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한국어 평가 양태 보조사 연구

공나형 2020년
논문상세정보
' 한국어 평가 양태 보조사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orpus-Based Research Methodology
  • Evaluative Modality
  • Korean Auxiliary Particle
  • Modality
  • Modality Auxiliary Particle
  • korean language education
  • 말뭉치 중심 접근법
  • 보조사
  • 양태
  • 양태 보조사
  • 평가양태
  • 한국어교육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979 0

0.0%

' 한국어 평가 양태 보조사 연구' 의 참고문헌

  • 화용론적 관점에서 메아리 발화의 명시의미 분석, 『담화와 인지』 16(3)
    국지연 담화 인지언어학회, 1-25 [2009]
  • 홍사만/1986), 『국어 특수조사론』
    홍사만 학문사 [1983]
  • 홍사만, 『국어 특수조사 신연구』
    홍사만 역락 [2002]
  • 현대국어의 특수조사에 대한 통사적 고찰, 『국어학』 42
    최동주 국어학회, 201-224 [1997]
  • 현대국어의 서법체계에 대한 연구: 선어말어미의 것을 중심으로, 『국어연 구』 15, 국어연구회
    고영근 [선어말어미에 기댄 문법범주라는 제목으로 고영근(1989)에 실림, 143-224.] [1965]
  • 현대국어 매인풀이씨 구문연구
    김주미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3]
  • 현대국어 도움토씨의 의미 연구, 김승곤 편(1995), 『한국어의 토씨와 씨 끝』
    이석규 서울: 박이정, 279-298 [1992]
  • 현대국어 {이}계열 특수조사 연구 : {(이)야/ (이)야말로/ (이)나/ (이)나마/ (이)라도}를 중심으로
    나은영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 현대 한국어 활용어미의 의미와 부담줄이기의 상관성
    이해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1996]
  • 현대 국어 특수 조사의 연구
    채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77]
  • 현대 국어 조사, 어미의 분류 재고, 『언어와 정보 사회』 23
    최호철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95-329 [2014]
  • 현대 국어 양태표현의 변천, 『현대 국어의 형성과 변천』 2, 103-130
    박병선 서 울: 박이정 [2000]
  • 현대 국어 감탄사의 분절 구조 연구: 감정 감탄사를 중심으로, 『한국어내 용론』 7
    최호철 한국어내용학회, 361-408 [2000]
  • 허용 외,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학 개론』
    허용 외 박이정 [2005]
  • 함축이론과 수사학-적합성이론을 중심으로-, 『한국프랑스학논집』 48
    김상희 한 국프랑스학회, 25-46 [2004]
  • 한정조사 {(이)나}의 통사론과 서법 제약, 『한글』 260
    목정수 한글학회, 113-148 [2003]
  •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2』
  • 한국어의 인식론적 범주와 관련한 몇 문제, 『국어학』 66
    박재연 국어학회, 79-107 [2013]
  • 한국어의 서법과 양태 체계, 『한국어의미학』 26
    임동훈 한국어의미학회, 211-249 [2008]
  • 한국어의 보문 구성 양태 표현에 대한 연구
    문병열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2007]
  • 한국어와 일본어의 반복표현 대조연구 : 일본어 모어 화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적인 관점에서
    유예진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한국어교육을 위한 불평표현 문형 연구 -불평화행과 인용표현의 관계 를 중심으로 24, 『한말연구』 24
    강현화 황미연 한말연구학회, 5-31 [2009]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추측 표현 교육 방안 연구, 『국어교과교육연구』 17
    김세령 국어교과교육학회, 93-118 [2010]
  • 한국어 표현문형 담화기능과의 상관성 분석 연구- 지시적 화행을 중심으로 -, 『이중언어학』 34
    강현화 이중언어학회, 1-26 [2007]
  • 한국어 평가양태에 대한 연구, 『국제어문』 70
    김병건 국제어문학회, 7-28 [2016]
  • 한국어 평가 양태 표현 교육 연구
    김효주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한국어 추측표현의 의미차이에 관한 연구 : ‘ㄴ것 같다’, ‘ㄴ듯 하다’ 와 ‘ㄴ 가 보다’, ‘ㄴ모양이다’ 의 의미차이를 중심으로, 『국어학』 35
    김동욱 국어학회, 171-197 [2000]
  • 한국어 추측 표현 ‘-겠-'의 중국어 대응표현 연구 - 한ㆍ중 신문기사 병렬 말뭉치 분석을 중심으로 -, 『한중인문학연구』 53
    장경희 한중인문학회, 267-290 [2016]
  • 한국어 추론 증거성 연구
    정경미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한국어 지시화행에서 나타난 공손성의 이해와 사용 연구: 여성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홍승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한국어 증거성 표지의 화용론적 추론 의미, 『언어과학』 22(1)
    강계림 한국언어 과학회, 1-22 [2015]
  • 한국어 종결어미 '-네'의 의미: 증거성 및 의외성과 관련해서, 『언어』 37(4)
    정경숙 한국언어학회, 995-1016 [2012]
  • 한국어 조사의 하위 부류와 결합 유형, 『국어학』 43
    임동훈 국어학회, 119-154 [2004]
  • 한국어 조사의 연구 : '가'와 '-를'을 중심으로
    고석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0]
  • 한국어 조사의 어원 연구(Ⅱ), 『건대학술지』 26
    김승곤 건국대학교, 1-32 [1982]
  • 한국어 양태 표현 연구: 유사 문법 항목 비교를 중심으로
    이지연 연세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18]
  • 한국어 양태 보조사 연구
    함병호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한국어 양태 범주 연구
    손혜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한국어 보조용언의 상적 기능과 양태기능 , 화행적 기능에 대한 연구 - ‘하 다’를 중심으로 -, 『한국어 교육』 11(2)
    한송화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189-209 [2000]
  • 한국어 문장의 의미 층위에 대한 연구: 사건, 명제, 사실, 화행을 중심으로
    김태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표현항목’ 설정에 대한 연구, 『한국어 교육』 13(2)
    이미혜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205-225 [2002]
  • 한국어 교재의 공감유발형 정표화행 연구-의사소통적 관점에서, 『어문연 구』 43(4)
    이혜용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51-380 [2015]
  • 한국어 교육학 내용학의 발전 방향 모색, 『한국어 교육』 19(2)
    강현화 국제한국 어 교육학회, 1-20 [2008]
  •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ㆍ중 양태 표현의 대조 연구
    이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1]
  •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양태 표현 연구
    이효정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 한국어 교육을 위한 보조사의 양태성 연구 : 교육적 분류와 활용을 중심으 로
    박주현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한국어 교육용 추측 표현 항목 선정과 등급화에 관한 연구
    윤혜진 제14차 한국언어 문화교육학회 전국학술대회 발표자료집, 151-170 [2011]
  • 한국어 교육에서 보조사 ‘나’의 교육 방안, 『한국언어문학』 76
    서희정 한국언어 문학회, 447-477 [2011]
  • 한국어 공손현상과 '-겠-’의 화용론, 『국어학』 26
    전해영 국어학회, 125-146 [1995]
  • 한국어 공손 표현의 의미, 『한국어 의미학』 15
    전해영 한국어의미학회, 71-91 [2004]
  •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조사 오류 분석
    민진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한국어 ‘일치’ 현상의 문제점
    최재웅 제7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발 표집, 310-318 [1995]
  • 한국방송통신대학 평생교육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
    한국방송통신대학 평생교육원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 판부 [2005]
  • 평가화행의 적정 조건과 화행 분류 체계 내에서의 지위, 『한국어 의미학』, 40
    이혜용 한국어의미학회, 495-520 [2013]
  • 평가적 판단의 분석적 고찰
    배호순 『교육평가연구』 3(1), 65-85 [1989]
  • 특수조사, 『국어생활』 5
    채완 국어연구소, 91-101 [1986]
  • 특수조사 ‘-(이)나마’의 문법화 연구,『한국어학』 49
    이승연 한국어학회, 293-317 [2010]
  • 특수조사 '조차', '까지', '마저'의 담화 정보
    도은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2011]
  • 특수조사 '-도, -까지, -마저, -조차'의 기능 고찰: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용례를 중심으로
    송기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 통사적 결합 관계와 논항 구조, 『국어연구』 123
    박진호 국어연구회 [1994]
  • 케이고, 중세한국어 감동법 연구: ‘깨달음'과 ‘복수성'
    가와사키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치에, ‘-어야 하-’와 ‘(し)なければならない’의 양태에 대한 대조언어학적 연구, 『어문연구』 46(1)
    오오츠카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63-190 [2018]
  • 추측을 나타내는 양태 표현의 문법 제약: 문법적 연어구성을 중심으 로, 『언어』 36(4)
    정희숙 한정한 한국언어학회, 1117-1142 [2011]
  •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증거성 표지 연구: 추론 증거성 표지를 중 심으로
    진관초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주향아, 보조사 '까지, 조차, 마저' 연구
    주향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종결어미 ‘-다고’류의 내용 의미
    명정희 『한국어학』 75, 101-128 [2017]
  • 조사의 작용역과 조사 중첩, 『국어학』 42
    황화상 국어학회, 115-244 [2003]
  • 조사의 배열 양상에 관한 몇 가지 문제
    유하라 『형태론』 8(2) 형태론, 277-294 [2006]
  • 조사의 문법화 양상과 결합 원리, 『배달말』 43
    황병순 배달말학회, 97-119 [2008]
  • 조사 형태의 기능변환, 『牛岩斯黎』 7
    이양혜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어국문학과, 87-112 [1997]
  • 조사 ‘-마저’의 의미, 『우리말글』 40
    김수진 우리말글학회, 53-76 [2007]
  • 조사 ‘-도’의 텍스트 형성기능 연구, 『언어과학연구』 21
    황미향 언어과학회, 223-236 [2002]
  • 제 2 언어로서의 한국어 표준 문법: 조사, 어미, 관용표현을 중심으 로, 『이중언어학』 19(1)
    김정은 이소영 이중언어학회, 187-207 [2001]
  • 정혜,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보조사의 교육 내용 연구
    정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정인아, 한국어의 증거성 범주에 관한 연구
    정인아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접속어미 '-나, -나마,-아도'의 통사ㆍ의미적 상관성, 『문화와 융합』 12(1)
    김종록 문학과 언어 연구회, 49-80 [1991]
  • 전제와 함축에 기초한 보조조사의 의미 분석 (1), 『한글』 284
    최규수 한글학회, 133-162 [2009]
  • 이정란, 한국어 학습자의 양태 표현 습득에 나타난 문법 능력과 화용 능력의 발달 관계 연구
    이정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이정란 박선희 황선영 하지혜 이보라미, 『외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담화.화용 연구 1 - 문법의 경계 넓히기』
    이민경 이해영 한국문화사 [2018]
  • 의지 표현들의 의지 정도성 비교 -‘-겠어요’, ‘-(으)ㄹ거예요’, ‘-(으)ㄹ래 요’, ‘-(으)ㄹ게요’를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 2(2)
    박숙영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1-40 [2006]
  • 의존명사 구문의 양태적 고찰, 『한국어학』 44
    김건희 시정곤 한국어학회, 177-213 [2009]
  • 의외성에 대한 대안적 고찰 : 한국어를 바탕으로, 『언어』 43(1)
    정해권 한국언어 학회, 129-153 [2018]
  • 의외성(mirative)에 대하여: 독립된 문법범주 설정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언어』 41(4)
    송재목 한국언어학회, 593-617 [2016]
  • 의사소통에서 미결정적 정보내용의 명시화 과정 연구, 『언어』 29(3)
    이성범 한 국언어학회, 377-417 [2004]
  • 우리말 도움토씨 연구
    이춘숙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3]
  • 외축(Explicature)을 통한 발화의 화용적 이해
    정혜인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오승은, 한국어 양태 표현 연구 : 추측과 의도의 의미를 중심으로
    오승은 서강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18]
  • 연접적 ‘이나’ 『언어와 정보』 4(2)
    윤재학 한국언어정보학회, 41-54 [2000]
  • 연어의 계열 관계 연구, 『국어학』 35
    김진해 국어학회, 199-222 [2000]
  • 연결주의와 지식의 정당화 문제
    박연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 역, 『인지적 화용론』
    김태옥 이현호 서울: 한신문화사 [1993]
  • 언어의 형식이 지니는 개념적 의미와 정보, 『언어』 11(2)
    장경희 한국언어학회, 233-257 [1986]
  • 양태조사의 통보기능에 대한 연구 : {이}, {을}, {은}을 중심으로
    유동석 서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4]
  • 양태조사 연구, 『한글』 290
    황병순 한글학회, 203-230 [2010]
  • 양태와 관습적 간접 화행의 환유적 연계- 요청 화행을 중심으로 -, 『국어 학』 73
    박재연 국어학회, 69-108 [2015]
  • 세종 현대 국어 말뭉치: https://ithub
    세종 korean.go.kr/user/corpus/corpusSearchManager.do
  • 선택과 양보, 『국어학』 16
    김광해 국어학회, 597-620 [1987]
  • 서양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백봉자 『한국어 교육』 10(2), 1-16 [1999]
  • 서술부 양태 표현의 부정 양상 -보조용언적 구성을 중심으로, 『국어학』 48
    이필영 국어학회, 175-202 [2006]
  • 서술부 양태 표현들의 범주화와 결합양상, 『담화와 인지』 11(3)
    이필영 담화 인 지언어학회, 131-152 [2004]
  • 서법의 정의 및 한국어 서법 범주의 체계화
    박병선 박진호 제19차 한국어학회 전 국학술대회 발표문 [1999]
  • 서법과 양태의 상관 관계, 『국어학 신연구』
    고영근 탑출판사 [1986]
  • 사건 호부 평가 양태성 표현 연구- 의미 체계 설정 및 표현 항목 제시를 중 심으로, 『어문연구』 37(2)
    임채훈 한국어문교육연구회, 55-81 [2009]
  • 비명제적 지식의 교육적 전달 가능성 논의, 『교육철학연구』 40(3)
    김정래 한국 교육철학학회, 1-20 [2018]
  • 부치사(adposition)의 기능-유형론의 관점에서-, 『어학연구』 41(3)
    이기갑 서울 대학교 언어교육원, 605-634 [2005]
  • 보조조사 ‘-까지, -조차, -마저’의 의미 특성, 『한국어 교육』 8
    성기철 국제한국 어 교육학회, 49-72 [1997]
  • 보조용언의 전산 처리에 있어서의 몇 가지 문제, 『한국어학』 35
    박진호 한국어 학회, 49-63 [2007]
  • 보조용언 ‘버리다’의 내용 의미, 『어문연구』 51
    권순구 어문연구학회, 233-252 [2006]
  • 보조사의 의미론, 『국어학』 73
    임동훈 국어학회, 335-373 [2015]
  • 보조사의 역사적 연구, 『국어학』 73
    박진호 국어학회, 375-435 [2015]
  • 보조사의 기능과 정보구조, 『국어학』 73
    박철우 국어학회, 269-307 [2015]
  • 보조사 ‘조차, 까지, 마저’에 대한 통시적 연구
    신윤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 보조사 ‘까지, 마저, 조차’의 발달과 의미 관련성, 『국어사 연구』 12
    남미정 국어 사학회, 169-192 [2011]
  • 보조사 ‘-(이)라도’의 의미와 분포적 특성 - ‘-(이)나’와 ‘-(이)나마’와의 비 교를 중심으로
    홍윤혜 『한국어 교육』 18(2), 487-501 [2007]
  • 문법형식의 의미 기술과 통사론 의미론 화용론, 『한국어학』 37
    박재연 한국어학 회, 180-206 [2007]
  • 말해진 것의 명시의미
    국지연 이성범 『담화와 인지』, 14(2), 1-25 [2007]
  • 말리크, 에카테리나(Malik, Ekaterina), 부사 '그렇게'의 의미 연구: 지시성, 부정극성, 증거성을 중심으로
    말리크, 에카테리나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두려움의 개념과 경계 형식의 문법 -한국어 어미 ‘-을라’, ‘-을세라’를 중심 으로-, 『국어학』 88
    도재학 국어학회, 201-233 [2018]
  • 동사에서 파생된 이른바 ‘후치사류’의 문법화 연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19
    안주호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133-154 [1994]
  • 도움토씨 '나', '나마', '라도'에 대하여, 『연세어문학』 27
    이원근 연세대학교 국어 국문학과, 249-270 [1995]
  • 다의어의 판정과 의미 확장의 분류 기준, 『한국어 의미학』 28
    임지룡 한국어의 미학회, 193-226 [2009]
  • 노지니, 한국어교육에서의 양태 표현 연구 : '추측'과 '의지'를 중심으로, 『한 국어 교육』 14(1)
    이윤진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73-209 [2003]
  • 노지니, 한국어 교육을 위한 '추측(推測)'의 통어적 문법소(通語的文法素)연구
    노지니 서울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나), 한국어에서 증거성이나 의외성의 의미성분을 포함하는 문법요소, 『언어 와 정보 사회』 15
    박진호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1-25 [2011]
  • 나), 특수조사의 의미분석-“까지, 마저, 조차”를 중심으로-, 『문법연구』 3
    고영근 서울대 문법연구회, 7-21 [1976]
  • 나), 연결어미와 양태: 이유, 조건, 양보의 연결어미를 중심으로, 『한국어 의 미학』 30
    박재연 한국어 의미학회, 119-141 [2009]
  • 나), 명제와 양태, 『한국어 의미학』 43
    이선영 한국어의미학회, 303-320 [2014]
  • 국어의 양태 체계 확립을 위한 시론, 『관악어문연구』 26
    이선웅 서울대학교 국 어국문학과, 317-339 [2001]
  • 국어의 양태 범주의 설정과 그 체계, 『언어』 20(3)
    장경희 한국언어학회, 191-205 [1995]
  • 국어 특수조사의 의미, 『백록어문』5
    김영리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국 어교육연구회, 121-140 [1988]
  • 국어 특수조사의 소고-‘까지, 조차, 마저’에 대해서, 『사림어문연구』 4
    김정란 창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사림어문학회, 203-214 [1987]
  • 국어 양태의 특수성, 『한국어학』 70
    김건희 한국어학회, 1-54 [2016]
  • 국어 양태 체계의 정립을 위하여, 『한국어의미학』 12
    임동훈 한국어의미학회, 127-153 [2003]
  • 국어 양태 범주의 확립과 어미의 의미 기술: 인식 양태를 중심으로, 『국어 학』 34
    박재연 국어학회, 199-225 [1999]
  • 국어 분열문의 통사 구조, 『한말연구』 22
    박철우 한말연구학회, 76-96 [2008]
  • 국어 부정칭(不定稱) 표현 ‘아무’ 계의 통사적 제약과 의미 변화, 『한민족어 문학』 65
    이금희 한민족어문학회, 57-87 [2013]
  • 국어 보조동사 '대다'의 의미 연구, 『한국어 의미학』 14
    박선옥 한국어의미학회, 149-167 [2004]
  • 국어 문장의 의미 연구
    임채훈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국어 문법(1), 『국어문화학교』 4
    임동훈 국립국어연구원, 382-411 [2000]
  • 국어 대화에서의 서법과 양태, 『국어교육』 93
    장경희 한국국어교육연구회, 255-275 [1997]
  • 국어 굴절의 원리적 성격과 재구조화: ‘교착소’와 ‘교착법’의 설정을 제안하 며, 『관악어문연구』 22
    임홍빈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93-163 [1997]
  • 국어 격조사에 대한 자질 검토-격문법론적 관점에서-, 『관동어문학』 1
    성광수 관동대학 관동어문학회, 43-66 [1977]
  • 국립국어원,『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2 - 용법편』
    국립국어원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 구어와 담화 연구, 『한국어학』 45
    전영옥 한국어학회, 45-93 [2009]
  • 구어 담화에서 한국어 학습자의 평가양태성 보조사의 사용 양상 -‘까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8)
    공나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21-939 [2019]
  • 관련성 이론의 관점에서 본 접속부사의 의미기능, 『국어학』 88
    문숙영 국어학 회, 97-136 [2018]
  • 공손성과 관련성 이론, 『국제언어문학』 38
    이상철 정혜인 국제언어문학회, 201-222 [2017]
  • 고지마다이키, 일본어 조사 “まで”와 한국어 조사 “까지”의 복합형태 대조 연구, 『언어사실과 관점』 22
    고지마다이키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159-191 [2008]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 『재미있는 한국어3』
  • 감각적 증거' 양태성과 한국어 어미 교육: '-네, -더라, -더니, -길래' 등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37
    임채훈 이중언어학회, 199-234 [2008]
  • 가), 현대국어의 문체법에 대한 연구, 『어학연구』 10(2)
    고영근 서울대학교 어학연 구소 [1976]
  • 가), 주어 지향적 양태와 관련한 몇 문제, 『한국어학』 44
    박재연 한국어학회, 1-25 [2009]
  • 가), 시제 상 양태, 『국어학』 60
    박진호 국어학회, 289-322 [2011]
  • 가), 국어 양태 체계 연구
    이선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현대국어의 양태범주 연구』
    장경희 탑출판사 [1985]
  • 『현대 한국어 조사의 연구 1』
    고석주 한국문화사 [2004]
  • 『한국어의 문법화 과정: 풀이씨의 과정』
    고영진 서울: 국학자료원 [1997]
  • 『한국어의 동사와 문법요소의 결합 양상』
    박진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3]
  • 『한국어교육 문법(자료편)』
  • 『한국어 문법 총론Ⅰ: 개관, 음운, 형태, 통사』
  • 『특수조사 연구사』
    정동환 박이정 [1996]
  • 『초기 국어문전 연구 ― 특히 「대한문전」을 중심으로 하여 ―』
    김민수 통문관 [1975]
  • 『중세국어문법』
    이숭녕 을유문화사 [1961]
  • 『우리옛말본』
    허웅 샘문화사 [1975]
  • 『우리말토씨연구』
    김승곤 건국대학교 출판부 [1989]
  • 『우리말 양태용언 구문 연구』
    김지은 한국문화사 [1998]
  • 『우리말 문법론』
    고영근 구본관 서울: 집문당 [2008]
  • 『언어 단위 변화와 조사화』
    한용운 한국문화사 [2003]
  • 『어미 조사 사전(전문가용)』
    이종희 이희자 한국문화사 [2010]
  • 『수정증보 국어문법』
    서정수 한양대 출판원 [1996]
  • 『말뭉치 기반 구어 문법 통합 문법 기술 2-명사와 명 사구』
    김민국 배진영 손혜옥 최정도 Ⅰ?Ⅱ, 박이정 [2014]
  • 『담화 기능에 따른 한국어 유사 문법 항목 연구』
  • 『단어 문장 텍스트』
    고영근 한국문화사 [1995]
  • 『국어학』
    허웅 샘문화사 [1983]
  • 『국어의 시제 연구』
    한동완 태학사 [1996]
  • 『국어어휘론』
    심재기 집문당 [1982]
  • 『국어문법의 시제문제에 관한 연구』
    남기심 국어학 연구 선서 6, 탑출판사 [1978]
  • 『국어문법론강의』
    이익섭 채완 학연사 [1999]
  • 『국어문법론』
    이익섭 임홍빈 학연사 [1983]
  • 『국어 활용어미의 형태와 의미』
    서태룡 탑출판사 [1988]
  • 『국어 조사에 대한 연구』
    성광수 형설출판사 [1979]
  • 『국어 조사 연구』
    김승곤 글로벌콘텐츠 [2018]
  • 『국어 보조조사의 담화분석적 연구』
    윤재원 형설출판사 [1989]
  • 『국어 문법』
    서정수 뿌리깊은나무 [1994]
  • 『2018년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연구 및 구축 사업』
    한송화 국립국어원 연구 보고서 [2018]
  • 「서법과 양태」
    장경희 서태룡 외 편(1998), 『문법연구와 자료(이익섭 선생 회 갑 기념 논총)』, 태학사, 261-303 [1998]
  • ‘조차’, ‘까지’, ‘마저’의 텍스트 의미, 『한글』 290
    도은희 한정한 한글학회, 231-263 [2010]
  • ‘이나’와 ‘이라도’에 대하여-선택 환경과 전제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39
    허경행 이중언어학회, 379-395 [2009]
  • ‘까지’, ‘조차’, ‘마저’의 의미 구조 분석, 『한국어학』 6
    나은영 한국어학회, 211-226 [1997]
  • ‘-ㄹ 수 있-’ 구성의 특징과 문법화, 『한국언어문학』 53
    안주호 한국언어문학회, 207-232 [2004]
  • { - 나 보다 / - ㄹ모양이다 / - ㄹ것 같다 / - ㄹ것이다 / - 겠다 } 의 의 미기능,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3(1)
    전나영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169-198 [1999]
  • in Jakobson Roman 1971 , Selected Writings II : Word and language
  • [짐작], [추측]양태 표현이 의미와 화용적 기능
    이혜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2003]
  • Typological Approaches to Modality,in William Frawley ( ed . ) , The Expression of Modality
    [2006]
  • Thoughts and Utterances : The pragmatics of Explicit Communication
    [2002]
  • The top ten misconceptions about implicature . in B. J. Birner and G. Ward ( eds ) , Drawing the Boundaries of Meaning : Neo-Gricean Studies in Pragmatics and Semantics in Honour of Laurence T. Horn .
    [2006]
  • The logic of politeness ; or minding your p 's and q 's
    9 : 292-305 [1973]
  • The evolution of grammar : Tense , Aspect and Modality in the Languages of the World
    [1994]
  • The essence of mirativity
    16 : 435-485 . [2012]
  • The case for case , Universals in Linguistic Theory
    [1968]
  • The Semantics of the Modal Auxiliaries .
    [1983]
  • The Pragmatics of What is Said
    4 : 295-329
  • The Philosophy of Grammar
  • The Notional Category of Modality . in Hans-Jurgen Eikmeyer and Hannes Reiser ( eds ) , Words , Worlds , and Contexts : New Approaches in Word Semantics .
    [1981]
  • The Mirative and Evidentiality
    33 : 369-382 . [2001]
  • The Languages of Native North America
    [1999]
  • The Integrated/New Knowledge Markers in Korean
    [1989]
  • The Evaluative Function of the Spanish SubjunctiveModality in Grammar and Discourse
    [1995]
  • The Case Against a Future Tense in English
    19 , 399 ? 446 [1995]
  • The Cambridge Grammar of the English Language
    [2002]
  • Tense-Aspect-Modality : The Creole Prototype and BeyondTense and Aspect : Between Semantics and Pragmatics ,
    [1982]
  • Tense , Aspect and MoodLanguage Typology and Syntactic Description , vol . 3 : Grammatical Categories and the Lexicon
    [1985]
  • Tense , Aspect , and Modality : A Discourse-Pragmatic Analysis of Verbal Affixes in Korean from a Typological Perspective
    [1991]
  • TTT 모형을 활용한 추측 표현 교육 연구-‘-는 것 같다', ‘-나 보다', ‘-는 모양이다'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44
    이준호 이중언어학회, 247-273 [2010]
  • Syntax : An introduction
    Volume 1 [2001]
  • Subjectivity as an Evidential Dimension in Epistemic Modal Expressions
    33 : 383-400
  • Subjective vs Objective Modality : What is the Difference ?Layered Structure and Reference in a Functional Perspective
    [1992]
  • Subjective and Objective Modality : Interpersonal and Ideational Functions in the English Modal Auxiliary System
    33 : 1505-1528 [2001]
  • Still Mirative after All these Years ,
    16 : 529-564 . [2012]
  • Stance Taking in Conversation : from Subjectivity to Intersubjectivity
    26 ( 6 ) , 699-731 [2006]
  • Spoken and written language ( 2nd edn. )
    [1989]
  • Speech Acts : An essay in the philosophy of language
    [1969]
  • Sociolinguistic Perspectives on Register
    [1994]
  • Semantik der Rede : Kontexttheorie , Modalworter , Konditionalsatze
    [1978]
  • SemanticsⅠ·Ⅱ
    [1977]
  • Semantics of Delimiters, 『어학연구』 9(2)
    양인석 서울대 어학연구소, 84-122 [1973]
  • Semantics and Pragmatics of Evidentials inCuzco Quechua .
    [2002]
  • Semantics ( 4th edn )
    [2016]
  • SemanticConstraints on Relevance
    [1987]
  • Scalar implicatures : Experiments at the semanticspragmatics interface
    86 : 253-282 . [2003]
  • Relevance and Linguistic Meaning . The Semantics and Pragmatics of Discourse Markers
    [2002]
  • Relevance Theory :Contextualism or Pragmaticism ?
    21 : 17-24 . [2009]
  • Relevance :Communication andCognition
  • Principles of Pragmatics . London : Longman . Lichtenberk , Franti ? ekModality in grammar and discours
    [1983]
  • Polysemy and Indetermiancy in Modal Markers : TheCase of Japanese “ beshi ” ’
    11 : 123-167 [2002]
  • Politeness : Some Universals in Language Usage ( Studies in Interactional Sociolinguistics 4 )
    [1987]
  • Personal knowledge : Towards a post-critical philosophy
    [1962]
  • Past Tense Replacement and the Modal System , in : A. Oettinger ( ed . ) , Mathematical Linguistics and Automatic Translation . Report NSF-17
    [1966]
  • On the rise of epistemic meaning in English : An example of subjectification in semantic change
    65 : 31-55 [1989]
  • On the Representation of Modality
    1 : 357-379 [1977]
  • On Defining Modality
    21 : 67-94 . [1987]
  • Observations on a “ natural experiment
    13 : 533-550 [1965]
  • New ways of analysing meaning : A challenge to applied linguistics
    6 : 7-36 [1990]
  • Morphology : A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meaning and form
    [1985]
  • Mood and Modality ( 2nd edn )
    [2001]
  • Mood and Modality
    [1986]
  • Modality ’ s Semantic Map
    2 , 79-124 [1998]
  • Modality in Grammar and Discourse
    [1995]
  • Modality and the English Modals ( 2nd edn. )
  • Modality and the English Modals
    [1979]
  • Modality and Pragmatics
    31 : 241-253 . [1997]
  • Modality : The Three-Layered Scalar Square .
    [1996]
  • Modality : Issues in the Semantics-Pragmatics Interface
    [2000]
  • Modality , Subjectivity , and Semantic Change : A Cross-Linguistic Perspective
    [2012]
  • Modality , Mood , and Change of Modal Meanings : A New Perspective
    16 : 677-731 . [2005]
  • Modality
    [2009]
  • Modalitat im Deutschen
    [1992]
  • Modal Expressions in English
    [1983]
  • Mirativity in Tsafiki
    24 ( 2 ) : 379-401 . [2000]
  • Mirativity : The Grammatical Marking of Unexpected Information
    1 : 33-52 [1997]
  • Meaning in Language : An Introduction to Semantics and Pragmatics .
    [2000]
  • Longman grammar of spoken and written English
    [1999]
  • Linguistic semantics : An introduction .
    [1995]
  • Linguistic expeditions
    [1986]
  • Linguistic Form and Relevance
    90 : 1-25 . [1993]
  • Layers and Operators in Functional Grammar
    25 : 127-157 [1989]
  • Japanese modals are conditionals , in Diane Brentari , Gary N. Larson and Lynn A. MacCleod ( eds ) The Joy of Grammar : A Festschrift in Honor of James D. McCawley
    [1992]
  • Introduction to Theoretical Linguistics
    [1968]
  • Information structure and sentence form : Topic , focus , and the mental representation of discourse referents
    [1994]
  • Illocution , Mood , and Modality in a Functional Grammar of Spanish
    [1988]
  • I. and Znaniecki , Florian . 1918 . The Polish Peasant in Europe and America
  • Halliday ’ s Introduction to Functional Grammar ( 4th edn. )
    [2014]
  • Grammaticalization and Semantic Bleaching
    14 : 389-405 [1988]
  • Functionalism and Grammar
    [1995]
  • From etymology to pragmatics
    [1990]
  • FactBank : A Corpus Annotated with Event Factuality . Language Resources and Evaluation
    43 ( 3 ) : 227 ? 268 [2009]
  • Expression and meaning : Studies in the theory of speech acts
    [1979]
  • Explicature and Truth-theoretic Semantics .Mental Representation : The Interface between Language and Reality
  • Experience and Its Modes
    [1933]
  • Evidentiality and Epistemic Modality : Setting Boundaries ,
    18 : 83-101 . [1999]
  • Evidentiality : the Linguistic Coding of Epistemology
    [1986]
  • Evidentiality
    [2004]
  • Epistemic modality and spoken discourse .
    85 : 110-131 . [1987]
  • Epistemic Modality , Language and Conceptualization : A Cognitive Pragmatic Perspective
  • Epistemic Modal Adverbs and Adjectives and the Layered Representation of Conceptual and Linguistic Structure
    31 : 933-969 [1993]
  • Dimensions of register variation : A cross-linguistic comparison
    [1995]
  • Didn ’ t you know ? Mirativity does exist !
    16 ( 3 ) : 487-503 . [2012]
  • Descriptive adequacy in Functional GrammarChallenges and developments in Functional Grammar
    [2001]
  • Deontic Logic
    60 : 1 ? 15 [1951]
  • Denial and contrast : A Relevance Theoretic Analysis of But .
    12 : 15-37 [1989]
  • Deixis and subjectivity : Loquor , ergo sum ? . in R. J. Jarvella and W. Klein ( eds ) , Speech , Place and Action
    [1982]
  • Corpus-based approaches to processing the scope of negation cues : an evaluation of the state of the art
    354 [2011]
  • Consciously Known but Unassimilated Information : A Pragmatic Analysis of the Epistemic Modal Suffix ‘ ?
    [1985]
  • Conditions of Knowledge : An Introduction to Epistemology and Education
    [1965]
  • Complementation : Its Meanings and Forms .
    [1986]
  • Clause Structure and Modality in Functional Grammar . in van der Auwera , Johan and Lois Goosen ( eds ) , Ins and Outs of the Predication
    [1987]
  • Attitudes , in C. Murchison ( ed . ) ,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1935]
  • Amy B. M. 1994English Conversation
  • A Korean Grammar on Semantic-Pragmatic Principles
    이기동 서울: 한국출판 사 [1993]
  • A Grammar of Kham
    [2002]
  • A Cross-Linguistic Survey of the Grammaticization of Evidentiality
    12 ( 1 ) : 51-97 . [1988]
  • A Comprehensive grammar of the English language
    [1985]
  • /2010), 『한국어 양태표현 교육연구』
    엄녀 한국문화사 [2009]
  • /2006),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국어학총서 51
    박재연 태학사 [2004]
  • /1994), 『우리말 형태론-말본론-』
    김석득 탑출판사 [1992]
  • /1992), 『국어토씨연구』
    김승곤 서광학술자료사 [1978]
  • /1971), 『우리말본』
    최현배 정음사 [1937]
  • -한국어 특수조사 ‘- 만’ : 형식의미론적 분석, 『한국어 의미학』 3
    최재웅 한국 어의미학회, 41-65 [1998]
  • -겠-'의 용법과 역사적 해석, 『국어학』 37
    임동훈 국어학회, 115-148 [2001]
  • -‘만’의 작용역 중의성, 『언어』 21(1)
    최재웅 한국언어학회, 673-692 [1996]
  • (비격식구어)대본 말뭉치: http://db
    비격식구어 kocca.kr/db/broadcastdb/scriptList.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