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국내 언론인의 정체성(Identity) 변화에 관한 연구 : 세분화(Segmentation) 방법론을 중심으로

전진오 2020년
논문상세정보
' 국내 언론인의 정체성(Identity) 변화에 관한 연구 : 세분화(Segmentation) 방법론을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군집분석
  • 디지털저널리즘
  • 시장세분화
  • 언론인
  • 언론인 정체성
  • 취재·보도원칙
  • 한국언론진흥재단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105 0

0.0%

' 국내 언론인의 정체성(Identity) 변화에 관한 연구 : 세분화(Segmentation) 방법론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환경보도의 공적 성격과 정의로운 언론행위. ?
    문종대 지역과 커뮤 니케이션?, 1, 81-105 [1997]
  • 한진만 설진아텔레비전 뉴스의 연성화에 관한 연구. ?
    한진만·설진아 한국방송학보 ?, 15(3), 333-366 [2001]
  • 한국의 민주화와 언론 19872017. ?
    조항제 언론과 사회?, 25(3), 11-78 [2017]
  • 한국에서의 공정보도의 개념과 의미에 관한 연구
    유종원 『한국언 론학보?, 33호, 137~164 [1995]
  •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인 의식조사?,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연도별 각호
  •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과방송?, 2019년 5월호
    한국언론진흥재단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2019]
  • 한국언론진흥재단 ?2018 언론수용자 의식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2018]
  • 한국언론진흥재단 (검색일: -12-1).언론인의식조사 원시 자료
    한국언론진흥재단 URL: http://www.kpf.or.kr/site/kpf/mediasta/selectReceiverCoding List.do?cbIdx=252 [2019]
  • 한국 폴리널리스트’의 특성과 변화: 언론인 출신 국회의원 을 중심으로. ?
    김세은 한국언론학보?, 61(3), 7-54 [2017]
  • 한국 팩트체크 저널리즘의 특징
    정은령 언론정보연구?, 55(4), 5-53 [2018]
  • 한국 정파언론 환경의 특수성은 보수와 진보 수용자 의 매체 태도와 이용에 차별적 영향을 미치는가?. ?
    서미혜 현기득 한국언론학보?, 63(2), 46-76 [2019]
  • 한국 신문언론노동의 숙련구조 변동과 전문직화에 대한 탐색적 접근. ?
    안동환 최석현 한국언론정보학보?, 84-108 [2012]
  • 한국 디지털 저널리즘의 사회적 형성. ?
    박영흠 언론과 사회?, 26(1), 135-181 [2018]
  • 포털 뉴스 서비스와 뉴스유통 변화. ?
    송해엽 양재훈 한국언론학보?, 61(4), 74-109 [2017]
  • 팟캐스트 방송 생태계의 진화 : 다양성 변화, 경쟁 및 생존. ?
    윤호영 한국방송학보?, 33(4), 146-185 [2019]
  • 커뮤니케이션북스. Cohen, J.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 취재보도 원칙과 정치성향에 대한 인식 차이가 기자의 심리 적 탈진에 미치는 영향. ?
    백강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6), 24-32 [2019]
  • 종편 시사 토크쇼와 사담의 저널리즘
    김예란 박지영 손병우 언론 과 사회?, 22(2), 5-63 [2014]
  • 조수선 정선호언론인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연구. ?
    조수선·정선호 사회과학연구?, 28(1), 215-234 [2017]
  • 제일기획2018년 총광고비 분석과 2019년 전망
    제일기획 URL: http://blog.cheil.com/magazine/36948 [2019]
  • 저널리즘의 환경 변화와 전문직주의 현실. ?
    김경모 신의경 언론과 학연구?, 13(2), 41-84 [2013]
  • 저널리스트 전문직에 대한 인식의 변화
    박진우 송현주 한국언론정 보학보?,?49-68 [2012]
  • 이나연, 백강희1994~2014년 한국 경제뉴스의 변화. ?
    이나연, 백강희 한국언론학 보?, 60(4), 203-231 [2016]
  • 왜 세상은 날이 갈수록 갈갈이 찢어지는가? ?
    강준만 인물과사상?, 37-60 [2015]
  • 역피라미드 구조의 한계에 대한 이론적 논의. ?
    박재영 이완수 커뮤 니케이션 이론?, 4(2), 112-154 [2008]
  • 언론직(업)에서 오는 심리적 탈진감에 대한 연구. ?
    김동률 인적자원 관리연구?, 13(2), 1-18 [2006]
  • 언론인의 이직 의도 결정요인 분석 : 직무만족도와 직무피 로도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조재희 한국언론학보?, 63(4), 83-119 [2019]
  • 언론이 산업재해를 보도하는 방식에 관한 연구. ?
    방희경 원용진 한 국언론정보학보?, 79, 40-69 [2016]
  • 언론의 파수견 개념의 발전과 적용. ?
    이재진 한국언론정보학보?, 108-144 [2008]
  • 언론수용자의 언론인 접촉경험과 언론신뢰 : 언론인접촉-언론 신뢰 가설에 대한 실증 테스트. ?
    김위근 백영민 안수찬 한국언론학보?, 63(5), 119-151 [2019]
  • 언론수용자 의식조사 결과 자료. URL: http://www.kpf.or.kr/site/kpf/main.do SK텔레콤 (검색일: -12-1). “무선에서 5G까지, 무선인터넷으로 달라진 20년 ? 기술 편 ?
  • 신문사, 방송사, 인터넷 언론사 언론인들의 직무 만족도 결 정요인 연구. ?
    이정기 사회과학연구?, 35(1), 1-22 [2019]
  • 신문사 종사자의 탈진에 대한 연구. ?
    김영주 정재민 한국언론학보?, 55(2), 252-276 [2011]
  • 신문뉴스의 상품가치에 관한 미디어 경제학적 관점의 분석. ?
    김사승 한국언론학보?, 57(3), 5-33.- 134 - [2013]
  • 소셜미디어 등장 이후 뉴스 제작 과정 변화에 대한 국내 언론사 기자들의 인식 연구
    김성태 방은주 언론과학연구?,?14(2),?113-156 [2014]
  • 새로운 저널리즘 환경과 온라인 뉴스 생산. ?
    김경모 언론정보연구?, 49(1), 7-37 [2012]
  • 부스팅 기반 최신 트리 알고리즘 비교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김종영 서울 [2018]
  • 배진아인터넷 포털의 공적 책무성과 자율 규제. ?
    배진아 언론정보연구?, 54(4), 67-105 [2017]
  • 방송의 공익성이란 무엇인가. ?
    윤성옥 언론과법?, 12(1), 143-183 [2013]
  • 방송 저널리스트의 공정성 인식 연구. ?
    김연식 한국언론학보?, 53(1), 161-186 [2009]
  • 민주주의와 언론의 신뢰. ?
    김세은 한국언론학보?, 50(5), 55-78 [2006]
  • 민영신뢰의 조건: 저널리즘 전문성과 정파적 편향성이 언론 신뢰 와 정치 신뢰에 미치는 영향. ?
    민영 한국언론학보?, 60(6), 127-156 [2016]
  • 미디어와 교육. ?
    김성해 한국언론정보학보?, 7-42 [2007]
  • 문화체육관광부 (검색일: -12-1). 미디어정기간행물 현황
    문화체육관광부 URL: https://www.mcst.go.kr/kor/s_policy/dept/deptView.jsp?pSeq =1221&pDataCD=0417000000&pType=04 [2019]
  • 매일경제 디지털뉴스국 -5-14). “한국 유튜브, ‘50대 이상’이 가장 많 이 본다”. <매일경제>
    매일경제 디지털뉴스국 URL: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19/05/314950/ [2019]
  • 매일경제 -3-28). “2029년 총인구 감소 전망"…인구위기 3년 앞당겨 졌다”, <매일경제>
    매일경제 URL: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19/03/188031/ [2019]
  • 디지털 저널리즘 현실에 대한 한국 기자들의 수용 태도: 저널리즘 원칙과 윤리의식 변화를 중심으로. ?
    남재일 이강형 한국언론정보학 보?, 93, 7-38 [2019]
  • 디지털 모바일 뉴스환경과 카드뉴스에 대한 연구. ?
    배정근 영상문 화콘텐츠연구?, 14, 125-152 [2018]
  • 디지털 뉴스 시대의 언론 윤리: 하버마스 담론 윤리의 적 용. ?
    이준웅 커뮤니케이션 이론』. 13(3), 86-128 [2017]
  • 대안 언론의 공정성 인식과 실천-뉴스타파 사례분석, (Doctoral dissertation
    김수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 닐슨 코리안클릭 클라이언트서비스팀“2019 NEWS MEDIA REPORT: 새로운 뉴스 생태계, YouTube Journalism”
  • 뉴스생산방법 변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 : 유동저널리즘과 조정메커니즘. ?
    김사승 커뮤니케이션 이론?, 15(3), 5-45 [2019]
  • 뉴스가치의 개념, 유형, 작동 기제 및 규범에 대한 종합 고 찰: 뉴스가치 통합 모형의 제안. ?
    이종혁 방송문화연구?, 31(1), 7-45 [2019]
  • 남재일 ?한국 기자들의 이념 성향과 이념 성향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
    남재일 남재일 이강형 한국언론정보학보?,?88,?7-41 [2019]
  • 국가통계포털(KOSIS) (검색일: -12-1). 대한민국 연령별 인구 및 GDP
    국가통계포털 URL: http://kosis.kr/index/index.do [2019]
  • 공정성의 실천적 의미. ?
    박재영 한국언론학보?, 49(2), 167-195 [2005]
  • 공정성 개념에 대한 신문기자들의 인식 차이 연구:객 관주의적 탈객관주의적 관점의 통합모형을 중심으로
    정동우 황용석 언론과 사 회?, 20(3), 120-158 [2012]
  • 공정성 개념과 평가에 대한 기자들의 인식 연구
    박형준 『언론과학 연구』. 13(1), 262-289 [2013]
  • 공영방송 보도국의 정파적 분열. ?
    최영재 커뮤니케이션 이론?, 10(4), 476-510 [2014]
  • 객관주의의 사악한 시선: 남근중심주의. ?
    유선영 언론과 사회?, 25, 7-49 [1999]
  •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최장집 서울: 후마니타스 [2002]
  • 『고객세분화와 핵심고객 관리 : 실무이론과 R 분석 실습』
    김형수 서울 : 프레딕스 [2017]
  • “민주주의의 위기와 언론의 선정적 정파성의 관계에 대한 시론”
    이상기 이정훈 한국언론정보학보?,?9-35 [2016]
  • Using data mining techniques in customer segmentation
    4 ( 9 ) , 70-79 [2014]
  • US television , radio and daily newspaper journalists
    63 , 683-692 . [1986]
  • Trust :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sperity
    [1995]
  • Transformation of newspaper journalists to civic journalists in Thailand in convergent media age .
    [2015]
  • The sociology of news. 이강형 (역) (2014). Norton & company. ?뉴스의 사회학?
    Schudson, M.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2011]
  • The news people : A sociological portrait of American journalists and their work
    [1976]
  • SNS 모바일 유튜브 시대의 언론. ?
    강준만 인물과사상?, 47-84 [2019]
  • Reporters Without Borders (검색일: -12-1). 언론자유지수
    Reporters Without Borders URL: https://web.archive.org/web/20091022183400/http://www.rsf. org/en-classement1003-2009.html [2019]
  • Q방법을 통한 한국 신문기자들의 북한에 대한 인식유형 연 구. ?
    김재선 언론과학연구?, 14(4), 5-52 [2014]
  • Professional models in journalism : The gatekeeper and the advocate
    52 , 618-626 . [1975]
  • Participation , remediation , bricolage : Considering principal components of a digital culture
    22 ( 2 ) , 63-75 [2006]
  • Ontela PicDeck ( B ) : Customer Segmentation , Targeting , and Positioning .
    1-6.- 142 - [2017]
  • Objective News Reporting
    10 , 403-424 . [1983]
  • N-스크린 환경 도래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유료화 전략: 해외 신문사의 뉴스콘텐츠 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
    김대원 김성철 우혜진 한 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9), 509-526 [2015]
  • Mediating the message in the 21st century : A media sociology perspective
    [2014]
  • Media ethics: Cases and moral reasonings (7th ed.). 김춘옥 (역) (2007). ?미디어 윤리?
    Christians, C. 서울: [2005]
  • Media and modernity, 강재호 이원태 이규정 (역) (2010). ?미디어와 현대성: 미디어의 사회이론?
    Thompson, J. 서울: 이음 [1995]
  • Mass communication: A sociological perspective. 김지운 (역) (1987). ?매스커뮤니케이션통론?
    Wright, C. R. 서울: 나남 [1959]
  • Making news : A study in the construction of reality
    [1978]
  • MBC 백종문 녹취록 사건으로 본 공영방송의 위기. ?
    김상균 한국언 론정보학보?, 81, 189-224 [2017]
  • Journalists ' role perception .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communication
    [2008]
  • Journalism online
    [2002]
  • Journalism ethics : Philosophical foundations for news media
    [1997]
  • Faktizitat und Geltung. Beitrage zur Diskurstheorie des Rechts und des demokratischen Rechtsstaats. 한상진 박영도 (역) (2000). ?사실성과 타당성: 담론 적 법이론과 민주주의적 법치국가 이론?
    Habermas, J. 서울: 나남출판 [1995]
  • Electronic communities : global villages or cyberbalkanization ?
    5 . [1996]
  • Deciding what ’ s news : A study of CBS evening news .
    [1979]
  • Beyond journalism : A profession between information society and civil society
    11 , 283-302 [1996]
  • Beyond News: The Future of Journalism
    Stephens, M. Columbia University Press. 김익현 (역) (2015). ?비욘드 뉴스, 지혜의 저널리즘?,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 Between rhetoric and practice : Explaining the gap between role conception and performance in Journalism
    15 [2014]
  • Being a truth-teller who serves only the citizens : A case study of Newstapa
    16 , 688-704 . [2015]
  • Age structure in models of cultural transmission
    Working paper No . 17 [1989]
  • Advocacy journalism and the rights of nigerian children to free and compulsory education : A prescriptive approach
    2 , 175-182 [2013]
  • Accuracy, Independence, and, Impartiality : How legacy media and digital native approach standards in the digital age, Reuters Institute for the study of Journalism, University of Oxford. 양정애 김선호 박대민 (역) (2015). ?디지털 시대의 저널리즘 원칙?
    Riordan, K.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2014]
  • ?코에볼루션?
    김준호 홍진환 서울: 한스컨텐츠 [2011]
  • ?저널리즘의 지형: 한국의 기자와 뉴스?
    박재영 서울: 이채 [2016]
  • ?빅데이터 시대의 커뮤니케이션 연구?
    김성태 이영환 서울: 율곡출판사 [2015]
  • ?브랜드 STP 전략론?
    나운봉 손영석 서울: 비앤엠북스 [2006]
  • ?마케팅원리?
    박찬수 서울: 법문사 [2000]
  • ?공짜 뉴스는 없다: 디지털 뉴스 유료화, 어디까지 왔나??
    권태호 서울 : 페이퍼로드 [2019]
  • ?IT산업의 파급효과 분석과 산업간 불균형성장 해소방안 연구?, 수탁연구, 07-07
    김정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7]
  • ??한국 언론인의 직업 정체성: 샐러리맨화의 역사적 과정 을 중심으로.??
    김균 이정훈 한국언론학보?,?50(6),?59-88 [2006]
  • ??직업이데올로기로서의 한국 언론 윤리의 형성과정.??
    남재일 한국언 론정보학보?,?73-93 [2010]
  • ??저널리즘의 기술적 재구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김사승 커뮤니케이 션 이론?,?4(2),?7-47 [2008]
  • ??인터넷을 통한 새로운 의제 설정 모델의 적용.??
    김성태 이영환 한국 언론학보?,?50(3),?175-204 [2006]
  • ??언론의 현실해석과 객관화 담론전략. ?
    송용회 한국언론학보?,?51(1), 229-251 [2007]
  • ??사회 신뢰와 갈등 인식이 뉴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
    김영임 김형지 허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19(4),?150-161 [2019]
  • ??방송저널리즘 프로그램 진행자의 의견개입에 관한 연구.??
    윤영철 언 론정보연구?,?44(1),?37-64 [2007]
  • ??민주화 시대의 언론과 ‘민주주의적 가치’의 후퇴.??
    박진우 송현주 이정훈 한 국방송학보?,?30(5),?43-80 [2016]
  • ??뉴스 생산 환경 및 조직과 기자의 정치적 성향, 업무 수행 자유도가 언론의 전문성, 공정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최선영 홍주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17(5),?209-220 [2017]
  • ??공영방송 저널리즘의 신뢰성 회복을 위한 고찰.?
    이정훈 정준희 한국 언론정보학회 학술대회.?3-14 [2018]
  • ??공영방송 저널리즘을 위한 불편부당성 개념의 재구성.??
    박성호 언론 정보연구?,?55(1),?119-160 [2018]
  • ??객관주의 100년의 형식화 과정.??
    유선영 언론과 사회?,?86-128 [1995]
  • ??개화기의 구국언론 〈대한매일신보〉논설 분석.?
    김덕모 한국언론학회 심포지움 및 세미나,?107-176 [2004]
  • ??개항 이후 학제 도입 이전까지의 한국 근대 학문론과 어문 문제.??
    최영철 허재영 인문과학연구?,?40,?181-207 [2014]
  • ??漢城旬報 周報에 관한 硏究.??
    정진석 관훈저널?,?(36),?74-142 [1983]
  • ??‘좋은 저널리즘’의 구성 요소에 대한 기자 인식 변화 추이.??
    남재일 이강형 언론과학연구?,?17(2),?82-128 [2017]
  • ??ERP 시스템에 대한 조직 구성원의 저항에 관 한 연구.??
    박경란 정덕훈 황경태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10(1),?47-59 [2003]
  • -9-2). “정파 초월한 전문성이 한국 언론의 살길”. <중앙일 보>
    김민환 URL: https://news.joins.com/article/4427363 [2010]
  • -3-21). “한국 언론의 허튼소리와 그럴듯한 이미지를 거부하 고 진실을 추구하자”. <다른백년> 주간논평
    이만열 URL: http://thetomorrow.kr/archives/6970 [2018]
  • -2-15). “5 18 왜곡 발언, 역사를 배반하다”. <조선일보>
    윤평중 URL: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2/14/2019 021403384.html [2019]
  • (Eds.).The SAGE handbook of digital journalism. Sage. 유용 민 박진우 (역) (2019). ?디지털 저널리즘 : 디지털 저널리즘에 대한 모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