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칸트철학에서 본 이성적 인간관과 교육

심준섭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칸트철학에서 본 이성적 인간관과 교육'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Education
  • Moral law
  • Practical freedom
  • Practical reason
  • Theoretical reason
  • Transcendental freedom
  • goodwill
  • immanuel kant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333 0

0.0%

' 칸트철학에서 본 이성적 인간관과 교육' 의 참고문헌

  • 형이상학에 관한 칸트의 생각
    이엽 『칸트연구』32. 247-272 [2013]
  • 합목적성의 이념: 이론과 실천 사이
    강영안 『칸트연구』3. 199-222 [1997]
  • 한국칸트학회 편 『칸트와 형이상학』
    한국칸트학회 편 서울: 민음사 [1995]
  • 학생자치활동이 청소년의 정치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김경훈 연세대학교 [2014]
  • 학생자치활동 경험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혁 신학교와 일반학교 비교
    김위정 『한국청소년연구』27(1). 179-203 [2016]
  • 칸트의『도덕형이상학』에서 ‘동시에 의무인 목적
    김덕수 『철학논총』68. 125-146 [2012]
  • 칸트의 학문으로서의 형이상학
    손봉호 『칸트연구』1. 15-34 [1995]
  • 칸트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회와 이성의 이질성 문제
    박종식 『대동철학』18. 235-260 [2002]
  • 칸트의 초월철학과 형이상학
    강영안 『칸트연구』1. 35-61 [1995]
  • 칸트의 자율성과 덕
    김덕수 『철학논총』76. 213-230 [2014]
  • 칸트의 자율과 타율
    황순우 『칸트연구』26. 19-40 [2010]
  • 칸트의 자유개념 그리고 자유교육
    정은해 『철학』63. 107-134 [2000]
  • 칸트의 인식론에서 직관의 의미
    강지영 『철학연구』52. 119-146 [2015]
  • 칸트의 인간성 정식과 도덕적 자율성
    오근창 『철학사상』 54. 95-129 [2014]
  • 칸트의 이론철학에 있어서 활동의 의미
    김석현 『철학』45. 111-138 [1995]
  • 칸트의 이론이성에 있어서 자유의 문제
    박채옥 『범한철학』 1. 193-210 [1987]
  • 칸트의 이론이성과 실천이성
    손승길 『철학논총』7. 125-145 [1991]
  • 칸트의 의무개념에 대한 분석: 『윤리형이상학 정초』 제1장을 중심으로
    강지영 『칸트연구』21. 69-93 [2008]
  • 칸트의 양립론
    문성학 『칸트연구』2. 179-222 [1996]
  • 칸트의 실천철학과 이율배반
    이충진 『칸트연구』32. 273-294 [2013]
  • 칸트의 실천이성에 따른 교육의 과제
    노상우 심준섭 『교육 철학연구』 40(3). 69-91 [2018]
  • 칸트의 선험적 논리학과 라캉의 정신분석적 논리학의 인식론적 전제에 대한 비판과 구조-구성주의 인식론 정초 (Ⅱ)
    문장수 『칸트연구』38. 119-148 [2016]
  • 칸트의 도덕철학의 구조분석(1)
    정진우 『범한철학』9. 309-322 [1994]
  • 칸트의 관계적 자율성
    김덕수 『철학논총』70. 197-227 [2012]
  • 칸트의 『도덕 형이상학』과 형식주의
    김수배 『칸트연구』 2. 37-66 [1996]
  • 칸트와 형이상학: 제 1 부 칸트와 새로운 형이상학의 구상 : 이성과 체계 - 『 순수이성비판 』 「 변증론 」 중 심으로
    김혜숙 『칸트연구』1. 63-96 [1995]
  • 칸트와 도덕 법칙에 대한 의식
    황순우 『칸트연구』27. 81-102 [2011]
  • 칸트와 교육인식론
    노철현 파주: 교육과학사 [2010]
  • 칸트에서 통각원칙의 분석성과 종합성: 『순수이성비 판』에서 연역 해석의 문제(1)
    김현선 『철학논집』29. 252-285 [2012]
  • 칸트에서 자유의 이념과 도덕원리
    백종현 『철학사상』1. 29-54 [1991]
  • 칸트에서 선의지와 자유의 문제
    백종현 『인문논총』71(2). 11-42 [2014]
  • 칸트에 제3이율배반과 선험적 자유
    박종식 『철학연구』106. 105-131 [2008]
  • 칸트에 있어서 활동 개념에 의한 이론이성과 실천이 성의 통일
    김석현 『범한철학』14. 129-149 [1997]
  • 칸트에 있어서 자유와 도덕성
    이윤복 『철학연구』99. 241-264 [2006]
  • 칸트에 있어서 이성의 실천원리와 자유의지의 관계
    허정훈 『백록논업』3. 123-147 [2001]
  • 칸트에 있어서 이성과 이념의 관계
    서정욱 『동서철학연구』 65. 95-115 [2012]
  • 칸트에 있어서 선험적 자아와 통각
    문성학 『철학연구』67. 89-106 [1998]
  • 칸트『실천이성비판』.『철학사상』별책 2(6)
    박정하 서울: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3]
  • 칸트 이론철학에서 대상 개념에 대한 연구
    최인숙 『철학연 구』51. 115-144 [2000]
  • 칸트 윤리학의 네 가지 문제점
    문성학 『칸트연구』13. 87-116 [2004]
  • 칸트 윤리학의 근본이념들-윤리학의 맥(脈)을 중심으 로-
    손승길 『윤리교육연구』15(0). 145-168 [2008]
  • 칸트 윤리학에서 보편적 법칙의 법식과 목적 자체의 법식은 동일한가?
    문성학 『칸트연구』37. 29-50 [2016]
  • 칸트 윤리학에서 ‘실천이성의 사실’
    문성학 『철학연구』90. 107-130 [2004]
  • 칸트 교육론의 인성 교육적 함의 연구
    이두연 『도덕윤리과 교육』48. 111-130 [2015]
  • 칸트 『순수이성비판』. 『철학사상』별책 3(16)
    김재호 서 울: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4]
  •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강대영 세한대학교 [2014]
  • 존 로크의 경험론에 있어서 오성의 능력과 교육
    임태평 『교 육철학』21. 153-172 [2002]
  • 조선일보 http://news
    조선일보 chosun.com/site/data/html_dir/201 7/05/01/2017050100097.html에서 인출함 [2017]
  • 정언명령의 세 주요 정식들의 관계
    강병호 『철학』8. 53-74 [2014]
  • 정언명령의 보편법 정식과 목적 그 자체 정식
    강병호 『칸트 연구』32. 1-34 [2013]
  • 정언명령의 객관적 실재성 증명
    강지영 『철학연구』51. 32-55 [2015]
  • 자유의 강제: 『교육학 강의』(칸트)에 대한 실천철학 적 독해
    김종국 『칸트연구』23. 33-52 [2009]
  • 이율배반: 칸트 비판 철학의 근본 동기
    이엽 『칸트연구』 26. 1-17 [2010]
  • 이성적 행위자는 항상 준칙에 따라 행위하는가?
    강지영 『철 학연구』 58(0). 57-85 [2018]
  • 이성-감성의 상호 의존에 비추어 본 인간과 교육의 역동성
    장주희 『교육철학』40(4). 121-142 [2018]
  • 윤리 문제의 근본 주제
    백종현 『철학사상』23. 31-50 [2006]
  • 어떻게 정언명령이 가능한가?-『윤리형이상학 정초』 에서 정언명령의 연역
    강지영 『철학연구』50. 161-186 [2014]
  • 실행으로서의 인성교육-칸트의 『교육학강의』를 중 심으로-
    김덕수 『칸트연구』38. 91-118 [2016]
  • 실천이성의 하나의 자기물음
    박해용 『철학연구』56. 243-266 [2002]
  • 소크라테스식(문답식) 교수법
    하재홍 『법학논집』14(4). 281-309 [2010]
  • 선험적 종합명제로서의 칸트의 도덕원리
    최인숙 『칸트연 구』2. 67-93 [1996]
  • 선험적 자유에서 자율로서의 자유로
    문성학 『철학연구』94. 117-138 [2005]
  • 선험적 인식론과 교과의 내면화
    노철현 『교육철학연구』 34(1). 99-124 [2012]
  • 선의지와 형식주의, 그리고 책임
    문성학 『철학연구』102. 213-233 [2007]
  • 새로운 학력 개념 정립 및 구현 방안
    성열관 세종: 전국 시도교육감협의회 [2016]
  • 산파술을 넘어 지적 수태술로-대학 철학 교육의 현황 과 과제
    김영정 『철학윤리교육연구』 22(37). 159-172 [2006]
  • 사고 일반의 최종근거로서 통각의 종합적 통일
    배정호 『칸 트연구』27. 53-80 [2011]
  • 박영숙 『유엔미래보고서 2050』
    Glenn, J. 파주: 교보문 고 [2016]
  • 맹주만 칸트의 실천이성의 이율배반-독법과 해법
    맹주만 『철학탐 구』 21. 211-235 [2007]
  • 맹주만 칸트와 선의지
    맹주만 『철학탐구』17. 255-284 [2005]
  • 맹주만 칸트와 도덕적 실재론
    맹주만 『칸트연구』19. 213-238 [2007]
  • 덕은 가르쳐질 수 있는가-칸트와 도덕교육의 방법
    허미화 『칸트연구』2. 285-316 [1996]
  • 덕교육적 함의
    덕교육적 함의. 『도덕교육연구』20 『도덕교육연구』20(2). 49-71
  • 대상인식과 형상적 종합
    배정호 『철학논총』74(4). 1-21 [2013]
  • 대상인식과 지성적 종합
    배정호 『철학연구』35. 273-297 [2015]
  • 뉴스 1 http://news1.kr/articles/?
    뉴스 1 2579100에서 인출함 [2016]
  • 근대 이성개념과 교육학적 사유
    노상우 『교육철학연구』 49. 25-47 [2010]
  • 구성주의와 객관주의 수업설계 모형 비교 연구
    조영남 『중 등교육연구』 56(3). 67-92 [2008]
  • 구성주의에서 의미의 의미
    류완영 『교육공학연구』30(1). 1-18 [2014]
  • 교육의 선험적 차원
    신춘호 『도덕교육연구』. 18(2). 31-56 [2007]
  • 교육에서 자유의 의미-자유교육과 아동중심교육을 중심으로
    반채익 『교육발전연구』21. 5-24 [2005]
  • 고등학생의 자살생각에 대한 생태체계적 관점의 연구: 공주시 지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김동숙 공주대학교 [2010]
  • 경향신문http://news.khan.co.kr/kh_news/
    경향신문 khan_art_ view.html?artid=201911251702001&code=940100 에서 인출함 [2019]
  • 강성률 『칸트, 근세철학을 완성하다』
    강성률 고양: 글라이더 [2017]
  • 『학생평가의 이해』
    교육부 (초등학교) [2019]
  • 『칸트이성철학, 9서5제』
    백종현 서울: 아카넷 [2012]
  • 『칸트의 형이상학과 표상적 사유』
    강영안 서울: 서강대학 교 출판부 [2009]
  • 『칸트의 인식론』
    김정주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01]
  • 『칸트의 교육이론』
    김영래 서울: 학지사 [2005]
  • 『칸트와 형이상학』
    박선목 서울: 학문사 [1983]
  • 『칸트와 헤겔의 철학』
    백종현 서울: 아카넷 [2010]
  • 『칸트 철학에의 초대』
    한자경 파주: 서광사 [2006]
  • 『칸트 교육 사상 연구』
    김병옥 서울: 집문당 [1986]
  • 『자유학기 톺아보기』
    교육부 (자유학기제 교원용 안내서) [2019]
  • 『인간의 삶과 배움』
    심승환 서울: 박영story [2015]
  • 『인간과 자유』
    윤용택 서울: 솔과학 [2014]
  • 『순수이성비판』의 근본이념과 선험적 종합판단. 『인문과학』
    윤병태 75. 151-173 [1996]
  • 『루소와 칸트, 교육에 관하여』
    임태평 파주: 교육과학사 [2008]
  • 『교육의 이해』
    김인용 목영해 최관경 서울: 문음사 [2005]
  • 『교육의 역사와 사상』
    노상우 파주: 교육과학사 [2014]
  • 『교육의 개념』
    이홍우 서울: 문음사 [2009]
  • 『과로사회를 위한 존 화이트의 교육철학』
    이지헌 임배 서 울: 학지사 [2016]
  • 『Kant, 관념론과 윤리학』
    손승길 부산: 동아대학교 출판부 [2005]
  • 『2018 청소년 통계』
    통계청 통계청 [2018]
  •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2018]
  • 「칸트철학에서 본 ‘이성적 인간상’과 교육의 과제」
    노상우 심준섭 『교육철학연구』 41(1). 97-118 [2019]
  • 「칸트 철학과 교육의 해후 가능성」
    노철현 『칸트연구』34. 131-158 [2014]
  • “칸트의 윤리학에 나타난 인간 존엄성의 근거와 보편 가능성으로서의 도덕법칙 의 요청.”
    김광연 『철학연구』138. 1-30 [2016]
  •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에서의 통각 이론”
    김정주 『인문학연 구』3. 1-25 [1998]
  • Total Transformation : Why Kant Did Not Give up on Education
    21 ( 3 ) . 393-413 [2016]
  • Tom Rockmore. 칸트에게서 실재론, 표상주의, 구성주의
    Tom Rockmore. 『감성연구』 15(0). 217-239 [2017]
  • The education of the categorical imperative
    Vol . 25 . 385-402 [2006]
  • Reason , Freedom and Kant : An Exchange
    12 . 113-133 [2007]
  • Malpas. S. Jean-Fan ois Lyotard. 윤동구 역(2008). 『장 프 랑수아 리오타르, 포스트 모더니즘을 구하라』
    Malpas. S. 서울: 앨피 [2003]
  • Lyodtard. J.F. LE DIFFEREND. 진태원 역(2015). 『쟁 론』
    Lyodtard. J.F. 부산: 경성대학교 출판부 [1984]
  • La philosophie critique de Kant. 서동욱 역 (2006). 『칸트의 비판철학』
    Deleuze, G. 서울: 민음사 [1963]
  • Kohlberg 구성주의에서 상대성 문제
    배한동 은종태 『윤리교 육연구』15. 19-46 [2008]
  • Kant윤리학에 있어서의 실천이성 연구
    김봉규 『철학』48. 117-154 [1996]
  • Kants Welt. 김광명 역(2004). 『칸트 평전』
    Geier, M. 서 울: 미다스북스 [2003]
  • Kant ’ s View on Education
    174 . 2713-2715 [2015]
  • Kant an Introduction. 하영석 외 역(1992). 『칸 트 철학의 분석적 이해』
    Broad, C.D. 서울: 서광사 [1977]
  • IMMANUEL KANT . PROSPECTS : the quarterly review of comparative education
    vol . XXIII . no . 3/4 . 789-806 [1993]
  • Geschichte Der Philosophie. 강성위 역 (1986). 『서양철학사』
    Hirschberger, J. 대구: 이문출판사 [1981]
  • Experience and education. 박철홍(역)(2002). 경험과 교육
    Dewey, J. 문음사 [1938]
  • EBS http://home
    EBS ebs.co.kr/futureedu/replay/4/list?cours eId=10200569&stepId=20001137에서 인출함 [2019]
  • Do We Always Act on Maxims ?
    22 ( 2 ) . 233-255 [2017]
  • Democracy and Education. 이홍우 (역) (2007). <민주주의와 교육>
    Dewey, J. 파주: 교육과학사 [1916]
  • Constructivism and The limits of Reason : Revisiting the Kantian Problematic
    21 . 421-445 [2002]
  • COWS, PIGS, WARS AND WITCHES: The Riddles of Culture. 박종렬 역(2000). 『문화의 수수께끼』
    Harris, M. 파주: 한길사 [1974]
  • 2015개정 교육과정 내용분석 및 그 시사점 탐 구
    강현석 이윤복 『중등교육연구』 63(4). 435-464 [2015]
  • (De) la philosophie. 송영진 역(1989). 『철학의 단계적 이해』
    Gourinat, M. 서울: 서광사 [1986]
  • (1803). Kants Vorlesung Ueber P dagogik. 조관성 역 『칸트의 교육학 강의 』
    Kant, I.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07]
  • (1803). Immanuel Kantber P dagogik. 임태평 역 『루소와 칸트: 교육에 관하여』의 부록: 임마누엘 칸트 교 육학 강의
    Kant, I. 파주: 교육과학사 [2008]
  • (1803). Immanuel Kantber P dagogik. 김영래 역 『칸트의 교육이론』의 부록: 임마누엘 칸트 교육학 강의
    Kant, I. 서울: 학지사 [2005]
  • (1793). Die Religion innerhalb der Grenzen der blo en Vernunft(REL). 백종현 역『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 교 』
    Kant, I. 서울: 아카넷 [2015]
  • (1790). Kritik der Urteilskraft. 백종현 역 『판단력 비판』
    Kant, I. 서울: 아카넷 [2009]
  • (1788). Kritik der reinen Vernunft(KrV). 최재희 역 『실천이성비판』
    Kant, I. 서울: 박영사 [1995]
  • (1788). Kritik der praktischen Vernunft(KpV). 백종현 역『실천이성비판』
    Kant, I. 서울: 아카넷 [2009]
  • (1785). Grundlegung zur Metaphysik der Sitten(GMS). 백 종현 역 『윤리형이상학 정초』
    Kant, I. 서울: 아카넷 [2005]
  • (1781). Kritik der reinen Vernunft(KrV). 백종현 역 『순수이성비판』
    Kant, I. 서울: 아카넷 [2006]
  • (1690). An Essa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추 영현 역『인간지성론 』
    Locke, J. 서울: 동서문화사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