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지방정부와 군의 협력적 재난관리체계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operative Disaster Management System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the Military in Korea.

조극래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지방정부와 군의 협력적 재난관리체계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operative Disaster Management System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the Military in Korea.'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ooperation system
  • disaster case)
  • local government
  • military unit
  • 군부대
  • 재난사례(collaborative disaster management
  • 지방정부
  • 협력적 재난관리
  • 협력체계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869 0

0.0%

' 지방정부와 군의 협력적 재난관리체계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operative Disaster Management System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the Military in Korea.' 의 참고문헌

  • ・이재은 한국의 광역 지방정부 재난관리 조직의 효율적 운영방안
    권설아 김지은 류상일 Crisisonomy 12(5), 13~24 [2016]
  • ・이재은 지방정부 재난관리조직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
    김아연 류상일 유희인 조승 Crisisonomy 13(3), 159~176 [2017]
  • ・이재은 재난관리기관간 협력체계구축을 위한 영역별 상대적 중요도 분석: AHP 기법을 이용한 우선순위 측정을 중심으로
    류상일 조종묵 한국위기관리논집 7(1), 107~124 [2011]
  • ・Hampden~Turner, Charles 협력적 거버넌스의 성공요인 및 과정: 인천 광역시 주민참여예산제도 조례 개정 사례를 중심으로
    신상준 이숙종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7(2), 79~111 [2015]
  • 효율적인 재난관리체계 운영방안에 관한 비교연구: 미국과 일본 사례 비교 중심으로
    김경호 성도경 한국행정논집 23(1), 121~144 [2011]
  • 효율적 재난대응을 위한 지방정부 역할 개선방안: 미국, 일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류상일 최호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6(12), 235~243 [2006]
  • 효율적 재난관리를 위한 민관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방안
    안혁근 2010 한국정책학회 하계대회 및 국제학술회의 발표자료. 117~130 [2010]
  • 효과적 재난관리 거버넌스 구축 방안: 우면산 산사태를 중심으로
    주상현 한국비교정부학 보 16(1), 295~322 [2012]
  • 효과적 수난구호(水難救護)를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참여주체의 인 식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윤병두 인하대학교 [2016]
  • 호주의 민관군 탐색구조 협조체계 현황과 시사점
    류기현 변현석 차명환 국방논단 제 1727호(18-26), 1~10 [2018]
  • 협력적 재난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시론적 연구: 13개 재난대응활동계획을 중심으로
    임상규 한국위기관리논집 11(7), 1∼17 [2015]
  • 협력적 거버넌스의 한국적 구조화 방안 연구(KIPA 연구보고서 2014-28)
    강병준 서울: 경성문화사 [2014]
  • 협력적 거버넌스를 통한 재난구호체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김용상 동국대학교 [2017]
  • 협력적 거버넌스 모형을 통한 지역 간 협력 사례 분석: 대전 대도 시권 협력사업을 중심으로
    구교준 기정훈 김성배 지방정부연구 17(3), 23~46 [2013]
  • 허베이스피리트호 유류유출사고 대응자료집(Ⅰ)(2007.12.7.~2008.1.31.)
    충남발전연구원 공주: 충남발전연구원 [2008]
  •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의 ‘사회적 재난’ 연구
    이시재 태안종합학술대회 자료집, 87~119 [2009]
  • 허베이 스피리트호 원유유출사고 방제종료시점의 사회・환경적 의 의와 실재
    박순애 윤순진 이희선 태안종합학술대회 자료집, 33~66 [2009]
  •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 유출 사고 50일판 백서
    환경운동연합 환경운동연합 서울: 환경운동연합 [2008]
  • 허베이 스프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이후 재난관리 거버넌스 구축 실패와 재 난 복원력의 약화: 관련 행위자들 간의 이해와 대응을 중심으로
    김도균 박재묵 환경사회학연구 ECO 16(1), 7~43 [2012]
  • 허리케인 카트리나 이후 미국 재난관리 과학기술정책 변화의 시사점
    이주호 위기관리연 구논총 2(1), 17~35 [2018]
  • 행정학개론
    이동진 한인규 서울: 도서출판 대영문화사 [2014]
  • 해양오염방제를 위한 관료제와 네트워크: Hebei Spirit호 사고 사례의 분석
    김창수 한 국사회와 행정연구 19(4), 81~112 [2009]
  • 해양 재난사고 시 현장 지휘체계와 현장지휘관의 의사결정과정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세월호 사건을 중심으로
    김기환 최정호 최현규 한국해양환경안전협회지 20(6), 692~703 [2014]
  • 합동교범 3-12 초안 전쟁이외의 군사활동
    합동참모본부 합동참모본부 서울: 합동참모본부 [2002]
  • 합동교범 1 군사기본교리
    합동참모본부 합동참모본부 서울: 합동참모본부 [2002]
  • 한국의 협력적 거버넌스
    오수길 은재호 서울: 대영문화사 [2009]
  • 한국의 지방자치단체 재난대응체계: 정책네트워크 이론의 호혜성과 확장성을 중심 으로. 박사학위논문
    류상일 충북대학교 [2007]
  • 한국의 재난관리체제 구축방향에 관한 연구: 재난관리 담당공무원 인식을 중심으 로. 박사학위논문
    장시성 명지대학교 [2008]
  • 한국의 재난관리체제 개선을 위한 연구: 재난관리체제의 구조적 속성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고창석 경희대학교 [2012]
  • 한국의 재난관리 참여기관 협력체계 분석, 박사학위논문
    조종묵 충북대학교 [2010]
  • 한국의 재난관리 리더십에 관한 연구: 재난관리 단계별 유형 및 특성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권욱 경남대학교 [2005]
  • 한국의 사회위기 지표개발과 위기수준 측정 연구(한국보건사회연구 원 연구보고서 2009-16)
    김승권 김호기 장경섭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 한국은 아주 특별하게 위험한 사회다. 조선일보, 2008.04.01. (검색일: 2018.12.15.).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8/04/01/2008040100139.html
    [2008]
  • 한국군대의 사회학
    홍두승 서울: 나남출판 [1996]
  • 한국 지방정부 재난관리체제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시 군 구를 중심으로
    권건주 한국 위기관리논집 8(5), 15~32 [2012]
  • 포괄적 안보측면에서 재난발생시 군의 역할 증대 방안 연구: 육군 지원사례를 중 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유용진 경기대학교 [2017]
  • 포괄안보시대의 한국국가위기관리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김진항 경기 대학교 [2010]
  • 포괄안보시대 한국 민군관계의 발전방향: 민군갈등과 협력사례를 중심으로
    이원희 군사 논단 79호, 87~115 [2014]
  • 포괄안보 개념하 군(軍)의 국가재난안전관리 역할 강화방안 연구: 군 간부 들의 재난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중심으로
    김원대 전용국 국방정책연구 32(2), 125~150 [2016]
  • 태안기름누출사건에 따른 국가위기대응태세점검 및 향후대책(연구보고서)
  • 태안 해양오염사고와 방제시스템의 효율성 제고. 헤베이스피리트호 유류유출사고 대응자료집(Ⅰ), 123~127
    정영석 충남 공주: 충남발전연구원 [2008]
  • 카트리나 피해와 미국 사회
    신유섭 월간 아태지역동향 165, 25~30 [2005]
  • 카트리나 재난이 알려주는 미국 도시의 현재: 신자유주의, 인종, 그리고 환경문 제
    박진빈 서양사론 130, 74~95 [2016]
  • 질적 내용 분석의 개념과 절차
    정상원 정정훈 최성호 질적탐구 2(1), 127~155 [2016]
  • 지진에 대비한 경기도 내진대책과 정책개선(정책연구 2017-71)
    경기연구원 경기 수원: 경기연구원 [2017]
  • 지진 발생 시 지방자치단체 대응업무 연속성 확보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구원회 강 원대학교 [2019]
  • 지역사회와 군 관계의 특성과 협력 구축방안
    김명환 지방정부연구 14(4), 149~170 [2011]
  • 지역사회와 군 간의 효율적 협력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우경욱 강원대학교 [2011]
  • 지상군 기본교리: 전전장 공세적 통합작전(야전교범 0)
    육군본부 육군본부 충남 계룡: 국군인쇄창 [2011]
  • 지방화시대의 민군관계
    장광섭 전략논총 7, 193~265 [1996]
  • 지방정부의 사전대비 재난관리체제 효율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최용호 조선대학교 [2005]
  • 지방정부와 중앙정부간 협력적 재난관리 방안 연구: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양기근 국 정관리연구 5(1), 121~153 [2010]
  • 지방정부 재난관리 거버넌스 구축 연구
    조남홍 채원호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2(4), 270 227~254 [2008]
  • 지방자치단체의 재난대응론
    박동균 박창근 송철호 오재호 서울: 대영문화사 [2009]
  •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 협력적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재난안전네트워크를 중 심으로
    이훈래 한국정책연구 15(4), 127~150 [2015]
  • 지방자치단체의 자연재해관리정책과 인위재난관리정책 비교 연구: AHP기법을 이 용한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측정을 중심으로
    이재은 이재은 한국행정학보 36(2), 160~180 [2002]
  • 지방자치단체 채난관리체계의 개선방안
    김건위 이병기 서울: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8]
  •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의 자원보유인식과 협력에 관한 연구: 소방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김석곤 광운대학교 [2005]
  •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시스템 개선방안: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를 중심으로(한국정책학회 보고서)
    류상일 박동균 양기근 서울: 행정안전부 [2011]
  • 지방의 재난관리에 관한 연구: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하규만 지방정부연구 21(3), 71~87 [2017]
  •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재난안전관리의 효과적 협력방안 연구(KIPA 연구보 고서 09-20)
    김은성 안혁근 서울: ㈜현대문화사 [2009]
  • 중앙-지방 협력체계 강화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행정안전부연구보고서)
    한국방재학회 한국방재학회 세종: 행정안전부 [2018]
  • 조직학습 실패 사례를 통한 재난관리의 효과성 제고 방안: 해양 유류유출 사례를 중심으로
    박순애 이영미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9(3), 25~53 [2008]
  • 조직 구조적 속성이 군 재난관리체제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국가적 재난을 중심 으로. 석사학위논문
    김동혁 연세대학교 [2012]
  • 조정(Coordination)의 정의. (Oxford와 Merriam~Webster 사전, 검색일: 2019.0804) http://www.oxforddictionaries.com/definition/english/coordination. https://www.merriam~webster.com/dictionary/coordination?src=search~dict~box
    [2019]
  • 제3차(2015~2019)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
    국민안전처 서울: 국민안전처 [2015]
  • 정책학: 현대 정책이론의 창조적 탐색
    권기헌 서울: 법문사 [2012]
  • 전후 육상자위대의 역할 변화와 시사점
    강한구 육군본부 자문 미발표 자료 [2019]
  • 전쟁이외의 군사활동(MOOTW)에서의 한국 해병대 역할 및 발전방안. 석사학위논 문
    김동우 국민대학교 [2012]
  • 저서동물(底棲動物)(네이버 국어사전
    검색일: https://ko.dict.naver.com/#/search?query=%EC%A0%80%EC%84%9C%EB%8F%99%EB%AC%BC [2019]
  • 재해・재난관리체계 통합방안: 지방의 소방행정체계 설계방안을 중심으로 (대구경북개발연구원 연구보고서 2003-16)
    김옥일 주효진 대구: 명인출판사 [2003]
  • 재해관리행정체계의 국가간 비교연구: 미국과 한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남궁근 한국행정 학보 29(3), 957~979 [1995]
  • 재난・안전관련 법제 개선방안 연구(연구보고서)
  • 재난활동계획 기반의 협력적 재난대응체계 연구
    곽창재 오금호 임상규 최우정 Crisisonomy 12(4), 1~15 [2016]
  • 재난지원기능 (미 국토안보부, , National Response Framework: Overview, pp.13~ 42
    ) (검색일: 2019. 4.27.). https://www.fema.gov/media~library~data/20130726~1825~25045~8535/overview_esf_su pport_annexes_2008.pdf [2008]
  • 재난정책분야의 회복탄력성(Resilience) 결정요인 분석: 재난유형 가운데 자연재난을 중심으로
    권기헌 이대웅 한국정책학회보 26(2), 475~509 [2017]
  • 재난의료지원팀
    이강현 Hanyang Medical Review 35, 152~156 [2015]
  • 재난의 복합화 현상에 따른 복원력(resilience)에 관한 연구
    임승빈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1(4), 179~195 [2017]
  • 재난을 뛰어 넘는 지역사회 리질리언스
    최남희 열린충남 겨울호, 29~33 [2016]
  • 재난유형별 부대규모에 따른 지원장비/물자 적정소요 판단
    서울: 국방부 [2008]
  • 재난에 대한 사회적 대응: ‘재난관리’에서 ‘재난거버넌스’로
    이영희 한국사회학회 사회학 대회 논문집, 482~484 [2014]
  • 재난에 강한 지역공동체 형성 전략: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를 중심으 로
    양기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9(5), 249~256 [2009]
  • 재난안전네트워크 행동지침
    소방방재청 소방방재청 서울: 소방방재청 [2011]
  • 재난안전 위기관리 매뉴얼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강희조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0(8), 1665~1669 [2019]
  • 재난씨, 우리 헤어져
    합동참모본부 합동참모본부 세종: 행정안전부 [2018]
  • 재난시 초기대응과정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세월호』여객선 침 몰사고 사례를 중심으로
    곽영길 박덕규 조승현 한국자치행정학보 29(2), 243~262 [2015]
  • 재난상황 시 예비군 긴급대응부대 창설 및 운용방안에 관한 연구
    선승배 한국재난정보학 회논문집 14(1), 9~16 [2018]
  • 재난대응프레임워크 기반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분석: 2017년 강 릉・삼척 산불을 중심으로
    오정민 정규진 2017 한국정책학회 하계특별학술대회, 19~32 [2017]
  • 재난대응시 기관간 협력체계의 개선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조창근 서울시립대학교 [2102]
  • 재난관리체제에서 민관군의 역할에 관한 연구
    이시경 최진열 한국위기관리논집 3(1), 62~74 [2012]
  • 재난관리의 효과성 제고방안: 시민참여를 중심으로
    양기근 양기근 이재은 이재은 한국행정학회 학술발 표논문집, 346~363 [2004]
  • 재난관리의 조직학습 사례 연구: 세계무역센터 붕괴와 대구지하철 화재를 중심으 로
    양기근 한국행정학보 38(6), 47~70 [2004]
  • 재난관리의 민관협력체계에 대한 폐기학습 이론의 도입 가능성 모색
    조석현 Crisisonomy 13(1), 43~62 [2017]
  • 재난관리에서의 민․관․군 협력체계 구축 방안: Jennings 접근법을 중심으로
    이재은 이재은 한 국위기관리논집 3(1), 62~74 [2007]
  • 재난관리에 있어서 군의 역할과 대비방향
    고창석 양기근 한국위기관리논집 8(2), 162~179 [2012]
  • 재난관리분야의 민간부문 활성화 방안
    이남국 임상규 한국위기관리논집 11(1), 1~19 [2015]
  • 재난관리를 위한 로컬 위기관리 거버넌스 구축방안: 태풍 ‘나리’로 본 민간부문의 위기관리 관련조직 유형 분석
    강영훈 한국행정논집 20(4), 1085~1105 [2008]
  • 재난관리론
    김국래 유병옥 서울: 정훈사 [2009]
  • 재난관리론
  • 재난관리론
    정병도 정병도 서울: 동화기술 [2015]
  • 재난관리론
    한국방재학회 한국방재학회 서울: 구미서관 [2014]
  • 재난관리 체계에서의 군의 역할: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김태훈 박덕근 박정훈 오정림 Crisisonomy 2(1), 1~13 [2006]
  • 재난관리 참여기관별 협력요인과 재난관리 효과성간의 관계
    류상일 조종묵 국가위기관리 학회보 2(1), 1~13 [2010]
  • 재난관리 조직의 협력수준과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
    김영주 문명재 행정논총 53(3), 83~116 [2015]
  • 재난관리 역량 강화와 재난관리서비스의 공공재적 특성
    이재은 이재은 한국위기관리논집 7(6), 1~16 [2011]
  • 재난관리 민관협력 개선방안 연구
    유순덕 JIIBC 16(2), 171~180 [2016]
  • 재난관리 단계별 군의 역할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범규 계명대학교 [2015]
  • 재난관리 거버넌스의 유형과 참여기관 간 협력관계
    이시경 한국사회과학연구 32(1), 299~326 [2013]
  • 재난관리 거버넌스 체제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문병현 호남대학교 [2016]
  • 재난 지원에 있어 지역사회 기관 연계에 관한 연구
    고영훈 김소연 윤서영 윤호경 정신 신체의학 24(2), 125~132 [2016]
  • 재난 불평등 해소와 사회통합 전략에 관한 연구(KIPA연구보고서 2018-17)
    이재호 채종헌 최호진 서울: 경성문화사 [2018]
  •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경우 연세대학교. 다 [2009]
  • 재난 레질리언스 강화: 한국의 공동 안전공동체 거버넌스 개혁을 위한 혁신 방 안
    이재은 이재은 Crisisonomy 14(3), 75~90 [2018]
  • 작전지속지원(야전교범 기준 6-1)
    육군본부 육군본부 충남 계룡: 국군인쇄창 [2015]
  • 자연 재해의 사회적 과정: 미국의 허리케인 카트리나 수해 사례를 중심으로
    이현송 영미 연구 15, 153~177 [2006]
  • 일본의 위기대응체제와 행위에 관한 연구: 한신대진제와 일본정부의 위기관리
    이원덕 서 울: 한국언론연구원 [1995]
  • 인식상대주의 관점에서 위기관리에 대한 방법론: 체계적・상황적 접근법을 중심으 로
    김형렬 한국위기관리논집 1(1), 1~19 [2005]
  • 의용소방대의 선진화를 위한 민관협력 발전방안
    정요안 한국위기관리논집 4(1), 72~83 [2008]
  • 위기관리학과 재난관리학에서 지방정부의 역할
    이재은 이재은 한국위기관리논집 11(10), 111~132 [2015]
  • 위기관리체계에서의 효과적인 민 관 군 경 통합방위작전수행에 관한 연구. 석사 학위논문
    김경찬 고려대학교 [2009]
  • 위기관리와 재난관리, 그리고 지방정부의 역할
    이재은 이재은 열린충남 겨울호 권두언, 2~9 [2016]
  • 우리나라 재난관리체계의 현실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박소연 신동진 원진영 윤상훈 임동현 Crisisonomy 12(9), 97~106 [2016]
  • 우리나라 국방 재난관리 체계의 제도적 개선에 관한 연구
    김민호 서상원 한국안전학회지 32(3), 105~111 [2017]
  • 우리나라 災難管理體系의 效率的 運營方案에 關한 硏究. 박사학위논문
    김경호 영남 대학교 [2010]
  • 신공공관리론 (위키백과
    검색일: https://ko.wikipedia.org/wiki/%EC%8B%A0%EA%B3%B5%EA%B3%B5%EA%B4%80%EB%A6%A C%EB%A1%A0 [2019]
  • 시민주도적인 협력적 거버넌스의 운영에 관한 연구: 서울청년정책네트워크 사례를 중심으로
    정용찬 하윤상 한국행정학보 53(1), 31~63 [2019]
  • 시민, 기업, 정부간의 통합 재난구호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성기환 한국위기관리논집 2(1), 1~14 [2006]
  • 스위스의 재난 및 지진 관리체계에 대한 연구
    마정근 정호경 법학논총 34(3). 133~164 [2017]
  • 선진국에 적합한 민군관계 발전방향 모색: 정치, 군대, 시민사회 3자 관계를 중심 으로
    김병조 전략연구 15(3), 24~57 [2008]
  • 선진 방제대응체제 구축계획을 위한 연구(연구보고서)
  • 산소량(溶存 酸素量) (네이버 국어사전
    용존 검색일: https://ko.dict.naver.com/#/entry/koko/4f207e64e6df4348a3034e7e2aed8e9e [2019]
  • 산불현장 대응인력 역량강화를 위한 실태조사 연구
    구원회 백민호 한국방재학회논문집 19(3), 113~120 [2019]
  • 산불재난 위기대응 매뉴얼
  • 산불재난 대처를 위한 조직간 협력에 관한 연구: 양양산불사례를 중심으로
    배귀희 지방 행정연구 24(4), 143~178 [2010]
  • 사회적 재난으로서 허리케인 카트리나: 정부 실패와 위험 불평등
    고동현 한국정책학보 22(1), 83~119 [2015]
  • 방위성(防衛省)(2012). 동일본 대지진 대응관련 교훈사항. 도쿄: 방위성.(방위성 홈페이지/방위 성의 대책/각종사태에 대한 대응/재해관련). (http://warp.da.ndl.go.jp/info:ndljp/pid/11347003/www.mod.go.jp/j/approach/d efense/saigai/pdf/kyoukun.pdf)
    [2012]
  • 민・군협력 거버넌스체제 구축방안 연구. 한국통일전략학회
    최이조 통일전략 4(1), 271~295 [2004]
  • 민주화 이후 군과 지역사회
    최용환 GRI 연구논총 11(3), 61~83 [2009]
  • 민군 간 협력적 로컬 거버넌스 구축방안: 지역안보를 위한 민군관계의 공고화
    박종길 지 방자치연구 17, 21~59 [2014]
  • 미국의 재난대응과 협력적 거버넌스: 허리케인‘카트리나’사례를 중심으로
    배재현 이명석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0(1), 189~216 [2010]
  • 미국 해안경비대 홈페이지 (검색일: https://www
    dcms.uscg.mil/Portals/10/DCMS%20files/DCMS_StratPlan.pdf [2019]
  • 미국 재난관리에 있어 미국 군의 역할 및 한국적 함의
    박동균 조기응 한국행정학회 학술 발표논문집, 663~688 [2013]
  • 등 저팬리뷰 2012 3.11 동일본대지진과 일본
    박영주 서승원 최관 서울: 도서출판 문 [2012]
  • 등 세계일보 특별기획취재팀 지구의 미래: 기후변화를 읽다
    백소용 서울: 지상사 [2016]
  • 도해손자병법
    노병천 서울: 도서출판 한원 [1990]
  • 대형화산폭발 위기관리 표준매뉴얼
    합동참모본부 합동참모본부 세종: 행정안전부 [2019]
  • 대구지하철 참사 수습과 재난관리대책
    김중양 행정포커스 1호, 38~56 [2004]
  • 다케나카 헤이조(竹中平蔵)・후나바시 요이치(船橋洋一) 일본 대재해의 교훈: 복합위기와 리스크 관리(김영근 역). 서울: 도서출판 문
    (원서출판 2012) [2012]
  • 다조직의 재난관리 협력체계 분석: 구제역 방역활동을 중심으로
    채진 한국행정학보 46(1), 57~79 [2012]
  • 뉴올리안즈, 자본주의의 진실
    안재호 정세와 노동 5, 10~15 [2005]
  • 네트워크 관점에서 지방정부 재난대응과정 분석; 미국의 허리케인 과 한국의 태풍 대응사례를 중심으로
    류상일 한국행정학보 41(4), 287-313 [2007]
  • 김정일 정권의 안보정책: 포괄적 안보개념의 적용(통일연구원연구총서 03-13)
    박영규 서울: 통일연구원 [2003]
  • 규제 샌드박스 (네이버 지식백과, 매일경제용어사전
    검색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36979&cid=43659&categoryId=43659 [2019]
  • 군과 지역사회의 협동거버넌스 구축방안.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2(4), 27~50. (2015). 군사시설로 인한 민군갈등의 원인과 해결방안: 탄약저장시설로 인한 갈등사례를 중 심으로
    허훈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9(2), 105~133 [2008]
  • 군과 지역사회간 협력관계 증진 방안
    강한구 경인행정학회 2008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 문집, 79~111 [2008]
  • 군과 지역사회 간 조직~공중 관계성에 대한 상호이해도
    정미경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2), 187~205 [2014]
  • 군과 지역사회 간 상생기반의 군사시설 이전방안: 기부 대 양여 사례분석을 중심 으로
    조극래 한국군사학논총 7(1), 225~256 [2018]
  • 군(軍)통합전투력운용 측면에서 본 재난복구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손동헌 초당대학 교 [2014]
  • 국제유류오염보상기금(IOPC, International Oil Pollution Compensation Fund) (네이버 지 식백과, 선박항해용어사전
    공길영) (검색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82623&cid=42329&categoryId=42329 [2019]
  • 국방 재난대응 백서
    국방부 국방부 서울: 국방부 [2012]
  • 국방 재난관리 선진화를 위한 발전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김진광 상지대학교 [2011]
  • 국방 재난관리 기능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재난전문부대 육성을 중심으로. 한국 석사학위논문
    장호진 외국어대학교 [2007]
  • 국가재난에 대한 군 재난관리체제개선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권영준 상지대학교 [2010]
  • 국가재난법제의 정비와 실효성 확보방안
    이재은 이재은 한국위기관리논집 10(12), 1~20 [2014]
  • 국가안전보장에 대한 국민의 참여: 군사기지, 군사시설의 조성, 운영을 중 심으로
    강소영 강한구 저스티스, 324~354 [2013]
  •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2015~2019)
    중앙안전관리위원회 서울: 행정안전부 [2015]
  • 국가안보의 이론과 실제
  • 국가안보 환경의 변화와 국가위기관리: 포괄적 안보 개념 하에서의 국가위기 유 형
    이재은 한국위기관리논집 9(2), 177~198 [2013]
  • 국가 재난대비 군(軍) 응급의료 지원체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배일순 연세대학교 [2001]
  • 국가 안보의 이해. 서울: 노드미디어. 조석현(2016). 재난관리론
    조남진 서울: 화수목 [2010]
  • 공무원 건강감성 변화에 관한 질적 내용분석: 건강감성 일기를 중심으로
    서승현 이대희 한국정책연구 11(3), 177~193 [2011]
  • 계획의 실패 또는 한계에 관한 연구: 허리케인 카트리나로 인한 뉴올리언스 시의 재난을 중심으로
    김흥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2(4), 17~46 [2010]
  • 경기북부접경지역의 상생적 지역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협력적 거버넌스를 중심 으로. 박사학위논문
    조병식 대진대학교 [2018]
  • 거버넌스 이론의 한반도 통일 거버넌스에의 함의
    김석우 문경연 허인혜 국제관계연구 24(1), 5~38 [2019]
  • 강원지역사회와 군의 협력체계 구축방안, 강원발전연구원 연구보고서 공모과제 10-01
    김명환 춘천: 강원발전연구원 [2010]
  • 강릉・삼척 산불 진화작전 교훈집
    제0군단 제0야전군사령부 [2017]
  • 간사이대학 사회안전학부(関西大学社会安全学部) 검증 3.11 동일본대지진(고려대학교 일본연구센터 역). 서울: 도서출판 문
    (원서출판 2012) [2012]
  • 韓國의 危機管理政策에 관한 硏究: 執行構造의 多組織的 關係 分析을 중심 으로. 박사학위논문
  • 韓國軍의 國家災害․災難管理 支援에 관한 硏究. 석사학위논문
    이승우 대전대학교 [2007]
  • 軍의 효율적 災難관리 시스템 정립을 위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김대훈 전남대학교 [2012]
  • 軍의 재난관리체제 발전방향: 태안 원유유출사고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동민 경북대학교 [2009]
  • 軍의 災難管理發展方案에 관한 硏究. 석사학위논문
    김진만 대전대학교 [2007]
  • 軍, 국가재난지원 활성화 방안. 한국재난정보학회 정기학술대회(2016.11.18
    정찬권 ) 발표 자료, 316 ~ 318 [2016]
  • 災害災難管理를 위한 地方自治團體와 地域責任軍의 協力體系改革方案. 박사 학위논문
    전형우 대전대학교 [2006]
  • 災害災難時 軍 管理體制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석사학위논문
    나홍기 한남대학교 [2002]
  • 民軍關係의 歷史的 類型과 民軍關係의 發展方向에 關한 硏究
    배진수 손기웅 이문조 전략논총 2, 193~299 [1994]
  • 民軍關係論
    이동희 서울: 일조각 [1990]
  • 市民社會 主導 災難管理 協力體制 構築 方案. 박사학위논문
    박영오 충남대학교 [2018]
  • 國家의 災害․災難과 軍支援 體制에 관한 硏究. 석사학위논문
    이종헌 한남대학교 [2003]
  • 國家災難 發生時 軍의 役割과 所要裝備 獲得方案. 석사학위논문
    정태우 공주대학교 [2003]
  • 『재난관리론』
    이종열 이종영 정지범 최진식 서울: 대영문화사 [2014]
  • 「해양환경관리법」(법률 제16215호, 2019.01.08.,일부개정)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EB%B2%95%EB%A0%B9/%ED%95%B4%EC%96%91%ED%99%98%EA% B2%BD%EA%B4%80%EB%A6%AC%EB%B2%95 (검색일: 2019.08.19.).
    [2019]
  • 「해양수산부 중앙사고수습본부 구성 및 운영 등에 관한 규정」(해양수산부훈령 제222호, 2015. 02.25. 제정) (국가법령정보센터, 검색일: 2019.08.19.). http://www.law.go.kr/LSW//conAdmrulByLsPop.do?&lsiSeq=208856&joNo=0021&joBrNo=0 0&datClsCd=010102&dguBun=DEG&lnkText=%25EC%25A0%2595%25ED%2595%2598%25EC% 2597%25AC%25EC%2595%25BC%2520%25ED%2595%259C%25EB%258B%25A4&admRulPttninf Seq=1614
    [2015]
  • 「통합방위법」(법률 제14839호, 2017. 7. 26. 시행) (국가법령정보센터, 검색일: 2019.08.25.). http://www.law.go.kr/%EB%B2%95%EB%A0%B9/%ED%86%B5%ED%95%A9%EB%B0%A9%EC% 9C%84%EB%B2%95/(14839,20170726)
    [2017]
  • 「탐색구조본부의 구성 및 운영 규칙」 (국방부령 제765호, 2012.4.20.). (검색일: 2018. 0.17). http://www.law.go.kr/DRF/lawService.do?OC=mndlaw&target=law&MST=124851&type=HT ML&mobileYn=&efYd=20120420
    [2012]
  • 「재난관리법」. (검색일: 2018.10.14.). http://www.yeslaw.com/lims/front/page/fulltext.html?pAct=view&pLawId=713
    [2018]
  •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검색일: 2018.10.14.). http://www.law.go.kr/%EB%B2%95%EB%A0%B9/%EC%9E%AC%EB%82%9C%EB%B0%8F%EC% 95%88%EC%A0%84%EA%B4%80%EB%A6%AC%EA%B8%B0%EB%B3%B8%EB%B2%95
    [2018]
  •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9849호, 2019.06.11., 타법개정) (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EB%B2%95%EB%A0%B9/%EC%9E%AC%EB%82%9C%20%EB%B0%8F% 20%EC%95%88%EC%A0%84%EA%B4%80%EB%A6%AC%EA%B8%B0%EB%B3%B8%EB%B2%95%E C%8B%9C%ED%96%89%EB%A0%B9 (검색일: 2019.07.28.).
    [2019]
  • 「예비군법」(법률 제14839호, 2017. 7. 26. 시행) (국가법령정보센터, 검색일: 2019.08.25.) http://www.law.go.kr/LSW/lsLinkProc.do?&lsNm=%EC%98%88%EB%B9%84%EA%B5%B0%EB %B2%95&chrClsCd=010202&mode=20#
    [2017]
  • 「수상에서의 수색・구조 등에 관한 법률」 (법률 제13440호, 2015.07.24., 일부개정) http://www.law.go.kr/%EB%B2%95%EB%A0%B9/%EC%88%98%EC%83%81%EC%97%90%EC%8 4%9C%EC%9D%98%EC%88%98%EC%83%89%E3%86%8D%EA%B5%AC%EC%A1%B0%EB%93%B1 %EC%97%90%EA%B4%80%ED%95%9C%EB%B2%95%EB%A5%A0/(13440,20150724) (검색일: 2019. 07.27.).
    [2015]
  • 「소방기본법」 (법률 제15301호, 2018.12.27. 시행) (검색일: 2019.0720.) http://www.law.go.kr/%EB%B2%95%EB%A0%B9/%EC%86%8C%EB%B0%A9%EA%B8%B0%EB% B3%B8%EB%B2%95
    [2018]
  • 「산불진화기관의 임무와 역할에 관한 규정」(산림청예규 제671호, 2019.03.27., 일부개정)(검색일: 2019.07.25) http://www.law.go.kr/admRulLsInfoP.do?admRulSeq=2100000177126
    [2019]
  • 「산불관리통합규정」 (산림청훈령 제1307호, 2016.10.24., 일부개정). (국가법령정보센터, 검색일: 2019.07.29.). http://www.law.go.kr/admRulInfoP.do?admRulSeq=2100000062815
    [2016]
  • 「산림법」 (법률 제7849호, 2006.07.01. 시행) (검색일: 2019.07.20.) http://www.law.go.kr/LSW/lsInfoP.do?lsiSeq=73324#0000
    [2006]
  • 「부정청탁 및 금품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약칭: 청탁금지법)」(법률 제13278호, 2015.3.27. 제정) (국가법령정보센터. 검색일: 2019.08.06.). http://www.law.go.kr/%EB%B2%95%EB%A0%B9/%EB%B6%80%EC%A0%95%EC%B2%AD%ED%83%81%EB% B0%8F%EA%B8%88%ED%92%88%EB%93%B1%EC%88%98%EC%88%98%EC%9D%98%EA%B8%88%EC%A7%80 %EC%97%90%EA%B4%80%ED%95%9C%EB%B2%95%EB%A5%A0/(13278,20150327)
    [2015]
  • 「민방위기본법」 (법률 제14805호, 행정안전부 소관, 2017. 4. 18., 일부개정) http://www.law.go.kr/%EB%B2%95%EB%A0%B9/%EB%AF%BC%EB%B0%A9%EC%9C%84%EA% B8%B0%EB%B3%B8%EB%B2%95 (검색일: 2019.07.23.)
    [2017]
  • 「긴급구조대응활동 현장지휘에 관한 규칙(」행정안전부령 제81호, 소방청 소관, 2018. 11. 12. 일 부개정) (검색일: 2019.07.23.). http://www.law.go.kr/%EB%B2%95%EB%A0%B9/%EA%B8%B4%EA%B8%89%EA%B5%AC%EC% A1%B0%EB%8C%80%EC%9D%91%ED%99%9C%EB%8F%99%EB%B0%8F%ED%98%84%EC%9E%A 5%EC%A7%80%ED%9C%98%EC%97%90%EA%B4%80%ED%95%9C%EA%B7%9C%EC%B9%99
    [2018]
  • 「국방재난관리훈령」(국방부훈령 제2046호, 2017.06.28., 일부개정). (검색일: 2019.07.28.). http://www.law.go.kr/LSW/admRulLsInfoP.do?admRulSeq=2100000091332
    [2046]
  • 「경찰공무원 복무규정」(대통령령 제25751호, 2014.11.19. 시행) (국가법령정보센터, 검색일: 2019.08. 25.).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63346#J14:0
    [2014]
  •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법률 제16101호, 2018.12.31., 타법개정)(검색일: 2019.07.27.). http://www.law.go.kr/%EB%B2%95%EB%A0%B9/%EA%B0%90%EC%97%BC%EB%B3%91%EC% 9D%98%EC%98%88%EB%B0%A9%EB%B0%8F%EA%B4%80%EB%A6%AC%EC%97%90%EA%B4%8 0%ED%95%9C%EB%B2%95%EB%A5%A0
    [2018]
  • 「가축전염병예방법」(법률 제16226호, 2019.01.15., 일부개정) (검색일: 2019.07.27.). http://www.law.go.kr/%EB%B2%95%EB%A0%B9/%EA%B0%80%EC%B6%95%EC%A0%84%EC% 97%BC%EB%B3%91%EC%98%88%EB%B0%A9%EB%B2%95
    [2019]
  • “헤세이 23년년) 동북 지방 태평양 바다 지진에 대한 대규모 지진 재해 파견의 실시에 관 한 자위대 행동 지침”
    (방위성 홈페이지, 방위성의 대책, 각종사태에 대한 대응, 재해관련, 검색일: 2019.11.16.). https://www.mod.go.jp/j/approach/defense/saigai/2011/20110314a.html [2011]
  • “허리케인 카트리나 이후 미국 재난안전관리 시스템 개편과정 재고찰 - 재난안전관리 법제도 및 조직 재정 비 과정을 중심으로 -”
    배정환 이주호 최경식 한국위기관리논집 12(7), 1~13 [2016]
  • “한국의 재난관리 시스템의 문제점과 효율화 방안”
    현석환 한국사회안전학회지 10(1), 39~56 [2015]
  • “한국산불방지기술협회” (한국산불방지기술협회 홈페이지, 검색일: 2019.9.7.). http://kffmsa.kr/company/sub01.htm
    [2019]
  • “지방정부 재난관리조직의 개선방안 : 통합형 재난관리 조직설 계”
    양기근 경남발전 85, 66~86 [2007]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국방부 상호지원협정 체결”, (FPN Daily, 2005.08.27., 검색일: 2019.08.20.). http://m.fpn119.co.kr/2943
    [2005]
  • “제18호 태풍 「차바」 대처 상황 보고(토) 06:00 현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044~205 ~1700), (검색일: 2019.0716). https://www.mois.go.kr/mpss/board/file/.../20161008060827699.hwp [2016]
  • “재해 파견에 대해”
    (방위성 홈페이지, 방위성의 대책 분야, 검색일: https://www.mod.go.jp/j/approach/defense/saigai/index.html [2019]
  • “재난분야 위기관리 표준매뉴얼 전면 개정된다”
    (행정안전부, 일자 보도자료) https://www.mois.go.kr/frt/bbs/type010/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 00000000008&nttId=66484 (검색일: 2019.9.3.) [2018]
  •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행정안전부 홈페이지, 검색일: https://www.mois.go.kr/frt/sub/a06/b11/disasterTraining_2/screen.do [2019]
  • “재난 리더십…줄리아니 뉴욕시장과 9·11 테러” (TV조선, 2014.5.8. 22:22, 검색일: 2019.9.3. 일) http://news.tv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5/08/2014050890285.html
    [2014]
  • “일본이 대지진에도 혼란 없는 이유[기획]” (청년의사, 기획특집/DEEP DIVE, 2012.4.10. 12:32) (검색일: 2019.11.14.).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50164
    [2012]
  • “위험사회에 남긴 울리히 벡의 유언”. 대학신문. 2015.04.12. (검색일: 2018.07.20.). http://www.sn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4886
    [2015]
  • “올해 한반도에 영향을 미친 태풍”
    연합뉴스, 일자, (검색일: 2019.10.18.). https://www.yna.co.kr/view/GYH20191007001500044 [2019]
  • “올해 軍 대민지원 사회·경제적 가치 725억 원”. 국방일보. 2012.10.15.(검색일: 2019.07.16.). http://kookbang.dema.mil.kr/newsWeb/20121015/1/BBSMSTR_000000010021/view.do
    [2012]
  • “안전처·국방부, 재난 대응 자원 동원 협력체계 구축” (대한민국정책브리핑. 2015.07.07., 검색 일: 2019.08.20.) http://www.korea.kr/news/policyPhotoView.do;JSESSIONID_KOREA=GFd8U24GMUSdEOlH k1TCVqm0lpVkVAGGTlB1WN1gQlaeHjiZMz8j!566174606!~2124666510?bbsKey=20141&theme key=dept_activity&startDate=2008~02~29&endDate=2019~08~11&pageIndex=353
    [2015]
  • “아프리카돼지열병” (농림축산식품부 홍보리플렛, 검색일: 2019.10.18.). http://www.mafra.go.kr/FMD-AI/1510/subview.do
    [2019]
  • “소방청과 재난대응 ‘공동보조’” (국방일보, 2019.05.16.일자, 검색일자: 2019.08.20.일) http://kookbang.dema.mil.kr/newsWeb/20190517/6/BBSMSTR_000000010021/view.do
    [2019]
  • “소방비상대응 단계”(“119신고접수 단계부터 비상상황을 가정하고 총력 대응: 소방력 출동지령 방식 변경 후 결과 분석”. 소방청, 2018.12.11.(화) 08:00 보도자료) http://www.nfa.go.kr:8005/wv/ezpdf/customLayout.jsp?contentId=L0RBVEEvbmZhL25mYS 53YXIvdXBsb2FkLy9ib2FyZC8vYmJzXzAwMDAwMDAwMDAwMDAwMTAvMjAxODEyMTQvMj AxODEyMTQwOTE5MzIzMTk2Ny5wZGY%3D# (검색일: 2019.08.31.).
    [2018]
  • “선진민주사회에서 군의 역할과 위상: 민군관계 발전을 위 한 방안”
    이정우 임용순 전략논총 8, 7~65 [1996]
  •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위키백과, 검색일: https://ko.wikipedia.org/wiki/%EC%82%BC%ED%92%8D%EB%B0%B1%ED%99%94%EC%A0%9 0_%EB%B6%95%EA%B4%B4_%EC%82%AC%EA%B3%A0 [2019]
  • “삼성 1호-허베이 스피릿 호 원유 유출 사고”
    (위키백과, 검색일: https://ko.wikipedia.org/wiki/%EC%82%BC%EC%84%B11%ED%98%B8~%ED%97%88%EB%B2 %A0%EC%9D%B4_%EC%8A%A4%ED%94%BC%EB%A6%BF_%ED%98%B8_%EC%9B%90%EC%9C%273 A0_%EC%9C%A0%EC%B6%9C_%EC%82%AC%EA%B3%A0 [2019]
  • “산불현장지휘지원단” (국가법령전보센터, 「산불관리통합규정」 제12조의 3(산불현장 지휘지원단 운영), 검색일: 2019.9.7.). http://www.law.go.kr/admRulLsInfoP.do?admRulSeq=2100000174716#J12:3
    [2019]
  • “산림청,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 '심각' 단계 발령”
    (연합뉴스, :34, 검색일: 2019.9.21.) https://www.yna.co.kr/view/AKR20170506065900063 [2017]
  • “사회안전을 위한 스마트 재난안전관리시스템”
    강희조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18(1), 225~229 [2017]
  • “사이판 태풍시 국민보호 수송기 운용부대 등 표창”.(국방일보 2019.01.01.).(검색일: 2019.7. 26.). http://kookbang.dema.mil.kr/newsWeb/20190102/16/BBSMSTR_000000010021/view.do
    [2019]
  • “밤비 버킷(Bambi bucket)”
    (위키피디아, 검색일: https://en.wikipedia.org/wiki/Helicopter_bucket [2019]
  • “대형복합재난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제도개선방안 연 구”
    김태훈 윤준희 한국산학기술학회 지 19(5), 176~183 [2018]
  • “대형복합재난 법적기반 구축 연구”
    정지범 서울: 한국행정연구원 [2015]
  • “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앞바다 지진에 관한 방위성・자위대의 대응에 대해(平成23年東北 地方太平洋沖地震に係る防衛省・自衛隊の対応について)”
    방위성 보도자료, 공지사 항(2011.03.11.~2011.12.26.) (https://www.mod.go.jp/j/press/news/2011/index.html) [2011]
  • “년 강릉 삼척 상주 산불”
    (리브레위키, 2019.4.25 10:54 최신화, 검색일: 2019.9.21.) https://librewiki.net/wiki/2017%EB%85%84_%EA%B0%95%EB%A6%89%C2%B7%EC%82%BC% EC%B2%99%C2%B7%EC%83%81%EC%A3%BC_%EC%82%B0%EB%B6%88 [2017]
  • “강원도 산불 관련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긴급지시”(국무조정실 보도자료, 2017.5.6., 검색 일: 2019.9.21.) http://www.opm.go.kr/flexer/view.do?ftype=pdf&attachNo=77453
    [2017]
  • “가외성” (온라인행정학전자사전,나현, 2009, 검색일: 2019.11.3.). http://kapa21.or.kr/epadic/print.php?num=627
    [2009]
  • “獨 긴급재난 땐 주정부가 현장 지휘”. 한국일보. 2014.06.18. (검색일: 2018.8.1.). http://m.hankookilbo.com/News/Read/201406182270368140
    [2014]
  • “平成 23 年(年)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の警察措置と被害状況”
    일본 경찰청 보도자 료(2018.12.10.) (검색일: 2019.11.14.). https://www.npa.go.jp/news/other/earthquake2011/pdf/higaijokyo.pdf [2011]
  • “「강원도동해안산불방지센터」건립 국비 47억원 확보” (강원도청 산림관리과, 2018.9.12., 검색일: 2019.9.5.). http://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452244
    [2018]
  • “[팩트체크] '돼지열병' 살처분 불과 15만?…” 한국경제(2019.10.22.일자). http://newslabit.hankyung.com/article/201910210411G (검색일: 2019.12.2.).
    [2019]
  • “USGS Updates Magnitude of Japan’s 2011 Tohoku Earthquake to 9.0” (U.S. Geological Survey, 3/14/2011 5:35:00 PM) (검색일: 2019.11.13.) http://www.usgs.gov/newsroom/article.asp?ID=2727
    [2011]
  • “Millions Of Stricken Japanese Lack Water, Food, Heat” (NPR 2011.3.14.) http://www.npr.org/2011/03/14/134527591/millions-of-stricken-japanese-lack-water-foo d-heat (검색일: 2019.11.14.)
    [2011]
  • “KT 아현지사 통신구 화재(~阿峴支社通信溝火災)”
    (위키백과, 검색일: https://ko.wikipedia.org/wiki/KT_%EC%95%84%ED%98%84%EC%A7%80%EC%82%AC_%ED%8 6%B5%EC%8B%A0%EA%B5%AC_%ED%99%94%EC%9E%AC [2019]
  • “4th Anniversary today”
    (Kobe Shinbun. 11 March p. 1.) (검색일: 2019.11. 14.) (재인용: https://megaquakeprep.tips/2016/03/from-my-heart-to-yours/) [2015]
  • “2019년도 공공기관 지정” (기획재정부 보도자료, 2019.1.30., 검색일: 2019.10.19.). http://www.moef.go.kr/nw/nes/detailNesDtaView.do?menuNo=4010100&searchNtt Id1=MOSF_000000000026683&searchBbsId1=MOSFBBS_000000000028
    [2019]
  • Where federalism did't fail
    67 ( 1 ) , 36~47 . [2007]
  • WalMart to the rescue : private enterprise ’ s response to hurricane Katrina
    13 ( 4 ) , 511~528 [2009]
  • Urban emergency management : planning and response for the 21st century
    [2017]
  • Understanding the drivers and barriers of coordination among humanitarian organizations
    [2012]
  • Understanding multiplexity of collaborative emergency management networks
    46 ( 4 ) , 399~417 [2014]
  • US civil-military relations after 9/11 : Renegotiating the civil-military bargain .
    [2011]
  • Thephases ” of emergency management . Background Paper
    [2010]
  • The story of Katrina : New Orleans and the political economy of catastrophe
    127 ( 1 ) , 1~33 . [2006]
  • The role of coordination in disaster management ( Jack Pinkowski , Disaster Management Handbook
    Chapter 5 [2008]
  • The normative bases of social capital in the public sector
    21 ( 1 ) , 23~38 [1999]
  • The human side of disaster
    [2010]
  • The federal response to hurricane katrina : Lessons learned
    [2006]
  • The evolution and structure of natural hazard policies
    45 ( Special Issue , Jan. ) , 20~28 [1985]
  • The Intergovernmental relations of emergence management . In Richard T. Sylves & William L . Waugh ( eds . ) , Disaster Management in the U.S. and Canada ( pp.46~68 )
    [1996]
  • TOD(Thermal Observation Device, 열영상장비)(네이버 두산백과
    검색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348171&cid=40942&categoryId=31746 [2019]
  • Sylves, Richard(2008). Disaster policy & politics. Washington, D.C.: CQ Press. U.S. Joint Chief of Staff(2000). JP 1 Joint warfare of armed forces of the united states, Washington, D.C.: JCS.
  • Soldiers andCivilians : TheCivil-military gap and american national security
    [2001]
  • Smith, Keith 환경재해(이승호・장동호・조창현・허인혜 공역). 서울: 푸른길
    (원서출판 2013) [2015]
  • Responding to natural disasters : An increased military response and its impact on public policy administrationDisaster Management Handbook ( pp.402~407 )
    [2008]
  • Redundancy , rationality , and the problem of duplication and overlap
    29 ( 4 ) , 346-358 [1969]
  • Puryear, Edgar F. Jr. 명장의 코드(윤상용 역). 경기 파주: 도서출판 한울
    (원서출판 2000) [2012]
  • Principles of emergency management , independent study program teaching materials
  • Perspective and roles of the state and federal governmentsEmergency Management : Principles and Practice for Local Government ( pp.101~127 )
    [1991]
  • Patterns of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hips
    22 ( 3 ) [1977]
  • P eople , States and Fear : An Agenda for International Security Studies in the P ost-Cold War Era
    [2007]
  • Organizing for emergency managementEmergency Management : Principles and Practice for Local Government ( pp.30~54 )
    [1991]
  • National Guard 홈페이지(Home : About the Guard : Army National Guard : About Us : State Mission) (검색일: https://www
    nationalguard.mil/About~the~Guard/Army~National~Guard/About~Us/Stat e~Mission/ [2019]
  • NPO아시아 도시환경학회(NPOアジア都市環境学会) 동일본 대지진 이후의 일본재생(홍 원화 역). 서울: 기문당
    (원서출판 2011) [2011]
  • NFPA® 1600 : Standard on disaster/emergency management and business continuity programs
    [2013]
  • NFPA 1600 Standard on Disaster/Emergency Management and Business Continuity /Continuity of Operations Programs
    (검색일: https://www.nfpa.org/Codes~and~Standards/All~Codes~and~Standards/List~of~Codes~ and~Standards?keyword=1600 [2018]
  • Military conflict
    [1975]
  • Managing the emergency response
    45 ( Special Issue , Jan. ) , 85~92 [1985]
  • Katrina ’ s lessons seen in response to Sandy
    70 ( 48 ) , 2551~2552 . [2012]
  • Introduction to emergency management
    Fourth Edition [2011]
  •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 in communities under stress
    [1978]
  • Incrementalism before the storm : Network performance for the evacuation of New Orleans
    December Special Issue , 122~128 [2006]
  • ISO 22300:(en) Security and resilience — Vocabulary
    (검색일: 2018.10.12.). https://www.iso.org/obp/ui/#iso:std:iso:22300:ed~2:v1:en276 [2018]
  • Hurricane katrina in the gulf coast : Mitigation assessment team report
  • Hurricane Katrina and that vexing what if ? question
    11 ( 6 ) , 1081~1082 [2005]
  • Hurricane Katrina : a nation still unprepared ( Special Report )
    [2006]
  • Haddow, George D. 재난관리론(김태웅・안재현 공역). 성남: 북코리아
    (원서출판 2014) [2016]
  • Flirting with disaster : Public management in crisis situations
    [1995]
  •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policy changes after Hurricane Katrina : A summary of statutory provisions ( CRS Report for Congress 7-5700 )
    [2007]
  • Enhancing collaboration during humanitarian response : An interim report from stakeholders survey
    22 ( 05 ) , 414~417 [2007]
  • Empirical study on interorganizational coordination ( Evidence Case : Organizations of Job and Employment in Iran )
    7 ( 2 ) , 285~304 [2014]
  • Emergency management : Strategies for maintaining organizational integrity
    [1990]
  • Emergency Management : Achallenge for Public Administration
    45 ( Special Issue , Jan. [1985]
  • Disasters : Theory and Research ( pp.49~64 )
  • Disasters . In R. Merton & R . Nisbett ( eds . ) , Contemporary Social Problems ( pp.651~694 )
    [1961]
  • Disaster mitigation and hazard managementEmergency Management : Principles and Practice for Local Government ( pp.131~160 )
    [1991]
  • Disaster management system of local government and role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 : Focused on basic act on disaster control measures in Japan and case of Suginami city
    11 ( 2 ) , 49~69 [2015]
  • Disaster management in order to offset losses caused by the earthquake .
    3 ( 1-2 ) , 40~47 . [2011]
  • Disaster assistance : Federal , state , and local responses to natural disasters need improvement
    [1991]
  • Disaster : Hurricane Katrina and the failure of homeland security
    [2006]
  • DMZ박물관 (검색일: 2019.08.15.). http://www.dmzmuseum.com/museum/kor/
    [2019]
  • DMZ 산불 진화작전 교훈집
    제0사단 제0사단 제0사단사령부 [2013]
  • Coping with crises : The management of disasters , riots , and terrorism
    [1989]
  • Coordination in disaster : A Narrative review
    2 ( 2 ) , Spring , 273~281 [2015]
  • Coordination and collaboration functions of disaster coordination centers for humanitarian logistics
    109 , 432~437 [2014]
  • Coordinating intergovernmental policies on emergency management in a multicentered metropolis
    16 ( 1 ) , 45~54 . [1998]
  • Coordinating community resourcesEmergency Management : Principles and Practice for Local Government ( pp.55~78 )
    [1991]
  • Content analysis :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 2nd ed. )
    [2004]
  • Complex peace operations and civil-military relations : Winning the peace
    [2009]
  • Collaborative Governance in Theory and practice
    18 , 543~571 [2007]
  • Cigler, Beverly A.(2007). The Big questions of Katrina and the 2005 great flood of New Orlean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December Special Issue, 64~76.
  • Challenges to federalism : Homeland security and disaster response
    38 ( 1 ) , 81~110 . [2007]
  • CSO, Jan 1, , Hurricane Katrina Recovery. (검색일: 2019.02.10
    ) https://www.csoonline.com/article/2120043/critical~infrastructure/thad~allen~o n~the~katrina~cleanup.html [2006]
  • CIQ(남북출입사무소) (네이버 지식백과
    검색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460726&cid=46628&categoryId=46628 [2019]
  • Building bridges in the intergovernmental arena : Coordinating employment and training programs in the american states
    54 ( 1 ) , 52~60 [1994]
  • Barriers and facilitators of health care services at the time of natural disasters
    6 ( 20 ) , 23~30 [2005]
  • Assessment of coordination among lead agencies of natural disasters management in Iran
    16 ( 2 ) , 107~117 [2013]
  • Administrative failure and the international NGO response to hurricane Katrina
    67 ( 1 ) , 160~170 [2007]
  • Administrative breakdowns in the governmental response to Hurricane Katrina
    65 ( 5 ) , 515~516 . [2005]
  • A whole community approach to emergency management : Principles , themes , and pathways for action ( FDOC 104-008-1 )
    [2011]
  • A whole community approach to emergency management
    [2016]
  • A unified theory of civil~military relations .
    26 ( 1 ) Fall , 7~26 [1999]
  • A framework for integrated emergency management
    45 ( Special Issue , Jan. ) , 165~172 [1985]
  • A Failure of initiative : Final report of the select bipartisan committee to investigate the preparation for and response to Hurricane Katrina ( Report 109-377 )
    [2006]
  • 9.12지진 백서: 9.12지진과 그 후 180일간의 기록
    국민안전처 국민안전처 서울: 국민안전처 [2017]
  • 9.12 경주지진 재난심리지원서비스 제공경험을 통해 본 국내 재 난심리지원 현황
    김현수 안윤정 현진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65, 169~201 [2018]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재난대응 민관협력 체계에 대한 연구: 조기경보시스템에서 민간 전문가 역할을 중심으로
    오재호 Crisisonomy 14(1), 57~75 [2018]
  • 21세기 한국의 국가전략과 안보전략: 국가전략 포괄적 안보전략 동북아 다자간 안보협력 전략(통일연구원연구총서 2000-19)
    배정호 서울: 통일연구원 [2000]
  • 2019 행정안전통계연보
    합동참모본부 합동참모본부 세종: 행정안전부 [2019]
  • 2018 국방백서
    국방부 국방부 서울: 국방부 [2018]
  • 2017 재난연감
    행정안전부 행정안전부 세종: (사)대한정신보건가족협회 세종인쇄정보 [2018]
  • 2016 재난극복 사례집: 태풍 ‘차바’, 경주지진
    제0작전사령부 제0작전사령부 [2016]
  • 2016 국방백서
    국방부 국방부 서울: 국방부 [2016]
  • 2014 국방백서
    국방부 국방부 서울: 국방부 [2014]
  • 2012 국방백서
    국방부 국방부 서울: 국방부 [2012]
  • 2010 재난연감
    소방방재청 서울: 한국척수장애인협회 [2011]
  • 2010 국방백서
    서울: 국방부 [2010]
  • 2008 해양경찰백서
    해양경찰청 해양경찰청 해양경찰청 서울: 아미고디자인 [2008]
  • 2005년 8월 미국 걸프 만을 강타한 허리케인 카트리나(Katrina)의 발생 과 피해 현황
    김현준 우효섭 자연과 문명의 조화 53(9), 64~70 [2005]
  • (防衛省) 방위성 방재업무계획(防衛省防災業務計画). 일본
    방위성 도쿄: 방위성 [2018]
  • (防衛省) 2019 방위백서(防衛白書). 일본
    방위성 도쿄: 방위성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