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노인장기요양보험 내 방문간호사의 업무 경험에 대한 일상생활 기술적 연구 = Ethnographic Research on the Working Experience of Visiting Nurses in Long-term Care Insurance

강문희 2020년
논문상세정보
' 노인장기요양보험 내 방문간호사의 업무 경험에 대한 일상생활 기술적 연구 = Ethnographic Research on the Working Experience of Visiting Nurses in Long-term Care Insurance'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노인장기요양보험
  • 문화기술지
  • 방문간호사
  • 업무경험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94 0

0.0%

' 노인장기요양보험 내 방문간호사의 업무 경험에 대한 일상생활 기술적 연구 = Ethnographic Research on the Working Experience of Visiting Nurses in Long-term Care Insurance' 의 참고문헌

  • 효과적인 만성질환 관리방안 연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 원
  • 한국의 가정건강관리(Home Health Care) - 가정간호, 방문간호, 방문건 강관리 -
    유호신 가정간호학회지. ; 14(2): 98-105 [2007]
  • 한국간호교육평가원. 2019학년도 전문간호사 분야별 교육기관 현황, 2019 http://www.kabone.or.kr/kabon03/index02.php
    [2019]
  • 한국 전문간호사제도의 현황과 활성화 전략
    신용애, 설미이, 임경춘 등. 간호학의 지평. ; 14(1): 37-44 [2017]
  • 한국 전문간호사의 업무 성과
    김미정 김영경 신수진 성인간호학회지. ; 26(6): 630-641 [2014]
  • 한국 장기요양 방문간호의 정책적 함의와 일본 방문간호의 시사점
    Arita, Kumi. 유호신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29(3): 403-411 [2015]
  • 파독간호사 삶의 재조명
    김학선 최경숙 홍선우 한국산업간호학회지. ; 18(2): 174-184 [2009]
  • 통계청. 2019 고령자 통계.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2019]
  • 통계청
    노인장기요양보험통계 각년도 [2019]
  • 질적연구 수행하기
    고문희 손행미 외 이명선 서울: 수문사 [2018]
  • 재가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과 노인 가족돌봄제공자의 돌봄 스트레 스: 방문간호 서비스의 영향
    김지연 김홍수 대한간호학회지. ; 46(6): 836-847 [2016]
  • 장기요양보험 등급판정 대상자의 지역별 방문간호 서비스 이용 만족도 및 요구도 :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곽찬영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27(2): 114-123 [2016]
  • 장기요양방문간호 이용자의 특성 및 이용실태
    강임목 이정석 한은정 지역사회간 호학회지. ; 22(1): 33-44 [2011]
  • 장기요양 재가서비스 개편방안 연구
    권현정 등. 박소정 석재은 한국노인복지학회 보고서. : 1-304 [2016]
  • 이한성.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일부개정법률안. 의안정보시스템. 제19대(2012-2016) 제329회. 의안번호 1911834, 2014. http://likms.assembly.go.kr.
    [2012]
  • 이중차이분석을 활용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방문간호서비스 효 과
    김지은 이인숙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26(2): 89-99 [2015]
  • 응급실 간호사의 일상에 대한 문화기술지
    박형숙 하재현 기본간호학회지. ; 23(4): 448-459 [2016]
  • 우리나라 가정방문간호의 현황과 향후 과제
    박은옥 농촌의학지역보건. ; 44(1): 22-38 [2019]
  • 영국과 독일의 노인 장기요양서비스의 시장화와 그 결과: 이용자 관점에서 의 평가를 중심으로
    전영호 보건사회연구. ; 32(2): 143-169 [2012]
  • 시장원리 확대를 통한 노인장기요양서비스의 효과성 평가
    박진화 이진숙 보건사 회연구. ; 31(4): 5-33 [2011]
  • 보건환경 변화에 대비한 한국형 가정간호 활성화 방안
    유호신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장정책세미나 주제발표 [2014]
  • 보건소 방문보건사업과 의료기관 가정간호 노인장기요 양보험 방문간호 간 기능역할 설정
    김정은 등. 장현숙 진영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건강증진사업지원 단 [2007]
  • 보건복지부. 장기요양급여 제공기준 및 급여비용 산정방법 등에 관한 고시. 보건복 지부고시 제 2018-284호. http://www.law.go,kr
    [2018]
  •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인력 – 자격등록 전문 간호사수, 2019. http://210.179.230.152:8083/statHtml/statHtml.do?orgId=358&tblId=D T_IEB001_2&conn_path=I2#
    [2019]
  • 보건복지부. health and welfare white paper
    Seoul, 2011 [2011]
  • 보건복지부
    -2022 제 2차 장기요양 기본계획(안), 2018 [2018]
  • 방문간호의 국내외 현황분석 – 한국, 미국, 일본,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
    김춘길 성명숙 장희정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24(2): 211-225 [2010]
  • 등.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 실효성 확보방안 마련
    부선주 송미숙 황성우 국민건 강보험공단 [2016]
  • 등. 저소득 노인을 간호대상으로 한 유헬스 간호사에 관한 문화기술지
    김미령 김정은 최한나 간호학의 지평. ; 11(1): 18-29 [2014]
  • 등. 장기요양기관 패널 경영실태조사
    문용필 박세영 이호용 국민건강보험 건강보험정책연구원, 2018 [2017]
  • 등. 방문간호사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토론회
    박양희 이애주 홍말순 서울: 국민건 강보험공단; [2009]
  • 등.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과 기능
    공은숙 김남초 이경자 노인간호학회지. ; 6(1): 125-133 [2004]
  • 등.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운영에 따른 성과 분석. 제 Ⅲ편: 장기요양보험제도의 임상적 효과 및 임상 지표 개발
    고유경 김복남 이태화 보건복지부 연구보고 서 [2011]
  • 등.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간호서비스에 대한 방문간호사의 인식
    권민영 이영휘 임지영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24(1): 5-18 [2010]
  • 등.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의 장애요인 및 활성화 방안
    김은주 임지영 최경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12(8): 283-299 [2012]
  • 등. 노인간호학
    김정선 김효정 박명화 제 4판; 서울: 정담미디어 [2017]
  • 등. A Decision-support System for Care Plan in Long-term Care Insurance
    김동건 이정석 한은정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27(5): 667-679 [2014]
  • 대한간호조무사협회. 방문간호 간호조무사 양성 교육기관(2019.9.7. 기준), 2019. http://klpna.or.kr
    [2019]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와 현장과의 괴리에 관한 법학적 관점에서의 고찰 : 서비스제공사업자를 중심으로
    장봉석 ; 5(2): 6-27 [2017]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의한 방문간호사의 역할‧업무분석
    김명희 한국보건간호학 회지. ; 23(2): 232-250 [2009]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내 방문간호사의 직무규명. 박사 학위
    이미경 한양대학교 [2010]
  •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방문간호 제공기관 특성별 서비스 제 공 추이
    이정석 한은정 황라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23(4): 415-426 [2012]
  •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방문간호 서비스가 의료이용에 미치는 효과
    곽찬영 이상진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27(3): 272-283 [2016]
  •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 하에 제공되는 방문간호 서비스의 중요 도와 성과도
    변도화 현혜진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24(3): 332-345 [2013]
  •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외 인지장애 대상자를 위한 방문간호서비스 표준개발 연구. 대한간호협회
    송미숙 임경숙 아주대학교 [2013]
  • 노인장기요양보험 내 방문간호센터 운영의 활성화 방안 – SWOT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변도화 ; 29(2): 203-218 [2015]
  • 노인장기요양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근무실태 및 직무 만족도 영향 요인
    이정석 임민경 황라일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29(3): 551-564 [2015]
  • 노인성 만성질환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및 정책제언
    김대진 한국보건산업진흥원 R&D진흥본부 R&D기획단 R&D조사분석팀 KHIDI 전문가 리포트, -1 [2017]
  • 국민건강보험공단 장기요양심사실. 방문간호지시서 발급비용 청구방법 안내
    노인장 기요양보험 [2008]
  •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운영실. 노인장기요양보험 통계연보 발간
    국민건 강보험공단, 2016 [2015]
  •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실. 노인장기요양보험 통계연보 발간
    국민건강보 험공단, 2019 [2018]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8년 진료비통계지표. 2019. http://www.hira.or,kr
    [2018]
  • 가족 내 다양한 돌봄 지원을 위한 기초조사 및 방안마련 연구.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이선형 이지혜 조막래 정책연구-16 [2015]
  • principles in practice . 2nd edit
    [1995]
  • Wilken M. Non-physician providers : How regulations affect availability and access to care. Nursing Policy Forum, 1995; 1(2): 28-38.
  • Themes in Human Experience : The Life History as Ethnography . In B.Y . Attig et.al ( eds . ) A Field Manual on Selected
  • The ethnographic approach : Characteristics and uses in gerontological nursing
    16 ( 9 ) : 5–7 . [1990]
  • The Professional Stranger
    [1980]
  • Systematic fieldwork : Foundations of ethnography and interviewong
    [1987]
  • Spradley JP. The ethnographic interview. Orlando: Holt, Rinehart and Winston
    (박종흡 번역) [1979]
  •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3rd edit
    [2013]
  • Participant Observation
    [1980]
  • OECD 국가들의 장기요양보장제도
    강민희 국제사회보장동향. ; 3(4): 32-41 [2008]
  • Leininger M.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nursing; New York: Grune & Stratton, 1985.
  • J. Ethnography in nursing research
    [2000]
  • Doing Ethnographic and Observational Research .
    [2007]
  • Agar M. Speaking of ethnography. Beverly Hills; CA: Sage, 1986.
    [1986]
  •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case management of frail , hospitalized older adults
    23 ( 2 ) ; 20-26 . [1993]
  • 2018년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안내
    보건복지부 한국건강증진개발원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