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간재 전우의 경학사상 연구 : 『사서강설』을 중심으로

길태은 2020년
논문상세정보
' 간재 전우의 경학사상 연구 : 『사서강설』을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Ganjae jeon Woo(艮齋 田愚)
  • Ideas of the Chinese Classics(經學思想)
  • Lecture on the Four Classics(四書講說)
  • Seongsasimjae(性師心弟)
  • Simbonseong(心本性)
  • Taoist Study of Confucian Classics(道學的 經學)
  • 四書講說
  • 心本性
  • 性師心弟
  • 經學思想
  • 艮齋田愚
  • 道學的 經學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4 0

0.0%

' 간재 전우의 경학사상 연구 : 『사서강설』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 간재의 생애와 사상 , 간재선생의 학문과 사상Ⅰ
    송하경 간재학회 [2014]
  • 論語集註
    論語集註 전통문화연구회 [2005]
  • 論語 附諺解
    論語 학민문화사 [1990]
  • 호남의 유학자들
    오종일 전남대학교출판부 [2016]
  • 한국유학통사
    최영성 심산 [2006]
  • 한국유학의 심설
    금장태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 한국유학사의 이해
    금장태 한국학술정보 [2002]
  • 한국사상의 방향: 성찰과 전망
    이동준 유교문화연구소 [2011]
  • 조선후기 인성 물성 논쟁의 연구
    이애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 원 [2005]
  • 조선중기 경학 사상 연구
    이영호 경인문화사 [2004]
  • 조선시대 논어해석 연구
    김영호 심산 [2011]
  • 조선선비의 마음공부, 靜坐
    최석기 보고사 [2014]
  • 유교와 한국유학
    오석원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4]
  • 소학언해 및 사서언해의 경문해석 , 대동한문학제 54집
    이규필 현토와 대동학문학회 [2018]
  • 리학 심학 논쟁, 연원과 전개 그리고 득실을 논하다
    황갑연 예문서원 [2014]
  • 다산 사서학 연구
    정병련 경인문화사 [1995]
  • 논어의 주석과 해석학
    김영호 문사철 [2010]
  • 논어의 종합적 고찰
    김영호 심산 [2003]
  • 공맹 철학의 발전
    황갑연 서광사 [1998]
  • 간재사고 , 간재학논총 제1집
    성백효 간재사상연구회 [1994]
  • 畿湖性理學論考
    이상익 심산 [2005]
  • 四書栗谷先生諺解 연구 , 한문학논집 제20집
    정만호 근역한문학회 [2002]
  • 회복을 위한 수양론의 두 유형 , 유교사상문화연구 제 28집
    김경호 진정성 한국유교학회 [2007]
  • 한주학파와 간제학파의 심성논쟁 연구
    이종우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4]
  • 한말 성리학의 거유
    기정진 박학래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8]
  • 한말 성리학계의 심설 논변과 그 도덕(교육)론적 함의 , 인문과 학연구논총 제33호
    박학래 명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 한말 도덕이상주의 철학의 학문관과 인간관 , 간재학논총 제2 집
    박흥식 간재사상연구회 [1998]
  • 한국유교 현황과 현대화 전략 , 유교사상문화연구 제73집
    진성수 한 국유교학회 [2018]
  • 한국사상사연구회, 조선유학의 학파들
    한국사상사연구회 예문서원 [1996]
  • 한국사상사연구회, 조선유학의 개념들
    한국사상사연구회 예문서원 [2006]
  • 한국사상사에서의 간재학의 위치 , 간재선생의 학문과 사상 Ⅰ
    금장태 간재학회 [2014]
  • 한국국학진흥원 국학연구실, 한국유학사상대계 Ⅲ
    한국국학진흥원 한국국학진흥원 [2005]
  • 하곡 정제두의 四書經說 연구
    김용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 특성 , 유학연구 제2집
    경학적 기호학의 정병련 충남대학교 유학연구 소 [1994]
  • 철학사상 연구
    기정진 박학래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4]
  • 주자와 간재의 명덕설 그리고 역사문화 의식의 차이 , 건지인문 학 제20집
    황갑연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 주자와 간재의 경학사상 , 간재학논총 제6집
    채방록 간재학회 [2007]
  • 주자 수양론에서 性과 성향 , 동양철학 제28집
    이승환 한국동양철학 회 [2007]
  • 조선시대 유학자 논어설의 특징 , 한국사상과 문화 제16집
    김영호 한 국사상문화학회 [2002]
  • 조선성리학파의 성리설 분화에 관한 연구
    이상호 성균관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1993]
  • 조선 최후의 성리학자 간재 전우, 중용을 탐구하다 (원제:中庸記疑)
  • 전우의 심설논쟁에 대한 연구 , 한국사상사학 제28 집
    김근호 유중교와 한국사상사학회 [2007]
  • 전우의 西學認識과 斥邪論
    이종록 한국학중앙연구원 석사학위논문 [2016]
  • 전북유학사 연구 , 동양문화연구 제3집
    최영성 영산대학교 동양문화 연구원 [2009]
  • 전 간재 우의 尊性明氣의 철학 , 간재사상연구논총 제1집
    곽신환 간 재사상연구회 [1994]
  • 저, 유학근백년-기호계열의 도학-1
    고광직 금장태 한국학술정보 [2004]
  • 잠일성 저, 황갑연 역, 대학철학
    잠일성 서광사 [2000]
  • 오 광, 간재 역사정신의 계승과 발전 , 간재학논총 제10집
    간재학회 [2010]
  • 연구 활동과 미래방향 , 간재선생의 학문과 사상Ⅰ
    간재학의 양승무 간재학회 [2014]
  • 연구 성과를 통해 본 사서율곡언해 의의와 과제 , 율곡사상 연구 제17집
    유영희 율곡학회 [2008]
  • 역, 중국고대사상문화의 세계
    진래 진성수 유교문화연구소 [2008]
  • 성리학적 세계관에 대한 試論-논어집주를 중심으로- , 한양 어문연구제10집
    이승수 한국언어문화학회 [1992]
  • 동북아공동체 구성요건에 대한 연구
    김종회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 대학 교양교육으로 본 유학교육 , 유교사상문화연구 제70집
    진성수 한국유교학회 [2017]
  • 다산 중용주의 경학적 연구
    정병련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8]
  • 노사 기정진의 성리설을 둘러싼 기호학계의 논쟁 , 민족문화연 구 제48집
    박학래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8]
  • 남백최근덕선생화갑기념논총간행위원회, 한국유학인물사
  • 기정진의 納凉私議 를 둘러싼 기호학계의 논쟁 , 유교사상문화 연구 39집
    박학래 한국유교학회 [2010]
  • 근대 이행기 기호 도학 계열 유림의 동향과 현실 대응 , 범한철 학 제84집
    박학래 범한철학회 [2017]
  • 국역 간재선생 행장 , 간재사상연구회논총 제1집
    김충호 간재사상연 구회 [1994]
  • 교주, 현상윤의 조선유학사
    이형성 현상윤 심산 [2010]
  • 경학 사상 고찰 , 간재학논총 제2집
    김영호 전간재 간재학회 [1998]
  • 간재학파의 학통과 사상적 특징 , 유교사상문화연구 제28집
    박학래 한국유교학회 [2007]
  • 간재학파와 화서학파의사상동이와 특징 ,간재학논총 제10집
    이종우 간재학회 [2010]
  • 간재전우는 왜 心本性, 性師心弟를 말하였는가? , 유교사상문화 연구 제67집
    유지웅 한국유교학회 [2017]
  • 간재의 사서강설해석 특색 , 간재선생의 학문과 사상 Ⅲ
    황영난 간 재학회 [2016]
  • 간재의 항일정신과 한국 정신사적 의의 , 간재학논총 제4집
    김문준 간재학회 [2004]
  • 간재의 체용이론과 이기설 , 간재사상연구논총 제2집
    윤용남 간재학 회 [1998]
  • 간재의 처세관과 수도의식 , 간재사상연구논총 제1집
    김기현 간재사 상연구회 [1994]
  • 간재의 주자 퇴계 율곡의 성리설에 대한 해석 , 간재학논총 제 15집
    이동희 간재학회 [2013]
  • 간재의 주자 경학 사상에 대한 계승발전 , 간재학논총
    부무광 간재학 회 [2011]
  • 간재의 의리정신과 처세관 , 한국철학논집 제14집
    도민재 한국철학사 연구회 [2004]
  • 간재의 예학사상 , 간재학논총 제9집
    도민재 간재학회 [2009]
  • 간재의 심통성정 해석과 성사심제설 , 간재학논총제23집
    이상익 간재 학회 [2017]
  • 간재의 심론과 명덕설 연구
    유지웅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간재의 성사심제설과 그 후대에의 영향 , 퇴계학보 92집
    정병련 퇴계 학연구원 [1996]
  • 간재의 성리학 연구
    최전율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 간재의 범도덕주의 철학사상에 관한 연구 , 간재사상연구논총 제2집
    김기현 간재사상연구회 [1998]
  • 간재의 도학자적 역사의식과 경학 , 간재학논총 제9집
    정도원 간재학 회 [2009]
  • 간재의 납량사의 비판에 대한 노백헌의 재비판 , 간재사상연구 논총 제2집
    정병련 간재사상연구회 [1998]
  • 간재의 경학 사상 연구 , 대동한문학 제56집
    길태은 대동한문학회 [2018]
  • 간재의 發信簡札을 통해 본 간재와 문인들의 사상문답 유형분석 , 공자학 제31호
    장숙필 한국공자학회 [2016]
  • 간재의 性師心弟說과 復性論
    안동교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석사학위논 문 [1991]
  • 간재와 화서학파의 심설논쟁의 핵심 쟁점과 그 의미 , 율곡사상 연구 27집
    장숙필 율곡연구원 [2013]
  • 간재선생의 학문과 사상 Ⅲ
    간재선생의 간재학회 [2016]
  • 간재선생의 학문과 사상 Ⅱ
    간재선생의 간재학회 [2015]
  • 간재선생의 학문과 사상 Ⅰ
    간재선생의 간재학회 [2014]
  • 간재선生 가장 , 간재사상연구논총 제2집
    전일효 간재학회 [1998]
  • 간재 중용기의의 특징 연구 , 동양철학연구 제97집
    길태은 동양철 학연구회 [2019]
  • 간재 四書講說의 성리학 해석 , 간재학논총 제23집
    양조명 간재학 회 [2017]
  • 간재 철학사상의 특징-蘆艮論爭을 중심으로- , 간재사상연구논 총 제1집
    안진오 간재사상연구회 [1994]
  • 간재 전우의 중용해석의 특징, 동양철학연구 제65집
    김유곤 동양 철학연구회 [2011]
  • 간재 전우의 맹자 해석의 특징 , 간재학논총 제16집
    김유곤 간재학 회 [2013]
  • 간재 전우의 大學記疑에 대한 연구
    양교식 전주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11]
  • 간재 전우의 철학과 현실인식 , 철학논총 제34집
    송인창 새한철학 회 [2003]
  • 간재 전우의 오서오경음 에 대한 고찰 , 동방한문학, 제34집
    나종선 동방한문학회 [2008]
  • 간재 전우의 성사심제설에 대한 연구
    서정호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04]
  • 간재 전우의 성리학에 관한 연구
    맹현주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간재 전우의 성리설 , 간재사상연구논총 제1집
    이상호 간재학회 [1994]
  • 간재 전우의 사단칠정론 , 간재사상연구논총 제2집
    황의동 간재학회 [1998]
  • 간재 전우의 문경에서의 강학활동 , 한국철학논집 제52집
    임옥균 한 국철학사연구회 [2017]
  • 간재 전우의 명덕설 一考 , 유교사상문화연구 제64집
    소현성 한국유 교학회 [2016]
  • 간재 전우의 독논어 연구 , 동양한문학연구 제53집
    길태은 동양한 문학회 [2019]
  • 간재 전우의 도덕적 심론과 명덕설 , 유교사상문화연구 제65 집
    유지웅 한국유교학회 [2016]
  • 간재 전우의 대학기의 고찰 , 간재선생의 학문과 사상 Ⅲ
    소현성 간 재학회 [2016]
  • 간재 전우의 논어설고 , 동양문화연구 제2집
    김영호 영산대학교 동양 문화연구원 [2008]
  • 간재 전우의 경학 사상 연구 현황과 과제 , 30년간의 간재학 연 구의 회고와 전망
    홍원식 간재학회 [2019]
  • 간재 전우와 간재학파 연구 현황 및 과제 , 공자학 제30집
    박학래 한 국공자학회 [2016]
  • 간재 전우 성리설의 문제의식 , 퇴계학보 제142집
    유지웅 퇴계학연구 원 [2017]
  • 간재 성리사상 연구
    김종석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 간재 미발론과 그 현대적 의의 , 간재학논총 제19집
    이승환 간재학 회 [2015]
  • 韓國經學資料集成
    韓國經學資料集成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90]
  • 重菴集, 
  • 近思錄, 
  • 蘆沙集,
  • 華西集, 
  • 華島淵源錄
    華島淵源錄 보경문화사 [1985]
  • 艮齋集
  • 艮齋全集
    艮齋全集 학민문화사 [2011]
  • 艮齋先生全集
    艮齋先生全集 보경문화사 [1984]
  • 老柏軒集, 
  • 白坡 金龜洛의 생애와 학문 , 년도 간재학하계학술회의 논 문집
    최영성 간재학회, 2019 [2019]
  • 段玉裁注, 說文解字注, 上海:上海古籍出版社, 1981.
  • 李奎報, ?東國李相國集?, 國文集叢刊 1~2.
  • 朱青红, <论≪龙舟会≫杂剧的文人自寓性特征>, ≪艺术百家≫ 第6期, 2005
  • 寒洲集, 
  • 孟子, 
  • 孟子集註
    孟子集註 전통문화연구회 [2005]
  • 孟子 附諺解
    孟子 학민문화사 [1990]
  • 大學, 
  • 大學 中庸集註
    大學·中庸集註 전통문화연구회 [2005]
  • 大學 中庸 附諺解
    大學·中庸 학민문화사 [1990]
  • 四書栗谷諺解
    四書栗谷諺解 민족문화 [1989]
  • 中庸, 
  • 「大學 해석의 특징적 두 양상: 주자와 다산의 관점비교
    김유곤 『유 교사상연구』제46집 [2011]
  • 「간재 전우의 실천유학 志向性 고찰 , 한국사상과 문화 제43 집
    이형성 한국사상문화학회 [2008]
  • 19세기 한국성리학의 지역적 전개와 시대인식 , 국학연구 15 집
    금장태 한국국학진흥원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