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뉴미디어를 통한 케이팝 댄스의 지속가능성 연구 = A study on the sustainability of K-Pop dance through new media

김혜진 2020년
논문상세정보
' 뉴미디어를 통한 케이팝 댄스의 지속가능성 연구 = A study on the sustainability of K-Pop dance through new media'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뉴 미디어
  • 문화기술
  • 케이팝 교육 플랫폼
  • 케이팝 비즈니스 플랫폼
  • 케이팝댄스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45 0

0.0%

' 뉴미디어를 통한 케이팝 댄스의 지속가능성 연구 = A study on the sustainability of K-Pop dance through new media' 의 참고문헌

  • 헌터데이비스. 『THE BEATLES』. 이형주 옮김
    헌터데이비스 베델스만 [2003]
  •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콘텐츠진흥원 『성과보고서』. 2018 [2018]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케이팝 20년, 성과와 과제」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한류심포지엄 [2019]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http://www.riss.kr/index.do
  • 한국·아프리카 여성대회...우간다 영부인 등 12개국 우먼파워,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1373708
    [2137]
  • 프리스 사이먼. 『케임브리지 대중음악의 이해』. 장호연 옮김
    프리스 한나래 [2005]
  • 프로이트. 『성욕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 고낙범 옮김
    프로이트 열린책들 [2009]
  • 푸코. 『유토피아적인 몸, 헤테르토피아』. 이상길 옮김
    미셀 문학과 지성사 [2014]
  • 패티김 출연, 국내 최초 창작 뮤지컬은 무엇? https://news.joins.com/article/18132880#none
  • 크리스 쉴링. 『몸의 사회학』. 임인숙 옮김
    크리스 나남 [1999]
  • 크로이든 마가렛 . 『현대실험연극』. 송혜숙 옮김
    크로이든 한마당 [1984]
  • 케이팝 안무와 스트릿댄스, http://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592193.html
    [2193]
  • 케이팝 안무과 케이팝 https://www.hellokpop.com/editorial/kpop-magnetism-what-pulls-in-the-fans-and-why-the-chor eography/
  • 케이팝 안무가 리아킴 유튜브 공식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w8ZhLPdQ0u_Y-TLKd61hGA
  • 칸 아카데미 https://www.khanacademy.org/
  • 조 디어, 베라 로코 달. 『뮤지컬 배우는 어떻게 탄생하는가』. 이계창 옮김
    지식 공 간 [2015]
  • 정병선. 「우리나라 기술사 자격의 국제적 통용성 확보 및 해외 진출 방안」. 『한국 기술사』 vol.41 No.6
    정병선 한국기술사회 [2008]
  • 적가. 「현대 패션에 나타난 키덜트적 유희성의 표현방법 및 특성」
    적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5]
  • 임지선. 「해외에서 K-Pop 지도에 관한 연구: 인도네시아의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임지선 세종대학교 융합예술대학원 [2019]
  • 이승건. 「언어(lingua)와 이미지(image)의 미학적 관계양상」
    이승건. 「언어 『학술예술학회논문 집』 vol.2 [2005]
  • 이성 이영민 안재희 이수영. 「기업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전문성 인증을 위한 국가 자격 종목 개발 연구」. 『인적자원개발』 vol.41 No.2
    이성·이영민·안재희·이수영 한국농업교육학회 [2009]
  • 융캘빈 S. 홀. 『BTS가 주목한 융의 재발견』. 이현성 옮김
    구스타프 스타북 스 [2019]
  • 유발 하라리. 『사피엔스』. 조현욱 옮김
    유발 김영사 [2017]
  • 유발 하라리, AI 감성 지능, http://www.ibric.org/myboard/read.php?id=287723&Board=news
  • 송상기. 『멕시코의 바로크와 근대성』
    송상기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2]
  • 서울문화재단. 『문화예술교육과 문화정책』
    서울문화재단 콘텐츠산업과 문화정책연구소 [2012]
  • 빅히트 엔터테인먼트 https://ibighit.com/bts/kor/
  • 브러스나한 리거. 『우리말과 영어의 제스처』. 신예니 옮김
    브러스나한 예영커뮤니케이션 [2009]
  • 보라하자@angelyou79. 『BTS 덕질하는 아미의 Speak Myself』
    보라하자 하루북스 [2019]
  • 베슬리 안드리안. 『The ICON of 케이팝 : BTS』
    베슬리 김지연 옮김. a9press [2019]
  • 발터 벤야민.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최성만 옮김
    발터 도서출판 길 [2009]
  • 박재은.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연구」
    박재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2014]
  • 미국전문학교 평생교육기관, https://upcea.edu
  •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지원 정책분석 및 개선 방향」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2017]
  • 문화예술 관람률 80% 넘어서... 문화향수실태조사 발표. 2019.02.11. 엘런 머스크, https://en.wikipedia.org/wiki/Elon_Musk
    [2019]
  • 메를로 퐁티. 『지각의 현상학』. 류의근 옮김
    메를로 문학과 지성사 [2011]
  • 로이 셔커. 『대중음악사전』. 이정엽 옮김
    로이 한나래 [2003]
  • 로버트 루트번스타인. 『생각의 탄생』. 박종성 옮김
    로버트 에코의 서재 [2007]
  • 래리 스타 크리스토퍼 워터먼. 『미국 대중음악 : 민스트럴부터 힙합까지, 200년의 연 대기』. 김영대 옮김
    래리 한울 [2015]
  • 독일연방교육연구부. 「문화가 강하게 만든다. 교육을 위한 동맹 프로젝트」
    독일연방교육연구부 『-2017 결과보고서』. 2018 [2013]
  • 데리다. 『그라마톨로지』. 김성도 옮김
    자크 민음사 [2010]
  • 대거 캘트너. 『선한 권력의 탄생』. 프런티어
    대거 장석훈 옮김 [2018]
  • 남지은. 「24시간 내내 소속사 감시받는 아이돌들」
    남지은 한겨레신문 [2016]
  • 글랜. 『유엔미래보고서 』
    박영숙 제롬 교보문고. 2014 [2040]
  • 『해외한류실태조사』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2019]
  • 『해외대학의 문화콘텐츠산업 관련 교육사례 분석』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콘텐츠진흥원 [2002]
  • 『한류백서』
    최광식 문화체육관광부 [2013]
  • 『한국대중가요사』
    이영미 민속원 [2006]
  • 『조선장단연구』
    한영애 민속원 [1989]
  • 『인터넷 생태계에 대한 9가지 질문』
    김성철 나남 [2016]
  • 『유비쿼터스 시대의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김정겸 박주성 백영균 서울: 학지 사 [2010]
  •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육』
    목정수 한울원격평생교육원 [2019]
  • 『열광하는 스포츠 은폐된 이데올로기』
    정준영 책 세상 [2009]
  • 『스마트교육 본격 도입을 위한 실행 계획』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1]
  • 『사회과학자가 보는 4차 산업혁명』
  • 『비교문학』
    방티겜 김종원 옮김. 예림 [1999]
  • 『방탄소년단과 K팝』
    서병기 성안당 [2019]
  • 『미디어와 문화』
    안남일 정영아 푸른사상 [2012]
  • 『문화콘텐츠 연구의 현장』
    안남일 안유진 이주영 푸른사상 [2014]
  • 『문화예술 교육정책』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체육관광부 [2017]
  • 『문화기술(CT) 표준화 방안 연구』
    백성욱 한국문화콘텐츠기술학회 [2010]
  • 『문화 향수 실태조사』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체육관광부 [2016]
  •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2』
    아르놀트 하우저 백낙청반성완 옮김. 창작과 비평 [2009]
  • 『대학 교육역량 강화사업 우수 사례집』
    한국연구재단 한국연구재단 [2009]
  • 『대중의 문화사』
    마샬 피쉬윅 황보종우 옮김. 청아출판사 [2005]
  • 『뉴미디어』
    김은우 김태현 장예찬 스튜디오 본프리 [2019]
  • 『노래하는 페미니즘』
    박준우 한길사 [2019]
  • 『너의 꿈을 캐스팅하라 - 스타, 우리는 이렇게 뽑고, 이렇게 키운다.』
    손남원 쌤앤파커스 [2011]
  • 『글로벌 한류 트렌드』
    김덕중 김아현 남상현 서울:KOFICE. 2017 [2017]
  • 『국민 여가 활동 조사』
    서울문화재단 서울문화재단 [2018]
  • 『교육정책』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6]
  • 『가요, 케이팝 그리고 그 너머』
    신현준 돌베개 [2013]
  • 『STEAM 융합 교육의 이론과 실제』
    신재한 교육과학사 [2013]
  • 『K-pop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박지혜 최봉현 KIET 산업연구원 [2015]
  • 『BTS 예술혁명 : 방탄소년단과 들뢰즈가 만나다』
    이지영 파레시아 [2018]
  • 『BTS Insight 잘함과 진심』
    김남국 비밀신서 [2018]
  • 『BTS & BEATLES, 블루의 사랑이 퍼질 무렵』
    구자형 빛기둥 [2019]
  • 『21세기 비틀즈 BTS : 작은 것들을 위한 시』
    구자형 빛기둥 [2019]
  • 『21세기 문화 창의력의 시대, 예술의 공연 매니지먼트』
    이인권 어드북스 [2009]
  • 「한류와 국제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새로운 지평」
    심두보 한국연구재단 연구성과 물 [2011]
  • 「한류를 말하다」
    박성현 『한류스토리』. (재)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2013 [2013]
  • 「한류 공연에 대한 체험요소가 한류 태도와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인 관광객을 중심으로」
    여정경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5]
  • 「한국 힙합 댄스의 발전과정과 가치 인식」
    최종환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2]
  • 「하버드 프로젝트와 미래 예술교육에 대한 전망」
    이지언 『예술교육연구』 vol.14 No.1 [2014]
  • 「트랜스미디어 환경에서 케이팝 콘텐츠의 참여적 이용에 관한 연구 : 유튜브 콘텐츠 SNS를 중심으로」
    김현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 「케이팝에서 훅의 사용과 그 의미에 관한 연구」
    서정환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4]
  • 「케이팝 연구」
    이상욱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6]
  • 「케이팝 걸그룹 댄스 동작 분류 체계 모델 구현」
    유지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 「창극의 특성과 대중화」
    유영대 『판소리연구』vol.9. 판소리 학회 [1998]
  • 「진격의 소녀 비밀병기...K팝 한류의 기적을 열다」
    강헌 국민일보 [2019]
  • 「중국 유행음악의 창작과 발전에 대한 한국 대중음악의 영향력 연구; 싸이의 ‘강남스타일’과 ‘젠틀맨’을 중심으로」
    왕치린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9]
  • 「정부, 관광 혁신전략 발표」
    KBS KBS [2019]
  • 「일본인 한류 선호집단과 비선호집단의 한류 인식에 관한 연구」
    윤유경 채지영 『문 화산업연구』 vol.12 No.3., 한국문화산업학회 [2012]
  • 「일렉트로닉 음악이 년대 한국 댄스음악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권현우 상 명대학교 대학원. 2019 [1990]
  • 「인공지능 창작물의 저작권」vol. 28. 한국저작권보호원. 클라우디오 페르난데즈 아라오즈. 「21세기 인재 발굴」
    최희식 『HBR(하버드비즈니스리 뷰)』 vol.6.. 2014 [2017]
  • 「이재석, 마이뮤직테이스트 대표 ‘아티스트-맨 잇는 징검다리’」
    한진주 아시아경제 [2017]
  • 「유명기획사 기업공개의 ‘함정’」
    김윤지 한겨레 [2019]
  • 「예술대학의 『교육과정의 국제통용 확보』를 위한 실제」
    김혜진 장청옥 『문화기 술융합』vol.1 No.4.,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5]
  • 「안무의 저작권」
    한상훈 전자신문 [2019]
  • 「아도르노 『부정변증법』」
    윤선구 『철학사상』 vol.7 No.21., 서울대학교 철 학사상연구소 [2006]
  • 「스마트폰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하태현 『디지털정책연구』vol.8 No.4 [2010]
  • 「스마트 러닝 활성화를 위한 SNS 활용 방안 연구」
    강정화 『디지털정책연구』 vol.9 No.5 [2011]
  • 「스가와라 코하루 “샤이니를 위한 안무..내면 향한 사랑담아”」
    이정수 서울신문 [2018]
  • 「새로 만드는 게 능사인가...해법은 공유다」
    김상선 중앙일보 [2013]
  • 「사회변동기의 대중가요와 대중정서의 상관성 연구 - 한국 년대 산업화 와 도시화 과정을 중심으로」
    하춘화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6 [1970]
  • 「비트 정보를 포함하는 이차원 안무 영상을 이용한 안무 검색 알고리즘 연구」
    김서현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2018]
  • 「브로드웨이 뮤지컬 <CARRIE>를 통하여 본 청소년 문제」
    김혜진 『한국콘텐츠 학회논문지』 vol.16 No.4 [2016]
  • 「브라질의 케이팝 팬덤에 대한 현장 연구」
    정길화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6]
  • 「북한 가요의 주제와 음악분석」
    홍성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 「방탄소년단 짝퉁 논란 日 ‘탄도소년단’. 오리콘차트 1위」
    심영주 조선일보 [2019]
  •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지향적 학습 모형 연구」
    윤정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u-러닝 지향적 영어 학습 모형 연구」
    윤정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 「멀티플 센싱을 이용한 태권도 동작 인식 시스템 구현」
    이병권 멀티미디어학회 vol.19 No.2 [2016]
  • 「디자인 기술융합의 D.I.O형 교육 시뮬레이션」
    현혜정 『한국과학예술포럼』 vol.18 No.1.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4]
  • 「드라마 대장금의 경계적효과에 대한 연구」
    고정민 『문화산업연구』 vol.10 No.1., 한국문화산업학회 [2009]
  • 「동화경제사 “넬로와 파트라슈가 걸었던 길, 돈과 욕망이 넘쳤던 길”」
    최우성 한 겨레 [2017]
  • 「기독교 청소년 교회교육을 위한 스마트 PBL 사례 연구」
    남선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 「국내 첫 저작권료 받는 ‘K팝 안무 장인’」
    이선희 MBN [2018]
  • 「국내 뮤지컬 교육기관의 현황 연구」
    박찬수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 「교사의 스마트기기 이용이 수업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김영록 성균 관대학교 대학원 [2014]
  • 「광대제도의 전승과 케이팝 계승에 관한 연구」
    심희철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 「著作權法」
    [2013]
  • 「日 엔터기업들 팝 성공 노하우 배운다」
    박창영 매일경제 [2019]
  • 「“아이돌 아무가 아니라 한 편의 뮤지컬” 극찬받은 BTS 안무가 ‘시에나 라 라우’」
    김기윤 동아일보 [2019]
  • 「“다섯 명 중 한 명, 유튜브로 허위정보 접한다.” 방송학회 21일 세미나」
    김현아 이데일리 [2019]
  • 「‘포이즌’ 안무 스포...세계 1위 댄스팀 저스트절크 지원 사격」
    전효진 스포츠동아 [2019]
  • 「[목멱칼럼]대중음악계 신구(新舊)갈등 심상치 않다」
    조대원 이데일리 [2016]
  • 「K팝과 K게임 만났다.. BTS월드 출시」
    이용익 매일경제 [2019]
  • 「K-Pop의 해외확산 요인에 관한 연구 ? 생산자 수용자 미디어 콘텐츠 영역 분석을 중심으로」
    전진국 국민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9]
  • 「K-Pop」의 성장 지속화 방안: 가수 싸이(PSY) 성공 요인을 중심으로」
    이현진 세종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대학원 [2013]
  • 「K-Pop 아이돌그룹 방탄소년단의 안무 특성 연구」
    문연주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8]
  • 「IT 기술을 이용한 전문 전시회의 효용성에 대한 연구」
    김영수 『한국과학예술포 럼』vol.21 No.-.,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문화전시디자인연구소 [2015]
  • 「BTS 빌보드 1위와 넷플릭스 ‘로마’ 아카데미 수상의 공통점」
    박창영 매일경제 [2019]
  • 「AI 혁명을 위해 경제사회교육 시스템을 재부팅하라」
    양병찬 바이오토필 [2017]
  • ‘김씨네 편의점’ OTT 아시아 아메리칸 성공사례, https://namu.wiki/w/%EA%B9%80%EC%94%A8%EB%84%A4%20%ED%8E%B8%E C%9D%98%EC%A0%90
  • of Culture for Training the Global P erformer. IJLTET, 2018.
  • What if Comparative Literature ?
    [1995]
  • Understanding P opular Music Culture
    [1997]
  • Tuttle
    [2012]
  • Towards the study of actor training in an age of globalised digital technology
    [2015]
  • Timothy D .. Global P op ; World Music
    [1997]
  • The New Digital Age
    [2013]
  • The Foundation of Latin American Literature and its Emergence in World Literature
    [2012]
  • The Fine Arts Reduced to Single P rinciple , James O
    [2015]
  • The Fine Arts Reduced to Single P rinciple
    [2015]
  • The Body , Dance and Cultural Theory
    [2003]
  • Successful Singing Auditions
    [2002]
  • Sexing the Groove : P opular music and Gender
    [1997]
  • Research Methods in Language Learning
    [2012]
  • P erforming Asian America
    [1997]
  • NCS 국가직무 능력 표준
    NCS https://ncs.go.kr/unitySearchView.do?query=%EB%AE%A4%EC%A7%80%EC%BB%
  • Music in Childhood : Technology for Music Instruction
    [2010]
  • Music for the Movies ; Motion picture music ? History and Criticism
    [1997]
  • Music Genres and Corporate Cultures
    [2004]
  • Music Direction for the Stage
    [2015]
  • Music & Youth Culture
    [2006]
  • Minsun . Hallyu . SNUPress , 2011 . Kim , Hyejin , Himmelheber , Eve . Neo Education
  • MBC. 「방탄소년단도 춘 '삼고무'…누구의 것인가」
    MBC 뉴스데스트. https://youtu.be/pByYHvDv_aA [2018]
  • M. F..『비교문학』. 정규태 옮김
    기야르 정음사 [1981]
  • Language and Culture
    [1998]
  • LIMA DE OLIVERIRA THAIS. 「케이팝 걸그룹의 패션 스타일 연구: -2017년 의 걸파워 표현을 중심으로」
    LIMA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2001]
  • K한국 평생교육 기관
    K한국 http://www.nile.or.kr/index.jsp
  • K팝 한류 걸 그룹 1호 김시스터즈 https://youtu.be/Z2kp0T7N6I4
  • KT, 아프리카 르완다에 LTE 전국망 구축 완성, 2018.05.13.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805131282947936
    [2018]
  • KOICA ODA 교육원. 『국제개발협력 첫걸음』
    KOICA 한국국제협력단 [2013]
  • JTBC 스테이지 K, 11부작, 2019.4.7.-2019.6.23. https://ko.wikipedia.org/wiki/%EC%8A%A4%ED%85%8C%EC%9D%B4%EC%A7%80
    JTBC [2019]
  • J m Dator. 「글로벌 인재포럼 : 비즈니스의 미래 요구의 관점」
    J 글로벌인재포럼 [2009]
  • Integrating Computer Technology into the Classroom : Skills for the 21st Century
    [2010]
  • How Musicals Work
    [2013]
  • H. Comparative Literature in an Age of Globalization
    [2006]
  • Gerome C .. State of the Future
    [2015]
  • Galen A .. The Merleau-P onty Aesthetics Reader : Eye and Mind
    [1993]
  • GBI (Global Business Intelligence) Research. Polystyrene (PS) and expandable polystyrene (EPS) global market to 2020 ? Continued development in the construction (EPS) and packaging (PS) end-use segments to accelerate future demand. GBI Research 2012, GBICH0059MR.
  • G.버나드 쇼. 『쇼에게 세상을 묻다』. 김일기 김지연 옮김
    G 딴데데로 [2012]
  • Four Dissertations
    [1777]
  • DarleneDance & Cultural Diversity
    [2012]
  • Dance and Copyright : Legal step for P erformers
    [2018]
  • Culture of the Baroque : Analysis of a Historical Structure
    [1986]
  • Building Communities , Not Audiences : the future of the arts in the united state
    [2012]
  • BTS Fake Love에 대한 미국 보컬 코치 반응 https://www.youtube.com/watch?v=vJbTyD8z-ns
  • Animation of 3D Human Model Using Markerless Motion Capture Applied To Sports .
    vol . 4 No . 1 .. [2014]
  • Acting in Musical Theater - A Comprehensive Course .
    [2008]
  • A Theory of Musical Semiotics
    [1994]
  • 21st- Century Sociology Cultural Theory
    [2005]
  • 106.H.W. Hill, Ind. Eng. Chem., Prod. Res. Dev., 18, 252 (1979).
  • .. NEXT Auditioning for the Musical Theatre
    [1995]
  • .. Higher Education in the Digital Age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