooperative learning o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reading achievement , academic self-esteem , and feelings of school alienation
    27 , 451-474 [2003]
  • Education and learning
    [1987]
  • Ecology of the family as a context for human development research perspectives
    22 ( 6 ) , 723 [1986]
  • Ecological approaches to organizational consultation and systems change in educational settings. Journal of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Consultation, 22(1-2), 106-124.
  • Durkheim의 도덕성과 사회변동. 석사학위논문
    이종일 경북대학교대학원 [1983]
  • Developmental and motivational perspectives on cooperative learning : A reconciliation
    58 ( 5 ) , 1161-1167 [1987]
  • Dahrendorf, Ralf, 정대연 옮김 산업사회의 계급과 계급갈등
    서울 : 홍성사 [1984]
  • Creative collaboration
    [2006]
  • Coser, Lewis. 신용하 박명규 옮김 사회사상사
    서울 : 일지사 [1983]
  • Cooperative learning theory , research and practice ( 2nd ed. )
    [1995]
  • Cooperative learning in the classroom : Putting it into practice
    [2007]
  • Cooperative learning : Improving university instruction by basing practice on validated theory
    3 ( 4 ) , 85-118 . [2014]
  • Cooperative Problem Solving : Using K-W-D-L as an Organizational Technique
    3 ( 9 ) . 482-86 [1997]
  • Cooperative Problem Solving : Using K-W-D-L as an Organizational Technique
    3 ( 9 ) , 482-86 .
  • Cooperative Learning in Context
    [1999]
  • Cooperative Learning at a Crossroads
    174 ( 2 ) , 118-143 [1992]
  • Cooperative Learning and Achievement . In S. Sharan ( Ed . )
    [1990]
  • Cooperative Learning . Resources for Teacher .
    [1999]
  • Cooperative Learning .
    [1992]
  • Cooperative Learning
    [1987]
  • Comparing the quality of students ’ experiences during cooperative learning and large-group instructions
    97 , 123-134 [2004]
  • Collaborative vs. cooperative learning : The instructor 's role in computer 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2007]
  • Collaborative Learning : Cognitive and Computational Approaches .
    [1999]
  • Cognitive apprenticeship : Making thinking visible
    6 ( 11 ) , 38-46 . [1991]
  • Classroom management : Classroom signals smart card
    [2005]
  • CSCL 환경에서 협력학습 지원 도구의 유형이 협력적 지식 구축에 미치는 영향
    김동식 한정선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5(4), 203-229 [2009]
  • Building bridges between coopera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27 ( 4 ) , 34-37 [1995]
  • Beyond a two-goal theory of motivation and achievement : as case for social goals .
    65 ( 3 ) , 213-243 [1995]
  • B. , Meyers , J. , Graybill , E. , Proctor ,
    [2012]
  • Assessing the influence of managerial coaching on employee outcomes
    25 , 59-85 [2014]
  • An empirical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ooperative learning to English listening classes
    8 ( 3 ) , 177-184 [2015]
  • An ecological perspective in casework
    54 , 323-330 . [1973]
  • An Educational Psychology Success Story : Social Interdependence Theory and Cooperative Learning
    38 ( 5 ) , 365-379 [2009]
  • Active learning : Cooperation in the university classroom ( 3rd ed. )
    [2006]
  • A new perspective on teaching processes
    [1986]
  • A meta-analytic review of cooperative learning practices in higher education : a human communication perspective
    [2012]
  • A cooperative small ? group methodology in the language classroom
    21 ( 3 ) , 483-504 [1987]
  • A Scheme for Cooperative Caching in Mobile Peer-to-Peer System
    [2005]
  • A Cooperative Species:Human Reciprocity and Its Evolution; 최정규, 전용범, 김영용 역(2016). 협력하는 종
    Bowles, S. Gintis, M. 서울: 한국경제신문사 [2011]
  • ? Enhancing non-English major ’ s EFL motivation throughCooperative learning ?
    12 , 1317-1323 [2012]
  • (심층)생태학적 인간이해를 통한 교육 패러다임의 재구성
    이상오 교육문제연구, 36(2), 57-80 [2010]
  • (살아 있는) 협동학습 : 협동학습 수업의 질적 접근
    이상우 서울:시그마프레스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