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동향 분석
홈
알림
이용안내
오류접수
API
서비스소개
인기 연구 키워드 :
인기 활용 키워드 :
박사
고전소설에 나타난 환상계의 형상화 원리와 의미 : <구운몽>, <전우치전>, <옥루몽>을 중심으로
강혜진
2020년
활용도 Analysis
논문 Analysis
연구자 Analysis
활용도 Analysis
논문 Analysis
연구자 Analysis
활용도
공유도
영향력
논문상세정보
저자
강혜진
기타서명
with focus on <Kuunmong>, <Jeonwoochijeon> and <Okrumong>
형태사항
26 cm: iii, 221 p.
일반주기
지도교수: 최귀묵, 참고문헌: p. 214-221
학위논문사항
2020. 2, 학위논문(박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발행지
서울
출판년
2020
발행사항
고려대학교 대학원
주제어
가상현실
고전소설
구운몽
도교
레디플레이어 원
몬스터콜
봉신연의
불교
서유기
수궁가
옥루몽
육운선
전우치전
증강현실
콘텐츠
환상
환상 세계
환상계
환상성
참고문헌( 150)
유사주제 논문( 4,182)
가상현실 1,322건
증강현실 817건
불교 592건
콘텐츠 509건
환상 282건
도교 186건
고전소설 148건
환상성 139건
구운몽 66건
서유기 63건
수궁가 20건
봉신연의 11건
전우치전 11건
옥루몽 9건
환상계 5건
환상 세계 2건
인용/피인용
고전소설에 나타난 환상계의 형상화 원리와 의미 : <구 ...
' 고전소설에 나타난 환상계의 형상화 원리와 의미 : <구운몽>, <전우치전>, <옥루몽>을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가상현실
고전소설
구운몽
도교
레디플레이어 원
몬스터콜
봉신연의
불교
서유기
수궁가
옥루몽
육운선
전우치전
증강현실
콘텐츠
환상
환상 세계
환상계
환상성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198
0
0.0%
자세히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주제
주제별 논문수
주제별 피인용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
주제어
가상현실
1,323
0
0.0%
고전소설
149
0
0.0%
구운몽
67
0
0.0%
도교
187
0
0.0%
레디플레이어 원
1
0
0.0%
몬스터콜
1
0
0.0%
봉신연의
12
0
0.0%
불교
593
0
0.0%
서유기
64
0
0.0%
수궁가
21
0
0.0%
옥루몽
10
0
0.0%
육운선
1
0
0.0%
전우치전
12
0
0.0%
증강현실
818
0
0.0%
콘텐츠
510
0
0.0%
환상
283
0
0.0%
환상 세계
3
0
0.0%
환상계
6
0
0.0%
환상성
140
0
0.0%
계
4,201
0
0.0%
* 다른 주제어 보유 논문에서 피인용된 횟수
0
닫기
' 고전소설에 나타난 환상계의 형상화 원리와 의미 : <구운몽>, <전우치전>, <옥루몽>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후안 안토니오 바요나 감독
후안 안토니오 바요나 감독, <몬스터콜
<몬스터콜>
[2016]
현장 漢譯, 김태완 韓譯, ?유마경?
현장
침묵의향기
[2014]
톨킨 저, 김번 김보원 이미애 역, ?반지의 제왕?
J.R.R
씨앗을뿌리는사람
[2007]
캐스린 흄 저, 한창엽 역, ?환상과 미메시스?
캐스린
푸른나무
[2000]
카레곰
카레곰
<쿠베라>
츠베탕 토도로프 저, 최애영 역, ?환상문학서설?
츠베탕
일월서각
[2013]
츠베탕 토도로프 저, 이기우 역, ?덧없는 행복 루소론 환상문학 서설?
츠베탕
한국문화사
[2005]
저, ?중국인의 에로스?
장기근
범우사
[2006]
일연 저, 김원중 역, ?삼국유사?
일연
민음사
[2008]
응웬 딩 찌에우 저, 전혜경 역, ?육운선?
응웬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17]
유발 하라리 저, 김명주 역, ?호모 데우스?
유발
김영사
[2017]
오승은 저, 임홍빈 역, ?서유기?
오승은
문학과지성사
[2015]
연출, 송재정 극본
안길호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2018]
연출
박승우
정대윤
송재정 극본,
[2016]
역, ?홍길동전, 전우치전?
김현양
문학동네
[2010]
역, ?조웅전?
이헌홍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6]
역, ?일반언어학 강의?
소쉬르
최승언
민음사
[2006]
역, ?유충렬전?
이상구
이월령
최삼룡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6]
역, ?옥루몽?
김풍기
남영로
그린비
[2006]
역, ?숙영낭자전?
소재영
황패강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5]
역, ?소현성록?
정선희
조혜란
최수현
허순우
소명출판
[2010]
역, ?소현성록?
지연숙
문학동네
[2015]
역, ?설공찬전?
이복규
채수
시인사
[1997]
역, ?서포만필?
김만중
심경호
문학동네
[2010]
역, ?산해경?
정재서
민음사
[1996]
역, ?기재기이?
박헌순
신광한
범우
[2008]
역, ?금오신화?
김시습
심경호
홍익출판사
[2000]
역, ?구운몽?
김만중
정규복
진경환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6]
역, ?
허중림
홍상훈
봉신연의?, 솔
[2016]
엘리아데 저, 이은봉 역, ?성과 속?
미르치아
한길사
[1998]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 <레디 플레이어 원
<레디 플레이어 원>
[2018]
서혜은, ?<전우치전>의 대중화 양상과 그 소설사적 의미?, ?어문학? 115
115, 한국어문 학회, 2012.
한국어문 학회
[2012]
베르나르 베르베르 저, 이세욱 역, ?신?
베르나르
열린책들
[2008]
발터 벤야민 저, 최성만 역
발터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길
[2007]
문범두, ?<전우치전>의 이본 연구-형성과정과 의미를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 18
18, 한민족어문학회, 1990.
한민족어문학회
[1990]
로즈메리 잭슨 저, 서강여성문학연구회 역, ?환상성-전복의 문학?
로즈메리
문학동네
[2001]
데리다 저, 김성도 역, ?그라마톨로지?
자크
민음사
[2010]
교주, ?태원지?
임치균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교주, ?구운몽?
김만중
김병국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교주, ?校勘本 韓國漢文小說 英雄小 說(2)?
남영로
윤재민
이기대
장효현
지연숙
최용철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7]
감독
최동훈
<전우치>
[2009]
坪井俊映 저, 한보광 역, ?淨土學槪論?
坪井俊映
여래장
[2000]
『환상』
최기숙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3]
『서사문학의 이해』
오탁번
이남호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9]
『사라진 신들과의 교신을 위하여』
정재서
문학동네
[2007]
Profiles of the Future
[1963]
Le conte fantastique en France
[1951]
Ellipses Marketing
[2001]
?환상적 텍스트의 미적 근거 연구?, ?문학교육학?
김성룡
한국문학교육학회
[1998]
?환상과 현실-환상문학에 나타나는 현실과 초자연적 사건의 충돌?, ?카프카 연구? 21
홍진호
한국카프카학회
[2009]
?환상계를 대하는 두 가지 태도, 知와 信: 드라마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과 전기소설 <이생규장전>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과예술? 29
강혜진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9]
?환상 서사라는 근원적인 환대: 고전문학작품 ?안빙몽유록?, ?서재야회록?과 증강현실게임 〈포켓몬 GO〉의 비교를 중심으로?, ?비교문학? 75
강혜진
한국비 교문학회
[2018]
?한문소설과 국문소설의 관련양상?, ?韓國漢文學硏究? 22
박희병
한국한문학회
[1998]
?한국몽유소설연구?
신재홍
역락
[2012]
?한국고전소설사연구?
장효현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2]
?한국 구비문학의 이해?
강등학
강진옥
김기형
김헌선
박경신
신동흔
유영대
전경욱
천혜숙
월인
[2016]
?한국 고소설 연구?
김일렬
이우출판사
[1983]
?판타지동화에 나타난 시공간의 중층성과 교차 양상?, ?아동청소년문학연구 ? 21
염창권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7]
?초월의 몸짓-라캉과 데리다?, ?현대정신분석? 1
민승기
한국라깡과현대정신분석 학회
[1999]
?지눌의 禪사상?
길희성
소나무
[2001]
?주체-타자론의 극복과 공동체의 가능성: ?안빙몽유록?과 ?서재야회록?에 나타난 은거 공간과 환상계를 중심으로?, ?어문논집? 82
강혜진
민족어문학회
[2018]
?조선시대 사대부 문인의 "환상" 인식과 문학적 향유?, ?문학교육학? 30
최기숙
한 국문학교육학회
[2009]
?조선 후기 연행록에 나타난 이계(異界) 풍경과 기괴(奇怪) 체험?, ?일본학 연구? 47
신익철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6]
?전우치전의 현실저항과 그 한계?, ?한국어문논집? 10
정상진
한국문학회
[1989]
?전우치전과 전우치설화?, ?국어국문학? 92
박일용
국어국문학회
[1984]
?전우치(田禹治) 전승의 굴절과 반향?, ?민족문학사연구? 41
정환국
민족문학사학 회
[2009]
?인물형상을 통해서 본 <구운몽>의 사회적 성격과 소설사적 위상?, ?정신문 화연구? 44
박일용
한국학중앙연구원
[1991]
?이조소설의 환상성에 대한 장르논적 검토?, ?한국언어문학? 23
송효섭
한국언어 문학회
[1984]
?월남 유학의 사상사적 특이성?, ?儒學硏究? 29
김성범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3]
?완판본 <구운몽>의 인물 형상과 주제 의식?, ?민족어문? 72
엄태웅
민족어문학회
[2014]
?옥루몽의 작품세계?
설성경
심치열
개문사
[1997]
?옥루몽 연구?
차용주
형설출판사
[1981]
?영웅소설과 대하소설의 주인공의 환상 체험의 차이와 그 의미?, ?한국문화 ?
한길연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08]
?신문관본 <전우치전>의 성격과 문학교육적 의의?, ?숙명어문논집? 5
최혜진
숙명 여자대학교 숙명어문학회
[2003]
?수학적 사고와 공간관으로 본 ?구운몽? 일고(一考)?, ?한국어와문화? 10
이민희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1]
?소현성록>에 나타난 儒 佛 道 神 관계 고찰-퇴치담을 중심으로?, ?고소설연 구? 48
강혜진
한국고소설학회
[2019]
?소설텍스트의 현실과 허구를 나누는 선?, ?현대문학이론연구? 70
김승환
현대문 학이론학회
[2017]
?소설과 서사문화?
나병철
소명출판
[2006]
?불교 신격과 재래 신격의 만남: 三國遺事를 출발점으로 삼은 試論?, ?고전 문학과 교육? 20
최귀묵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0]
?베트남 문학의 이해?
최귀묵
창비
[2010]
?민중적 환상성의 한 유형: 일사본 <전우치전>을 중심으로?, ?고소설연구? 15
조혜란
한국고소설학회
[2003]
?미디어서사로의 전이 과정에 나타난 전우치 전승의 굴절과 의미?, ?한국고 전연구? 43
정제호
한국고전연구학회
[2018]
?문학의 숲에서 느리게 걷기?
오생근
문학과지성사
[2003]
?동아시아 환상의 지표와 한국 초기 서사의 환상성?, ?한문학보? 32
정환국
우리 한문학회
[2015]
?동서양의 인간이해?
한자경
서광사
[2001]
?동서양 서사문학의 환상과 기이의 미학?
김문희
김윤상
박지현
정의진
표정옥
소명 출판
[2011]
?도장(道藏)?과 고소설에 나타나는 도가적(道家的) 상상력의 근원과 유형 연구1 - ?진고(眞誥)?의 공간상상력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 29
김수연
한 국고전연구학회
[2014]
?도술모티프를 통해 본 조선후기 고전소설의 지형도?, ?한국학논집? 75
김동욱
계 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9]
?대하소설의 환상성의 특징과 의미?, ?고전문학과교육? 20
한길연
한국고전문학교 육학회
[2010]
?대칭적 세계관의 전통과 서사문학?
신태수
새문사
[2007]
?남악 형산, 유불도 인문지리의 공간경계역?, ?고전문학연구? 45
김수연
한국고전 문학회
[2014]
?김수연 창본 수궁가?
김동건
김미선
김진영
이회문화사
[2008]
?김만중연구?
조동일
새문사
[1983]
?기호, 리듬, 우주?
김성도
인간사랑
[2007]
?근대전환기 이후 용궁의 향방: <심청전>을 중심으로?, ?고전과해석? 27
신호림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9]
?군담소설의 구조와 배경?
서대석
이화여대 출판부
[1985]
?국문학의 미학적, 세계관적 조명; 영웅소설 하위 유형의 이념 지향과 미학 적 특징?, ?국문학연구? 7
박일용
국문학회
[2002]
?국문학 연구의 방향과 과제?
조동일
새문사
[1983]
?구운몽의 서술원리와 이념성?, ?고전문학연구? 5
신재홍
한국고전문학연구회
[1990]
?구운몽의 사상적 실상?
유병환
다래헌
[2007]
?구운몽의 불교적 해석과 문학치료교육?
이강옥
소명출판
[2010]
?구운몽 연구?
정규복
보고사
[2010]
?구미호의 이중적 관념과 고전서사 수용양상?, ?우리문학연구? 41
이명현
우리문 학회
[2014]
?고전의 현대적 변용: 영화 ?전우치?의 공간 읽기?, ?도교문화연구? 35
정선경
한 국도교문화학회
[2011]
?고전소설의 환상성의 양상과 인식적 기반?, ?고소설연구? 19
김문희
한국고소설 학회
[2005]
?고전소설의 환상성, 그 연구사적 전망?, ?민족문학사연구? 37
정환국
민족문학사 학회
[2008]
?고전소설의 <구운몽> 활용양상과 수용 의미?, ?인문학연구? 97
경일남
충남대학 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고전소설에 나타나는 환상계 연구?
조재현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고전소설사의 구도와 시각?
정출헌
소명출판
[1999]
?고전소설 속 도적의 형상화 양상과 그 의미?, ?어문론총? 73
유귀영
한국문학언 어학회
[2017]
?고소설의 환상성?, ?고소설연구? 15
김성룡
한국고소설학회
[2003]
?고소설에서 환상성의 몇 유형과 환몽소설의 환상성?, ?고소설연구? 15
강상순
한 국고소설학회
[2003]
?고소설에 표출된 영웅의 양상과 그 역사적 의미-<최고운전>, <전우치전>, <전관산전>, <일념홍>, <여영웅>을 중심으로-?, ?東洋古典硏究? 71
조상우
동양 고전학회
[2018]
?경판본 ?구운몽?에 나타난 비일상적 면모의 변모 양상과 의미?, ?일본학연 구? 47
엄태웅
단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6]
?감각과 사회 : 시각 및 촉각을 중심으로?, ?영상문화? 18
김문조
한국영상문화학 회
[2011]
?韓國 說話文學의 空間 硏究?
이수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2]
?韓國 敍事文學의 空間觀念?, ?古典文學硏究? 1
조희웅
한국고전문학회
[1971]
?田禹治 전승의 양가적 表象과 그 역사적 맥락?, ?어문논집? 75
이종필
민족어문 학회
[2015]
?玉樓夢의 背景思想 硏究?, ?西原大學 論文集? 9
차용주
서원대학교
[1980]
?玉樓夢의 文獻學的 硏究?
장효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1]
?新羅往生 說話의 硏究?
경일남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傳奇小說의 전통과 ?九雲夢??, ?韓國漢文學硏究? 30
정길수
한국한문학회
[2002]
?九雲夢의 상상적 형식과 욕망에 대한 연구?
강상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전우치전’ 연구?
변우복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스승 얻는 이야기’로 읽는 <전우치전>?, ?한국고전연구? 41
홍현성
한국고전연구 학회
[2018]
?J. R. R. 톨킨의 ?반지의 제왕?: 신화 역사 판타지?
이하영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4]
??최생우진기?의 배경 묘사 양상과 기능?, ?한국언어문학?
김현화
한국언어문학회
[2013]
??옥루몽?에 나타난 초월적 요소의 성격과 대중성?, ?語文論集? 53
이명현
중앙어 문학회
[2013]
??시공불교사전??
곽철환
시공사
[2003]
??삼국유사(三國遺事)?와 ?사석집(沙石集)?에 나타난 신불(神佛) 관계양상 비교?, ?문학치료연구? 30
최귀묵
한국문학치료학회
[2014]
??구운몽?의 형식과 주제에 대한 역사적 고찰?, ?한국문학이론과비평? 13
강상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1]
??구운몽?의 주제와 표제의 의미망?, ?한국민족문화? 19
설성경
부산대학교 한국 민족문화연구소
[2002]
??구운몽? 원전(原典) 연구사?, ?인문학연구? 55
정길수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玉樹記?와 ?玉樓夢?의 才子佳人小說的 面貌?
권경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玉樓夢?의 대중성과 진지성?, ?韓國學報? 16
김종철
일지사
[1990]
?<태원지> 연구?, ?고전문학연구? 35
임치균
한국고전문학회
[2009]
?<전우치전>의 욕망 구현 방식과 서사적 의미?, ?돈암어문학? 28
최지선
돈암어문 학회
[2015]
?<전우치전>의 설화 수용과 지평 전환?, ?국어교육연구? 28
최광석
국어교육학회
[1996]
?<전우치전>의 구성과 의미에 대한 재고찰?, ?우리文學硏究? 48
최윤희
우리문학 회
[2015]
?<전우치전>으로 살펴본 영웅소설의 변화?, ?한국문학논총? 50
안창수
한국문학회
[2011]
?<전우치전> ‘주선랑’ 모티프와 가상에 대한 사유-드라마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과의 비교를 바탕으로-?, ?고전과해석?
강혜진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9]
?<임화정연> 속 선택지의 맥락과 인정 획득의 전략-세 여성 인물의 사례를 중심으로?, ?고전과해석? 27
김지연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9]
?<유마경(維摩經)>을 통해 본 불교 경전의 환상 실현 양상과 의미?
강혜진
고려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옥루몽>의 서사미학과 그 소설사적 의의?, ?고전문학연구? 22
조혜란
한국고전 문학회
[2002]
?<옥루몽> 연구?
유광수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옥루몽> 소고 2?, ?한국언어문화? 20
이승수
한국언어문화학회
[2001]
?<九雲夢>과 <金剛經>의 상관성 연구?, ?어문연구? 83
유병환
어문연구학회
[2015]
?19세기 한문장편소설 연구?
이기대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16~17세기 이인 이야기에 나타난 가능 세계의 수용과 생산?, 한국고전문 학교육학회 고려대 한류융복합연구소 공동 학술대회
김성룡
년 4월 발표
[2019]
<전우치전> 국립도서관 소장본 ?
전우치전
竹窓閒話?
' 고전소설에 나타난 환상계의 형상화 원리와 의미 : <구운몽>, <전우치전>, <옥루몽>을 중심으로'
의 유사주제(
)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