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교사 협의를 통한 보육교사와 원장의 반성적 사고와 실천 변화 연구 = A Study on Changes in Reflective Thinking and Practice through Teacher Consultation between Child Care Teachers and Directors

고영숙 2020년
논문상세정보
' 교사 협의를 통한 보육교사와 원장의 반성적 사고와 실천 변화 연구 = A Study on Changes in Reflective Thinking and Practice through Teacher Consultation between Child Care Teachers and Director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교사 협의
  • 반성적 사고
  • 보육교사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882 0

0.0%

' 교사 협의를 통한 보육교사와 원장의 반성적 사고와 실천 변화 연구 = A Study on Changes in Reflective Thinking and Practice through Teacher Consultation between Child Care Teachers and Directors' 의 참고문헌

  • 효율적인 자유선택활동시간 운영을 위한 교사의 놀이개입에 관한 이론적 탐구
    권말순 서현아 인문학논총, 12(1), 97-113 [2007]
  • 협력적 멘토링에서 나타나는 멘토의 멘토링 특징과 멘티의 반성적 실천 사이의 관계
    박지훈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함께 크는 삶의 시작
    정병호 서울: 또 하나의 문화 [2006]
  • 한국형 수업컨설팅
    민혜리 심미자 윤희정 서울: 학이시습 [2012]
  • 학습국가 건설의 방향과 과제. 학습국가로의 도향, 평생교육 이 해법이다. 연구자료 Rm 2004-32
    이종재 한국교육개발원 [2004]
  • 학교내 교사학습공동체 수준과 교수효과성과의 관계
    조윤영 서울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학교교육 내실화 방안연구(Ⅱ)-좋은 수업사례에 대한 질적 접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김주훈 연구보고 RR-2002-4-1 [2002]
  •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사례연구
    서경혜 한국교원교육연 구, 25(2), 53-80 [2008]
  •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서울: 두산동아 [2008]
  • 평생학습과 학습 생태계
    한승희 서울: 학지사 [2001]
  • 초임교사의 학습공동체[Form isolationto conversation: Supporting new teachers’ development]. (조부경, 백은주, 고영미 역). 경기: 양서원
    Babinski, l. M. Rogers, D. L. (원저 2002 출판) [2005]
  • 참여관찰 방법[Participation observation]. (이희 봉 역).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Spradley, J. P. (원저 1980 출판) [1988]
  • 질적자료 수집: 생애사 연구자료를 중심으로
    최영신 교육인류학연 구, 2(2), 1-22 [1999]
  • 질적연구방법론 Ⅰ
    김영천 서울: 문음사 [2008]
  • 질적 사례 연구법[Case study in education]. (허 미화 역). 서울: 양서언
    Merriam, S. B. (원저 1988 출판) [1994]
  • 장학론
    이윤식 서울: 교육과학사 [1999]
  • 장학론
    정태범 파주: 교육과학사 [1996]
  • 잎새 어린이집 교사의 액션러닝 기반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경험과 그 의미
    박소영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의과대학 문제중심학습에서 성찰 유형 및 문제중심 학습 경험수준에 따른 성찰의 수준 분석-비판적 성찰을 중심으로
    기창원 박인우 장선영 교육공학연구, 26(1), 145-185 [2010]
  • 유치원 지구별 자율장학 협의회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요 구조사
    박현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유치원 원장의 지도성 유형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박정선 전예화 인제논총, 14(1), 425-435 [1998]
  • 유치원 원감의 원내 컨설팅을 통한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 장
    김주영 배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유치원 운영자의 페다고지스타로서의 역할 의 의미
    서영숙 서혜정 조채연 열린유아교육연구, 15(2), 199-231 [2010]
  • 유치원 교육과 교사의 수업 전문성
    김영옥 한국교원교육연구, 18(1), 15-43 [2001]
  • 유치원 교사의 현직교육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황병진 원광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 유치원 교사의 수업전문성 측정도구 타당화 연구
    김지영 윤진주 아동교육, 21(4), 31-49 [2012]
  • 유치원 교사의 발달수준과 관련된 교사 배 경 변인에 관한 연구
    고영미 백은주 조부경 교육과학연구, 36(1), 281-297 [2005]
  •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육 학습공동체 형성 및 참여양상
    고영미 한 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 불안에 영향을 주는 교사 내, 외적 요인
    고영미 조부경 한국과학교육학회, 24(2). 267-276 [2004]
  • 유치원 교사가 되어가는 과정에 관한 이야기
    이명순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00]
  • 유아행동 관찰법
    송연숙 정혜영 황해익 서울: 창지사 [2008]
  • 유아주도 자유놀이 원내 컨설팅을 통한 교사의 변화
    백진영 배재 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유아교육에서의 질적연구
    김영천 이용숙 서울: 교육과학사 [1998]
  •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
    신동주 이영자 서울: 창지사 [2006]
  •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
    임재택 서울: 양서원 [2001]
  • 유아교육과정의 재개념화
    신옥순 염지숙 서울: 창지사 [2000]
  • 유아교육과정
    이기숙 서울: 교문사 [2013]
  • 유아교육 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연구
    백혜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0]
  • 유아교사의 현직교육 인식 및 요구에 관한 연구
    이민선 배재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유아교사의 자유선택활동 운영에 대한 반성적 저널 의미 탐 구
    박영수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유아교사의 자유선택활동 운영에 대한 반성적 저널 쓰기의 의미 탐구
    박영수 정계숙 교육혁신연구, 25(1). 29-58 [2015]
  • 유아교사의 수업평가 도구개발 연구: 대집단 이야기 나누기 와 소집단 조형활동 수업
    박승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유아교사의 발달을 돕는 장학
    백은주 서소영 조부경 서울: 양서원 [2001]
  • 유아교사론
    배소연 이은화 조부경 서울: 양서원 [1995]
  • 유아교사론
  • 유아교사론
  • 유아교사가 바라본 구성주의 교사 교육의 의미에 대한 내러 티브 탐구
    조채연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유아교사 수업 전문성 신장의 실제. 한국열린유아교육학 회
    임승렬 춘계학술대회발표집, 11-36 [2009]
  • 유아교사 교육에서 저널쓰기 활용에 대한 고찰
    박은혜 한국교사교 육, 16(2), 195-216 [1999]
  • 유아 주도적 학습이 유아의 창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최윤희 계 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3]
  •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에 관한 연구
    정현숙 상지영서대학 논문집, 제 21집, 211-241 [2002]
  • 영아전담 어린이집 자유놀이시간에 관한 교사협의회 연구
    김미경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열린어린이집 가이드라인
    서울: 여성가족부 [2015]
  • 어린이집의 복수담임제에 대한 복수담임 학급 학부모의 인식
    이미선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어린이집 평가 매뉴얼
    서울: 여성가족부 [2019]
  • 어린이집 원장의 현직교육 경험과 요구
    강순자 경남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13]
  • 어린이집 원장의 “교사협의”운영 경험에 관한 연구
    최가영 숙명여 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의 요구에 따른 맞춤형 수업컨설팅 실 행
    이진옥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액션러닝 기법을 적용한 어린이집 교사 교육 프로그램 실행 과 그 의미
    이은지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아동중심 교육 관점에서 본 유아교육의 방향 탐색
    김규수 교원교 육, 23(3), 29-44 [2007]
  •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 평가에 관한 연구: 평가주체, 평가기준 및 결과 활용을 중심으로
    나승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 논문 [2005]
  • 수업을 중심으로한 ‘배움의 학교공동체’ 형성에 관 한 연구 : 부산 B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전현곤 한대동 교육학연구, 47(1),119-144 [2007]
  • 수업 전문성의 두 측면: 기술과 이해
    유힌구 한국교사 교육, 18(1), 69-84 [2001]
  • 수업 반성을 통한 초등교사의 체육교수활동 변화
    조순묵 서울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 쇤 (DA Schon) 의 실천적 인식론에 나타난 교육적 실습의 조건 분석
    전정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 생명의 그물[The web of life: A new scientific understanding of living system]. (김용정, 김동관 역). 서울: 범양 사
    Capra, F. (원저 1996 출판) [1998]
  • 산업단지형 공동직장어린이집 운영에 대한 연구
    양혜진 숙명여자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비고스키의 사회 속의 정신-고등 심리 과정의 발달[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 (조희숙, 황해익, 허정선, 김선옥 역). 서울: 양서원
    Vygotsky, L. S. (원저 1978 출판) [2000]
  • 보육시설종사자 경력 및 호봉체계 개선방안연구
    서 울: 여성가족부 [2007]
  • 보육시설장이 바라보는 보육시설 운영과정에서의 보육 본질의 의미
    서영숙 양영아 열린유아교육연구, 10(3), 57-78 [2009]
  • 보육교사의 전문성 증진과 전문 인력의 확대 방안
    이혜영 홍금자 한국영유아보육학, 52(3), 125-154 [2008]
  •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 실행경험에 대한 내러 티브 탐구
    구은미 정혜영 한국아동권리학회, 20(2), 199-221 [2016]
  • 보육교사와 시설장의 보수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연구
    김경희 김문정 이미화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1). 177-205 [2010]
  • 배움과 돌봄의 학습 공동체
  • 발달적 장학을 통한 유아교사의 과학교육에 대한 관점 및 교수실제의 변화과정
    백은주 조부경 유아교육연구, 21(1), 269-290 [2001]
  • 반성적 사고와 유아 교사 교육
    박은혜 유아교육연구, 16(1), 56-65 [1996]
  • 반성적 사고에 기초한 저널쓰기를 바탕으로 현직 음악교사 의 반성적 사고 과정 탐색
    이솔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 반성적 사고에 기초한 유치원 교육실습과 예비교사의 발달 적 변화
    유흥옥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문제중심학습: 또 하나의 구성주의적 교수-학습 모형
    강인애 서 울: 교육과학사 [1997]
  •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서영숙 서지영 서울: 학지사 [2002]
  • 레지오 알아가기: 한국에서 레지오 교육의 재구성
    오문자 서울: 정민사 [2010]
  • 두레마을의 형성과 교육
    유성상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 동학년회의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교사의 인식
    황현숙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동학년 협의회를 활용한 초등교사의 전문성 신장 방안 연 구
    남윤경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동료장학실행수준에 따른 보육교사 전문성 발달
    김휘경 숙명여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구성주의이론에 기초한 유아과학교육
    김정준 이경우 조부경 서 울: 양서원 [1999]
  • 교직 생애 주기에 따른 교원 연수 체제에 관한 연구
    이병진 교육 학연구, 34(1), 315-345 [1996]
  • 교재.교구 경험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이해
    유혜령 한국유아교육학- 회 1998년도 연차학술대회: 유아교육에서의 질적연구. pp.113-135 [1998]
  • 교장학의 이론과 실제
    김동희 서성옥 서정화 이수임 서울: 교육 과학사 [2002]
  • 교육행정학원론
    윤정일 서울: 학지사 [2002]
  • 교육행정학원론
  • 교육행정의 이론과 실제
    김종철 서울: 교육과학사 [1994]
  •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김달효 서울: 학지사 [2011]
  • 교육개혁을 디자인한다. (손우정 역) 서울: 공감
    さとまなぶ (원본 출간일 1999) [2001]
  • 교원 전문성과 질의 개념 및 개선전략 탐색
    김혜숙 교육학연 구, 41(2), 93-114 [2003]
  • 교사학습공동체
    서경혜 서울: 학지사 [2015]
  • 교사전문성 기반 교사 발달 진단도구의 개발과 분석
    김태영 강원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교사론
    권상혁 정일환 서울: 교육출판사 [1996]
  •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서의 교사학습공 동체의 가능성과 한계
    서경혜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243-276 [2009]
  • 교사 자율 연구모임을 통한 교사 전문성 성장과정
    김성천 성균관 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교사 교육에 대한 구성주의적 접근
    김병찬 교육행정학연구, 18(4), 275-304 [2000]
  • 교과별 교사모임을 통한 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관한 연구: 전국역사교사 모임을 중심으로
    이선숙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공학기술과 리더십
    김석우 이상호 경기: 지호출판사 [2008]
  • 공동체 인식에 비추어 본 어린이집 조직문화 연구
    박은미 숙명여 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12]
  • 『21세기의 학교조직경영론』
    윤종건 서울: 원미사 [1999]
  • “John Dewey의 교육철학과 지성”
    박준영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1987]
  • “ 학교태에 대한 도전으로서의 페미니스트 교육론 ”
    정민승 교육 원리연구 35(1). pp. 257-278 [2000]
  • ‘좋은’ 유아교사의 의미 탐구
    최옥자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유아주도 교육’을 지향하는 유치원 교사 협의체 경험 연구
    이유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Whole-Faculty Study Group : Creating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hat Target Student Learning
    3rd . ed [2005]
  • Who will save our school ? Teachers as constructivist leaders
    [1997]
  • Who is more reflective ? Inservice or preservice teachers ? (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 ED 422-320 [1997]
  • What is “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
    61 ( 8 ) , 6-11 [2004]
  • Using study groups to create a professional community
    37 ( 1 ) , 62-66 [1993]
  • Using journal writing to enhance reflective practice
    2001 ( 90 ) , 9-18 [2001]
  • Thearch preparation : Structure and comceptual alternatives ,Handbook of reserch on teacher education
    [1990]
  • The young child as scientist :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1991]
  • The role of supervisor : Meeting the needs of early childhool preservice teahers
    No . ED 388 637 [1994]
  • The role of a teacher study group in negotiationg constructivist science teaching in an elementary school
    [2000]
  • The reflective journal : A window to preservice teacher ’ s practical Knowledge
    11 ( 3 ) , 229-242 [1995]
  • The professional early childhood teacher
    39 , 3-10 [1984]
  • The fifth discipline .
    [1990]
  • The envelopment of thought : Equilibration of cognitive structures
    [1970]
  • The effech of imporoving Preschool teacher/child ratios : An experiment in nature
    41 , 123-138 . [1994]
  • The Tone of Teaching. ‘가르친다는 것’의 의 미. (정광순, 김선영 공역) 서울: 학지사
    Max van Manen (원본발간일 2002년) [2012]
  • The Reflective Practitioner , How Professionais think in action
    [1983]
  • The Concept of Intelligence in John Dewey ’ s Philosophy and EducationalTheory
    Vol . 19 , Spring . [1969]
  • Teaching : Foundation for thr principalship ,
    [1989]
  • Teachers as designers in self-directed professional development . In A. Hargreaves & M. G. Fullan ( Eds . ) , Understanding teacher development
    pp . 75-84 [1992]
  • Teachers : Their world and their work
    [1984]
  • Teacher self-appraisal and appraisal of self. In R. P. Lipka & T. M. Brinthaupt(Eds). The Role of self in Teacher Development (pp. 121∼141). Albany
    Tickle, L. NY : State University of New YO가 Press [1999]
  • Taking learning scriously
    [1987]
  • Synthesis of research on teachers ’ reflective thingking
    48 ( 6 ) , 37-44 [1991]
  • Studying teachers in early childhood settings contemporary perspectiv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formation Age Publishing
    U.S.A [2003]
  • Staff requirements in the early child educationEarly Childhood Education
    pp . 344-355 [1982]
  • Sergiovanni, T. J., & Starratt, R. J.(2001). Supervision: A redefinition(7th ed.). M.Y.: McGraw-Hill. (1994)
  • Schools as Professional LearningCommunities :Collaborative Activities ans Strategie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2003]
  • Reflective teaching : The studyofyourconstructivist practices.EnglewoodCliffs : PrenticdHallInc
    [1996]
  • Reflective practice for educators .
    [1993]
  • Reflective decision making : theComerstone of school reform
    13 ( 1 ) , 2-7 . [1994]
  • Reflection in lear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 Theory and practice London Sterling
    [2013]
  •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methods
    [1994]
  • Professional learningCommunities :Communities ofContinuous inquiry and improvement
    No . ED 410 659 ) [1997]
  •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eacher learning : Mapping the terrain
    33 ( 8 ) , 3-15 [2004]
  • Professional LearningCommunities at Work : Best Practices for Enhancing Student Achievement
    [1998]
  • Planning and administering earlyChildhood programs ( 8th ed. )
    [2005]
  • Planning and administering earlyChildhood programs ( 7th Ed )
    [2001]
  • On the nature of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 0Difficult practices that look easy
    51 ( 3 ) , 228-233 . [2000]
  • Novice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 An alternative to one-on-one mentoring American Secondary Education
    31 ( 1 ) , 27-42 [2002]
  • Naturalistic inquiry
    [1985]
  • Management of early childgood service : An Australian perspective
    [1996]
  • Management of child development centers
    [1993]
  • Lortie의 ‘교직사회: 교직과 교사의 삶’ 재조명: 학교 변화사 례를 중심으로
    정바울 한국교원교육연구, 제 28집. 167-188 [2011]
  • Linking ways of knowing with ways of being practial
    6 ( 3 ) , 205-228 [1997]
  • Learning more about learning inproves teacher effectiveness
    10 ( 2 ) , 151-171 [1999]
  • John Dewey의 반성적 사고와 창의성 교육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박영근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 John Dewey의 반성적 사고와 창의성 교육
    박영근 천정미 대한사 고개발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pp.37-47 [2003]
  • In defense of the lifeworld : Critical perspectives on adult learning
    [1995]
  • Improving Schools from within .
    [1990]
  • How we think : A re-statement of the relation of rdflective thinking to the educative process
    [1933]
  • Governing morals : A social history of moral regulation
    [1999]
  • Facilitating reflectiv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1998]
  • Enhancing preservice teacher ’ s sdlf-efficacy through a field-based program of reflective practice
    No . ED 354 232 ) [1992]
  • Dewey의 교육의 개념에 대한 고찰
    노진호 교육학연구, 19권, 145-164 [1996]
  • Developing and sustaining critical reflection in teacher education
    40 ( 2 ) , 2-9 . [1989]
  • Cross-Cultural Capability and Global Perspectives : Curriculum Development for Global Citizenship in c.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Graduates as Global Citizens
    [2007]
  • Critical inquiry into emergent oriented curriculum pracice
    24 , 37-50 [2003]
  • Creating effective study groups for principals
    55 ( 7 ) , 41-44 [1998]
  • Constructivism : Theory , perspectives , and practice
    [1996]
  • Conflict , Age & Power in North East Africa : Age Systems in Transition
    23 ( 3 ) . 94-95 . [1998]
  • Classroom renewal through teacher reflection
    15 ( 1 ) , 24-28 . [1994]
  • Chicago: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 Building Schllo-based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 Professional stategies to inprove student achievement
    [2006]
  • Banking on Teachers
    47 ( 1 ) , 1 [2004]
  • An expert teacher ’ s thinking and teaching and instructional design models and principles : An ethnographic study
    46 ( 2 ) , 37-64 . [1998]
  • Adult learners , adult education , and thr community
    [1983]
  • Adult education as vocation : A critical for the adult educator
    [1991]
  • A critical theory of adult learning and education
    32 ( 1 ) , 3-24 [1981]
  • 4차 산업혁명시대, “인성이 실력이다”
    김진홍 조벽 http://blog.daum.net/ksinews/12324169 [2019]
  • (지식 기반 사회에서의) 유아 교사의 지식.
    박은혜 서울: 창지사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