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외국인 유학생 대상 문어 기반의 학문적 문식성 교육 연구 = A Study on the Education of Academic Literacy for International Students

곽준화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외국인 유학생 대상 문어 기반의 학문적 문식성 교육 연구 = A Study on the Education of Academic Literacy for International Student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문식성
  • 생태학
  • 생태학적 관점
  •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 학문적 문식성
  • 학문적 문식성 교육 내용
  • 한국어 문어 교육
  • 한국어교육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571 0

0.0%

' 외국인 유학생 대상 문어 기반의 학문적 문식성 교육 연구 = A Study on the Education of Academic Literacy for International Students' 의 참고문헌

  • 화법 작문 교육론
    박덕유 역락 [2004]
  • 현대 한국어 ‘하오체 하게체’의 사용 양상과 문화적 문식성 고찰
    나동숙 한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한국에서의 문식성 교육의 반성과 전망, 국어교육연구 36
    윤여탁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pp. 535-561 [2015]
  • 한국어교재론
    서종학 이미향 태학사 [2007]
  • 한국어교육학에서의 학문 목적 한국어 연구 동향 분 석, 언어와 문화 9(1)
    김용현 박석준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pp. 73∼105 [2013]
  • 한국어교육 학습자의 학업 문식성 신장 요건, 국내학술제 2
    최승식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pp. 125-133 [2011]
  • 한국어 학습자의 학문적 구술력 연구
    김지애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6]
  •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적 문식력 신장을 위한 고전 소설 교 육 연구
    김혜진 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한국어 학습자의 문어 능력 배양을 위한 제언, 한어문교육 23
    최정순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pp. 168∼199 [2010]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비판적 문식성 교육 방안 연구-문학 텍스트를 활용 하여-
    박현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한국어 학습자들의 학술적 글쓰기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연 구, 사회언어학 26(3)
    곽준화 한국사회언어학회, pp. 1∼30 [2018]
  • 한국어 학습자 글쓰기 교육을 위한 텍스트 내용 구조 분석 연구, 어문연구 89
    김미영 어문연구학회, pp. 37∼62 [2016]
  • 한국어 어휘 수업에서 ‘생태학적 언어 교수 전략’의 활용 가 능성, 한국언어문화학 15(1)
    김규훈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pp. 1∼23 [2018]
  • 한국어 문어 교육에서의 학문적 문식성 개념 정립을 위한 제언, 우리말연구 57
    곽준화 최정순 우리말학회, pp. 1∼29 [2019]
  • 한국어 교육에서의 초기 문식성 연구: 필리핀 학습자를 중심 으로
    주희진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한국어 교육과정 학습 한국어의 언어 재료 연구: 역사 교과 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 14(2)
    신범숙 한국언어문화학회, pp. 51∼79 [2017]
  • 한국문학 작품을 통한 문화 문식력 향상 연구
    김완실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학업 문식성 향상을 위한 한자 교육 방안 연구
    홍성민 경희사이버 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학업 문식성 향상을 위한 한국어(KSL) 기반 교과 통합 연 구
    조한나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학습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이 교육 평가에 주는 시사
    백순근 아시 아교육 연구 3(1), pp. 27∼42 [2002]
  • 학술적 글쓰기의 기초: 한국어 논리와 논술
    김성숙 연세대학교 대 학출판문화원 [2016]
  • 학문 목적 한국어능력의 구성 요소 연구, 한국어학 52
    박진욱 전형길 한국어학회, pp. 177∼210 [2011]
  •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을 위한 문화적 문식성 연구, 語文硏究 46(3)
    유현정 한국어문교육연구회, pp. 369-393 [2018]
  • 학문 목적 한국어(KAP) 수업 모형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실 행 연구: 문제중심학습(PBL)을 기반으로
    김용현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16]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 쓰기의 내용 지식 구성 양 상 연구, 우리말 글 58
    윤지원 전미화 우리말글학회, pp. 210∼243 [2013]
  •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체계와 내용, 영주어문 25
    김지형 영주어 문학회, pp. 75∼106 [2013]
  •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교육과정과 평가, 이중언어학 31
    최정순 이중언어학회, pp. 277∼313 [2006]
  •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교육과정 현황 분석 및 내실화 방 안 연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43
    박석준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pp. 31∼57 [2015]
  •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의 학술적 문식성 연구, 한민족문 화연구 58
    박지순 한민족문화학회, pp. 167∼187 [2017]
  • 학문 목적 한국어 교과과정 설계 연구, 한국어교육 15(1)
    이해영 국 제한국어교육학회, pp. 137∼164 [2004]
  • 특수 목적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민현식 제 18차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8]
  • 특수 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언어 능력 기술, 한국 어교육 18(1)
    안미란 최정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 207∼234 [2007]
  •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의 내용 구성 연구
    김규훈 동국대학교 일반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초등 국어과 생태학적 평가 방안
    박미정 서울교육대학교 일반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08]
  • 지구 언어 생태계의 변화와 한국어교육의 미래, 국어교육 163
    윤여탁 국어교육학회, pp. 37∼57 [2018]
  •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업 문식성 신장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이소라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재외동포 아동 학습자의 문식력 향상을 위한 교재 개발
    송영숙 이 화여자대학교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자기결정 조절동기를 통한 독자 정체성 형성 방안 연구
    류수경 이 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읽기 교육의 이론과 실제
    정기철 역락 [2004]
  • 이영 역, 인간발달 생태학
    Bronfenbrenner, U. 교육과학사 [1992]
  • 음성언어 생태와 듣기 말하기 교육, 한국초등국어교육 22
    이창덕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pp. 37∼77 [2003]
  • 유학생의 학문적 문식성 수업 연구: 분석과 비판 수준의 활 동을 중심으로, 漢城語文學 38
    김희경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pp. 133-162 [2018]
  •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학위 논문 작성 과정 연구
    최주희 서울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외국인 유학생의 배경지식 확장을 위한 한국어교육 방안, 어 문논집 75
    강현주 민족어문학회, pp. 171∼194 [2015]
  • 외국인 유학생의 기초학문 수학 능력 제고 방안, 예술인문사 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9)
    문정현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pp. 669∼677 [2018]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 구의 실태와 제언, 語文硏究 74
    윤지원 최정순 어문연구학회, pp. 131∼156 [2012]
  • 언어교사의 언어평가 문식력 구인의 기술, 영어교육연구 29(1)
    이영식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pp. 86∼108 [2017]
  • 쓰기 영역 평가의 생태학적 접근,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 소 학술 발표회 자료집
    원진숙 서울대학교 국어교육 연구소 [1999]
  • 신명선, 국어사고도구어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수업 모형 연구: 기능통합적 수업 구성을 중심으로, 리터러 시연구 9(2)
    김은정 한국리터러시학회, pp. 331∼363 [2018]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한국어 교육학 사전》
    하우 [2014]
  • 생태학적 어휘 교육 방법 연구
    이상훈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8]
  • 생태학적 쓰기 활동이 고등학생의 쓰기 능력 및 태도에 미 치는 영향
    박준용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생태학적 변인이 국어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이상희 한국교 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생태학적 국어교육의 현실과 지향, 한국초등국어교육 22
    박인기 한 국초등국어교육학회, pp. 1∼36 [2003]
  • 생태학적 국어교육- 듣기 말하기 교육을 중심으로, 창람어 문교육 31
    김윤옥 창람어문교육학회, pp. 33∼51 [2005]
  • 생태학적 관점의 통합 문법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연구: ‘협력학습’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47
    고희성 김혜숙 국어교육학 회, pp. 188∼224 [2013]
  • 생태학적 관점의 읽기 평가 방안 연구
    유현옥 한국교원대학교 일반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생태주의적 문학교육을 위한 지향, 비평문학 46
    이재형 한국비평문 학회, pp. 333-358 [2012]
  • 생태적 담론의 교육학적 함의: 새로운 생태교육관의 모색, 교육학연구 41(1)
    노상우 한국교육학회, pp. 1∼21 [2003]
  • 생태문해력 함양을 위한 국어교육 연구
    이미연 전북대학교 일반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상호문화적 문법교육의 내용 구성 연구
    고희성 동국대학교 일반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사회과 텍스트 읽기 능력 증진을 위한 성취수준 작 성 및 수업계획의 방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뉴 리터러시 연구 (New Literacy tudies) 관점에 기초하여, 사회과교육연구 24(4)
    이승연 최정순 한 국사회교과교육학회, pp. 27∼50 [2017]
  • 비평적 문식력 신장을 위한 평전 교육 방안 연구
    한길준 한국외국 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미래 사회 대비 국어 문식성 교육의 역할과 과제, 새국어교 육 118
    원진숙 한국국어교육학회, pp. 7-41 [2019]
  • 미래 사회 국어 능력과 국어교육의 혁신, 새국어교육 109
    박인기 한국국어교육학회, pp. 191∼218 [2017]
  • 문화 융합 사회의 문식성 함양을 위한 국어교육의 대응과 과제, 국어교육연구 69
    원진숙 국어교육학회, pp. 121-160 [2019]
  • 문식성 학습과 평가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 국어교육학연구 18
    곽춘옥 국어교육학회, pp. 5∼34 [2003]
  • 문식성 연구 – 읽기 쓰기에 대한 교육 심리학적 분 석
    노명완 이차숙 박이정 [2002]
  • 문식생 재개념화와 새로운 문식성 교수 학습을 위한 방향 탐색, 청람어문교육 47
    옥현진 청람어문학회, pp. 61∼86 [2013]
  • 문법교육의 소통적 관점에 관한 고찰 -텍스트 중심성 원리 의 해석을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92
    김규훈 한국국어교육학회, pp. 35∼66 [2012]
  • 문법교육의 생태학적 평가 방안 연구 -텍스트와 맥락을 활 용한 평가 문항 개발을 위하여-, 國語敎育硏究 43
    김규훈 국어교육학회, pp. 5-34 [2012]
  • 매체언어와 국어교육
    윤여탁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 매체 생태학의 관점으로 본 독서교육의 방향, 독서연 구 30
    김성희 김혜숙 한국독서학회, pp. 41-66 [2013]
  • 리터러시 게임 활동이 초등영어 학습부진학생의 문식력과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장호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009]
  • 레오 판 리르(Leo van Lier), 김혜숙 김규훈 김혜련 역, 언어 학습의 생태학과 기호학: 사회문화적 관점으로
    사회평론아카데미 [2017]
  • 데이빗 바튼, 김영란 옥현진 서수현 역, 문식서: 문자 언어 생태학 개 론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006]
  • 대학작문에서 비판적 문식성 교육의 필요성과 방법 고찰, 대 학작문 18
    김경화 대학작문학회, pp. 45∼76 [2016]
  •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교육, 이중언어학 18
    이해영 이중언어학회, pp. 279∼301 [2001]
  • 대학 수학 목적 학습자를 위한 지식 기반 한국어 교육 연구: 이른바 ‘범용 학술어휘’의 선정과 교육을 중심으로
    황성은 배재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17]
  • 대학 내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현황 분석 연구: 교양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漢城語文學 34
    형재연 한성어문학회, pp. 387∼427 [2015]
  •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의 장르 문식성 연구
    김록희 공주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18]
  •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정의적 영역의 함의: 글쓰기 동기를 위한 정체성 탐구를 중심으로, 리터러시연구 4
    오선영 한국리터러시학회, pp. 151∼171 [2012]
  •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학술적 글쓰기’에 대한 규정 및 대학 생의 인식 양상, 작문연구 31
    이윤빈 한국작문학회, pp. 123∼162 [2016]
  •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 구성 방안
    김윤주 고려대 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내용교과의 문식력 신장을 위한 비판적 읽기 교육 연구
    조유현 서 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국어교육학의 생태학적 지평과 발전 전략, 한국초등국어교 육 13
    박인기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pp. 1∼27 [1997]
  • 국어교육의 융복합적 특성과 문식성, 국어교육연구 53(1)
    윤여탁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pp. 535∼561 [2018]
  • 국어교육의 상생적 의사소통 능력 연구
    한정현 동국대학교 일반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국어교육 평가의 관점, 국어교육학 연구 9
    이삼형 국어교육학회, pp. 257∼280 [1999]
  • 국어과 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생태적 배려 교육 연 구, 새국어교육 96
    김성희 김혜숙 한국국어교육학회, pp. 7-42 [2013]
  • 국내 출생 다문화 배경 학습자의 학업 문식성 향상 방안 연 구
    현지영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국내 대학의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현황 분석: 입학 후 과 정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19(3)
    박석준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 169∼200 [2008]
  • 국내 대학 수학 외국인 유학생 대상의 역량기반 비교과 교 육 연구
    윤지원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구성-통합 모형을 기반으로 한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능력 평가 방안 연구
    장문정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교육의 생태학적 분석: U.Bronfenbrenner의 이론을 중심으로
    강윤정 김갑성 강현출판사 [2010]
  • 교실생태학적 관점에 따른 수학교육의 방향 탐색, 초등수학 교육 14(1)
    이대현 한국수학교육학회, pp. 1∼12 [2011]
  • 교수 학습 이론의 이해
    변영계 학지사 [2005]
  • 고등학교 독서와 문법
    이삼형 ㈜지학사 [2013]
  • 각운 활용 수업을 통한 초등 영어 학습자의 문식력 신장에 대한 연구
    김연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평생학습과 학습생태계』
    한숭희 학지사 [2001]
  •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체계화를 위한 모듈식 교육과정 연구-대학 수학 목적 한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이선중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8]
  • 「상황 학습을 기반으로 한 외국인 유학생 대상 문화 문식력 교육 연구」
    황설운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공학계열 내용기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대학 입학 전 학습자를 중심으 로」
    정미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The effects of learning style based instruction on consumer skill acquisition in supported employment programs
    [2003]
  • The acquistion of academic literacy in a second language
    14 ( 1 ) [1997]
  • The academic Literacies Model : Theory and Applications
    45 ( 4 ) , pp . 368∼377 . [2006]
  • Teaching the language of academic success : a framework for school-based language policies
    [2000]
  • TOPIK 수험자의 쓰기 영역에 대한 인식과 태도 연구, 사회 언어학 26(1)
    곽준화 한국어사회언어학회, pp. 61∼81 [2018]
  • Social linguistics and literacies : Ideology in Discourses ( 2nd ed )
    [1996]
  • Rod Ellis, 선규수 역, Instructe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Learning in the Classroom
    한국문화사 [2014]
  • On competence , proficiency , and communicative language ability
    pp . 85∼96 [2000]
  • Minding Metaphors : Rethinking the Ecology of written Language
    11 , pp . 40∼50 [2011]
  • Literacy and education : understanding the new literacy studies in the classroom
    2nd edition [2012]
  • Literacy : An Introduction to the Ecology of Written Language
    [1994]
  • KSL 학습자의 학업 문식성 신장을 위한 교과 언어 교육 내 용 연구 :역사 교과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 29(3)
    신범숙 국제한국 어교육학회, pp. 117-144 [2018]
  • KSL 학습자 다문화 문식성 교육을 위한 교수 학습 방안 연구: 윤동주 시를 중심으로, Journal of Korean Culture 28
    윤보은 주재환 한 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pp. 5∼34 [2015]
  • H. Douglas Brown, 이흥수 외 역, 외국어 학습 교수의 원리, Pearson Education Korea
    Ltd [2007]
  • H. Douglas Brown, 권오량 김영숙 공역, 원리에 위한 교수, Pearson Education Korea
    Ltd [2008]
  • Gilja Byun, Study Skills, Academic Literacy or Academic Literacies in English for Academic Purposes
    언어학연구 16(1), pp. 103∼110 [2011]
  • Fundamental Considerations in Language Testing
    [1990]
  • Exploration of Family-Centered Approach to Early Intervention : Perceptions of Early Intervention Professionals
    [2017]
  • Effect of Degree of RTI/MTSS Implementation on Reading and Mathematics Achievement Growth in a Metropolitan School District
    [2017]
  • Ecological Literacy
    [1992]
  • Breaking the language barrier
    [1991]
  • BICS and CALP : Empirical and theoretical status of the distinction , In Encyclopedia of language and education
    pp . 487 ∼499 [2008]
  • Aspects of the Theory of Syntax
    [1965]
  • Academic Literacy and Self-efficacy in Adult students Preparing for Tertiary Study
    [2012]
  • A case study of the patterns of practice used to provide access to the general curriculum for secondary students with disabilities
    [2004]
  • A Model of Academic literacy for Integrated Language and Content InstructionHandbook of reresearch in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2005]
  • 21세기 문식력(literacy)과 ‘대학글쓰기’ 교육에 대하여, 리터 러시연구 18
    이창덕 한국리터러시학회, pp. 11∼43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