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노인의 다차원적 빈곤 유형 전이 연구

김세진 2020년
논문상세정보
' 노인의 다차원적 빈곤 유형 전이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ohort
  • latent class analysis
  • latent transition analysis
  • multidimensional poverty
  • the elderly
  • 노인
  • 다차원적 빈곤
  • 잠재전이분석
  • 잠재집단분석
  • 코호트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696 0

0.0%

' 노인의 다차원적 빈곤 유형 전이 연구' 의 참고문헌

  • 후기 노년기 사회적 관계망 유형과 우울에 관한 연구.
    강은나 김혜진 정병오 사회복지연구, 46(2), 229-255 [2015]
  • 활동적 노화 수준의 변화: 1931~1951년생 출생코호트 비교
    변금선 비판사회정 책, 61, 95-135 [2018]
  • 홍송 이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 홍백의 우리나라 노인 빈곤의 원인에 관한 연구
    홍백의 한국사회복지학, 57(4), 275-290 [2005]
  • 한국의료패널로 본 한국 노인들의 의료이용 및 의료비 지출
    홍연희 보건복지 포럼, 182, 51-59 [2011]
  • 한국의 사회적 배제 성격에 대한 연구: 유럽연합 회원국과의 비교를 중 심으로
    문진영 한국사회복지학, 62(2), 87-107 [2010]
  • 한국의 빈곤에 대한 다차원적 분석: 실현능력접근
    서병수 한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한국의 가난: 새로운 빈곤, 오래된 과제
    김수현 손병돈 이현주 서울: 한울아카데미 [2009]
  • 한국복지패널(2005-2011)의 다차원적 빈곤개념을 활용한 도시?농촌 간 빈곤 격차에 대한 연구
    고난난 김정은 김혜자 박지영 진나연 보건사회연구, 34(1), 5-51 [2014]
  • 한국노인의 다차원적 빈곤 구조 분석
    정의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한국 여성노인의 빈곤: 성인지적 사회적 배제 관점에서
    송미영 한국노년학, 17, 49-72 [2008]
  • 한국 노인의 삶의 변화 분석 및 전망
  • 한국 노인의 사회활동과 주관적 안녕감: 서울 및 춘천 노인을 대상으로
    김영범 이승훈 한국노년학, 28(1), 1-18 [2008]
  • 한국 노인의 사회참여가 주관적 건강 및 건강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다양한 사회참여의 영향을 중심으로
    민주홍 보건사회연구, 33(4), 105-123 [2013]
  • 한국 노인의 다차원적 빈곤유형과 사회보장에 관한 연구
    김수영 박병현 사회 복지정책, 45(4), 35-64 [2018]
  • 한국 노인의 다차원적 빈곤에 따른 사회보장 전략에 대한 연구
    김수영 부산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한국 노인의 다차원적 빈곤 분석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이수정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한국 노인의 다차원 빈곤에 대한 종단연구-차원별 빈곤 여부에 따른 복지서비스 이용경험의 비교
    김정현 정지운 황남희 제8회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자료 집, 255-275 [2015]
  • 한국 노년기 가구주의 다차원적 빈곤 집단 유형과 특성: 잠재집단모형 (LCA)의 적용
    남수정 소비자학연구, 29(3), 63-81 [2018]
  • 한국 근로자의 다차원적 빈곤 측정 및 빈곤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실 현능력(capability)에 입각한 빈곤 개념에 대한 퍼지집합 분석을 중심으로
    노법래 서울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패널자료를 이용한 노년기 거주형태 변화분석
    김정석 한국인구학, 30(1), 1-24 [2007]
  • 통계청, 통계개발원 한국의 사회동향
    통계청, 통계개발원 통계청 [2017]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통계청 통계청 [2016]
  • 통계청 가계동향조사(2017년 5월 기준)
    통계청 통계청 [2017]
  • 통계청
    통계청, Income 소득 홈페이지 Income 소득 홈페이지인출 kostat.go.kr/imcomeNcpi/income_dg/1/index.static) [2019]
  • 충남 독거노인의 사회적 배제 실태와 영향요인
    모선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43, 191-209 [2015]
  •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 및 주거빈곤 가구 실태 분석
  • 최근 주거빈곤의 양상, 어떤 해법이 필요한가?
    진미윤 보건복지포럼, 197, 42-55 [2013]
  • 청년빈곤의 다차원적 특성 분석과 정책대응 방안
  • 차원계수방식에 의한 다차원적 빈곤 측정
    권종희 서병수 최균 한국사회복지 학, 63(1), 85-111 [2011]
  • 지역사회거주 빈곤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영향 요인 연구
    박미진 박병현 여구환 노인복지연구, 48, 205-227 [2010]
  • 지역사회 노인들의 신체적 기능상태와 관련 요인
    이석구 전소연 한국노년학, 26(4), 929-947 [2006]
  • 중노년기 은퇴자의 은퇴 전후 의 사회적 관계망 변화
    권영대 김진석 노진원 박현춘 최민재 홍진혁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2), 753-763 [2014]
  • 중노년기 배우자 사별 전후의 사회적 관계망 변화에 대한 종단연구
    장수지 한 국노년학, 31(4), 1083-1101 [2011]
  • 중?고령자의 삶의 질에 관한 증험적(Evidence-Based) 정책설계: 고령화연구패널(KLoSA) 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
    강소랑 문상호 한국정책회보, 20(2), 353-381 [2011]
  • 중. 고령자의 생애 주된 일자리의 노동시장 상태가빈곤결정에 미치는 효과
    김재호 사회보장연구, 30(1), 1-29 [2014]
  • 주영선빈곤에 대한 대안적 접근: 욕구범주를 고려한 다차원성에 대한 분석
    이병희 이현주 정은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 주거빈곤층의 삶과 터전
    노병일 윤경아 다운샘 [2004]
  • 주거빈곤이 아동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분석
    임세희 한국사회복지학, 62(4), 377-402 [2010]
  • 주거빈곤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복지패널에서 활용한 최저주거기준을 중심으로
    김민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주거비지불능력 개념에 기초한 주거비보조에 관한 연구
    김혜승 경희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주거복지정책수단으로서 최저주거기준의 활용실태와 대안탐색: 주택종 합계획을 중심으로
    김준형 국토계획, 50(4), 185-207 [2015]
  • 종단프로파일분석과 군집분석을 이용한 잠재집단연구: 성장혼합모형과 비교를 통하여
    신택수 교육평가연구, 23(3), 641-664 [2010]
  • 정현선, 김옥수 노인 만성질환자의 불안, 우울, 건강행위에 관한 연구
    정현선, 김옥수 간호과 학, 25(2) , 35-46 [2013]
  • 정부24 홈페이지 화성시 장수수당 https://www
    정부24 홈페이지 화성시 장수수당 https://www.gov.kr/portal/service/serviceInfo/000000016930 gov.kr/portal/service/serviceInfo/000000016930 년10월19일인출) [2019]
  • 정부24 홈페이지 청주시 장수수당 https://www
    정부24 홈페이지 청주시 장수수당 https://www.gov.kr/portal/service/serviceInfo/SD0000009195 gov.kr/portal/service/serviceInfo/SD0000009195 년 10월 19일 인출) [2019]
  • 정년연장에 대한 경영계 입장: 쟁점과 대안
    류기정 월간노동리뷰, 2012년 9월 호, 59-69 [2012]
  • 전기?후기 노인의 노후불안과 우울과의 관계 에서 삶의 의미의 조절효과
    남석인 남효진 이준민 장채원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47(2), 67-96 [2019]
  •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의 다원적 성격과 정책적 시사점
    김종훈 보건복지포럼, 261, 7-21 [2018]
  • 저소득층의 자산 실태 분석
    남상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 장애인 가구의 소득 및 주거빈곤에 대한 동태적 분석
    김태완 박지혜 한국복지 패널학술대회 2회 자료집 [2009]
  • 잠재전이분석을 적용한 청소년 사이버비행의 잠재계층 분류 및 전이 영향요인 검증
    김수영 김지원 양준영 홍세희 청소년학연구, 26(2), 101-130 [2019]
  • 잠재성장곡선 모형을 이용한 교육과 건강의 궤적 간 관계 분석
    김진영 한국사 회학, 42(2), 164-190 [2008]
  • 잠재계층, 잠재전이, 성장혼합모형
    홍세희 서울: 박영사 [2019]
  • 자유로서의 발전(Development as freedom). 박우희 역
    Sen, A. 서울: 세종연구원 [2001]
  • 자산빈곤과 빈곤지속
    석상훈 사회보장연구, 27(2), 163-186 [2011]
  • 자녀관계와 자아통합감: 세대간 거주형태별 분석
    김정석 최형주 한국인구학, 36(2), 89-103 [2013]
  • 일 도시지역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 대상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우울 유병률과 관련 요인
    김혜령 한국노년학, 32(3), 941-954 [2012]
  • 인간개발지수 홈페이지, http://hdr.undp.org/en/-MPI
    인간개발지수 2019년 3월 7일 인출 [2018]
  • 이정은, 조미형 사회적 배제 집단의 잠재적 유형 분류 및 성별과 학력에 따른 차이 분석
    이정은, 조미형 사회복지정책, 36, 79-103 [2009]
  • 이용만 주거안정 정책 관련 실태조사
    이용만 국회예산정책처 [2015]
  • 이성은 만성질환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경제활동참 여의 조절효과
    이성은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0(1), 234-262 [2012]
  • 이상은, 정찬미, 조영식 한국에서의 노인소득보충급여 도입방안: 선진국의 경험 과 제도도입 효과분석
    이상은, 정찬미, 조영식 사회복지연구, 48(3), 209-232 [2017]
  • 이상은, 이은혜, 정찬미 한국에서 자산빈곤의 변화추이와 요인분해
    이상은, 이은혜, 정찬미 보건사회연 구, 31(3), 3-37 [2011]
  • 이미라 서울시 노인 빈곤실태의 다차원적 진단과 대응방안
    김경혜 윤민석 서 울시정개발연구원 [2013]
  • 이다지, 신지민 노인의 노화불안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배우자 유무에 따른 비교와 부부간 대화만족도의 매개효과
    김준표 남석인 노인복지연구, 70, 169-195 [2015]
  •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한 노인빈곤 결정요인 분석
    박미영 디지털융복합연구, 16(7), 63-69 [2018]
  • 은퇴전환기 중고령자의 일? 여가 현황과 여가증진방안 연구
  • 유병선 신수민노년기 주거빈곤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서비스의 매개효과
    김동배 한국노년학, 32(4), 1041-1061 [2012]
  • 유럽연합 사회적 배제 개념의 한국적 적용 가능성 연구: 사회적 배제 측정을 위한 지표개발을 중심으로
    김안나 유럽연구, 25(1), 351-378 [2007]
  • 유경, 민경환 노년기 정서 경험과 적응의 특성: 정서최적화
    유경, 민경환 한국심리학회지, 22(2), 81-97 [2003]
  • 우울영향요인 : 베이비부머, 예비노인, 현재노인의 비 교
    구미정 정순둘 노인복 지연구, 52, 305-324 [2011]
  • 우리나라 중고령자 가구의 자산분포 현황과 빈곤 분석: 국민노 후보장패널(KReIS)자료를 중심으로
    권순현 남상호 보건사회연구, 28(2), 3-32 [2008]
  • 우리나라 중고령자 가구의 자산분포 현황 분석
    남상호 보건복지 ISSUE & FOCUS, 36, 198 [2010]
  • 우리나라 노인의 사회참여 유형 분석 및 정책 적 함의
    유삼현 이소정 이윤경 정경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7]
  • 우리나라 노인빈곤 동향 및 빈곤구성에 대한 연구
    류연규 최현수 한국노년학, 23(3), 143-160 [2003]
  • 우리나라 노인가구의 소득구성 및 빈곤율 분석: 가구유형별 근로소 득과 공적연금소득의 비중 및 빈곤제거효과를 중심으로
    김수완 조유미 사회복지연구, 29, 5-37 [2006]
  • 우리나라 가구 과부담의료비의 발생 및 재발과 관련된 요인
    이태진 이혜재 사 회보장연구, 28(3), 39-62 [2012]
  • 영국의 지역단위 박탈 수준 측정 현황과 활용
    김동진 국제사회보장리뷰, 5, 108-119 [2018]
  • 연령주의, 신체적 및 심리사회적 노화의 인식, 우울감 간의 관계: 베이비부머, 전기노인 및 후기노인 남성세대 집단의 비교를 중심 으로
    김주현 정순둘 황민영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37(1), 65-103 [2018]
  • 여가활동 참여가 수도권 거주 노인의 고독감, 여가만족, 생활만족에 미 치는 영향
    원형중 한국노년학, 14(2), 90-104 [1994]
  • 신체적 질환이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돌봄행 위의 조절효과
    김희년 서홍란 정윤경 노인복지연구, 61, 57-83 [2013]
  • 시설거주노인의 사회적 네트워크 유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노 인요양시설 외부 관계자원을 중심으로
    강은나 이민홍 보건사회연구, 34(2), 133-160 [2014]
  • 스트레스, 심리사화적 자원이 노년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소노인과 고령노인 간 다중집단 구조방정식 분석
    전해숙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5(2), 35-53 [2012]
  • 소득기준에 의한 빈곤가구와 박탈기준에 의한 빈곤가구의 가구 구성에 있어서의 차이에 관한 연구
    이승기 사회복지정책, 26, 37-54 [2006]
  • 소득-순가치(Income-Net Worth) 개념을 활용한 노인빈곤의 재 고찰
    김주현 정지운 한국노년학, 34(3), 595-611 [2014]
  • 세대 개념에 관한 연구
    박재홍 한국사회학, 37(3), 1-23 [2003]
  • 성인의 만성질환 유형에 따른 우울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에 관한 연구
    김윤화 손태용 보건의료산업학회지, 11(4), 115-132 [2017]
  • 설문자료의 결측치 처리방법에 관한 연구: 다중대체법과 재조사법을 중심으로
    고길곤 탁현우 행정논총, 54(4), 291-319 [2016]
  • 선진국의 고령사회정책
    김세진 모선희 선우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 석재은2004년 최저생계비 계측조사 연구
  • 서안나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특성 및 지역적 차이에 관한 연구
    서안나 주택연구, 24(3), 27-47 [2016]
  • 삼성생명은퇴연구소 2018은퇴백서
    삼성생명은퇴연구소 삼성생명은퇴연구소 [2018]
  •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인 여가의 역할에 관한 연구
    나항진 한국노년학, 24(1), 53-70 [2004]
  • 사회적 배제의 지표개발 및 적 용방안 연구
    강신욱 김안나 김은희 박능후 유진영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 사회적 배제의 실태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퍼지 집합이론을 이용한 측정과 일반화선형모델 분석
    김교성 노혜진 사회복지정책, 34, 133-162 [2008]
  • 사회적 배제에 나타난 노년기 경제적 배려에 관한 연구
    박미란 최정원 한국사 회복지실천학회, 7(2), 85-107 [2015]
  • 사회적 관경으로서의 지원망 특성이 농촌노인 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박공주 이정화 이한기 한경혜 농촌계획, 9(3), 1-7 [2003]
  • 사회복지정책론
    구인회 손병돈 안상훈 서울: 나남 [2010]
  • 사회권 지표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사회경제적 약자의 환경권과 환경 정의: 지하 주거환경실태를 중심으로
    최승철 환경과 생명, 51, 117-132 [2007]
  • 사회경제적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령의 조절효과 분석
    김주희 송인한 유정원 보건사회연구, 35(3), 42-70 [2015]
  • 사회경제적 박탈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권순만 조영태 허종호 한국사회학, 44(2). 93-120 [2010]
  • 빈곤의 지속성과 반복성을 고려한 빈곤정책의 방향
    강신욱 경제발전연구, 15(2), 263-286 [2009]
  • 빈곤의 대안적 개념화에 관한 연구
    이성민 이수철 지역발전연구, 19(2), 153-178 [2010]
  • 빈곤의 다차원성: 이론적 논쟁의 검토
    김윤태 서재욱 비판사회정책, 48, 146-186 [2015]
  • 빈곤선 측정방식에 대한 비교 연구
    문진영 비판사회정책, 46, 202-236 [2015]
  • 빈곤과 불평등의 동향 및 요인분해
    여유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 비공식적 관계망에 대한 지원 제공이 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 는 영향: 성차를 중심으로
    민기채 이정화 한국노년학, 28(3), 515-533 [2008]
  • 부부의 가족주의 가치관 및 가족관계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수연 숙명여자대 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몬 [1999]
  • 복지패널에 나타난 한국 사회의 우울궤적 불평등과 관련 요인
    강상경 김병수 정은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44, 241-270 [2015]
  • 보험연구원 고령화와 노후준비 2016
    보험연구원 보험연구원 [2016]
  • 보험연구원 KIRI 고령화리뷰 고령화지표
    보험연구원 제32호 [2019]
  •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18
  •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13
  • 보건복지부 제2차 독거노인 종합지원대책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2018]
  • 보건복지부 제1차(16~20) 노후준비 지원 5개년 기본계획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2016]
  • 보건복지부 2018 노인복지시설현황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2018]
  • 보건복지부 2009 노인복지시설현황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2009]
  • 변루나, 김영숙, 현택수 베이비붐 세대 은퇴 후 사회참여 지원정책에 관한 한일 비교연구
    변루나, 김영숙, 현택수 보건사회연구, 31(4), 315-344 [2011]
  •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특성 분석
    이용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5), 253-261 [2013]
  • 베이비부머의 노후소득준비 현실과 정책과제
    박지숭 보건복지포럼, 196호, 63-72 [2013]
  • 베이비부머와 전베이비부머의 재무적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박창제 노인복지 연구, 63, 309-335 [2014]
  • 베이비부머는 빈곤위험으로부터 안전한가: 노동경력을 중심으로
    지은정 정부학 연구, 24(2), 365-391 [2018]
  • 배우자 유무에 따른 노인의 기분상태, 일상생활활동 및 노화에 대한 태 도
    정영미 성인간호학회지, 17(4), 656-667 [2005]
  • 박은철, 주연선, 김상준 다차원적 빈곤 관점에서의 서울시 빈곤 실태와 정책과제
    김경혜 김준현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10]
  • 미래 고령사회 대응 베이비붐세대 및 전?후세대 실태분석
    남효정 신현구 오영희 정경희 황남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 만성질환자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요인: 당뇨병 환자의 사회 경제적 지위를 중심으로
    장수미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3(2), 32-59 [2015]
  • 만성질환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주관 적 건강상태의 매개효과 검증: 다중집단분석을 통한 건강한 노인과의 비교
    김선 남석인 한 국노년학, 37(3), 783~801 [2017]
  • 도시지역 거주 노인의 여가시설 이용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여가시설 이용노인을 중심으로
    강은나 김세진 보건사회연구, 37(3), 110-138 [2017]
  • 도시노인의 여가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성연 박미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1), 67-84 [2000]
  • 도시근로자가구의 주거비 지불능력에 관한 연구
    진미윤 주택연구, 6(2), 33-60 [1998]
  • 다차원적 접근을 이용한 한국 빈곤집단의 유형화 와 특성분석
    이현주 정은희 사회복지정책, 41(2), 1-25 [2014]
  • 다차원적 빈곤 측정과 분석 실현능력접근을 중심으로
    서병수 한국빈곤문제연 구소 정기토론회 강의록 [2010]
  • 다차원적 불평등의 세대간 특성: 현 노인세대, 베이비붐 세대, 이후 세대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수완 안상훈 정해식 노인복지연구, 63, 337-369 [2014]
  • 다차원 빈곤집단의 잠재적 유형분류-실현가능능력 접근을 중심으로
    김현정 중 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다차원 빈곤의 변화와 세대 간 비교
    김문길 김성아 2018 경제학 공동학술대회 자료집. 1-39 [2018]
  • 농촌지역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생활만족도: 자녀와 이웃지원의 기 능적 측면을 중심으로
    배진희 사회복지정책, 20, 197-216 [2004]
  • 농촌 노인 가구의 사회적 관계망의 기능에 관한 연구: 전남지역 을 중심으로
    서선희 임희경 농촌사회, 14(1), 179-203 [2004]
  • 노후준비 실태조사 및 노후준비 지원에 관한 5개년 기본계획 수립 연구. 보건 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노인의 자산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활동참여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재현 신용석 원도연 보건사회연구, 37(2), 216-250 [2017]
  • 노인의 여가활용과 사회참여에 관한 연구
    조추용 한국노인복지학회 2003년 추 계학술대회, 75-73 [2003]
  • 노인의 생활만족에 대한 사회적 참여와 경제적 참여의 효과 비교
    이보람 이정규 노인복지연구, 71(2), 351-377 [2016]
  • 노인의 삶의 질 지수 개발
  • 노인의 사회참여에 관한 이론적 검토와 방향
    김학만 2011 사회정책연합 공동 학술대회 발표자료 [2011]
  • 노인의 사회적 배제와 우울에 관한 탐색적 연 구
    곽현근 노병일 배지연 유현숙 노인복지연구, 33, 7-28 [2006]
  • 노인의 사회적 배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종합사회복지관 이용자를 중심으로
    백혜성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노인의 사회적 배제 수준의 변화와 연령집단 차이: 영국고령화패널 (ELSA) 분석
    박현주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55, 35-74 [2017]
  • 노인의 빈곤과 우울에 관한 연구: 다차원적 빈곤개념을 적용하여
    김태완 이주미 정진욱 보건사회연구, 35(3), 71-102 [2015]
  • 노인의 노후준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
    송기영 노인복지연구, 73(1), 469-503 [2018]
  • 노인의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사회참여 와 경제활 동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순미 노인복지연구, 53, 305-332 [2011]
  • 노인빈곤의 실태와 결정요인 분석-생애 근로이 력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김헌수 석상훈 재정학연구, 5(3), 99-124 [2012]
  • 노인빈곤의 동태적 분석
    석상훈 사회보장연구, 25(4), 77-99 [2009]
  • 노인복지정책 진단과 발전 전략 모색
    강은나 양찬미 이윤경 정경희 황남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 노인복지관 이용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여가활동 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백혜영 사회과학연구, 28(4), 73-92 [2012]
  •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인과모형 연구: 유형별 사회참여 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승호 허준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1), 673-691 [2017]
  • 노인들의 배우자 유무에 따른 삶의 특성 차이에 관한 연구
    홍주연 한국콘텐츠 학회논문지, 18(11), 623-633 [2018]
  • 노인과 사회참여 그 현황과 전망
    윤종주 한국노년학, 14(1), 169-178 [1994]
  • 노인가구의 코호트별 다차원빈곤 분석
    김순미 조경진 Family and Ecvironment Research, 57(1), 51-71 [2019]
  • 노인가구의 의료비 부담과 지출에 관한 패널연구: 연령집단별 분석을 중심으로
    김용민 박진영 의료경영학연구, 10(1), 31-41 [2016]
  • 노인가구의 소득빈곤과 다차원빈곤에 관한 연구
    김순미 Family and Ecvironment Research, 56(6), 573-588 [2018]
  • 노인가구의 빈곤실태와 소득이전 효과에 관한 연구: 빈 곤율, 빈곤갭, 소득이전을 중심으로
    김수영 문경주 진재문 사회복지정책, 41(3), 239-258 [2014]
  • 노인가구단위의 이전소득에 따른 빈곤완화분석: 한국, 미국, 영국의 패 널 자료를 이용하여
    이상붕 사회과학연구, 23(4), 7-26 [2016]
  • 노인가계의 보건의료비 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분석: 노 인독신가계와 노인부부가계를 중심으로
    성영애 오지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1), 159-174 [2010]
  • 노인-자녀 간 정서적 지원 교환 양상이 재혼인 식에 미치는 영향
    김보미 남석인 이은경 이은진 한국가족복지학, 51, 115-146 [2016]
  • 노인 코호트에 따른 삶의 질 결정 요인
    이금자 이현지 노인복지연구, 41, 159-182 [2008]
  • 노인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패널자료를 활용한 분석
    최옥금 한국사회복지학, 59(1) , 5-25 [2007]
  • 노인 부부의 부부관계만족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소득수준에 따른 분석
    전혜정 주수산나 노인복지연구, 64, 207-233 [2014]
  • 노부모의 자산이 자녀와의 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녀와의 만남빈도, 연락빈도, 금전적 지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원도연 한창근 한국노년학회, 36(2), 475-492 [2016]
  • 노년부부가구 남편과 부인의 부부관계 만족도
    김정석 최형주 한국인구학, 34(2), 1-15 [2011]
  • 노년기로의 이행에 따른 소득 불평등 변화와 소득 이동성
    이원진 한국사회복 지학, 64(2), 185-212 [2012]
  • 노년기 우울의 다중변화궤적에 관한 연구
    강은나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노년기 우울의 다중변화궤적에 관한 연구
    강은나 최재성 한국노년학, 34(2), 387-407 [2014]
  • 노년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종단적 요인: 전기?후기 노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혜경 성준모 노인복지연구, 66, 427-449 [2014]
  • 노년기 우울에 대한 가족관계 만족도의 중재효과
    성혜영 유정현 한국노년학, 29(2), 717-728 [2009]
  • 노년기 사회적 배제의 실태 및 예측 요인
    강현정 김윤정 한국콘텐츠학회논문 지, 11(9). 323-334 [2011]
  • 노년기 빈곤궤적과 우울궤적의 역동적 관계 연구
    김명일 연세대학교 사회복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노년기 부부의 결혼적응과 정신건강간의 관계에서 성인자녀관계의 매개효과: 자기상대방효과 상호의존모형 적용
    이주연 정혜정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1), 129-147 [2013]
  • 노년기 노동시장 참여변화 궤적과 삶의 만족도
    백옥미 보건사회연구, 34(4), 241-263 [2014]
  • 노년기 가구의 빈곤이동
    남수정 소비자학연구, 25(6), 115-131 [2014]
  • 기초연금의 빈곤 감소효과 분석
    임완섭 보건복지포럼, 236호, 82-97 [2016]
  • 기초연금 추가 지급에 따른 노인빈곤율 변화 분석: 국민기초생활보장제 도에 대한 고려를 중심으로
    임완섭 보건복지포럼, 265호, 79-90 [2018]
  • 근로빈곤층의 실태와 동학
    반정호 이병희 동향과 전망, 75, 215-244 [2009]
  • 국토교통부 2017년도 주거실태조사 통계보고서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 [2017]
  •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통계연보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공단 [2017]
  •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주요통계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 [2018]
  • 국가통계포털 kosis.kr/index/index.do(2019년 3월 16일 인출)
  • 공적연금, 사적이전 그리고 주관적 후생: 소득안정화 역할을 중 심으로
    금현섭 백승주 행정논총, 52(1), 145-175 [2014]
  • 고령자의 근로여부가 빈곤에 미치는 영향: 고용보험 신규가입연 령 상한기준을 중심으로
    조보배 최요한 보건사회연구, 38(1), 64-87 [2018]
  • 고령은퇴자의 사회적 관계망과 은퇴만족도 관계 연구
    김성원 문진영 정순둘 한국노년학, 30(4), 1145-1161 [2010]
  • 강상 경, 박정민, 정원오, 백승호, 함선유, 김화선, 신유미 2017년 한국복지패널 기초분석 보고서
  • 강미나, 이용하, 이정우 다양한 노인빈곤지표 산정에 관한 연구
    고경표 김성근 윤석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 강미나, 김인숙, 박신영, 서종균, 이인혜, 임성만, 홍미령, 홍인 옥 취약계층 지원 및 주거복지 강화방안을 위한 연구. 보건복지부?
    변용찬 이태진 허수정 한국 보건사회연구원 [2010]
  • 가족구성원의 의사소통능력, 내외통제성, 충동성, 낙관성이 가족 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주리 허경호 한국언론정보학보, 251-282 [2005]
  • 가구유형과 공적연금 수급여부를 고려한 고령층 빈곤과 자산분 포 현황
    권형준 윤희숙 KDI정책포럼, 254, 1-10 [2013]
  • 『Poverty in the United Kingdom』
    [1979]
  • “우리나라 노인가구의 소득 및 자산빈곤 실태와 정책방안”
    김태완 이주미 보건 복지포럼, 2014. 6, 64-73 [2014]
  • “산재근로자의 일자리 만족도에 따른 프로파일의 잠재전이분석과 영향요인 검증,”
    강윤경 김지원 홍세희 장애와 고용, 29(1), 35-60 [2019]
  • “사회적 배제의 국가 간 비교연구 - 프랑스, 영국, 스웨덴을 중심으로”
    문진영 한 국사회복지학, 56(3), 253-277 [2004]
  • “도시지역 연소노인들의 사회참여와 동기 요인 간의 관련성”
    김주현 박경숙 이재인 한경혜 한국노년학, 31(4), 1189-1208 [2011]
  • “노인의 사회적 여가활동과 생활만족도: 여가만족과 고독감을 중심으로”
    한상미 사회복지연구, 42(3), 157-182 [2011]
  • “노인 가구형태의 변화가 노인 빈곤율 변화에 미친 영향.”
    김미선 박경숙 한국사 회학, 50(1), 221-253 [2016]
  •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권중돈 조주연 한국노년학, 20(3) , 61-76 [2000]
  • “‘신노년’ 정책 담론에 대한 비판적 재검토: 활동적 노화. 성 공적 노화. 생산적 노화를 중심으로.”
    최희경 한국사회정책, 17(3), 41-65 [2010]
  • ¡°A New Look at the Statistical Model Identification
    19 ( 6 ) , 716-723 [1974]
  • Work history and US elders ' transitions into poverty
    40 ( 4 ) , 469-479 . [2000]
  • Well-Being process and conversion factors : an estimation
    [2008]
  • Welfare Regimes and Poverty Dynamics : The Duration and Recurrence of Poverty Spells in Europe
    34 ( 3 ) , 407-426 . [2005]
  • WHO(2005) WHo air quality guildlines global update 2005. Report on a Working Group meeting, Bonn, Germany, 18-20. October 2005
  • Using non-monetary deprivation indicators to analyze poverty and social exclusion : Lessons from Europe ?
    29 ( 2 ) , 305-325 . [2010]
  • UN(1995). Report of the World Summit for Social Development.
  • Two shorter forms of the CES-D depression symptoms index
    5 ( 2 ) , 179-193 [1993]
  • Towards a multidimensional poverty index for Germany . OPHI Working Paper 98
    [2015]
  • The unrealized potential : cohort effects and age-period-cohort analysis
    39 , 1-20 . [2017]
  • The prevalence of , and risk factors for , loneliness in later life : a survey of older people in Great Britain
    25 , 357-375 [2005]
  • The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social exclusion.
    [2007]
  • The missing dimensions of poverty data :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35 ( 4 ) , 347-359 . [2007]
  • The measurement of economic performance and social progress revisited : reflections and overview
    [2009]
  • The cohort as a concept in the study of social change
    [1965]
  • The capability approach in social policy analysis . Yet another concep ? Reconciliation of Work and Welfare in Europe working paper
    [2010]
  • The Multidimentional measurement of poverty in Belgium and Britain : A categorical approach
    68 , 131-169 . [2004]
  •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assessment tool ( MPAT ) : Robustness issues and critical assessment
    [2010]
  • The Economics of poverty and discrimination .
    [2003]
  • The Distinctive feature of a basic needs approach to development
    [1981]
  • The Definition and Measurement of Poverty
    23 ( 2 ) , 211-221 . [1988]
  • Testing the number of components in a normal mixture
    88 , 767-778 [2001]
  • Successful aging : perspectives from the behavior sciences
    [1990]
  • Subjective measures of well-being
    31 ( 2 ) , 117 [1976]
  • Sociology
    [2009]
  • Social security reform : a bduget neutral approach to reducing older women ’ s disproportional risk of poverty
    41 , 1-19 . [1994]
  • Social relations : An examination of social networks , social support , and sense ofControlHandbook of the psychology of ageing ( 5th ed. , pp . 427-453 )
    [2001]
  • Social network types among older adults : a multidimensional approach
    62 ( 6 ) , 322-330 [2007]
  • Social network type and social support among the old-old
    14 , 213-228 [2000]
  • Social gerontology :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 5th ed.
    Vol . 520 Needham Height [1999]
  • Social exclusion in later life : an explorationof riskfactors
    [2009]
  • Social exclusion in Europe : PolicyContext and analytical framworkBeyond the Threshold
    [1995]
  • Social Relationships and Health : The Toxic Effects of Perceived Social Isolation
    8 ( 2 ) , 58-75 [2014]
  • Social Measurement and Social Indicators : Issues of Policy and Theory
    [1981]
  • Sen. A.불평등의 재검토(Inequality reezamined). 이상호, 이덕재 역
    Sen. A. 서울: 한울 [2000]
  • Sen ’ sCapability approach to welfare economics . In W. Kuklys ( Ed. Amrtya Sen ’ sCapability approach : Theoretical insights and empirical applications
    [2005]
  • Robust mixture modelling using the tdistribution
    10 ( 4 ) , 339-348 . [2000]
  • Relating lagentClass analysis results to variables not included in the analysis
    [2009]
  • Poverty and income maintenance in old age : aCross national view of low income older women
    398 , 1-19 [2005]
  • Population based study of social and productive activities as predictors of survival among elderly Americans
    319 ( 7208 ) , 478-483 [1999]
  • Poor Britain
    [1985]
  • Planning to meet basic needs
    [1985]
  • Pesnsion at a galnce 2017
    [2017]
  • Operationalising the capability approach : A german correlation sensitive poverty index
    [2012]
  • Muntidimensional poverty measurement in Europe : An application of the adjusted headcount approach
    24 ( 2 ) , 183-197 [2014]
  • Multidimensional deprivation : Contrasting social welfare and counting approaches
    1 , 51-65 [2003]
  • Measuring poverty in J apan from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2016]
  • Measuring multidimensional poverty among youth in South Africa at the sub-national level
    [2016]
  • Measuring material hardship among the US population of women with disabilities using latent class analysis
    94 , 391-415 [2009]
  • Measuring leisure satisfaction
    12 ( 1 ) , 20-33 . [1980]
  • Measuring financial protection in health in th United States
    69 ( 3 ) , 339-349 [2004]
  • Loss and trauma : General and close relationship perspectives
    [2000]
  • Lists and thresholds : Comparing the Dayal-Gough theory of human need with Nussbaum ’ s capabilities approach
    1 [2003]
  • Later-Life Economic Inequality in Longitudinal Perspective
    51B ( 6 ) , 307-S318 [1996]
  • Latent class analysis
    [1987]
  • Latent Class and Latent Transition Analysis : With Application in the Social , Behavioral , and Health Sciences
    [2010]
  • Labour and the life of the people
    [1889]
  • Issues in the measurement of poverty
    81 ( 2 ) , 285-307 . [1979]
  • Identifying deprivation profiles in Spain : A new approach
    37 ( 8 ) , pp.943-955 [2005]
  • Human development : A life-span view ( 4th ed. )
    [2007]
  • Housing and poverty
    65 ( 2 ) , 243-253 . [1983]
  • Estimating the dimension of a model
    6 ( 2 ) , 461-464 [1978]
  • Equality of what ?Choice . welfare and measurement
    [1980]
  • Does social policy matter ? poverty cycles in OECD countries
    187 , 1-20 . [2000]
  • Dimensions of Human Development
    30 ( 2 ) , 181 ? 205 [2002]
  • Determinants of self-rated health for Cannadians with chronic disease and disability
    53 , 731-736 [2009]
  • Deprivation
    16 ( 2 ) , 125-146 . [1987]
  • Democratic practice and social inequality in India
    37 ( 2 ) , 6-37 . [2002]
  • Degrees of exclusion : developing a dynamic , multi-dimentional measure
    [2002]
  • Creating and sustaining disadvantage : the relevance of a social exclusion framework
    17 ( 2 ) , 116-124 . [2008]
  • Counting and multidimensional poverty measures
    7 . [2007]
  • Comparing monetary and multidimensional poverty in Germany
    [2016]
  • Commodities and capabilities
    [1985]
  • Catastrophic and Impoverishment in Paying for Health Care : with Application to Vietnam 1993-98
    2 ( 11 ) , 921-934 [2003]
  • Being socially excluded and living alone in old age : finding from the English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 ELSA )
    [2008]
  • Basic needs : some insettled questions
    12 ( 9 ) , 973-978 . [1984]
  • Basic needs , capabilities and human development
    17 ( 2 ) [1995]
  • Auxiliary Variables in Mixture Modeling : Three-Step Approaches Using Mplus .
    21 ( 3 ) , 329-341 . [2014]
  • Associations with life satisfaction among very elderly people living in adeprived part of inner London
    31 ( 9 ) , 1003-1011 [1990]
  • Asset definitions . 1-31 , in AssetBuilding and Low-Income Families
    [2008]
  • Assessing change in social support during late life
    21 , 539-569 [1999]
  • Applied latent class analysis models
    [2002]
  • Application of model-selection criteria to some problems in multivariate analysis
    52 ( 3 ) , 333-343 [1987]
  • Age Groups in American Society and the Rise of Young Old
    [1974]
  • A maximum likehood method for latent class regression involving a censored dependent variable
    58 ( 3 ) , 375-394 . [1993]
  • A latent class application to the multidimensional measurement of poverty
    38 , 703-717 [2004]
  • A fuzzy approach to the measurement of poverty
    [1990]
  • A Theory of Human Need ,
    [1991]
  • 2017 노인일자리 정책효과 분석 연구
    강은나 김영선 배혜원 백혜연 오인근 한국노인인력개발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 2010년 최저생계비 계측조사 연구
  • 1990년대 이후 코호트 간 소득 격차와 빈곤위험 분석
    김수정 비판과 사회정책, 59, 69-102 [2018]
  • 1935~1945년 코호트 전문직 여성노인들의 일 정체성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여성 노인 연구의 다양성 제고를 위한 모색 작업 1
    김은정 한국사회학, 46(5), 35-78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