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재즈댄스를 통한 감성의 의미와 창조적 표현 = Sensitivity meaning and creative expression through jazz dance

한아람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재즈댄스를 통한 감성의 의미와 창조적 표현 = Sensitivity meaning and creative expression through jazz dance'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감성
  • 재즈댄스
  • 창조적표현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46 0

0.0%

' 재즈댄스를 통한 감성의 의미와 창조적 표현 = Sensitivity meaning and creative expression through jazz dance' 의 참고문헌

  • 현대의 예술과 미학
    김채현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 현대무용 작품에 나타난 문화적 성향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정연 한 양대학교 [2008]
  • 현대 춤에 있어서 안무가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연 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손각중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6]
  • 현대 사회의 실용 무용가치에 대한 고찰
    김영란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5(4), 23-31 [2011]
  • 한국무용 춤사위의 미학적 의미 고찰 -존 듀이의 경험주의 예술론을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김리원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 한국 춤의 세계화 방향 및 과제
    민현주 한국체육철학회, 12(2), 456-473 [2004]
  • 한국 재즈댄스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은혜 강원대학교 [2005]
  • 한국 재즈댄스 전개 과정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배인혜 중앙대 학교 대학원 [2008]
  • 한국 실용 무용의 역사성과 효용성 고찰을 통한 콘텐츠 개발 방안 연구
    이해준 정시현 한국무용학회지, 17(1), 77-90 [2017]
  • 한국 대중 춤의 개념 정립을 위한 일고찰
    양은정 정의숙 대한무용학회논문 집. 56, 127-152 [2008]
  • 학술연구정보서비스(2019). www.riss.co.kr
    riss.co.kr [2019]
  • 통합으로서 미학의 구조연구
    이강일 통일사상연구. 11. 161-188 [2016]
  • 통합교육과정과 전인교육
    박영만 송민영 서울: 학지사 [2003]
  • 톨스토이 예술사상과 무용예술과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조선하 숙명 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 컨템포러리 댄스의 몸
    김말복 무용예술학연구, 34, 1-27 [2011]
  • 춤의 美學과 교육
    김태원 서울: 현대미학사 [1999]
  • 체육학 정체성의 위기에 대한 근본방향 모색
    이천희 이학준 고려대학교 스포 츠문화과학연구지, 제8집. 1-19 [1996]
  • 체육철학에서 신체미학의 위기와 가치탐색
    이승훈 이호 한국체육철학회지, 24(4), 137-154 [2016]
  • 체육철학
    김대식 김영환 신현군 서울: 나남출판 [1993]
  • 체육미학
    민영숙 서울: 동문선 [1992]
  • 창의적 사고 인식을 활용한 대학 실용 무용 교육과정 체계 연구. 미 간행 박사학위논문
    안지형 한양대학교 [2019]
  • 창의성 함양을 위한 한국무용의 교육적 가치
    차수정 무용예술학연구, 제33집, 153-174 [2010]
  • 지금 감성은 힘이다. 감성을 철학한다
    유계하 서울: 법경출판사 [1991]
  • 즉흥무용에서 상상적 표현의 의미-콜링우드 이론을 바탕으로
    김태훈 정희정 한국체육철학회지, 22(4), 239-255 [2014]
  • 재즈댄스의 미적 특질 탐색
    박미영 한국체육철학회지, 17(1), 281-293 [2009]
  • 재즈댄스의 가치와 대중화 방안
    백순기 황경숙 한국체육철학회, 11(1), 289-302 [2003]
  • 재즈댄스가 연기자의 움직임 향상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 문
    임은경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 재즈댄스 참여변인에 따른 신체 자신감 차이.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유현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 재즈댄스 지도자를 위한 재즈댄스 지도자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방 법 -구성주의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아람 성신여자대학교 [2012]
  • 재즈댄스 교육과정 현황 조사연구 :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신유나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 재즈댄스 : 활성화를 위한 소고
    김미숙 하혜석 한아람 한국체육철학회지, 25(4), 253-271 [2017]
  • 장자의 소통 미학.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수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1]
  • 일반미학
    이경자 서울: 동문선 [1999]
  • 인지학적 교육예술론에 대한 연구: 루돌프 슈타이너를 중심으로. 미 간행 석사학위논문
    박지영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1999]
  • 인지ㆍ감성과학을 이용한 무용 감상평 분석. 한국예술교육학회 추계 학술대회
    김지현 발제5 [2017]
  • 인간형성에 예술교육이 미치는 영향
    오율자 한국체육철학회 동계학술대회 [2002]
  • 인간의 본성 탐구
    염기식 경기: 한국학술정보(주) [2009]
  • 인간의 감성과 스포츠 미
    이천희 한국체육철학회지, 1(1). 1-6 [1992]
  • 인간과 철학
    임준기 경기: 양서원 [2008]
  • 이 철 역 예술이란 무엇인가?
    이 철 서울: 동문선 [1988]
  • 우리나라 재즈댄스의 현황과 문제점에 따른 정책적 제언
    전미례 무용학회논 문집. 36(2), 83-107 [2003]
  • 외국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통해서 본 한국무용의 미래적 전망
    한국체 육철학회지, 15(2), 247-263 [2007]
  • 예술학
    이병용 서울: 현대미학사 [1994]
  • 예술춤 시대의 탐색
    김태원 서울: 현대미학사 [1995]
  • 예술철학에의 초대
    강대석 서울: 동녘 [1993]
  • 예술철학
    이용대 서울: 이론과 실천 [2000]
  • 예술철학
    조요한 서울: 미술문화 [2003]
  • 예술이란 무엇인가
    김성기 서울: 돌베개 [1984]
  • 예술론과 예술창작-그리고 춤의 특유한 기능-. 論文集
    강월도 漢城大學校, 16 , 409-414 [1992]
  • 예술교육 전문가로서 핵심 역량과 미래 무용교육의 실천적 방안
    송혜순 황명자 무용역사기록학, 제 46권, 114-134 [2017]
  • 예술과 인간 가치
    김광명 서울: 까치글방 [2001]
  • 예술과 미학
    김지원 서울: 종문화사 [2007]
  • 영산재 바라춤의 예술적 가치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염혜정 목원대학교 [2007]
  • 연극 공연의 감성학적 연구- 괴르노트 뵈메의 감성학을 중심으로
    김정섭 연극 교육연구, 제27집, 68-70 [2015]
  • 여가교육으로서의 실용 무용 다시보기
    변인숙 한국체육철학회지, 22(3), 211-232 [2014]
  • 안무의 요소에 관한 연구
    김화숙 한국무용교육학회지, 6, 7-26 [1996]
  • 안무가의 몸에 관한 현상학적 소묘
    정연수 정예수 한국체육철학회, 22(2), 237-248 [2014]
  • 아프리카 흑인무용이 미국 재즈댄스 형성에 미친 영향. 미간행 석사학 위논문
    지승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 아시아 무용의 인류학
    심우성 서울: 종로서적 [1991]
  • 실존주의 철학을 통한 무용의 접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박인순 이화여자대 학교 대학원 [1993]
  • 실용음악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진로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습몰입과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토론문. 한국예 술교육학회 추계학술 대회
    강민선 종합토론 [2017]
  • 실용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장르에 따른 무용상해 종류와 빈도. 미간 행 석사학위논문
    염유진 영남대학교 [2018]
  • 실용 무용의 흐름과 경향 분석
    박영하 한국무용예술학회지, 52(1). 35-52 [2015]
  • 실용 무용교육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 및 실태조사. 미간행 석사학 위논문
    나은영 조선대학교 [2016]
  • 스포츠의 철학적 탐구
    이천희 서울:고려대학교 출판부 [1996]
  • 스포츠 행위에서 나타나는 감성적 인식에 관한 연구. 미간행박사학위 논문
    박현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 스포츠 행복론: 자아실현의 예술
    이학준 한국체육학회지. 38(1), 51-60 [1999]
  • 스포츠 철학
    이진수 서울: 교학연구사 [1995]
  • 스포츠 예술성에 관한 교육적 의의
    김미숙 한국체육철학회지, 6(2), 187-220 [1998]
  • 슈타이너의 인식론과 발도르프학교의 감성교육
    정윤경 한국교육철학학회, 35(4), 191-215 [2013]
  • 쉴러의 미학과 인간성의 미적인 교육
    임태평 교육철학회지, 40, 151-178 [2010]
  • 쉴러의 미학 이론으로 본 요가의 본질- 우미와 존엄을 중심으로
    하연주 한국 체육철학회지, 21(4), 51-68 [2013]
  • 수잔 K 랭거 예술이란 무엇인가?
    이상열 서울: 한글 [1993]
  • 송린 역 현대무용 안무론
    서울: 현대미학사 [1999]
  • 소통의 논리-장자<내편>을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강신주 연세대 학교 대학원 [2002]
  • 성인여성의 생활무용참가와 사회연결망 및 사회적지지와의 관계. 미 간행 박사학위
    김삼진 논문한양대학교 [1999]
  • 생활스포츠문화로서의 재즈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박정민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05]
  • 상상과 표현:예술의 철학적 원리
    김혜련 서울: 고려원 [1996]
  • 빌터 벤야민의 매체미학을 기반 한 현대춤 고찰.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김은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 발도르프교육에서 바라본 혁신학교 과연 가치로운 교 육인가?
    김미숙 김은혜 임영희 한국체육철학회지, 25(2), 33-47 [2017]
  • 미학적 접근을 통한 무용 감상 교육에 관한 연구
    최현주 한국체육철학회지, 17(2), 339-354 [2009]
  • 미학적 관점에서 본 고대 서양의 신체문화.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승건 한 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7]
  • 미학개론
    유호전 서울: 동문선 [2001]
  • 미국재즈댄스의 역사적 흐름을 통해 본 예술성과 대중성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0]
  • 미국 현대무용에 있어서 흑인무용의 역할과 의의.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배인혜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01]
  • 문화예술을 통한 상상력과 감성교육
    나애리 한국프랑스학회, 87, 113-133 [2014]
  • 무용학의 재구성
    황경숙 경기: 한국학술정보(주) [2009]
  • 무용학에 있어 철학적 개념 인식의 필요성.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김민정 숙 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 무용학개론
  • 무용철학의 이해
    황경숙 경기: 한국학술정보(주) [2006]
  • 무용철학
    장정윤 서울: 교학연구사 [1992]
  • 무용적 존재로서의 인간과 인간관
    박금자 대한무용학회, 제20권, 51-70 [1994]
  • 무용작품의 대중성 증진을 위한 안무자들의 인식과 발전방향
    이지현 한국무 용기록학회지, 30, 157-182 [2013]
  • 무용의 현상학
    김말복 서울: 예전사 [1994]
  • 무용의 철학적 이해
    김현숙 서울: 철학과 현실사 [1999]
  • 무용의 발전과정과 현황조사를 통한 실용 무용 개념 연구
    김영란 최경호 한 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4(4), 1-8 [2010]
  • 무용의 미적 가치관 변화의 필요성
    박순자 무용예술학연구, 제28집, 37-58 [2009]
  • 무용예술의 정체성에 대한 고찰
    김말복 한국 미학회, 20(1), 73-113 [1995]
  • 무용예술의 발전을 위한 대학무용교육의 방향 제시
    박순자 대한무용학회논문 집, 71(6), 84-110 [2013]
  • 무용예술의 미적가치에 관한 연구
    오율자 한국체육학회지, 32(1), 77-83 [1993]
  • 무용예술의 미적 가치에 관한 고찰 : Susanne K.Langer의 예술상 징론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배혜영 부산대학교 [2002]
  • 무용예술에서 본 몸의 언어와 인간 감성의 소통에 관한 연구: -철학자 장자의 ‘소통’중심으로-
    박선영 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1(2), 169-185 [2017]
  • 무용에서 감성과 창의성의 개념 연구
    한혜리 한국무용교육학회지, 19(2), 87-98 [2008]
  • 무용미학
    김경자 서울: 현대미학사 [2000]
  • 무용미의 구조
    윤숙자 이화여자대학교 무용학회. 7 [1972]
  • 무용교육학회 무용교육이란 무엇인가
    서울: 한학문화사 [1996]
  • 무용교육이 교정시설 청소년의 신체구성, 건강체력 및 심리적 변인 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박숙자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 무용교육의 사회학적 가치에 관한 고찰
    변인숙 한국체육철학회지, 17(1), 251-264 [2009]
  • 무용교육발전추진위원회 무용교육의 힘
    서울: 댄스뷰 [2010]
  • 무용공연에서 무용수의 미적 기능에 관한 연구
    황인주 한국무용기록학회, 제 27권, 151-165 [2012]
  • 무용 전지구화와 한국 춤 정체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 위논문
    김경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 무용 안무의 창의성에 대한 질적 탐색
    김경은 안문경 한국무용과학회, 14, 1-10 [2007]
  • 몸의 감성적 표현과 스포츠
    서경희 한국체육철학회 동계학술대회 논문집 [2002]
  • 몸 프로젝트로서의 보디빌딩의 주체성 담론
    김동규 최순태 한국체육철학회 지, 22(1). 31-50 [2014]
  • 몰입 경험의 교육적 가치.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손지희 이화여자대학교 일반 대학원 [2009]
  • 메타분석을 통한 재즈댄스 연구동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김소라 공주대학교 [2018]
  • 루돌프 슈타이너의 인지학과 무용의 창조적 표현에 대한 철학적 고찰
    박선영 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2(2), 15-28 [2018]
  • 루돌프 슈타이너의 교육예술론 연구 -오이리트미를 중심으로-. 미 간행 박사학위논문
    김미숙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 루돌프 라반(Rudolf Laban)의 ‘움직임 공간’ 특성에 근거한 안무학적 분석 모형 개발: 공간조화(Space Harmony)이론을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 위논문
    김재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 두산백과사전(2019). http://www.doopedia.co.kr/index.do
    [2019]
  • 두려움으로부터의 소외, 감성 감정과 정서, 감성의 관계론적 고찰
    조태성 현 대문학이론연구, 37, 211-229 [2009]
  • 동양문화와 감성, 그리고 인문치료 -건강한 지역 공동체를 위한 시론적 연구-
    이연도 호남문화연구, 49, 125-148 [2011]
  • 댄스스포츠의 미학적 탐색.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경숙 한국체육대학교 [2011]
  • 대중매체가 재즈댄스 대중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영화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김보은 우석대학교 [2001]
  • 니체의 예술 사유에서 본 춤의 미학적 함의.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박미영 한양 대학교 대학원 [2009]
  • 느끼는 뇌
    최준식 서울: 학지사 [2006]
  • 내적 움직임의 표현-오이리트미
    김미숙 한국체육철학회지 8(2), 29-42 [2000]
  • 공연 예술의 이해
    김중효 유철우 이희정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2015]
  • 공연 예술로서의 현재 무용의 본질적 가치 왜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김금자 한아람 한국체육과학회지, 27(4), 689-698 [2018]
  • 공간의 시학과 무욕의 상상력 : 바슐라르와 더불어 네모난 시대를 둥글게 살아가기
    김윤재 박치완 서울: 한국외국어 대학교 지식출판원 [2017]
  • 경험하는 예술, 안내하는 예술교육가
    남인우 문화예술교육 콜로퀴엄- 예술의 가치와 문화예술교육-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7]
  • 경험으로서의 예술(해제-삶과 예술의 유기적 통일을 위한 철학적 정초)
    이재언 서울: 책세상 [2003]
  • 개화기 이후 한국무용의 주제와 사상.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혜리 성균관 대 학교 대학원 [2000]
  • 감성학으로서의 에스테틱
    이선 동서철학연구, 47, 257-279 [2008]
  • 감성적 사유를 통한 우주공간의 형상화.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박성림 이화 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 감성소통을 위한 문화교육의 방향
    신헌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지, 8(2), 251-273 [2008]
  • 감성사회성 교육의 필요성과 교육적 함의
    김미진 홍후조 학습자중심교과 교육연구학회. 15(5), 95-117 [2015]
  • 감성론 철학의 세계
    유계하 서울: 법경출판사 [1992]
  • 감성담론과 그의 교육철학적 함의
    노상우 한국교육철학학회, 34(1), 71-97 [2012]
  • 감성 발달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발레교육의 가능성 탐색
    홍애령 발레 연구논집, 27, 83-94 [2013]
  • 舞踊の美 ? . 東京都千代田 ? : ? 山房
    [1973]
  • 舞踊の世界を探る . 東京都新宿 ? : 音 ? 之友社
    [1981]
  • 美と芸術の論理 -美 ? 入門. 東京都文京 ? : 勁草書房
    [1985]
  • 現代舞踊테크닉
    김복희 김화숙 서울: 보진재출판사 [1985]
  • 哲學의 諸問題
    김정선 소광희 이석윤 서울: 志學社 [1973]
  • 『후기 현대춤의 미학과 동향』
    김태원 서울: 현대미학사 [1992]
  • 『창의성과 감성교육』
    김재은 홍순정 서울: 창지사 [2012]
  • 「유아 감성교육의 의미와 중요성 탐색」
    김영옥 생태유아교육연구, 9(4). 187-212 [2010]
  • 「예술의 소통 과정과 감성의 구조」
    김청우 감성연구, 제4집, 73-98 [2012]
  • 「바움가르텐의 미학과 미적 교육론」
    김수현 민족미학회, 14(2). 287-314 [2015]
  • ‘기호’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인성교육의 미학적 논의
    임부연 교육혁신연구, 25(3), 1-19 [2015]
  • Susanne K. Langer의 예술상징론을 통한 무용의 미적 연구
    배혜영 오덕자 황영성 대한무용학회, 제62권, 103-117 [2010]
  • Peggy Hackney. 몸 움직임 세상 연결하기
    김재리 신상미 서울: 대경북스 [2015]
  • Minda good man Kraines & Esther Pryor(2005). J omp into J azz. FIFTH EDITION.
    FIFTH EDITION [2005]
  • Giodano, G. 의 생애와 재즈댄스
    우현영 이지원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9(4), 81-99 [2018]
  • BF의 기능 - 표현을 통한 Dancesport의 예술적 특성 : 룸바와 왈츠 를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김문경 성신여자대학교 [2018]
  • AI 시대의 실전형 예술교육. 한국예술교육학회 추계학술 대회
    고은실 발제1 [2017]
  • ADVICE for DANCERS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