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북한 산림정책의 변천에 관한 연구 : 정책결정과정에 대한 다차원적 이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 of Forest Policy in North Korea: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policy-making process

허선혜 2020년
논문상세정보
' 북한 산림정책의 변천에 관한 연구 : 정책결정과정에 대한 다차원적 이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 of Forest Policy in North Korea: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policy-making proces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관료정치 요인
  • 북한
  • 산림정책
  • 수령결정 요인
  • 정책결정
  • 조직과정 요인
  • 합리적선택 요인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457 0

0.0%

' 북한 산림정책의 변천에 관한 연구 : 정책결정과정에 대한 다차원적 이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 of Forest Policy in North Korea: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policy-making process' 의 참고문헌

  • 통일부. 『북한이해』
    통일부 서울: 통일부, 2019 [2019]
  • 통일부. 『북한개요』
    통일부 서울: 통일부, 1999 [2000]
  • 이슬기, 젤리거 베른하르트, 이우균. “북한 산림복구 지원을 위한 용도 별 조림수종 선정
    배상원 최현아 ” 『통일문제연구』. 제29권 1호 [2017]
  • 엮음. 『북한의 국가성격 변용에 관한 연구』
    최완규 서울: 한울아카데미 [2001]
  • 본사기자. “푸른숲에 어린 애국의 숭고한 뜻.” 『천리마』
    본사기자 년 제3호, 2012 [2012]
  • 김일성동지로작해설편집부 편.『《청소년들을 지덕체를 갖춘 사회주의 공산주의 건설자로 키우자》에 대하여』
    김일성동지로작해설편집부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75]
  • 공편. 『정책학의 주요이론』
    김영평 오석홍 서울: 법문사 [2000]
  • 『현대 북한의 이해』
    이종석 서울: 역사비평사 [1995]
  • 『헌정구조와 정당체제 선거제도의 조응성에 관한 연 구』
    우준희 이성우 임혁백 허인혜 서울: 국회입법조사처 [2017]
  • 『한반도 녹색성장을 위한 남북한 산림협력 법제 개선 방안 예비 연구』
    이규창 서울: 통일연구원 [2010]
  • 『한국경제』
  • 『한겨레신문』
  • 『프레시안』
  • 『통일뉴스』
  • 『최근 북한주민의 의식변화와 북한체제의 불안정성』
    이교덕 임순희 서울: 통일연구 원 [2011]
  • 『중앙일보』
  • 『조선중앙통신』
  • 『조선중앙년감』
    『조선중앙년감』 평양: 조선중앙통신사 [1960]
  • 『조선중앙TV』
  • 『조선일보』
  • 『조선대백과사전』
    『조선대백과사전』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0]
  • 『정책학원론』
  • 『정책학』
    권기헌 서울: 박영사 [2008]
  • 『정책변동론: 이론과 실제』
    양승일 서울: 박영사 [2014]
  • 『전국록화의 위대한 구상』
    『전국록화의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77]
  • 『자유아시아방송』
  • 『자연보호사업을 강화할데 대하여』
    『자연보호사업을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3]
  • 『오피니언 뉴스』
  • 『연합뉴스』
  • 『아시아프레스』
  • 『순환식채벌(기능공학교용)』
    『순환식채벌 평양: 공업출판사 [1990]
  • 『산림조성사업을 전군중적운동으로 힘있게 벌리자』
    『산림조성사업을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7]
  • 『북한정책론』
    김기수 서울: 팔복 [2002]
  • 『북한의 산업구조 연구』
    최수영 서울: 통일연구원 [2015]
  • 『북한의 경제개혁과 관료정치』
    한기범 서울: 북한연구소 [2019]
  • 『북한의 개혁개방과 체제변화』
    박형중 서울: 해남 [2004]
  • 『북한외교정책 결정구조와 과정』
    허문영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1997]
  • 『북한법령집』
    장명봉 서울: 북한법연구회 [2018]
  • 『북한경제의 이해』
    고승효 서울: 평민사 [1993]
  • 『북한, 결국 변할 것인가? 김정은 정권의 현상유지 편향』
    한병진 서울: 아산정책연구 원 [2013]
  • 『북한 임업과 관계법률의 시대적 변화』
    유병일 『임업연구원연구보고』. 50호 [1994]
  • 『북한 산림, 한반도를 사막화하고 있다』
    김성일 이동호 서울: 스토리 윤 [2014]
  • 『북한 사회주의체제의 중앙 지방 산림조직 특징 및 운용체계 분석』
    박경석 박소영 이성연 서울: 국립산림과학원 [2008]
  • 『민주조선』
  • 『맑스주의와 인간중심철학2. 사회역사관』
    황장엽 서울: 시대정신 [2001]
  • 『리버티코리아포스트』
  • 『로동신문』
  • 『뉴시스』
  • 『뉴데일리』
  • 『노동자연대』
  • 『남북환경포럼 』
    강광규 서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5 [2005]
  • 『남북관계발전과 북한주민의식 변화』
  • 『김정일선집』
    『김정일선집』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 『김정일 지도체제와 권력구조』
    김용재 서울: 통일부 통일교육원 [2001]
  • 『김일성저작집』
    『김일성저작집』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79]
  • 『김일성저작선집』
    『김일성저작선집』 평양: 인민출판사 [1971]
  • 『국토관리사업에서의 위대한 변혁』
    『국토관리사업에서의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2]
  • 『국민일보』
  • 『교수신문』
  • 『계획에서 시장으로』
    정세진 서울: 한울 [2000]
  • 『경향신문』
  • 『경애하는 김정은동지의 명언1』
    『경애하는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2015]
  • 『VOA』.
  • 『RayP』.
  • 『North Korean Economy Watch』.
  • 『NK투데이』
  • 『NK테크트렌드』
  • 『NK테크브리핑』
  • 『NK 지식인연대』
  • 『NK 조선』
  • 『NK News』.
  • 『KBS뉴스』
  • 『Daily NK』.
  • 「Democratic People ’ s Republic of Korea Environment andClimateChange Outlook」
    [2012]
  • “현시기 산림기업소들에서 사회주의기업책임관리제를 바로 실시하는데서 나서 는 중요한 문제.”
    전설경 『경제연구』. 년 제2호, 2019 [2019]
  • “핵협상 조건과 북핵협상의 재검토.”
    강성철 노태훈 박뿌리 정성임 한정헌 『국가전 략』. 제22권 1호 [2016]
  • “한반도 통일기반 조성을 위한 대북지원 방향: 국가와 국제기 구의 역할 비교 분석.”
    김성한 이수훈 황수환 『국제관계연구』. 제23권 1호 [2018]
  • “자연재해인가 정책실패인가?: 북한의 문화생태 현실과 구조.”
    김병로 『평화학 연구』. 제14권 1호 [2013]
  • “임농복합경영을 통한 북한의 새로운 산림관리 변화연구.”
    김수영 박경석 박소영 『평 화문제연구소』. 제28권 2호 [2016]
  • “위성영상 분석에 의한 만포 강계지역 경지확대에 따른 산림경관 변화.”
    강철성 김남신 신근하 이민부 최한성 한욱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9권 4호 [2003]
  • “원격탐사를 이용한 북한의 산림황폐화 현황 조사.”
    박종화 유재심 『환경논총』. 제48 권 [2009]
  • “우리 나라 산림조성사업의 특징에 대하여.”
    신광수 『김일성종합대학학보: 철학, 경제 학』. 제63권 4호 [2017]
  • “외교정책 결정구조와 과정 및 개방의 문제: 특정사례연구.”
    전인영 『사회과학과 정책 연구』. 제15권 2호 [1993]
  • “온 나라를 수림화, 원림화하는데서 나서는 중요한 문제.”
    김옥 『경제연구』. 2호 [2015]
  • “산림훼손에 대한 북한정부의 주민통제와 인권: 협상론의 관점에서.”
    허만호 『한국지역 지리학회』. 제12권 [2014]
  • “산림부문 남북한 협력 과제 및 추진 전략.”
    박동균 윤여창 홍성각 『북한연구학회보』. 제3권 2호 [1999]
  • “비핵화만큼 험난한 북한 산림 복원사업.”
    김성일 『북한』. 통권 560호 [2018]
  • “북한체제 특이성의 역사문화적 가능조건에 관한 연구: 이데올로기 교조화와 우상화, 세습화를 중심으로.”
    조용관 『북한연구학회보』. 제6권 2호 [2002]
  • “북한지역 산림법제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김성욱 『원광법학』. 제62권 2호 [2010]
  • “북한의 환경오염.”
    김정민 『환경교육』. 제3권 [1992]
  • “북한의 환경문제 실태와 국제사회 지원방안.”
    이종운 홍이경 『지역경제포커스』. 제6 권 [2012]
  • “북한의 정책결정구조와 과정.”
    장달중 『사회과학과 정책연구』. 제15권 3호 [1993]
  • “북한의 정책결정 과정속의 지방과 중앙의 역할.”
    이홍영 『사회과학과 정책연구』. 제15 권 2호 [1993]
  • “북한의 자연재해 현황 및 특성.”
    김백조 박소연 안숙희 『한국방재학회논문집』. 제10 권 3호 [2010]
  • “북한의 임업과 산림개황.”
    유병일 『산림경영』. 68권 [1991]
  • “북한의 인구와 농업의 변화에 따른 환경문제 연구.”
    김남신 김석주 이민부 『한국지 역지리학회지』. 제14권 6호 [2008]
  • “북한의 심각한 산림훼손과 자연재해.”
    명수정 『북한』. 통권 485호 [2012]
  • “북한의 시기별 산림정책 변화와 산림복구 추진의 방향성.”
    박경석 박소영 이성연 『한국임학회』. 한국임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2009]
  • “북한의 생태적자 추이 및 영향요인 분석.”
    김용표 여민주 『환경영향평가』. 제27권 1 호 [2018]
  • “북한의 산림훼손 한반도 사막화로 이어지나.”
    김성일 『북한』. 통권 522호 [2015]
  • “북한의 산림생태계.”
    공우석 『숲과 문화』. 제10권 [2002]
  • “북한의 산림복원계획과 기준 경사도 고찰.”
    김경민 박현 유재심 이상혁 『환경복원기 술학회』. 제19권 4호 [2016]
  • “북한의 산림관리조직 및 산림관리의 특징.”
    박경석 박소영 이성연 『북한학 연구』. 제 4권 2호 [2008]
  • “북한의 사회통제력과 산림황폐화.”
    임재학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제4권 4호 [2011]
  • “북한의 기술혁명론.”
    변학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통권 208호 [2015]
  • “북한의 권력승계에 관한 연구.”
    설경화 경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년대 경제위기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장용석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1990]
  • “북한외교정책결정과정의 특징과 군의 역할: 김정일시대를 중심으로.”
    임재형 『북한연 구학회보』. 제6권 1호 [2002]
  • “북한계획경제 체제 하에서의 산림정책 운용 연구.”
    박경석 박소영 『산림경제연구』. 제20권 1호 [2013]
  • “북한, 년간 산림 5% 감소, 농경지 6% 증가.”
    윤여창 『통일한국』. 제11권, 2008 [2001]
  • “북한 최고지도층의 정책성향과 정책결정.”
    안인해 『사회과학과 정책연구』. 제15권 2 호 [1993]
  • “북한 지역 산림면적 변화의 규모와 특성.”
    윤정숙 이규성 정미령 『한국산림과학회 지』. 제88권 3호 [1999]
  • “북한 정책결정과정의 조직행태와 관료정치: 경제개혁 확대 및 후퇴를 중심으 로~09).”
    한기범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2000]
  • “북한 산림황폐지 생태적 복원방안에 관한 연구: 남한의 치산녹화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김용환 『북한연구학회보』. 제9권 2호 [2005]
  • “북한 산림의 시?공간 변화와 황폐화 추동.”
    김경민 유재심 『환경복원기술』. 제18권 6 호 [2015]
  • “북한 산림 황폐화에 대한 국내 신문의 보도 특성과 정책적 함의.”
    강미희 김성일 이동호 정윤정 『환경정책』. 제23권 2호 [2015]
  • “북한 사회정책과 인민 생활.”
    이우영 『통일경제』. 제1권 [2012]
  • “북한 국가성격의 이론과 쟁점: 비교사회주의적 관점.”
    최완규 『현대북한연구』. 제4권 1호 [2001]
  • “북한 경제개방의 사상적 딜레마.”
    허인혜 『한국정치학회보』. 제45권 2호 [2011]
  • “미국의 1차북핵위기 대응과정분석: 앨리슨의 정부정치모델을 중심으로.”
    장영선 경북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문화적 관점에서 본 북한체제 지속요인 연구.”
    정지웅 『북한학회』. 제42권 2호 [2017]
  • “로동신문에 나타난 북한의 산림정책 분석: 년부터 2011년까지.”
    송민경 서울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12 [1990]
  • “대북한 사회공헌형 산림탄소상쇄사업 협상 : 참조변수 개발과 SWOT 분석을 통한 타당성 검토.”
    김미란 허만호 『세계지역연구논총』. 제35권 3호 [2017]
  • “대남정책 영향요인으로서의 북한 핵심 파워엘리트 변동 고찰.”
    지성림 고려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11]
  • “년대 경제난 이후 북한 산림관리 변화 연구.”
    박경석 박소영 이성연 『통일문제 연구』. 제21권 1호, 2009 [1990]
  • “년까지 모든 산을 황금산으로… 산림복구 전투 나선 북한.”
    이영종 『나라경제』. 2019년 4월호, 2019 [2024]
  • “남한의 산림복구 경험을 통한 북한 황폐산림복구 지원방향.”
    박경석 박소영 『북한학 연구』. 제8권 1호 [2012]
  • “남북한 산림정책의 전개과정과 북한의 산림황폐지 실태.”
    우종춘 최인화 『Journal of Forest Science』. 제23권 1호 [2007]
  • “남북산림협력의 이슈와 전망.”
    김영훈 한국농촌경제원 산림?임업전망 발표자료, 2019 [2019]
  • “남북 산림협력 시나리오와 환경정치의 현실화.”
    박경석 이창희 『북한학연구』. 제11권 1호 [2015]
  • “김정일국방위원장의 환경정책.”
    손기웅 『통일경제』. 제82호 [2002]
  • “김정은식 산림녹화 정책에 식량난 가중.”
    김준호 『북한』. 통권 567호 [2019]
  • “김정은시대 북한 산림정책 특징.”
    김경민 김은희 오삼언 『북한학연구』. 제14권 2호 [2018]
  • “김정은 정권의 안정성 분석.”
    김갑식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주최 남북관계 전문가 세미나 발표 논문 [2012]
  • “김정은 시기 북한의 산림관련 보도 분석: 산림복구 사업 현황 및 한계.”
    박경석 송민경 이종민 『통일문제연구』. 제29권 2호, 2017 [2012]
  • “김정은 성향과 정책결정 방향성 연구: 김정은의 개인성향에 따른 북한 주요정 책 결정 방향 분석.”
    이동찬 『전략연구』. 제75호 [2018]
  • “김정은 권력승계의 토대와 리더십 구축에 관한 연구.”
    박광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김일성 이후의 정책방향.”
    서재진 민족통일연구원 세니마시리즈 92 02. 『북한의 권력
  • “구글어스 기반의 공간영상 분석을 통한 북한도시들의 환경오염과 산림파괴 연 구.”
    기정훈 『환경정책』. 제24권 1호 [2016]
  • “공유자원 문제와 사회주의 모델의 교훈 북한의 ‘담당림’ 사례.”
    권태상 박아름 『북한 학 연구』. 제9권 2호 [2013]
  • “공산권 정책결정 과정의 유형에 관한 연구.”
    안택원 『정신문화연구』. 제24호 [1985]
  • “경제위기 이후 북한 협동농장의 자금?자재 조달 실태.”
    김소영 『KDI 북한경제리뷰』 [2017]
  • “「로동신문」에 드러난 북한의 산림정책.”
    박미선 송민경 윤여창 『환경정책연구』. 제11 권 3호 [2012]
  • “‘새땅찾기운동’으로 황폐화된 북한의 산림실태.”
    유병일 『북한』. 통권 245권 [1992]
  • “UN체계를 활용한 북한 산림개발 협력 방안에 관한 연구.”
    김일한 박경석 이성연 『북한학연구』. 제7권 1호 [2011]
  • “MODIS 자료를 이용한 북한 개마고원 및 백무고원 식생의 생 물계절 모니터링.”
    박종화 서동조 차수영 『대한원격탐사학회지』. 제25권 5호 [2009]
  • “7?1 경제관리 개선조치 이후 북한의 정책결정과정 변화 연구.”
    정세희 중앙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12]
  • “18, 19세기 산림황폐화와 농업생산성.”
    이우연 『경제사학』. 제34권 [2013]
  • http ://encykorea.aks.ac.kr
  • Trends in the study of North Korea.
    vol . 70 , no . 2 [2011]
  • Totalitarian Dictatorship and Autocracy
    [1956]
  • The paradox of administrative decentralization reform in young Asian democracies.
    vol . 181 , no . 4 [2018]
  • The Structure of Communist Politics.
    vol . 24 , no . 4 [1972]
  • The Soviet System : Petrification or Pluralism ?
    vol . XXI , no . 2 [1972]
  • Ten Years of Sloping Land Management
    [2014]
  •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agenda of global social justice. ” in Essays on sustainability and management . eds . R. Sarkar and A. Shaw
    [2017]
  • Sustainable development : Exploring the contradictions
    [2002]
  • Still the century of corporatism ?
    vol . 36 , no . 1 , [1974]
  • Soviet Politics In the Brezhnev Era : ‘ Pluralism ’ or ‘Corporatism ? ’ . ” D. R. Kelly ed. , Soviet Politics In the Brezhnev Era
    [1980]
  • Regime dynamics in North Korea and theChanging discourses on the natural environment in the 1990s.
    [2020]
  • Power and Policy inChina
    [1978]
  • P. Inside the red box
    [2010]
  • Overlapping Political Conflicts and Legislative Gridlock : Reforming Financial Supervisory Governance in South Korea.
    vol . 17 , no . 4 [2015]
  • North Korean Refugees in China and Human Rights Issues. ” CRS Report for congress
    [2007]
  • North Korea : Fading totalitarianism in the “ Hermit Kingdom
    vol . 6 , no . 2 [2010]
  • Making sense of North Korea.
    vol . 1 , no . 3 [2005]
  • K. The hidden people of North Korea
    [2009]
  • K. North Korea through the looking glass
    [2000]
  • Interest Groups and Communist Politics.
    vol . 18 , [1966]
  • Interest Group in Soviet Politics
    [1971]
  • H. D. and Kaplan . Power and Society
    [1970]
  • H. D. Politics : Who gets what
    [1936]
  • Group Influence and the Policy Process in the Soviet Union.
    vol . 62 , no . 3 , [1968]
  • Food From the Hills Sloping Land Management in DPR Korea Partnership Results
    [2010]
  • F. Collected Works .
    [1975]
  • Essence of Decision : Explaining the Cuban Missile Crisis . 2en ed
    [1999]
  • Essence of Decision : Explaining the Cuban Missile Crisis .
    [1971]
  • Design for policy sciences
    [1971]
  • DPRK National Agroforestry Strategy and Action Plan , Pyongyang
    [2015]
  • D. The governmental process
    [1951]
  • D. The Political System : An Inquiry into the State of Political Science
    [1953]
  • Corporatism is dead ! Long live corporatism !
    vol . 24 , no . 1 [1989]
  • Communist party control over the bureaucracy.
    vol . 11 , no . 3 [1979]
  • C. E. The Policy Making Process
    [1968]
  • Bruck. , and B. Sapin . Foreign Policy Decision Making ( Revisited )
    [2002]
  • A Garbage Can Model of Organizational Choice.
    vol . 17 , no . 1 , [1972]
  • <https://nkinfo.unikorea.go.kr>.
  • <http://www.jpi.or.kr>.
  • <http://www.archives.go.kr>.
  • <http://theme.archives.go.kr>.
  • <http://nkinfo.unikorea.go.kr>.
  • <http://kfem.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