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헤겔의 인륜성과 민족에 관한 연구 : 『예나 체계기획 I, III』을 중심으로

황순호 2020년
논문상세정보
' 헤겔의 인륜성과 민족에 관한 연구 : 『예나 체계기획 I, III』을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ivil society
  • family
  • individual
  • law
  • love
  • nation
  • national spirit
  • state
  • universal
  • 가족
  • 개별자
  • 민족공동체
  • 민족정신
  • 보편자
  • 사랑
  • 시민사회
  • 오성국가
  • 정치적 국가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160 0

0.0%

' 헤겔의 인륜성과 민족에 관한 연구 : 『예나 체계기획 I, III』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헤겔,『헤겔 예나 시기 정신철학』, 서정혁 옮김
    G. W. F 이제이북스 [2006]
  • 헤겔,『청년 헤겔의 신학론집』, 정대성 옮김
    G. W. F 인간사랑 [2005]
  • 헤겔,『세계사의 철학』, 서정혁 옮김
    G. W. F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2]
  • 토마스 홉스,『리바이어던』1권, 진석용 옮김
    토마스 나남 [2013]
  • 칼 슈미트, 『땅과 바다』, 김남시 옮김
    꾸리에 [2016]
  • 이사야 벌린, 『이사야 벌린의 자유론』, 박동천 옮김
    이사야 아카넷 [2014]
  • 유발 하라리,『21세기를 위한 21가지 제언』, 전병근 옮김
    유발 김영사 [2018]
  • 에르네스트 르낭,『민족이란 무엇인가』, 신행선 옮김
    에르네스트 책세상 [2002]
  • 앤서니 엘리엇, 브라이언 터너, 『사회론』, 김정환 옮김
    앤서니 이학사 [2015]
  • 앤서니 D. 스미스,『민족주의란 무엇인가』, 강철구 옮김
    앤서니 용의 숲 [2012]
  • 아마르티아 센, 『정체성과 폭력』, 이상환, 김지현 옮김
    아마르티아 바이북스 [2009]
  •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2권, 조대호 옮김
    아리스토텔레스 나남 [2012]
  • 쉴로모 아비네리 외,『헤겔의 신화와 전설』, 존 스튜어트 엮음, 신재성 옮김
    쉴로모 도서출판 b [2018]
  • 베네딕트 앤더슨,『상상된 공동체』, 서지원 옮김
    베네딕트 도서출판 길 [2018]
  • 발터 레제-쉐퍼,『하버마스 ?철학과 사회이론』, 선우현 옮김
    발터 거름 [1998]
  • 마사 누스바움, 『정치적 감정』, 박용준 옮김
    마사 글항아리 [2019]
  • 로버트 D. 퍼트넘,『나 홀로 볼링』, 정승현 옮김
    로버트 페이퍼로드 [2009]
  • 레오 스트라우스 외, 『서양정치철학사』2권, 이동수 외 옮김
    레오 인간사랑 [2007]
  • 곤자 다케시, 『헤겔의 이성, 국가, 역사』, 이신철 옮김
    곤자 도서출판b [2019]
  • 『차이와 연대』
    나종석 도서출판 길 [2008]
  • 『지리의 힘』
    마샬 김미선 옮김, 사이 [2016]
  • 『이질성의 포용』
    하버마스 황태연 옮김, 나남출판 [2000]
  • 『연대주의 ? 모나디즘 넘어서기』
    강수택 한길사 [2012]
  • 『승인이론』
    김준수 용의 숲 [2015]
  • 『민족주의와 역사』
    김인중 아카넷 [2014]
  • 『대동민주 유학과 21세기 실학』
    나종석 도서출판b [2017]
  • 「홉스의 사회계약론의 의미와 한계」
    나종석 『헤겔연구』, 16호, 한국헤겔학 회 [2004]
  • 「홉스에서의 이성, 국가 그리고 ‘정치적인 것’」
    나종석 『동서 인문학』, 46 호,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 「현대적 관점에서 본 칸트와 헤겔의 가족」
    김석수 『동서사상』, 11집, 경북 대학교 인문학술원 [2011]
  • 「헤겔의 자연법 비판과 국가의 기초」
    남기호 『가톨릭철학』, 30호, 한국가 톨릭철학회 [2018]
  • 「헤겔의 민족정신과 그 성립근거」
    윤병태 『헤겔연구』, 32호, 한국헤겔학 회 [2012]
  • 「헤겔의 ‘인정’ 개념에 대한 이해와 오해」
    서정혁 『철학』, 제83집, 한국철 학회 [2005]
  • 「헤겔의 ‘사랑’ 개념과 그 철학적 위상 변화」
    남기호 『시대와 철학』, 제20 권 4호,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8]
  • 「헤겔에게서 민족, 국가와 세계사」
    윤병태 『헤겔연구』, 30권, 한국헤겔학 회 [2011]
  • 「헤겔 인정 이론의 구조」
    남기호 『사회와 철학』, 제18호, 사회와 철학연구 회 [2009]
  • 「사랑에서 인정으로」
    소병일 『인문과학연구』, 제20집, 강원대학교 인문과 학연구소 [2008]
  • 「민족정신의 세 기둥으로서 종교와 예술과 학문」
    윤병태 『헤겔연구』, 34 호, 한국헤겔학회 [2013]
  • 「‘자유주의적 민족주의’와 ‘헌법 애국주의’」
    한승완 『사회와 철학』, 제20 호, 사회와 철학연구회 [2010]
  • Zwischen Tradition und Revolution : Studien zu Hegels Rechtsphilosophie
    [1982]
  • Zu Hegels erstem Begriff des Geistes ( 1803/04 ) : Herdersche Einflusse oder aristotelisches Erbe
    24 , [1989]
  • Vorlesungen uber die Philosophie der Geschichte, Werke in 20 Banden, Bd.12, Redaktion von E. Moldenhauer und K. M. Michel, Frankfurt am Main, (한글 번역본: G. W. F. 헤겔,『역사철학강의』, 권기철 옮김
    Hegel, G. W. F. 동서문 화사, 2008.) [1971]
  • The Rural School Community Center
    Vol . 67 [1916]
  • The Nature and Value of Rights ” , Right , Justice and the Bounds of Liberty
    [1980]
  • The Ethical Significance of Nationality
    Vol . 98 , No . 4 [1988]
  • S. B.Hegel ’ sCritique of Liberalism
    [1989]
  • Recht und Selbstachtung , im Anschluß an die Anerkennungslehren von Fichte und Hegel ” , Fichtes Lehre vom Rechtsverhaltnis , hg . M. Kahlo , E. A. Wolff und R. Zaczyk
    [1992]
  • R. R.Hegel ’ s Ethics of Recognition
    [1997]
  • P. Crusberghs , P. Jonkers
    [2006]
  • On Nationality
    [1995]
  • Macht ” and “ Geist ” in Hegel ’ s Jena Writings
    18 [1983]
  • Language and Consciousness in Hegel ’ s Jena Writings
    Vol . 10 , No . 2 [1972]
  • L. L.Hegel on political identity
    [2011]
  • Kymlicka , W. , Contemporary Political Philosophy ? Second Edition
    [2011]
  • Kampf um Anerkennung, Frankfut am Main, (한글 번역본: 악셀 호네트,『인정투쟁』, 문성훈, 이현재 옮김
    Honneth, A. 사월의 책, 2011.) [1992]
  • Jenaer Systementwurfe Ⅲ, hg. von R. P. Horstmann, Hamburg, (한글 번역본: G. W. F. 헤겔,『예나 체계기획 Ⅲ』, 서정혁 옮김
    Hegel, G. W. F. 아 카넷, 2012.) [1976]
  • Intersubjektivitat und Selbstbewußtsein
    [1970]
  • In a different voice
    [1993]
  • In Defence of Nationality
    [2000]
  • Hegels praktische Philosophie : Ein Kommentar der Texte in der Reihenfolge ihrer Entstehung
    [2007]
  • Hegels philosophische Begrundung in der gegenwartigen Diskussion
    35 [1981]
  • Hegels Begriff des Staates als ? Irdisch-Gottliches
    Vol . 56 , No . 4 , [2009]
  • Hegels Begriff der Sittlichkeit in dessen Genese und in den Jenaer Systementwurfen
    [2008]
  • Hegel und der nationale Machtsstaatsgedanke in Deutschland. Ein Beitrag zur politischen Geistesgeschichte, Leipzig und Berlin, (한글 번역본: 헤르만 헬러, 「헤겔과 독일에서의 국민적 권력국가사 상」, 김효전 옮김,『동아법학』, 제40호
    Hermann, H. 동아대학교 법학 연구소, 2007 [1921]
  • Hegel und der Staat
    [2010]
  • Hegel und der Nationalstaat
    Vol . 30 , No . 4 [1991]
  • Hegel at Jena : Nationalism or Historical Thought ?
    Vol . 61 [1979]
  • Hegel and Nationalism
    Vol . 24 , No . 4 [1962]
  • Hegel and Durkheim : Sittlichkeit and Organic Solidarity as Political Configurations
    Vol . 2009 , No.1 [2009]
  • H. S.Hegel ’ s Development
    [1983]
  • Grundlinien der Philosophie des Rechts, Werke in 20 Banden, Bd.7, Redaktion von E. Moldenhauer und K. M. Michel, Frankfurt am Main, (한글 번역본: G. W. F. 헤겔,『법철학』, 임석진 옮김
    Hegel, G. W. F. 한길사, 2008.) [1971]
  • Geist und Interaktion zur Auffassung des Geists in Hegels Jenaer Systementwurfen I und III
    Vol . 2010 , No . 1 , [2010]
  • G. W. F. , Jenaer SystementwurfeⅠ
    [1975]
  • G. W. F. , Fruhe Schriften , Werke in 20 Banden , Bd.1 , Redaktion von E. Moldenhauer und K. M. Michel
    [1971]
  • G. W. F. , Die Vernunft in der Geschichte ,
    [1955]
  • Dieses Volk ist in der Weltgeschichte fur diese Epoche das Herrschende zur problematischen Kategorie des Volksgeistes in der Rechtslehre
    Vol . 2009 , No.1 [2009]
  • Der Kampf um Anerkennung
    9 [1970]
  • Das gottliche Gebot und der Geist der Liebe ? eine Kritische Auseinandersetzung mit Hegels fruhen theologischen Voraussetzungen
    Vol . 2010 , No . 1 , [2010]
  • Anerkennung als Prinzip der praktischen Philosophie : Unters . zu Hegels Jenaer Philosophie d. Geistes
    [1979]
  • A Theory of Justice ? revised edition
    [19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