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헌법상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에 관한 연구

배소연 2020년
' 헌법상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에 관한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education for democratic citizenship
  • constitution article 31(4)
  • educational administration
  • fundamental political rights of teacher
  •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 right to education
  • text book
  • the legislation of education law
  • 교과서
  • 교원의 정치적 기본권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
  • 교육입법
  • 교육행정
  • 민주시민교육
  • 헌법상 교육을 받을 권리
  • 헌법제31조제4항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275 0

0.0%

' 헌법상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에 관한 연구' 의 참고문헌

  • 헌법학
    한수웅 법문사 [2019]
  • 허영, 「한국헌법론」
    허영 박영사 [2018]
  • 한국교육정치학회 편, 「교육정치학론」
    한국교육정치학회 학지사 [1994]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육부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용도서 개발을 위한 편 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기준>, 2015.11 [2015]
  • 한국과 독일, 냉전의 정치」
    한국과 돌베개 [2015]
  • 한국 교육법 제정의 특질 : 교육이념과 학교행정을 중심으로
    오성철 한국교육사학 제36권 제4호 [2014]
  • 진로체험 매뉴얼(학교용)
    진로체험 매뉴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7]
  • 중심으로-”
    권을 세계헌법연구 제15권 제2호 [2009]
  • 의무교육제도에 관한 헌법적 연구
    김윤정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윌 킴리카 박병섭 옮김, 「다문화주의 개론-자기언어의 정치」
    실크로드 [2013]
  • 양건, 「헌법강의」
    양건 법문사 [2013]
  • 양건, “교육주체 상호간의 법적 관계 -교육권에 관한 헌법재판소 판례의 검토-”
    양건 한국 교육법연구 제8집 제1호 [2005]
  • 스첼, 크리스토프 폴만 외 지음 안인경 이세현 옮김
    기외르기 김동춘 「반공의 시대: [#REF!]
  •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 방과후 학교 길라잡이, 2017 [2018]
  •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 2017학년도 통일․나라사랑교육 기본계획 학년도 통일․나라사랑교육 기본계획(안) , 2017.1 [2017]
  • 사람다움과 시민다움의 조화를 통한 ‘민주적’ 시민교육의 모색 -보이텔스바흐 합의와 크릭 보고서를 중심으로-
    심성보 윤리교육연구 제47집 [2018]
  • 보도자료, <교과서 관련
    교육부 교육 중립성 검정 개선안 마련> [2013]
  • 보도자료
    교육부 <정치적 중립성 훼손 교사에 대한 엄정 대응> [2011]
  • 보도자료
    교육부 <교육의 중립성 확보를 위한 교육부의 의지 천명 -교육의 중립성 훼손 및 학생선동 엄정 대처> [2015]
  • 보도자료
    교육부 <시도교육청별 계기교육 지침 정비를 통해 교육의 중립성 확보> [2016]
  • 민주주의와 헌법재판소의 사법적극주의
    임지봉 공법연구 제37권 제2호 [2008]
  • 국가재건최고회의 회의록, 년 95차
    국가재건최고회의 1961년 12월 28일 [1961]
  • 교육출판기획실 편, 「교육현실과 교사」
    교육출판기획실 청사 [1986]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재판소 판례에 기반한 지방교육자치제 방향 탐색
    정일화 교육행정학연구 제33권 제3호 [2015]
  • 교육을 받을 권리의 헌법적 보장
    홍석노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교사의 정치적 수업과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에 관한 연구
    허진성 세계헌법연구 제 17권 제3호 [2011]
  • 고전, “한국 교육행정 교육자치제 원리 논의, 그 연원에 관하여”
    고전 교육행정학연구 제36 권 제2호 [2018]
  • 『헌법학원론』
    김학성 피앤씨미디어 [2015]
  • 『교육법-이론 정책 판례』
    표시열 박영사 [2008]
  • 「헌법학」
    성낙인 법문사 [2018]
  • 「헌법과 교육」
    김철수 교육과학사 [2002]
  • 「한국헌법론」
    전광석 집현재 [2018]
  • 「인간과 교육의 탐구」
    송준석 동문사 [2012]
  • 「알메달렌, 축제의 정치를 만나다」
    최연혁 스리체어스(북저널리즘) [2018]
  • 「깨어있는 시민을 위한 정치학특강」
    박동천 모티브북 [2010]
  • 「교육학개론」
    김정환 박영사 [1984]
  • 「교육철학」
    김정환 박영사 [1987]
  • 「교육부 고시 제-74호 초중등학교 총론 및 각론 교육과정-별책7.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부 2015 [2015]
  • 「교육법원리」
    김윤섭 영진서관 [2000]
  • 「교육법론」
    강인수 하우 [1995]
  • 「교육권론」
    노기호 집문당 [2008]
  • 「교육과 헌법 : 헌법 제31조의 구조와 해석」
    손희권 학지사 [2008]
  • 「개헌시비, 8차 개헌의 헌정비화」
    서병조 현대문예사 [1986]
  •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주도하는) 新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개혁 방 안 (4. 참고설명자료)」
    교육개혁위원회, 「 교육개혁위원회 [1997]
  • “헌법적 합의에 기초한 한국 학교 시민교육의 과제”
    홍석노 헌법연구 제4권 제1호 [2017]
  • “헌법상 사학법인의 자주성과 사립대학의 자율성 법리연구-사립학교법 개정 방향 탐색을 위한 헌법원리적 접근”
    허종렬 교육법학연구 제16권 제2호 [2004]
  • “헌법상 교육조항의 해석론과 주요 입법사례의 분석”
    류충현 헌법학연구 제15권 제4 호 [2009]
  • “헌법상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과 공법적 과제”
    정상우 공법연구 제44집 제1호 [2015]
  • “헌법과 문화”
    전광석 공법연구 제18집 [1990]
  • “해방 이후 반세기의 현장 자료분석을 통한 교육현장의 정치역 학적 성격 규명에 관한 연구”
    김인회 이명근 최재선 연세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2000]
  • “한국에서 민주시민교육 기반구축의 가능성과 그 제약”
    홍윤기 한국학논집 제67집 [2017]
  • “한국 헌법상의 정치적 중립성에 관한 연구”
    류시조 공법학연구 제16권 제1호 [2015]
  • “한국 헌법상 교육기본권에 대한 논의와 일본 헌법과의 비교”
    허종렬 성균관법학 제 17권 제1호 [2005]
  • “한국 교육정치학의 반성과 발전과제”
    김재웅 교육정치학연구 제11권 제1호 [2004]
  • “학생의 학습권 보장을 위한 국가 교육권한의 범위와 한계”
    노기호 원광법학 제24집 제4호 [2008]
  • “학교교육을 통한 국민교육헌장 이념의 보급”
    김한종 역사문제연구 제15호 [2005]
  • “초 중등학교 교원의 정치적 자유권 제한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논거와 문제 점”
    정영태 교육문화연구(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제16권 제2호 [2010]
  • “초 중등교원 정당 활동 제한의 헌법적 정당성 검토”
    장귀덕 교육법학연구 제31권 제1호 [2019]
  • “직업공무원제도와 공무원의 기본권제한”
    김기재 영산법률논총 제6권 제1호 [2009]
  • “지방자치와 교육감 선거제와의 관계 검토”
    김원중 지방자치법연구 15권 2호 [2015]
  • “중앙과 지방교육행정기관 간 교육정책 갈등과정 분석”
    김영재 김현진 교육정치학연 구 제24권 제1호 [2017]
  • “정치 변동에 따른 교육복지 이슈 구조의 변화 : 국민의 정부 이 후 신문기사에 대한 의미연결망 분석”
    이경민 이지혜 허준 교육정치학연구 제24권 제4호 [2017]
  • “정권교체에 따른 교육복지 정책변동 분석”
    김민희 교육정치학연구 제25권 제3호 [2018]
  •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학교모범(學校模範)』에 나타난 고등교육 정책 : 정치와 교육의 변증법을 중심으로”
    안외순 동방학(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제33 권 [2015]
  • “유신체제기 박정희 정권의 애국적 국민 생산 프로젝트-화랑도와 화랑교육원 을 중심으로”
    최광승 한국학연구 제33집 [2014]
  • “실증주의 정치 개념에 대한 비판적 검토”
    최영진 정치정보연구 제11권 제2호 [2008]
  • “시민교육의 기초로서의 헌법적 합의”
    김선택 헌법연구 제4권 제1호 [2017]
  • “시국선언 교원 징계유보와 직무유기죄의 성부”
    오병두 민주법학 제42권 [2010]
  • “생활정치 패러다임과 공공성의 재구성”
    조대엽 현상과 인식 겨울호, 2014 [2014]
  • “사회적 기본권의 헌법적 실현구조”
    전광석 세계헌법연구 제12권 제1호 [2006]
  • “사회적 기본권의 논의구조”
    전광석 유럽헌법연구 제14호 [2013]
  • “사법과 정치적 중립성-정치적 중립성의 개념분석을 중심으로-”
    이은진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논총 제24권 제2호 [2017]
  • “복지국가의 보편화와 독자화 -50∼60년대 서구 복지국가발전의 배경과 현상 -”
    전광석 한국사회정책, 제16권 제1호 [2009]
  • “복지국가와 헌법재판”
    전광석 헌법학연구 제20권 제1호 [2014]
  • “보통교육정책의 전개와 그 평가”
    김경미 한국교육사학 제23권 제2호 [2001]
  • “보이텔스바흐 합의에 관한 담론과 함의”
    허영식 융합사회와 공공정책 제11권 제4호 [2018]
  •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보이텔스바흐 합의의 관점에서 살펴본 개정 사회 과 교육과정”
    설규주 시민교육연구 제50권 제3호, 2018 [2015]
  •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민주주의의의 기본적 문제들에 대한 고찰”
    김용찬 교육논총 제27권 제2호 [2007]
  • “미국법상 교육의 자주성, 전문성, 정치적 중립성”
    김종철 연세대학교 법학연구 제13 권 제3호 [2003]
  • “문화기본권과 문화법제의 현황 및 과제”
    이종수 공법연구 제43집 제4호 [2015]
  • “독일의 정치사회화와 정치교육”
    신두철 한독사회과학논총 제15권 제1호 [2005]
  • “대학의 자유와 학문의 가치중립성”
    정요섭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학교육 제68권 [1994]
  • “대통령의 정치활동과 선거중립의무에 관한 단상”
    이종수 민주사회를 위한 변론 년 3-4월호, Vol. 57, 2004 [2004]
  • “대입3불정책의 헌법적 문제점”
    이덕연 헌법학연구 제13권 제3호 [2007]
  • “년대 박정희 정부의 총력안보체제 구축과 학교의 역할”
    허은 한국사학보 제60 호, 2015 [1970]
  • “년대 말 평생교육법 제정과정 분석을 통한 평생교육 개념 혼란의 기원과 논리검토”
    오혁진 평생교육학연구 제17권 제1호, 2011 [1990]
  • “글로벌 시대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정치적 쟁점 주제의 적용 원칙과 교사 유 형 탐색”
    옥일남 시민교육연구 제51권 제2호 [2019]
  • “권력현상에서 생활현상으로 -‘정치’에 대한 란다우어(G. Landauer)와 아렌트 (H. Arendt)의 이해와 현대적 의미”
    김영일 한국정치학회보 제41집 제1호 [2007]
  • “국민의 이름으로 국민을 도구화? -포퓰리즘의 도전 앞에 선 정당민주주의와 시민교육”
    윤정인 헌법연구 제4권 제2호 [2017]
  • “국가주의 의무교육 비판연구: 성숙한 시민사회 새로운 교육의 공공성을 위하 여”
    정유성 사회과학연구(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제14권 제2호 [2006]
  • “국가의 중립성과 국가의 이해”
    지규철 공법연구 제28집 제2호 [2000]
  • “국가의 교육권의 법리”
    손희권 한국교육 제34권 제4호 [2007]
  • “국가와 법의 중립성에 관한 고찰 -동등한 존중으로서의 중립성 원리-”
    김도균 법철 학연구 제18권 제3호 [2015]
  •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필요성 논의에 비추어 본 동 위원회 입법 방향”
    박남기 교육 법학연구 제29권 제1호 [2017]
  • “국 공립학교 초 중등교원들의 정치활동을 제한하는 것은 헌법에 위반되는 가?”
    손희권 교육행정학연구 제22권 제2호 [2004]
  • “교육행위의 본질에 의한 헌법상 ‘교육을 받을 권리’ 조항의 해석-한국과 일 본의 비교를 중심으로”
    박창언 비교교육연구 제17권 제4호 [2007]
  • “교육주의와 학습주의에 기반한 교육에 대한 법적 관점의 재구성 -헌 법재판소, 법원의 ‘교육’과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김재웅 김재원 공익과 인권 제14권 [2014]
  • “교육제도법정주의의 헌법적 의미와 성격(기능)-헌법 제31조 제4항과 동조 제 6항에 관한 헌법재판소결정의 논증구조와 문제점-”
    홍석노 안암법학 제27권 [2008]
  • “교육정책 논리로서 정책발전에 대한 비판적 검토: 플라톤과 로크의 사상을 중심으로”
    류성창 교육정치학연구 제23집 제3호 [2016]
  • “교육정책 결정과정에서 정치와 행정의 역할과 조화”
    안병영 한국교육정치학회 년 연차학술대회, 2017 [2017]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에 대한 철학적 함의”
    송준석 한남교육연구 제3집 [1995]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과 초 중등교원의 정치적 권리의 제한-헌법재판소 헌마710 결정과 관련하여-
    노기호 인권과 정의 제340호, 2004 [2001]
  • “교육의 정치적 종교적 중립성에 관한 주요 쟁점”
    표시열 안암법학 제3권 [1995]
  • “교육의 정치성에 따른 발전적 교육통치체제의 구도”
    반상진 교육정치학연구 제2권 제1호 [1995]
  • “교육의 자주성, 전문성, 정치적 중립성의 법리”
    신현직 교육법학연구 제11호 [1999]
  • “교육의 자주성 전문성 정치적 중립성 및 교사의 교육의 자유-교사의 사상주 입교육의 헌법적 문제를 계기로 하여”
    한수웅 저스티스 통권 제101호 [2007]
  • “교육의 본질에 근거한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최종인 교육발전연구 제26권 제2호 [2010]
  • “교육을 받을 권리와 국가교육권한의 한계-교육평준화 및 학교선택권 제한의 헌법적 한계를 중심으로-”
    한수웅 법조 제57권 제4호 [2008]
  • “교육기본법에서의 학습권 개념의 도입 배경과 그 의의”
    황홍규 교육법학연구 제12 권 제1호 [2000]
  • “교육기본권에 관한 연구”
    신현직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0]
  • “교육기본권 관련 헌법재판소 주요 판례의 해석과 쟁점”
    노기호 한양법학 제27권 제 4집 [2016]
  • “교육권의 기본원리에 관한 소고”
    길태영 김영진 교육법학연구 제27권 제1호 [2015]
  •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대한 시각과 정책 방향”
    한상진 교과서 연구 제43호 [2004]
  • “교육과정 개발에서 ‘중립성’과 ‘전문성’ -사회과 통합 논의를 중심으로-”
    김성자 역 사교육 제98집 [2006]
  • “교육과 이데올로기-중도개혁지향의 교육정책을 위하여”
    안병영 철학과 현실 통권 제76호 [2008]
  • “교원의 정치적 기본권에 관한 소고”
    황선훈 서울법학 제25권 제4호 [2018]
  • “교원의 정치적 기본권 보장범위에 관한 교육적 논의: 정당법 22조 제1항 제1 호 등 위헌소원에 관한 판례 평석을 중심으로 (헌법재판소 헌바42)”
    전윤경 교육법학연구 제30권 제2호, 2018 [2014]
  • “교원의 정치적 기본권 보장 연구”
    신옥주 국가법연구 제11집 제1호 [2015]
  • “교원의 정치적 기본권 관련 법령실태 및 개선방향”
    황준성 교육정치학연구 제22권 제4호 [2015]
  • “교원의 권리 지위에 관한 헌법재판소 판례의 경향”
    정재황 한국교육법연구 제2집 [1995]
  • “교원단체의 법적 지위와 관련한 교육법적 문제”
    김종철 한국교육법연구 제8집 제2 호 [2005]
  • “교원단체 규율에 대한 헌법이론적 검토”
    정필운 헌법학연구 제21권 제2호 [2015]
  • “교원 및 교원단체의 표현의 자유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과 공익의 관계를 중심으로”
    장철준 언론과 법 제10권 제1호 [2011]
  • “교사의 정치적 기본권”
    오동석 민주법학 제44권 [2010]
  • “교사의 시국선언과 정치적 중립의무- 대전지방법원 선고, 2009 고단2786, 2009고정2259, 2009고단4126(병합) 판결(전국교직원노동조합사건)”
    문무기 노동법학 제35호, 2010 [2010]
  • “교과서 검정에서 교육 중립성의 문제 –고등학교 ‘법과 정치’를 중심으로-”
    김명정 법교육연구 제8권 제3호 [2013]
  • “광역지방자치단체에서의 민주시민교육의 법제화 : 쟁점 분석과 독일 사례 참 조를 통한 개선방안 제안”
    원준호 NGO연구 제14권 제1호 [2019]
  • “공화적 공존을 위한 정치개혁의 필요성과 조건 : 정부형태 개헌론을 넘어서”
    김종철 이지문 세계헌법연구 제20권 제1호 [2014]
  • “공무원의 정치적 활동의 허용여부와 그 한계”
    이종수 연세법학연구 제8권 제1호 [2001]
  •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의무 비판 -미국 공무원법제와의 비교법적 검토-”
    임재홍 민 주법학 제32권 [2006]
  •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성에 관한 헌법적 고찰”
    안주열 한국자치행정학보 제23권 제2 호 [2009]
  • “공무원의 정치적 기본권 -보장 범위의 확대화 그 전제조건-”
    장영수 안암법학 제37 권 [2012]
  • “공무원교원의 정치적 기본권이 지닌 헌법적 의미와 한계”
    이종수 연세 공공거버 넌스와 법 제1권 제2호 [2010]
  • “공교육 이념과 기능의 효용성 및 시대적 적합성에 대한 일 고찰”
    김영화 교육사회 학연구 제11권 제2호 [2001]
  • “敎育에서 '非政治의 神話'에 관한 考察”
    김용일 교육정치학연구 제2권 제1호 [1995]
  • “『국가』와 『논어』에 나타난 ‘정치와 교육’의 관계 비교: ‘정치를 위한 교 육’에서 ‘정치로부터 자유로운 교육’으로”
    김성준 교육원리연구 제11권 제2호 [2006]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에 관한 실제 적용 연구: 교과서 검정에서 『교육 의 정치적 중립성』 기준 개발을 중심으로”
    김덕근 교육문화연구 제24-6호 [2018]
  • “‘헌법적 정체성’의 확립과 ‘자기교육’으로서 헌법교육”
    이덕연 연세 공공거버넌스와 법 제4권 제2호 [2013]
  • “‘정치의 사법화’의 의의와 한계: 노무현 정부 전반기의 상황을 중 심으로,”
    김종철 공 법연구 제33집 제3호 [2005]
  •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의 본질과 법적 성격”
    이덕연 공법연구 제27집 제2호 [1999]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법적 해석과 적용”
    조석훈 교육법학연구 제27권 제3호 [2015]
  • Why Liberal Neutralists Should Accept Educational Neutrality
    Vol . 16 Iss . 1 [2013]
  • What Is Neutrality ?
    Vol . 27 No . 4 [2014]
  • Values Education : a fresh look at procedural neutrality
    Vol . 24 No . 2 [1998]
  • Understanding Management , P olit cs , and Law in the P ublic Sector
    [1986]
  • Troubling Neutrality : Toward a Philosophy of Teacher Ambiguity
    Vol . 45 [2014]
  • Toleration and Neutrality : Incompatible Ideals ?
    Vol . 7 No . 3 , [2001]
  • To Run a Constitution : The Legit macy of the Administrative State
    [1986]
  • Theories of education : an introduction to the foundation of education
    [1963]
  • Theoretical foundations for a right to education under the U.S. Constitution : a beginning to the end of the national education crisis
    Vol . 86 No . 3 [1992]
  • The teacher 's role in democratic pedagogies in UK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 a review of ideas and research
    Vol . 16 No . 3 [2001]
  • The risks of neutrality-reconsidering the term and concept
    Vol . 17 No . 3 [1998]
  • The incoherence of neutrality : A case for eliminating neutrality from religion clause jurisprudence
    Vol . 45 No . 3 [2003]
  • The P rotection of the Right to Education by International Law : Including a Systematic Analysis of Article 13 of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 and Cultural Rights
    Vol . 82 [2006]
  • The Fundamental Right to Education
    Vol . 94 Iss . 3 [2019]
  • The Fluidity of Neutrality
    Vol . 66 No . 4 [2004]
  • The Evolving Concepts of Neutrality and Impartiality in Mediation
    Vol . 32 No . 2 [2006]
  • The Demands of Liberal Education
    [1999]
  • Teaching Justice by Emphasizing the Non-Neutrality of Technology
    Vol . 10 Iss . 2 [2006]
  • Sould Public Education be a Federal Fundamental Rights ?
    Vol . 2005 No . 2 [2005]
  • Social Responsibil ty and Responsible Society
    [1984]
  • Siegfried Schiele; Herbert Schneider(전미혜 번역), 「보이텔스바흐 협약은 충분한가? (Reicht der Beutelsbacher Konsens?)」
    Siegfried Schiele; Herbert Schneider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9]
  • Reconceptualizing the teaching ofControversial issues
    Vol . 26 Iss . 4 [2004]
  • Only J udgement : The Limits of Lit gation in Social Change
    [1982]
  • Of Originalism , Reality , and a Constitutional Rights to Education
    Vol . 86 No . 4 [1992]
  • Neutrality and Impartiality : the university and polit cal commitment
    [1975]
  • Neutrality , social justice and the obligations of archival education and educators in the twenty-first century
    Vol . 11 Iss . 3–4 [2011]
  • Neutrality , Pluralism , and Education : Civic Education as Learning About the Other
    Vol . 23 Iss . 4 [2004]
  • Michael W. Apple; James A. Beane, Democratic Schools, Assn for Supervision & Curriculum, 1995
    [1995]
  • Liberal Values to Democratic Transit on : essays in honor of J ános Kis
    [2004]
  • Liberal Neutrality
    [1989]
  • Lance M. Liebman ; Mark Harrison Moore , P ublic Duties : Moral Obligations of Government Officials
    [1981]
  • Kommentar zum Portal „ Neutrale Schulen “ der AfD in Hamburg
    Vol . 68 Iss . 1 [2019]
  • Justifying Compulsory Environmental Education in Liberal Democracies
    Vol . 43 Iss . 4 [2009]
  • John Rohr , the Administrative State , and the Study of Administrative Constitutionalism
    Vol . 46 No . 2 [2014]
  • J ustice and School Systems : The Role of the Courts in Education Lit gation
    [2011]
  • Innovation In CONSTITUTIONAL LAW –The Right to Education and the Tricks of the Trade
    Vol . 86 No . 4 [1992]
  • Freire, Macedo(허준 역), 「문해교육: 프레이리의 글읽기와 세계읽기」
    Freire, Macedo 학이시습 [2014]
  • Education ’ s Elusive Future , Storied past , and the Fundamental Inequities Between
    Vol . 46 No . 3 [2012]
  • Education as a fundamental right and human rights acquired through education
    Vol . 5 No . 19 [2014]
  • Education as a Fundamental Right Under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Vol . 29 Iss . 2 [1993]
  • Education and P ower ( 2nd ed
    [2012]
  • Educating for ( whose ) success ? Schooling in an age of neo-liberalism
    Vol . 30 No . 3 [2009]
  • Educare and Educere : Is a Balance Possible in the Educational System ?
    Vol . 68 , No . 2 [2004]
  • Der fruchtbare Dissens um den Beuteisbacher Konsens
    Vol . 65 Iss . 4 [2016]
  • Democracy and education
    [2004]
  • Democracy , Civic Education and the problem of Neutrality
    Vol . 27 No . 4 [1988]
  • Democracy ( In ) Action : A Critical Policy Analysis of New York City Public School Closings by Teachers , Students , Administrators , and Community Members
    Vol . 46 No . 1 [2011]
  • Deliberating Controversial Public Issues As Part of Civic Education
    Vol . 104 Iss . 3 [2013]
  • Critiquing neutrality : Critical perspectives on schools , the First Amendment , and affirmative action in a ‘ post-racial ’ world
    Vol . 52 Iss . 1 [2013]
  • Courts and P ublic P olicy
    [1993]
  • Controversial issues-teachers ’ attitudes and practices in the context of citizenship education
    Vol . 30 No . 4 [2004]
  • Community , and Culture
    [1989]
  • Autonomy and Schooling
    [1988]
  • Academic Freedom and Educational Responsibility
    Vol . 57 Iss . 2 [2018]
  • Academic Freedom : The Continuing Challenge
    Vol . 16 No . 1 [2016]
  • ?헌법학원론?
    정종섭 박영사 [2018]
  • <헌법상 교육관련조항 분석>, 경기개발연구원
    김정래 CEO Report No. 8 [2010]
  • <교육제도의 위헌적 요소들에 대한 비판적 검토>
    조전혁 한국경제연구원 Issue Paper 제17호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