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창극 <청>의 편곡기법과 지휘법 연구 = A Study on Arrangement and Conducting method of Pansori opera

임교민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창극 <청>의 편곡기법과 지휘법 연구 = A Study on Arrangement and Conducting method of Pansori opera '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국립창극단
  • 심청전
  • 지휘법
  • 창극
  • 편곡기법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74 0

0.0%

' 창극 <청>의 편곡기법과 지휘법 연구 = A Study on Arrangement and Conducting method of Pansori opera ' 의 참고문헌

  • 한국기호학회, 「몸짓 언어와 기호학」, 『기호학연구』 제10집
    (주)문학과 지성사 [2001]
  • 페르(최용호 옮김), 『소쉬르 언어학과 기호학 사이』
    요하네스 인간사랑 [2002]
  • 컬러(이종인 옮김), 『소쉬르』
    조너선 (주)시공사 [1998]
  • 철학아카데미, 『기호학과 철학 그리고 예술』
    소명출판 [2002]
  • 송소라, 「20세기 창극의 음반 방송화 양상과 창극사적 의미」
    고려대 박사학 위논문 [2017]
  • 세광음악출판사 편집부, 『음악용어사전』
    세광음악출판사 [1986]
  • 교주, 『신재효전집』
    강한영 신고전사 [1959]
  • 濟藤秀雄, 『지휘법』
    태림출판사 [1990]
  • 『한국의 전통극, 그 새로운 연구로의 초대』
    손태도 집문당 [2013]
  • 『한국가창대계』
    이창배 홍인문화사 [1976]
  • 『페느디낭 드 소쉬르 언어와 시간』
    최용호 도서출판 박이정 [2000]
  • 『판소리의 이해』
    김흥규 조동일 창작과 비평사 [1984]
  • 『증보한국음악통사』
    송방송 민속원 [2007]
  • 『음악 기호학의 근본문제, 서양음악의 수용과 발전』
    서우석 서울: 나남출판사 [1988]
  • 『기호학의 전통과 경향 인간사랑』
    유르겐 트라반트(안정오 옮김) [2001]
  • 『교주 조선창극사』
    정노식 정병헌 교주, 태학사 [2015]
  • 「현대 창극의 공연 기법과 양식적 특성 연구」
    이진주 -2000년대 국립창극단 의 공연작품을 중심으로-,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15. [2000]
  • 「한국전통예술극장 레퍼토리 구축 방안 연구」
    이주영 고려대 박사학위논 문 [2015]
  • 「한국음악의 발전과 지휘자의 역할에 관한 연구」
    이정필 중앙대 석사학위 논문 [2003]
  • 「한국음악 지휘(Conducting)의 변천양상에 관한 고찰」
    문주석 동의대 석 사학위논문 [2010]
  • 「판소리 사설치레 연구」
    박영주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 「판소리 문화 확산에 관한 연구 -복잡계 이론을 중심으로-」
    장영창 경희대 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판소리 공연의 너름새에 대한 동작학적 시론」
    김익두 『한국언어문학』 34, 한국언어문학회 [1995]
  • 「창작 국악관현악 월광(月光)의 지휘법 연구」
    한상옥 남부대 석사학위논문 [2011]
  • 「창작 국악관현악 夏雨의 지휘법 연구」
    유병진 단국대 석사학위논문 [2007]
  • 「창작 국악관현악 <축제>의 지휘법 연구」
    박상욱 부산대 석사학위논문 [2014]
  • 「창극의 전통과 새로운 무대-국립창극단의 창극 <청>을 중심으로」
    유영대 『판소리연구』 27, 판소리학회 [2009]
  • 「창극의 전통과 국립창극단의 역사」
    유영대 『한국학연구』 33 [2010]
  • 「창극과 오페라의 비교 분석 연구」
    이미송 -춘향전과 La Traviata를 중심으 로-, 중앙대 석사학위논문, 2011. [2011]
  • 「창극(판소리-오페라)가수의 음역구분과 적용사례 연구」
    이용탁 고려대 박 사학위논문 [2016]
  • 「창극 발전의 새로운 방향과 방법 재고」
    서연호 『판소리연구』 제2권 [1991]
  • 「창극 <춘향전>의 변화 양상 연구」
    나윤영 동국대 석사학위논문 [2017]
  • 「창극 <춘향 > 연구」
    김성애 -보편적 음악극으로서의 특징을 중심으로-, 고려대 석사학위논문, 2018 [2010]
  • 「임준희 작곡 국악칸타타 <어부사시사> 지휘법 연구」
    박한규 -합창을 중심 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학위논문 [2012]
  • 「이건용 <산곡(山曲)> 지휘법 연구」
    최석근 우석대 석사학위논문 [2018]
  • 「음악 기호학의 이론 연구」
    김미애 『연세음악연구』 vol 7 [2000]
  • 「음악 기호학의 의미기호와 그 적용에 관한 연구」
    김종균 경희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00]
  • 「신재효의 판소리관 형성 배경과 특징」
    임동승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신모듬 1악장 지휘법에 관한 연구」
    김현호 영남대 석사학위논문 [2012]
  • 「브레히트 서사극 이론을 바탕으로 한 아힘 프라이어의 판소리 오페라 <수궁가> 연구」
    김가연 성균관대 석사학위논문 [2015]
  • 「동리 신재효의 광대가와 한국 공연이론」
    김익두 『판소리연구』 22, 판소리 학회 [2005]
  • 「단가의 범주와 신재효 가사의 성격」
    이기형 『판소리연구』 10, 판소리학회 [1999]
  • 「김희조 작곡 <합주곡 4번> 지휘법 분석 연구」
    이희복 한양대 석사학위논 문 [2018]
  • 「김희조 작곡 <합주곡 3번> 지휘법 연구」
    심상욱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2014]
  • 「김희조 <합주곡 5번>의 지휘법 연구」
    채길룡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2017]
  • 「김대성 작곡 합창과 관현악을 위한 ‘풀’ 지휘법 분석연구
    김기범 한국예술 종합학교 예술전문사 학위논문 [2017]
  • 「국악관현악곡 <밀양아리랑 주제에 의한 관현악>지휘에 관한 연구
    김경수 중앙대 석사학위논문 [2018]
  • 「국악관현악 지휘에 관한 연구」
    홍희철 -엇박자 리듬을 중심으로-, 중앙대 석사학위논문 [2007]
  • 「국악관현악 지휘도형에 관한 연구」
    백승진 -민속악장단을 중심으로-, 추계 예술대 석사학위논문 [2009]
  • 「국립창극단의 판소리 오페라 <수궁가>의 무대화와 연행방식 연구」
    방아영 중앙대 석사학위논문 [2013]
  • 「국립창극단 창극 <심청가> 연구」
    고광영 고려대 석사학위논문 [2015]
  • 「국립 창극단 연구」
    이광원 단국대 석사학위논문 [2000]
  • 「관현악 아리랑 환상곡의 지휘법 연구」
    한영길 부산대 석사학위논문 [2016]
  • 「現代 公演藝術에서 國樂管絃樂의 指揮法에 관한 硏究」
    박호성 성균관대 박사학위논문 [2016]
  • 「‘판소리춤’으로서의 발림 분석과 창극에서 안무자의 역할 연구」
    이현주 한 양대 박사학위논문 [2014]
  • 「<젊은 창극>의 성과와 창극의 발전방향」
    박애리 중앙대 석사학위논문 [2010]
  • Umberto Eco(김운찬 옮김), 『일반 기호학 이론』
    (주)열린 책들 [2009]
  • Umberto Eco(김광현 역), 『기호와 현대 예술(La Struttura Assente)』
    서 울: 열린 책들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