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동해안 무속의례의 물질문화 연구 : 초일의 형태와 전승 실례를 중심으로 = Material Culture Of Shamans Rituals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 Focused On Types And Transmission Of Choil

정연락 2020년
논문상세정보
' 동해안 무속의례의 물질문화 연구 : 초일의 형태와 전승 실례를 중심으로 = Material Culture Of Shamans Rituals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 Focused On Types And Transmission Of Choil'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대일
  • 동해안굿
  • 물질문화
  • 별신굿
  • 오구굿
  • 장엄
  • 지화
  • 초일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29 0

0.0%

' 동해안 무속의례의 물질문화 연구 : 초일의 형태와 전승 실례를 중심으로 = Material Culture Of Shamans Rituals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 Focused On Types And Transmission Of Choil' 의 참고문헌

  • 「한국지화에 관한 연구Ⅱ-동해안 무속 김석출씨의 기법을 중심으로」, 산 업기술연구4집
    김태연 대구대학교산업기술연구소 [1985]
  • 「한국전통지화에 관한 연구」
    박기복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 「한국의 미속지화에 관한 연구」
    강신영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4]
  • 「한국 지화(紙花)에 나타난 상징체계 비교연구」
    김명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한국 전통 꽃일에 관한 연구」
    오춘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4]
  • 「전통지화 제작 기법에 대한 소고」, 한국전통지화의 의미와 사용, 제작기 법
    이석용 대한불교천태종 총무원⦁전통지화연구보존회 [2014]
  • 「연행예술로서 동해안 굿의 변화 양상과 변화 요인」
    윤동환 안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9]
  • 「서울굿의 신화(神化) 연구」, 한국무속학 4
    양종승 최진아 한국무속학회 [2002]
  • 「문화인류학에서 본 불교 지화-꽃을 든 부처」, 한국전통지화의 의미와 사 용, 제작기법
    김명희 대한불교천태종 총무원⦁전통지화연구보존회 [2014]
  • 「무속의 죽음의례 상징물이 갖는 의미-서울진오기굿과 호남씻김굿을 중심 으로」, 비교민속학 56
    최진아 비교민속학회 [2015]
  • 「무속신화에 나타난 꽃밭의 의미 연구」, 한국무속학 11
    김창일 한국무속학회 [2006]
  • 「동해안별신굿의 전승 상황과 특징」, 한국무속학 17
    황루시 한국무속학회 [2008]
  • 「동해안별신굿의 권역별 전승과 변화」
    김신효 안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동해안별신굿 지화 연구Ⅰ」, 한국무속학 6
    심상교 한국무속학회 [2003]
  • 「동해안별신굿 전승자 학습 변화의 의미」, 공연문화연구 36
    정연락 공연문화학 회 [2018]
  • 「동해안 제면굿의 유형과 구조」
    정연락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동해안 무집단 지화(紙化)의 문화적 의미」, 한국무속학 13
    윤동환 한국무속학 회 [2006]
  • 「경북지방 오구굿의 무구(巫具)에 관한 연구 –년 울진 후포 정씨의 수망오구굿 사례를 중심으로」, 영남학 28
    문혜진 영남학연구소, 2015 [2012]
  • 李均玉, 동해안별신굿
    李均玉 박이정 [1998]
  • 沈雨晟, 「꽃일(紙花匠)」, 無形文化財 調査報告書 106
    沈雨晟, 「꽃일 文化財管理局 [1973]
  • 포항 계원별신굿
    김신효 윤동환 문화체육관광부・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2011]
  • 종이, 꽃으로피다-석용스님의 한국전통지화 특별전
    이석용 대한불교천태종총무 원⦁대한불교천태종 송덕사 [2013]
  • 경북 포항 다릿돌별신굿 Ⅰ Ⅵ
    손정진 윤동환 정연락 국립문화재연구소 [2012]
  • 한국의 굿 No3, 《동해안별신굿과 오귀굿》
    한국의 국립국악원 [1999]
  •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편, 김석출 년도 한국 근현대예술사 구술 채록 연구시리즈 4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문화예술진흥원, 2004 [2003]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http://folkency
    한국민속대백과사전 nfm.go.kr/kr/main
  • 편,,,, 「한국지화의 차용과 전용」, 한국전통지화의 의미와 사용, 제작기 법
    윤동환 대한불교천태종 총무원⦁전통지화연구보존회 [2014]
  • 편,,,, 「별신의 양상과 성격」, 한국무속학 10
    윤동환 한국무속학회 [2005]
  • 편,,,, 「무화연구1-동해안 별신제를 중심으로」, 한국무속학 3
    김태연 한국무속학회 [2001]
  • 편,,,, 「동해안굿의 불교의식 수용과 제의성 발현」, 실천민속학연구 10
    윤동환 실천민속학회 [2007]
  • 편,,,, 「동해안 굿의 전승과 변화」
    윤동환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편,,,, 한지, 꽃으로피다-석용스님 한국전통지화 특별전시회
    이석용 대한불교천태종 총무원 [2014]
  • 이지선, 「불교의례의 종이장엄에 관한 연구」
    이지선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신희라, 「강릉단오굿 전승과 변화 연구」
    신희라 전북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9]
  • 사진, 수용포 수망굿
  •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영덕 구계리 굿과 음식
    국립문화재연구소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 河孝吉, 「東海岸 및 南海岸 豊漁祭」, 韓國民俗綜合調査報告書, 農樂・豊漁祭・民 謠篇
    河孝吉 文化財管理局 [1982]
  • 崔吉城, 「嶺東地方巫樂 및 龜浦호랑이굿」, 無形文化財調査報告書 92
    崔吉城 文化財管 理局 [1971]
  • 崔吉城, 韓國巫俗의 硏究
    崔吉城 亞細亞文化社 [1978]
  • 崔吉城 편,,,・李輔亨, 「巫俗」, 韓國民俗綜合調査報告書, 慶尙南道篇
    崔吉城 文化財管理局 [1972]
  • 崔吉城 편,,,,韓國의 巫堂
    崔吉城 悅話堂 [1981]
  • 崔吉城 편,,,, 「巫俗」, 韓國民俗綜合調査報告書, 慶尙北道篇
    崔吉城 文化財管理局 [1974]
  • 崔吉城 편,,,, 새로 쓴 한국무속
    崔吉城 아세아문화사 [1999]
  • 崔吉城 편,,,, 韓國巫俗誌 1-2
    崔吉城 아세아문화사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