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타당도 제고를 위한 증거 중심 읽기 평가 설계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of Evidence-Centered Reading Assessment to Improve Validity

오규설 2020년
논문상세정보
' 타당도 제고를 위한 증거 중심 읽기 평가 설계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of Evidence-Centered Reading Assessment to Improve Validity'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ecd
  • 교육평가
  • 국어교육
  • 읽기평가
  • 증거 중심 설계
  • 타당도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257 0

0.0%

' 타당도 제고를 위한 증거 중심 읽기 평가 설계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of Evidence-Centered Reading Assessment to Improve Validity' 의 참고문헌

  • 창의성 교육. 창의적 문제해결력 계발과 교육 방법 
    성진숙 이혜주 조연순 이화여대 출판부 [2008]
  • 형성평가의 재인식에 따른 교사와 학교교육의 변화를 위한 제언
    성태제 임현정 교육평가연구, 27, 597-615 [2014]
  • 협력적 문제해결력 교수 학습 및 평가를 위한 PISA 와 ATC21S 의 특징 비교 분석
    박혜영 임해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 439-462 [2014]
  • 혁신학교 독서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 경기도 S지역 5개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이재연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4]
  • 행렬표집가교문항설계의 대규모시험에서 베이지안 IRT 동등화의 최적 사전정보 탐색
    남현우 교육평가연구, 26, 823-844 [2013]
  • 핵심역량과 국어과 교육과정의 연계 가능성 탐색-PISA 2009 읽기 영역을 중심으로
    이은하 최은정 아시아교육연구 16(2), 201-230 [2015]
  • 핵심역량 신장을 위한 교실수업에서의 학생평가 방 안: 의사소통 역량과 공동체 역량을 중심으로
    구남욱 이인화 이정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 고 RRE-2016-10 [2016]
  • 핵심역량 신장을 위한 교과별 평가자료 개발 및 적용 – 의사소통 역량과 공동체 역량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과정평 가원
  •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및 교수 학습, 교육평가 개선 방안 탐색 세미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ORM-2013-079 [2013]
  • 한국어교육학: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 과제 유형 개 발 연구-다국면 라쉬 모형과 일반화가능도 이론 적용을 중심으로
    김상경 박동호 새국어 교육, 100, 115-141 [2014]
  • 한국어 읽기 교육을 위한 텍스트 난이도 측정법 연구
    구민지 가톨릭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3]
  • 한국어 쓰기 수행 평가 신뢰도 추정 연구-일반화가능도 이론, 알파 계수 및 채점자 사후 설문조사를 사용하여
    이은하 국어교육, 149, 241-277 [2015]
  • 한국어 서답형 문항 자동채점 프로그램 개발 및 실용성 검증
    노은희 성경희 이상하 임은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6. 2014 [2014]
  • 학문 목적 기초 한국어 쓰기 능력 평가 척도 개발과 타당성 검증
    김성숙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1]
  • 프랑스어 읽기 평가 문항 비교 연구 - 미, 영, 일, 한 대학입학시험 을 중심으로
    김수영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6]
  • 표집평가 전환에 다른 국가수 준 학업성취도 평가 개선 방안 연구
    김명화 김희경 박민규 서민희 임효진 정혜경 한국교육과정평가원 RRE 2018-9 [2018]
  • 표준화 독서 능력 검사도구 개발 연구 Ⅱ
    서혁 윤준채 독서연구, (24), 289-312 [2010]
  •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중학교 국어과 읽기 영역 수행평가 방안 연 구
    유서진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읽기 수행평가 방법 연구
    조미화 진주교육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2]
  • 포트폴리오 평가에 관한 분석적 고찰
    배호철 사회과학논총, Vol.4 pp. 163-190 [1998]
  • 평가자 일관성에 따른 설명문 평가 예시문 선정의 차이 연 구
    박영민 박종임 작문연구, 14, 301-338 [2012]
  • 평가에 대한 태도 척도(SATA-Q) 개발 및 타당화: 총괄 및 형성평 가에 따른 비교
    노현종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7]
  • 평가방법 개선을 위한 국내외 수행평 가 비교분석 연구
    김재영 민경석 손원숙 양길석 이은상 서교연,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2013-67 [2013]
  • 평가 대상 어휘의 선정
    송창선 국어교육연구, 30, 85-100 [1998]
  • 특집 : "국어 시험"의 현황과 개선 방안 ; 국어 시험의 현황과 개 선 방안, 國語敎育學硏究
    노명완 국어교육학회 [2004]
  • 텍스트언어학과 언어교육; 읽기 연구에서 텍스트 이론의 영향과 그 교육적 전개-미국에서의 읽기 연구를 중심으로
    김혜정 텍스트언어학, 17, 95-122 [2004]
  • 텍스트 이해의 과정과 전략에 관한 연구
    김혜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2002]
  • 텍스트 난이도에 따른 핵심 어휘와 그 관계망 변화에 대한 연구
    길호현 이삼형 우리말연구, 53, 179-221 [2018]
  •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 적요인분석의 비교에 관한 연구
    유연우 최창호 디지털융복합연구, 15(10), 103-111 [2017]
  • 컴퓨터활용교육: 컴퓨터 적응형 알고리즘을 이용한 웹기반 시험 시 스템 설계 및 구축
    조성호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7(6), 69-76 [2004]
  • 컴퓨터 기반 문제해결 평가 도구 개 발,
    박은아 서민희 이문복 이상하 최혁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RRE 2012-5-1 [2012]
  • 초등학생의 추론적 읽기 양상 연구
    문정미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4]
  • 초등학교 핵심역량 기반 영어 수행평가 모형 개발 및 적용
    이수영 한국교 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6]
  • 초ㆍ중ㆍ고등학교에서의 독서 평가와 작문 평가
    최지현 독서연구, (28), 142-174 [2012]
  • 초, 중등학교 국어과 평가의 실태와 개선 방안; 국어과 평가의 반 성과 전망
    박인기 국어교육학연구, 32, 5-31 [2008]
  • 채점의 일관성 유형에 따른 국어교사의 쓰기 평가 특성 분석
    장은주 한국 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5]
  • 창의적 읽기 능력 신장을 위한 지도 방법 연구
    차수미 서울교육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 창의적 인재 역량과 인성 함양을 위한 협력형 수행평가 현장 적용 연구 : 중학교 국어교과 사례
    성유미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7]
  • 창의적 인재 역량 측정을 위한 구인 탐색 및 척도 개발
    주언희 지은림 교 육평가연구, 25, 69-94 [2012]
  • 창의적 문제해결의 교육적 이해, 교육심리연구, 제15호
    박병기 한국교육 심리학회, 63-64쪽 [2000]
  • 창의적 문제해결과 읽기 교육
    서정혁 사고와표현, 5(2), 67-91 [2012]
  • 진단, 선발, 분류에 대한 의사결정에 있어서 Bayes' Theorem의 적 용 가능성 및 교육적 함의
    박태학 아시아교육연구 12권 4호, pp. 193-216 [2011]
  • 중학생의 독서 감상문 쓰기 수행 양상 분석
    최나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8]
  • 중학생의 독서 감상문 수행 양상 연구
    최지은 청람어문교육, 63, 259-282 [2017]
  • 중학생 학습자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인지적 영역 성취기준 개발
    김종윤 오은하 옥현진 국어교육연구, 41, 81-112 [2018]
  • 중학교 학생의 국어 수학 학업성취 프로파일에 영향을 미 치는 비인지적 특성 탐색
    김희경 한정아 교육평가연구, 31, 1-27 [2018]
  • 중학교 영어읽기능력 평가문항 난이도 변인 연구
    정희정 중앙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 논문 [2008]
  • 중학교 국어과 읽기 평가 개선 방안 연구 : 중학교 1학년 읽기 영 역을 중심으로
    김성환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 중학교 국어과 수행평가의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구민경 경남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6]
  • 중학교 국어과 수행평가의 실태와 개선 방안 연구
    이혜자 순천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1]
  • 중학교 국어과 서술형 평가의 현황 분석과 개선 방안 연구
    윤지원 한양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 중등학교 수행평가 정책 실행 모니터링 및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중등 학생의 국어 문장 이해도 검정에 관한 연구
    이상태 국어 교육연구, (22) [1990]
  • 중 1 수학 검사자료를 사용한 통계적 능력진단모형의 개발 과 활용
    김성호 김은희 교육평가연구, 8, 153-181 [1995]
  • 준거지향평가 기준 설정을 위한 Rasch 방법의 숙달 학습자 판정 일치도-원점수 및 Angoff 방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백순근 최인희 교육평가연구, 19, 157-178 [2006]
  • 주제별 통합 독서(신토피컬 리딩)의 의미와 독서교육적 맥락
    박정진 독서 연구, (32), 191-212 [2014]
  • 주제발표: 주제 발표 2;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개선을 위한
    김혜정 한국어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0(1), 245-274 [2010]
  •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SPSS AMOS 21
    노경섭 서울: 한빛 아카데미 [2014]
  •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과 읽기․쓰기 수행평가 연구(Ⅰ)
    곽재용 류성기 이원희 천경록 한국초등국어교육, Vol.20 No.- [2002]
  • 제 1 차 국제학술대회; 국어과 서술형 평가 문항 개발 및 채점 방 법 사례 연구.
    이영진 국어교육학연구, 45, 447-483 [2012]
  • 정보 전달매체 (SNS vs. 종이 인쇄물) 에 따른 학습자의 읽기수행능력 비교 연구
    최명원 홍성완 텍스트언어학, 41, 351-376 [2016]
  • 절대평가 기준 설정을 위한 문항반응이론의 적용
    지은림 교육발전연구, 14, 155-164 [1998]
  • 작문 평가 문항의 내용타당도 및 지식의 깊이 분석
    박수진 서강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8]
  • 읽기의 의미와 읽기 과정 모형에 대한 고찰
    천경록 청람어문교육, 38, 239-271 [2008]
  • 읽기의 맥락과 맥락 읽기
    김혜정 독서연구, (21), 33-79 [2009]
  • 읽기의 개념과 읽기 지도의 문젯점
    노명완 교육한글, (3), 5-44 [1990]
  • 읽기교육에서 텍스트 의미 추론의 이론과 실제
    김봉순 텍스트언어학, 38, 1-25 [2015]
  • 읽기(독서) 교육 체계화를 위한 텍스트 복잡도(Text Complexity) 상 세화 연구 (1)-텍스트 복잡도 연구의 비판적 고찰을 중심으로
    서혁 국어교육학 연구, 42, 433-460 [2011]
  • 읽기 평가틀에 대한 비교 연구
    노명완 박창균 교육과정평가연구, 9(1), 159-184 [2006]
  • 읽기 평가의 개선 방향 연구
    이상문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 문 [2001]
  • 읽기 텍스트 유형에 따른 교재 구성 방식 연구
    김희경 한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0]
  • 읽기 이해력 평가도구의 타당화 연구: 초등학교 저학년을 중심으로
    김명순 박찬화 한국아동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120-120 [2008]
  • 읽기 영역의 포트폴리오 평가 방안
    천경록 한국초등국어교육, 2001, pp. 169-222 [2001]
  • 읽기 쓰기 통합 활동에서 의미 구성의 내용과 이행과정 연구
    김혜정 독서 연구, (11), 141-180 [2004]
  • 읽기 수업에서의 질문 들여다보기-비판적 창의적 질문을 중심으로
    박정진 윤준채 독서연구, (12), 119-144 [2004]
  • 읽기 소양에 대한 국어수업방식과 학습전략의 영향 에 대한 구조적 분석
    김민희 이인회 이지혜 열린교육연구, 22, 97-118 [2014]
  • 읽기 선다형 문항의 변별도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국가수준 학업 성취도 고등학교 읽기 문항을 중심으로
    길호현 국어교육연구, 59, 1-44 [2015]
  • 읽기 문항 독해 상황에서의 읽기 전략 사용 양상 연구
    변혜경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 읽기 능력의 수행 평가
    천경록 국어교육, 100, pp.201-224 [1999]
  • 읽기 능력 검사 개발 연구 (1): 읽기 능력 검사의 하위 영역 설정 연구
    서수현 서혁 국어교육, 123, 213-242 [2007]
  • 읽기 교육에서의 콘텍스트: 의미와 적용, 독서연구 제19호
    박정진 이형래 한국독서학회, 9~31쪽 [2009]
  • 읽기 교육 평가 연구의 동향과 성과
    이도영 교과교육학연구, 11, 195-212 [2007]
  • 읽기 교육 내용과 지식의 깊이
    천경록 독서연구, 21, 319-348 [2009]
  • 읽기 (독서) 교육 체계화 를 위한 텍스트 복잡도(Degree of Text Complexity) 상세화 연구 (2)
  •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이용한 쓰기 평가의 오차원 분석 및 신뢰도 추정 연구
    조재윤 국어교육, 128, 325-357 [2009]
  • 일반화가능도 이론과 FACETS 모형을 적용한 채점모형 개 발 연구-음악 실기평가를 중심으로
    김성숙 채선희 교육과정 평가연구, 1(1), 31-44 [1998]
  • 일반화가능도 이론 적용을 중심으로 한 말하기 평가도구 타당도 검증 연구
    신동일 Vol 17, No. l [2001]
  • 인터넷 뉴스 리터러시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진수민 한국교원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9]
  • 인지진단평가를 활용한 독해 능력 프로파일 분석과 맞춤형 읽기 교육 연구 : 일반계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김태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 논문 [2019]
  •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학업성취 프로파일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 원
    김희경 RRE 2012-7 [2012]
  •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학업성취 프로파일 분석 및 결과 보고 방 안
    김희경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학업성취 프로 파일 분석 및 결과 보고 방안.
    김부미 김희경 최숙기 한정아 연구보고 RRE 2012-7 [2012]
  • 인지적 요소가 읽기 문항의 난이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길호현 한양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6]
  • 인식론적 프레임 학습을 위한 컴퓨터 기반 교육프로그램 프 로토타입 개발 : 학습분석 중심으로
    서동기 최윤영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3, 23-29 [2018]
  • 이정요 이동일 류은수 신수경 진현 이유진, 교 과 통합적 ‘한 학기 한 권 읽기’를 위한 제반 여건 탐색
    김영란 김영희 송승훈 하고운 독서연구, 49, 193-227 [2018]
  • 이성만 역, 『텍스트언어학의 이해』
    Brinker K. 한국문화사 [1994]
  • 웹을 활용한 수행평가가 평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국어 교 과를 중심으로
    장윤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웹을 활용한 국어교과 수행평가 시스템의 설계 및 구축
    문세정 동국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0]
  • 요인 분석을 통한 쓰기 평가의 준거 설정에 대한 연구
    서수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8]
  • 온라인 다문서를 활용한 글쓰기 과제에서 나타난 읽기 쓰기 전략 연구
    이지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6]
  • 오철우 역, 『온도계의 철학』- 측정 그리고 과학의 진보
    장하석 동아시 아 [2013]
  • 예비 국어 교사의 읽기 영역 평가 문항 개발 양상 분석: 예 측하며 읽기 성취기준의 지필평가 문항을 중심으로
    박준용 백혜선 독서연구, Vol.0 No.37 [2015]
  • 영어 쓰기 검사의 준거 설정 방안
    구슬기 이용상 중등영어교육, 11(4), 147-163 [2018]
  • 언어영재성 판별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 (1)-평가 준 거 및 기준 산출을 위한 이론적 검토
    이정숙 이충우 최지현 국어교육, 121, 163-195 [2006]
  • 언어 사용 기능 평가의 지향과 과제
    윤희원 이성영 교육한글, (3), 65-86 [1990]
  • 어휘력 평가의 실제
    이문규 국어교육연구, 30, 101-140 [1998]
  • 어떻게 이데올로기가 담화를 통해 실현되는가?-Christopher Hart, 김동환ㆍ이미영 옮김,[담화, 문법, 이데올로기: 인지언어학과 비판적 담화분 석](로고스라임, 2017)-
    송현주 어문론총, 78, 587-593 [2018]
  • 아이트래커를 활용한 중학생의 다문서 읽기 양상 분석
    최숙기 독서연구, 39, 159-191 [2016]
  • 쓰기 채점 방식에 따른 국어교사의 채점 신뢰도 비교 연구
    권태현 교원교 육, 28(3), 113-134 [2012]
  • 쓰기 수행평가에서 동료평가자간 신뢰도 분석
    오택환 국어교육연구, 47, 91-116 [2010]
  • 실천적 독서 평가 강의의 가능성 탐색을 위한 실행연구
    김종윤 독서연구, 38, 189-224 [2016]
  • 수행평가의 타당성 연구
    남명호 교육평가연구, 8, 115-143 [1995]
  • 수행평가의 이론적 기초
    백순근 초등교과교육연구, 3, 26-49 [1999]
  • 수행평가 현장 적용 개선 방안
    김명화 김소영 서지영 KICE Position Paper, 한국교육과정평가원 ORM 2010-4-2 [2010]
  • 수행평가 방법 개선을 통한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효율적인 독서교 육 방안
    김병철 나랏말쌈, 16, 80-100 [2001]
  • 수학 문제해결 역량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김혜미 성균관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7]
  • 설명적 글 읽기를 위한 독해 전략-수능 국어 시험의 지문 유형을 중심으로
    김혜정 우리말연구, 50, 141-170 [2017]
  • 선택형 지필 평가의 한계와 가능성
    최지현 국어교육, 103, 107-131 [2000]
  • 서울시 교육특구와 이외 지역 중학교 영어과 정기고사의 서답형 문항 비교 분석 - Bachman & Palmer의 과제특성(task characteristics)을 기반으로
    이혜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9]
  • 상황 기반 리터러시 평가를 위한 시론
    서수현 옥현진 유상희 교과교육학 연구, 22, 264-273 [2018]
  • 사회과 보고서 수행평가를 위한 총체적 채점과 분석적 채점의 비 교
    지은림 교육평가연구, 12, 11-24 [1999]
  • 비판적 사고력 측정을 위한 읽기 평가의 방향
    윤준채 독서연구, (20), 83-110 [2008]
  • 비판적 담화분석을 활용한 읽기 교육 연구
    김유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 논문 [2014]
  • 비판이론의 학술적 공헌과 실천적 함의.
    은용수 국제지역연구, 24, 67-93 [2015]
  • 복합적 학습에서 전체과제계열화를 적용한 CTA (Cognitive Task Analysis) 인터뷰 설계
    김남정 김동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319-341 [2018]
  •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적용한 컴퓨터 기반 적응적 평 가
    김경수 나선웅 최용석 정보과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응용, 39(6), 497-506 [2012]
  • 백워드 설계를 기반으로 한 국어과 수행 과제 구성 방안:[독서] 교 과서의 ‘사실적 읽기’단원을 중심으로
    김소현 교사교육연구, 56(4), 412-423 [2017]
  • 발달적 독서 지도를 통한 독서 수업 연구 - 부모와 갈등을 겪는 아동의 정서 반응을 중심으로
    신운선 경기대학교 국제 문화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 미래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탐색-교육과정, 교수 학습 및 교육평가 연계를 중심으 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미래 사회 핵심역량 교수 학 습 지원을 위한 교육평가 정책의 방향
    구남욱 박도영 박상욱 이상하 이은경 최인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14, 2014-14 [2014]
  • 미래 사회 대비 국가 수준 교육과정 방향 탐색–국어. 한국교육과 정평가원
  • 미래 사회 대비 교육과정, 교 수학습, 교육평가 비전 연구(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문항반응이론의 이해와 적용
    성태제 교육과학사 [2016]
  • 문항반응이론에서의 추정방법과 대입학력고사의 문항분석
    박정수 조완현 CSAM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1(1), 192-205 [1994]
  • 문항반응이론에서의 다차원적 접근
    민경석 교육평가연구, 17: 15-32 [2004]
  • 문항모수 추정치에 기반한 문항 및 검사 신뢰도의 추정: 혼합유형 문항검사 자료를 중심으로
    강태훈 아시아교육연구, 12(1), 119-140 [2011]
  •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국어평가방법론 수업 사례 연구
    조재윤 새 국어교육, 109, 313-350 [2016]
  • 문제 해결 상황에서 독자의 눈동자 움직임 및 뇌파 특성 분석: 독해력 수준에 따른 독자의 과제집착력 (task commitment) 양상을 중심으로
    김지희 서혁 신윤하 편지윤 독서연구, 38, 225-254 [2016]
  • 문식성 발달 이론과 국어과 교육 내용으로서 문식성에 대한 검토.
    김혜정 [2015]
  • 문법의 지필 평가와 수행 평가의 상관관계 연구
    하성욱 문법 교육, Vol.12 No.-, 425-449 [2010]
  • 문답식으로 알아보는 성취평가제: 고등학교 보통교과: 성취평가제 가이드북
    교육부 교육부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PIM ; 2014-9, 2014 [2014]
  • 문답식으로 알아보는 성취평가제 - 고등학교 보통교 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홍보자료 PIM 2014-9 [2014]
  • 명사구 속성 일치 여부 및 병행기능 유무가 노년층의 실시 간 문장 처리과정에 미치는 영향
    성지은 이지선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0(2), 222-236 [2015]
  • 디지털 텍스트 평가 기준에 대한 독자의 인식 연구
    김지연 국어교육학연 구, 49(1), 280-303 [2014]
  • 디지털 문식성의 정의적 특성 탐색을 위한 정의적 영역 평가도구 구인 간의 관계성 분석
    김종윤 서수현 옥현진 새국어교육, 107, 37-65 [2016]
  • 디지털 리터러시의 정의적 영역 평가 도구 개발 방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종윤 김지연 서수현 옥현진 국어교육학연구, 50(2), 206-230 [2015]
  • 디지털 리터러시의 인지적 영역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디지털 리터러시 표현 영역의 인지적 특성 탐색
  • 디지털 리터러시 인지적 영역 의 평가 요소 개발
    김인숙 김종윤 김지연 서수현 옥현진 조병영 청람어문교육, 66, 133-166 [2018]
  • 디지털 리터러 시 태도 평가 도구개발 및 타당화 연구
  • 디지털 독서 및 정보 리터러시 평가 문항 분석을 통한 독서 및 정 보 서비스의 방향 탐색: PIAAC 와 PISA 를 중심으로
    박주현 한국문헌정보학회 지, 52(3), 61-89 [2018]
  • 디지털 기반 복합양식 텍스트 제작 과정에 나타난 인지 작용 양상: 대학생들의 프레젠테이션 제작 과정 분석 을 중심으로
    김지연 김희동 서수현 옥현진 유상희 문화와융합, 40(3), 511-552 [2018]
  • 등급반응모형, 평정척도모형, 부분점수모형의 문항모수와 피험자모 수 추정치 비교분석
    임미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0]
  • 독서토론의 수행평가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정종기 한국도서관 정보학 회지, 37(1), 353-373 [2006]
  • 독서일지 작성이 국어 학습부진아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진소윤 대구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 독서이해 과정의 개인차
    최광일 아주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7]
  • 독서이력철의 구성과 평가 방안
    천경록 독서연구, (14), pp.77-102 [2005]
  • 독서이력철을 활용한 고등학교 독서활동 평가의 실태
    현경희 가톨릭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 독서교육과 독서 평가
    천경록 독서연구 (4), pp.7-43 [1999]
  • 독서 평가의 실제성 범주에 대한 연구
    길호현 독서연구, 38, 97-129 [2016]
  • 독서 토론 수행 평가 방안에 대한 현직 국어 교사의 인식 연구
    최숙기 청 람어문교육, 64, 97-125 [2017]
  • 독서 진단 검사 도구 개발의 방향
    천경록 독서연구, 11, 357-383 [2004]
  • 독서 관련 학문의 동향과 독서교육: 독서교육 이론의 변화와 쟁 점
    김혜정 독서연구, 40, 9-55 [2016]
  • 독서 과목 수행평가의 타당도 제고 방안
    오규설 국어교육연구, 66, 137-172 [2018]
  •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문제은행의 구축 및 활용 방안
  •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의 비판적 분석과 개선 방안
    박기범 청람어문 교육, 49, 31-50 [2014]
  • 대중독자의 독서 양상과 비판적 읽기 필요성
    김혜정 독서연구, (24), 51-86 [2010]
  • 대단위 작문 평가를 위한 문항 개발과 채점 방법 연구
    이영진 한국교원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2]
  • 대단위 국어과 평가에 기반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국어 성취 수준에 따른 읽기 성취 특성 분석-PISA 09, NAEA 09, 10 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남민우 최숙기 국어교육, 141, 231-267 [2013]
  • 대규모 평가 자유반응형 문항 채점 영향 요소
    박정 전현정 교육평가연구, 18(2), 35-57 [2005]
  • 단일집단 및 다집단 검사자료의 IRT 문항모수 추정을 위한 BILOG-MG, ICL, PARSCALE 프로그램의 기능 비교
    김선 김성훈 교육평가연구, 27, 327-356 [2014]
  • 다차원 문항반응이론모델을 이용한 TOEFL 청취력시험 데이터 분 석
    신동일 ENGLISH TEACHING (영어교육), 52(4), 287-302 [1997]
  • 다변량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적용한 성취수준 설정 에서의 오차분석과 최적 조건 탐색
    김성숙 박인용 송미영 교육평가연구, 25, 679-700 [2012]
  • 다문서 읽기 환경을 고려한 비판적 읽기 개념의 이론적 확장
    김종윤 국어 교육, 157, 223-258 [2017]
  • 다문서 읽기 연구의 연구 동향과 전망
    김종윤 국어교육학연구, 49(3), 138-163 [2014]
  • 다국면 라쉬모형을 적용한 논술 채점 상황에서 채점 설계 및 채점 자 특성이 채점의 정확성에 미치는 효과
    이현숙 교육평가연구, 21, 129-152 [2008]
  • 다국면 Rasch 측정의 Facets 프로그램을 활용한 영어 작문 평가의 원어민 채점 검증
    이영식 영어어문교육, 20, 475-496 [2014]
  • 다국면 Rasch 측정모형을 적용한 언어 논술형 평가
    이동수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4]
  • 다국면 Rasch 모형을 활용한 중학교 국어 교사의 독서 감상문 평 가 양상 연구
    최숙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 515-538 [2016]
  • 논술형 수행평가를 위한 채점방법들의 비교
    지은림 교육발전연구, 16: 235 -246 [2000]
  • 논술고사의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는 채점자 특성 분석
    지은림 교육평가연 구, 21, 97-113 [2008]
  • 논설문의 요약글 산출 과정에 관련된 변인 분석
    허선익 경상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 논문 [2010]
  • 김지홍 문선모 역(2010), 『이해: 인지 패러다임』1, 2
    versity press 나남 [1998]
  • 기획 주제: 비판적 사고와 독서; 비판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읽기 지도 방향
    김혜정 독서연구, 20, 47-81 [2008]
  • 국제 문식성 평가 분석을 통한문식성 교육 시사점 탐색-PIRLS, PISA, PIAAC 을 중심으로
    옥현진 청람어문교육, 49, 73-103 [2014]
  • 국어적 창의성의 구성 요소에 관한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제20 권
    김미혜 국어교육학회 [2004]
  • 국어교육학: 디지털 텍스트 읽기 능력과 디지털 텍스트 읽기 평가 에 대한 일고찰
    옥현진 새국어교육, 94, 83-108 [2013]
  • 국어교육학: 공공 문식성 제고를 위한 공문서 텍스트의 평가와 분석
  • 국어교육과 디지털 리터러시; 문서 자동 요약의 현황과 과제
    강인수 국어 교육학연구, 39, 5-29 [2010]
  • 국어교육: 독서토론이 고등학생의 감상문 쓰기에 미치는 영향
    김주환 새 국어교육, 88, 5-29 [2011]
  • 국어교육: “이해”를 넘어 “활용”으로; 실제적 평가로서의 읽기 포트 폴리오 평가 재조명, 새국어교육 84
    김소현 한국국어교육학회, pp. 53-80 [2010]
  • 국어교육 평가의 구조와 원리
    김창원 어문학교육, 27, 5-37 [2003]
  • 국어교육 연구의 현황과 발전 방향: 읽기 독서 영역을 중심으로
    서혁 교 과교육학연구, 10, 127-148 [2006]
  • 국어교사의 학생글 평가전문성 연구 : 평가자 협의에 따른 전략 차 이를 중심으로
    오세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5]
  • 국어교사의 작문평가 전문성 신장 방안
    박영민 작문연구, 13, 89-116 [2011]
  • 국어교사의 쓰기 평가 특성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종임 박사학 위 논문 [2013]
  • 국어교사의 쓰기 평가 특성 연구
    박종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3]
  • 국어교사의 쓰기 평가 지식과 효능감이 논설문 평가에 미치는 영 향
    백유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8]
  • 국어과의 패러다임 전환에 관한 2015 교육과정의 요구와 점검(1) – 개념, 목표, 영역
    김창원 국어교육학회 제60회 전국학술대회 자료집, 1-13 [2015]
  • 국어과 평가의 학습자 중심 루브릭이 학업성취도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우정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 국어과 평가의 정합성 분석의 기초
    천경록 국어교육, 129, 113-141 [2009]
  • 국어과 평가의 반성과 탐색
    최미숙 국어교육, 121, 79-105 [2006]
  • 국어과 평가 체제 연구: 읽기를 중심으로
    김봉순 한국국어교육연구회논문 집, 58, 1-21 [1996]
  • 국어과 창의성 교육의 관점, 국어교육학연구, 제19권
    김은성 국어교육학 회, 77쪽 [2004]
  • 국어과 읽기 평가 맥락에서 과학 지문의 특성 연구: 대학수 학능력시험 언어영역(국어) 지문을 중심으로
    남가영 주세형 교육과정평가연구, 18(3), 313-342 [2015]
  • 국어과 읽기 교육의 효율적인 평가 방안 연구
    이윤복 숙명여자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8]
  • 국어과 영역 통합적 평가 방안 연구
    서은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 국어과 쓰기 평가 문항 작성의 실태와 개선 방안
    임천택 어문학교육, 33, 151-191 [2006]
  • 국어과 수행평가에서의 채점자간 신뢰도 분석
    박민기 고려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 국어과 수행평가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김슬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 국어과 수행 평가의 평가자 신뢰도 보고 방안 탐색-고등학생 요약 문 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최숙기 작문연구, 14, 395-424 [2012]
  •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읽기 쓰기 영역의 선 정 내용에 대한 학문적 타당성 및 외연 검토
    김혜정 작문연구, 8, 299-335 [2009]
  • 국어과 교수․ 학습 방법 개선을 위한 평가 체 제 연구
    서혁 신권식 이도영 임미성 한국초등국어교육, 75-117 [2005]
  • 국어과 교사의 읽기 영역 평가 전문성 기준과 모형
    천경록 국어교육, Vol.- No.117 [2005]
  • 국어과 과정 중심 평가의 양상과 현장 적용의 개선 방안
    백은미 부산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8]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서답형 문항에 대한 학생 반응 분석 -국어과 서답형 문항에 대한 학생 반응 분석-
    김승현 이상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ORM 2015-76 [2015]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교과별 성취결과 분석 및 출제 방안 - 2014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출제 연구, KICE 연구리포트 2014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결과 활용 방안,
    김수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RRE 2016-1 [2016]
  • 국가기록원, 성취평가제 정보, http://www.archives.go.kr/next/search/listSubjectDescription.do?id=009347&page Flag=
  • 국가 수준 학업 성취도 평가 개선을 위한 “읽기” 평가의 비판적 검 토
    김혜정 국어교육, 134, 61-86 [2011]
  • 구성주의적 교육과 평가의 문제
    허형 한국교육문제연구, (15), 17-31 [2000]
  • 구성주의와 읽기 교수ㆍ학습의 방향
    서수현 서혁 독서연구, (18), 27-70 [2007]
  • 구성주의 읽기 평가의 내용과 방법
    이성영 독서연구, (18), 127-155 [2007]
  • 교육평가용어사전
    한국교육평가학회 학지사 [2004]
  • 교육과정(제3판)
    인실 교육과학사 [2010]
  • 교사의 피드백수행과 수행평가형태가 국어 글쓰기 능력과 창의적 인재 역량 개발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선광식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4]
  • 교사의 읽기 평가 전문성 실태: 지필 평가 문항 분석을 중심으로
    정혜승 독서연구 Vol.19 No.- [2008]
  • 교과 독서교육 실태 및 인식 조사 연구 - 서울지역 중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고소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8]
  • 관찰, 추천을 통한 언어 영재의 선발 방안
    김억조 서혜경 임지룡 최진아 추정문 중등교육연구, 58(3), 261-288 [2010]
  • 과학과 언어 (국어) 의 통합적 교수 학습을 위한 ‘讀 討 論’모형화 연구: 학문 문식성 개념을 기초로 하여
    김영란 이인호 교육과정평가연구, 19(1), 149-178 [2016]
  • 과학 텍스트의 비유 표현 연구
    송현주 국어교육연구, 61, 161-190 [2016]
  • 과정을 중시하는 수행평가 어떻게 할까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ORM 201 7-19-2 [2017]
  • 공동 발표 2 분과: 독서 능력과 태도; 공동 발표 5: 표준화 독 서 능력 검사도구 개발 연구
    서혁 윤준채 한국어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0(1), 163-177 [2010]
  • 고등학생의 읽기 문항 독해에 대한 사례 연구
    김명순 변혜경 청람어문교 육, 45, 191-236 [2012]
  • 고등학생의 미래핵심역량, 행동조절능 력, 국어성취도 간의 관계
    강명희 김보경 김혜림 박소영 유지원 교과교육학연구, 16, 1143-1166 [2012]
  • 고등학생들의 국어과 평가에 대한 인식과 평가 결과 양상 분석
    한기영 인 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6]
  • 고등학교에서의 독서교육과 독서 평가
    이순영 독서연구, (4), pp.141-174 [1999]
  • 고등학교 성적표 자동 산출 프로그램 TELL (Track Educational Location and Learning direction) 개발
    곽현석 김건섭 김경성 김희경 교육평가연구, 28, 1153-1175 [2015]
  • 고등학교 국어과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한국교육개발원 RRE 1999-1-2 [1999]
  • 고등학교 국어과 수행평가 실태 조사 연구
    김진곤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 고등학교 국어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
    이동헌 중앙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 고등학교 교양교과 과목으로서의 ‘논술’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원만희 한혜정 내용 체계 고찰 [2015]
  • 객관적인 학생능력비교를 위한 문항반응이론 (IRT) 적응의 유용성
    지은림 교육발전연구, 10, 195-206 [1994]
  • 개인발표 3 분과: 국어교육의 확장: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DLA) 평가도구의 개발과 검증
    옥현진 한국어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5(1), 187-201 [2015]
  • 『현대교육평가』
    성태제 (제5판), 학지사 [2019]
  • 『인지심리학의 제 문제 2』
    이재호 이정모 학지사 [1998]
  • 『요인분석의 기초』
    이순묵 교육과학사 [2000]
  • 『수리통계학 입문』
    김대학 최기헌 황창하 자유아카데미 [1995]
  • 『교육 평가의 이해』
    황정규 (제2판), 학지사 [2016]
  • 『R과 WinBUGS를 이용한 베이지안 통계학(제2판)』
    김달호 자유아카데 미 [2013]
  • ‘비판적 읽기' 범주 설정 및 교육 내용 체계화 연구
    권이은 독서연구, Vol.0 No.26, 355-382 [2011]
  • many-facet Rasch 모형을 적용한 대입 논술고사 채점의 객관성 연구
    지은림 교육평가연구, 9, 5-22 [1996]
  • https://www.oecd.org/pisa/pisa-for-development/pisafordevelopment2018technica lreport/
  • https://www.ets.org/research/topics/reading_for_understanding/
  • https://portal.smarterbalanced.org/library/en/performance-tasks-specifications.pd f
  • https://ccsso.org/taxonomy-topic/state-collaborative-assessment-and-student-st andards-scass
  • [말하기 듣기 영역 수행 평가의 방법] 에 대한 토론문
    이문규 어문학교 육, 27, 66-67 [2003]
  • What do readers need to learn in order to process coherence relations in narrative and expository text
    [2003]
  • What Will It Mean To Be An Educat ed Person in Mid-21 st Century ?
    [2012]
  • Validity of psychological assessment : validation of inferences from persons'responses and performances as scientific inquiry into score meaning
    1994 ( 2 ) , i-28
  • Validity in language testing : The challenge of Sam Messick 's legacy
    3 ( 1 ) , 31-51 [2006]
  • Validity by design
    36 ( 8 ) , 463-469 [2007]
  • Validity . ETS Research Report Series
    1987 ( 2 ) , i-208 . [1987]
  • Validating measures of performance
    18 , 5–17 [1999]
  • Using Gtheory and Many-facet Rasch measurement in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assessments of the ESL speaking skills of immigrants
    15 , 158-180 [1998]
  • Understanding text : Achieving explanatory co herence through on‐line inferences and mental operations in working memory
    16.1-2 : 3-34 [1993]
  • Understanding by design. Ascd, 강현석 외 역(2008), 『거꾸로 생각하는 교육과정 개발』
  • Toulmin 의 논증의 옹호와 교육적 적용에 대한 탐색
    김유신 오준영 범한 철학, 55, 379-425 [2009]
  • Threats to the validity of locally developed multiple-choice tests in medical education : Construct-irrelevant variance and construct underrepresentation
    7 ( 3 ) , 235-241 [2002]
  • Thomas H. Building theories of reading ability : On the re lation between individual differences in cognitive skills and reading co mprehension
    9.1 : 73-114 [1981]
  • Theoretical bases of communicative approaches to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testing
    1.1 : 1 -47 . [1980]
  • The use of cognitive task analysis to improve instruction al descriptions of procedures
    173 ( 1 ) , 37– 42 . [2012]
  • The psychology of reading and language comprehension
    [1987]
  • The philosophy of science
    Vol . 14 [1958]
  • The nature of assessment systems to support effective use of evidence through technology
    8 ( 2 ) , 121-132 [2011]
  • The multidimensional random coefficients multinomial logit model
    21 ( 1 ) , 1-23 . [1997]
  • The double-deficit hypothesis for the developmental dyslexias
    91.3 : 415 [1999]
  • The construct validation of some components of communicative proficiency
    16 ( 4 ) : 449-65 [1982]
  • The application of electronic computers to factor analysi 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1960]
  • The Survey of Adult Skills : Reader ’ s Companion , Second EditionOECD Skills Studies
  • The Construction of Meaning : Replicating Objectively De rived Criterion-Referenced Standards
    [1996]
  •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English language a rts & literacy in history/social studies , science , and technical subjects : An analysis and an alternative
    [2011]
  • Technology supports for assessment design
    3 , 56-65 [2010]
  • Teaching Reading Comprehension Processes(3rd Editio n), Pearson Allyn and Bacon, 천경록 이경화 서혁 역(2012), 독서 교육론 - 독서 과정의 이해와 지도
    Irwin, J. W. 박이정 [2006]
  • Teaching Reading Comprehension Processes(2rd Editio n), Prentice Hall, 천경록 이경화 역(2003), 독서지도론
    Irwin, J. W. 박이정 [1991]
  • Taxonomy of reading comprehension
    51-58 [1976]
  • TAKE THE TEST : SAMPLE QUESTIONS FROM OECD
    ’ S PISA ASSESSMENTS - ISBN 978-92-64-05080-8 -
  • Substance and structure in assessment arguments . Law , Probability and Risk
    2.4 : 237-258 [2003]
  • Studies in mathematical psychology : I. Probabilistic models for some intelligence and attainment tests
    [1960]
  • Statistics for language testing
    [2004]
  • Standards of validity and the validity of standards in performance asessment
    14 ( 4 ) , 5-8 [1995]
  • Standard Setting
    [2007]
  • Some reflections on task-based language performance assessment
    19 , 453–476 [2002]
  • Smarter Balanced AssessmentConsortium : English Language Arts LiteracyComputer Adaptive Test (CAT ) and Performance Task
  • Smarter Balanced AssessmentConsortium : 2015-16 Summative Technical Report
    [2017]
  • Slice sampling
    31 ( 3 ) , 705-767 . [2003]
  • Setting achievement level s on the 1998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Progress inCivics i nterim report : Field trials . Iowa ,City , IA : ACT . Lorch ( Eds Inferences during reading ( pp.160-181 )
    [2000]
  • Serafini, F. (2000), Three paradigms of assessment: Measurement, procedure, and inquiry. The Reading Teacher, 2000, 54.4: 384-393.
  • Second Language Proficiency Assess ment :Current Issues . Language in Education : Theory and Practice , N o . 70 . Prentice-Hall , Inc. , Book DistributionCenter
    [1988]
  • Scales , norms , and equivalent scores . In R. L. Thorndik e ( Ed . ) , Educational measurement ( 2nd ed . )
    [1971]
  • SBAC(2014), English/Language Arts Practice Test Scoring Guide Grade 11 Pe rformance Task, 2014.
  • Researching Pedagogic Tasks : Second Language Learning , Teaching and Testing
    [2001]
  • Representing targets of measurement within evidence-centered design
    23 ( 4 ) , 325-341 . [2010]
  • Reliability and validity assessment
    [1979]
  • Reading for understanding : How performance moderators and scenarios impact assessment design
    2013 ( 2 ) , i-47 . [2013]
  • Reading ability
    [1985]
  • Rationale for a new generation of readingComprehension assessments
    [2013]
  • Rating scale analysis
    [1982]
  • RaterCharacteristics and rater bias : implications for training
    12 , 54-71 [1995]
  • Rater effects as a function of rater trainingContext
    from Pearson at http : //images . pearsonassessments . com/images/tmrs/tmrs_rg/RaterEffects_101510 . pdf [2010]
  • Rasch 측정모형에 의한 K 비판적 사고성향 검사의 양호도 검증
    김명숙 설현수 교육평가연구, 20, 101-124 [2007]
  • Rasch 모형을 활용한 요약문 평가 준거 개발 및 타당도 분석: 고 등학생 설명문 텍스트 요약하기를 중심으로
    최숙기 독서연구, (25), 415-451 [2011]
  • Rasch 모형을 활용한 예비 국어 교사 대상의 국어과 수업 실연 평가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김지수 김형성 진수민 최숙기 교원교육, 35(2), 295-319 [2019]
  • Rasch 모형을 활용한 독서 감상문 평가 도구 개발 연구
    최지은 한국교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6]
  • Rasch 모형을 활용한 국어교사의 채점 일관성 변화 양상 및 원인 분석-중학생 서사문 채점을 중심으로
    박영민 박종임 우리어문연구, 39, 301-335 [2011]
  • Rasch 모형을 활용한 국어교사의 쓰기 평가 특성 분석-중 학생 설명문 쓰기 평가를 중심으로
    박영민 최숙기 국어교육학연구, 37, 367-391 [2010]
  • Rasch 모형을 통한< 독서와 문법> 평가 문항 분석
    심재우 이정애 국어문 학, 63, 385-414 [2016]
  • Rasch 모형을 적용한 검사동등화에서 가교검사를 위한 동 형 문항의 활용 가능성
    박소연 지은림 교육평가연구, 24, 963-987 [2011]
  • Rasch Measurement Transactions , Part 2
    [1996]
  • Rasch Measurement Transactions , Part 1
    [1995]
  • Prose analysis : Purposes , procedures , and problems . Under standing expository text . A theoretical and practical handbook for analy zing explanatory text
    [1985]
  • ProcessingComponents ofCollege‐leve l readingComprehension
    [1994]
  • Problems in examining the validity of the ACTFL Or al Proficiency Interview
    10 , 1 49–164 [1988]
  • Problem based learning : An instruction al model and itsConstructivist framework
    35 , 31–38 [1995]
  • Probability in the Measure of Achievement . MESA Pres s , 5835 S. Kimbark ,Chicago , IL 60637 ; e-mail : MESA @ uchicago
    [1997]
  • Preparing for the future : What educational assessment must do
    116 ( 11 ) [2014]
  • Preliminary reading literacy assessment framework : Foundation and rationale for assessment and system design
    2013 ( 2 ) , i-50 . [2013]
  • Postmodern test theory . Transitions in work and learning : Implications for assessment
    [1997]
  • Posterior Predictive -Values
    22 ( 3 ) , 1142-1160 . [1994]
  • Paradigms and proces ses in reading comprehension
    111.2 : 228 [1982]
  • PISA-D , PISA FOR DEVELOPMENT TECHNICAL REPORTChapter 9 : SCALING PISA-DCOGNITIVE DATA
    https : / /www.oecd.org/pisa/pisa-for-development/pisafordevelopment2018 technicalreport/ [2018]
  • PISA 2018 DRAFT ANALYTICAL FRAMEWORKS .
  • PISA 2018 Assessment and Analytical Framework , PISA
    [2019]
  • PISA 2015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framework
  • PISA 2015 Results ( Volume V )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 PISA
  • PISA 2015 Assessment and Analytical Framework : Science , Reading , Mathematic , Financial Literacy and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revised edition , PISA
  • PISA 2012 컴퓨터 기반 평가 결과 분석을 통한 ICT 활용 교육 환 경 개선 방안
    구자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KICE 이슈페이퍼 ORM 2015-50 -6 [2015]
  • PISA 2012 결과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학생 들의 역량 향상 방안
    구자옥 박혜영 송미영 임해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KICE 이슈페이퍼 ORM 2014-27-2 [2014]
  • PISA 2012 Results :Creative Problem Solving : Students ’ Skills in Tackling Real-Life Problems
    Volume V [2014]
  • PISA 2012 FIELD TRIAL PROBLEM SOLVING FRAMEWORK DRAFT SUBJECT TO POSSIBLE REVISION AFTER THE FIELD TRIAL
    [2010]
  • PISA 2012 Assessment and Analytical Framework : Mathematics , Reading , Science , Problem Solving and Financial Literacy
  • PISA 2009 Assessment Framework KeyCompetencies in reading
  • PIRLS 2016 reading framework
    [2016]
  • PIRLS 2016 Assessment Framework 2nd Edition , TIMSS PIRLS International StudyCenter , Lynch School of Education , BostonCollege and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valuation of Educational Achievement ( IEA
    [2015]
  • On the nature of the difference bet ween skilled and less‐skilled comprehenders
    [1986]
  • On some dimensions of language proficiency . Centre de r echerches en éducation franco-ontarienne , Institut d'études pédagogique s de l'Ontario= The Ontario Institute for Studies in Education
    [1983]
  • OECD/ INFE Core competencies framework on fi nancial literacy for youth
    [2015]
  •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8 예비검사 시행 기 반 구축
    구자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RRE 2016-2-1 [2016]
  •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 자 료집_ PISA 2018 예비검사 읽기 영역,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OECD PISA 2015 협력적 문제해결력 평가 도입에 따른 교육 개선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KICE 이슈 페이퍼
  • O'Brien, E. J., Cook, A. E., & Lorch Jr, R. F. (Eds.). (2015), Inferences durin g reading. New York, NY, 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 New literacies : A dual-level theory of the changing nature of literacy , instruction , and assessment
    197 ( 2 ) , 1-18 [2017]
  • NFER(2015), Example questions for PISA 2015 - PISA 2015 RELEASED FIELD TRIAL COGNITIVE ITEMS, http://www.oecd.org/pisa/pisaproducts/pisa-test-questions.htm
  • NEW FACETS 을 활용한 채점자료 분석방법
    설현수 신동일 외국어교육, 12(2), 191-211 [2005]
  • Multidimensional Item Response Theory ModelsIn : Multidimensional Item Response Theory . Statistics for Social and Beha vioral Sciences
    [2009]
  • Motivational beliefs , values , and goals .
    53 ( 1 ) , 109-132 . [2002]
  • Model Diagnostics for Bayesian Networks .
    31 ( 1 ) , 1-33 . [2006]
  • Mislevy, R. J. (2013), Evidence-centered design for simulation-based assessment. Military medicine, 2013, 178. suppl_10: 107-114.
  • Methods and procedures in pirls 2016
    [2017]
  • Messick의 타당도 관점에서 Rasch측정 모형 적용을 통한 대학 강의 평가 도구 개발의 타당화
    설현수 교육평가연구, 20, 31-51 [2007]
  • Messick, S. (1994a). The interplay of evidence and consequences in the valida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s. Educational researcher, 23(2), 13-23.
  • Mechanics of verbal ability . Psychological Review , 85.2 : 109 . Hymes , D. ( 1972 ) . On communicative competence
    pp . 269~29 3 . [1978]
  • Measuring second language performance. Addison Wesley Longman., 채선희 외 역(2003), 『문항반응이론의 이론과 실제: 외 국어 수행평가를 중심으로』
    McNamara, D. S. 서현사 [1996]
  • Measuring Student Knowledge and Skills : The PISA 2000 Assessment of Reading , Mathematical and Scientific Literacy
    [2000]
  • Measuring Second Language Performance
    [1996]
  • Meaning and values in test validation : The science and e thics of assessment
    [1989]
  • Making sense of data from complex assessments
    15 ( 4 ) , 363-389
  • Macrorules for summarizing texts : The d evelopment of expertise
    22 ( 1 ) , 1-14 [1983]
  • Language testing: The social dimension.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Linguistics, 16(2), 242-258. 신동일 외 역 (2013), 『언어평가: 사회적 단면』
    McNamara, T. Roever, C. 한국문화사 [2006]
  • Language testing in practice : Designing and developing useful language tests
    Vol . 1 [1996]
  • Language testing : The social dimension
    16 ( 2 ) , 242-258 [2006]
  • Language assessment in practice : Developing language assessments and justifying their use in the real world
    [2010]
  • Knowing what students know : The science and design of educational assessment
    [2001]
  • KEDI 학생역량조사 결과를 통해 살펴본 핵심역량과 수행평가 간 관계, 한국교육개발원
    김혜지 교육개발, ED2017-200 [2017]
  • Intrusion of a thematic idea in children 's comprehension and ret ention of stories
    [1977]
  • Introduction to Text Linguistic s, 김태옥 & 이현호 역(1995), 담화-텍스트 언어학 입문
  •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education fields of education and training 2013 detailed field descriptions
    http : //www.unesco.org/open-access/terms-use-ccbysa-en [2015]
  •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Education : ISCED 2011
    [2012]
  • Integrating memory-b ased and constructionist processes in accounts of reading comprehensio n. Discourse processes
    39 ( 2-3 ) , 299-316 [2005]
  • Instrument development tools and activities for measure validation using Rasch models : part II -- validation activities
    8 ( 2 ) , 204-234 [2007]
  • Instrument development tools and activities for measure validation using Rasch models : Part I -- instrument development tools
    [2007]
  • Individual differences in working memory and reading
    [1980]
  • Individual differences in reading skills
    [1991]
  • Implications of evidence‐centered design for educational testing
    25 ( 4 ) , 6-20 [2006]
  • If language is a complex adaptive system , what is language assessment ?
    59 , 249-267 [2009]
  • IRT based standard setting procedures utilizing behavioral anchoring . Linacre , J. M.
  • How to set standards ” . Rasch Measure ment Transactions of the Rasch Measurement SIG
    7 ( 3 ) , 315-316 . [1993]
  • How to Read a Book, Touchstone; Rev ised edition, 독서의 기술, 민병덕 역(2010)
    Adler, M. J. Van Doren, C. 범우사 [1972]
  • How big is a chunk ? : By combining data from several experiments , a basic human memory unit can be identified and measur ed
    [1974]
  • How Good Is Research in Reading ?
    [1968]
  • GPS : A case study in generality and prob lem solving
    [1969]
  • Fundamental Considerations in Language Testing
    [1990]
  • Foy·Brossman,Galia(2011), Scaling the TIMSS and PIRLS 2011 achievement d ata. TIMSS and PIRLS methods and procedures. Zugriff am, 2011, 29.
  • Focus article : On the structure of educational assessments
    1 ( 1 ) , 3-62
  • Facilitating knowledge-based inferences i n less-skilled readers
    23.2 : 149- 172 . [1998]
  • Explaining the Gibbs Sampler
    4 6:3 , 167-174 [1992]
  • Example questions for PISA 2015 PISA 2015 RELEASED FIELD TRIALCOGNITIVE ITEMS
    http : //www.oecd.org/pisa/pisaproducts/pisa-test-questions.htm [2015]
  • Evidence‐centered Assessment Design : Layers , Structures , and Terminology ( PADI Technical Report 9 )
    [2005]
  • Evidence-centered design in language testing
    [2012]
  • Evidence-centered design for simulation-based assessment
    178. suppl_10 : 107-114 . [2013]
  • Evidence-centered a ssessment design
    [1998]
  • Event chains and infe rences in understanding narratives
    2 : 23-52 . [1979]
  • Evaluating rater accuracy in performance assessment s. Journal of Educational Measurement
    33 ( 1 ) , 56-70 [1996]
  • Epistemology in measurement : Paradigms and practices
    [2013]
  • Enhancing the design and delivery of assessment systems : A four-process architecture
    1 ( 5 ) [2002]
  • ECD for dummies . Working Examples , http : //myweb . fsu . edu/vshute/ECD % 20for % 20Dummies/ECD % 20for % 20Dummies
    [2010]
  • Do adult readers know how they rea d ? Evidence from eye movement patterns and verbal reports
    97.1 : 31-50 [2006]
  • Diploma Programme assessment Principles and practice
    [2010]
  • Diploma Programme Language B guide First assessment 2020
    [2018]
  • Development of native language skills beyond the early years
    1 : i-98 [1968]
  • Development and validity evidence supporting a teamwork and collaboration assessment for high school students
    2008 ( 2 ) , i-51 [2008]
  • Designing reading comprehension assessments for reading interventions : How a theoretically motivated assessment can serve as an outcome measure
    26 ( 3 ) , 403-424 [2014]
  • Design and analysis in task-based language assessment
    19 ( 4 ) , 477-496 .
  • Definition and Conceptions of Giftedness, 이정규 역(20 08), 영재성의 정의과 개념
    Sternberg, R. J. 학지사 [2008]
  • D. C. P. S. )PISA 2015 DRAFT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FRAMEWORK
    [2013]
  • Creativity in context : update to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1996]
  • Content Specifications for the Summative Assessment of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English Language Arts and Literacy in History/Social Studies
  • Constructing an assessment use argument and suppor ting claims about test taker–assessment task interactions in evidencecentered assessment design
    1 , 63–65 [2003]
  • Consilience: The unity of knowledge (Vol. 31). Vintage, 최재천 & 장대익(2005), 통섭: 지식의 대통합
    Wilson, E. O. 사이언스북스 [1999]
  • Computer-Based Test (CBT) 개발 및 CBT 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컴퓨터 기반 평가를 위한 12 가지 팁
    이원기 이유철 이택후 임은정 장봉현 정성광 최병호 한국의학교육, 제20권 제2호, 145-154 [2008]
  • Comprehension : A paradigm for cognition
    [1998]
  • Comprehending written language : A blueprint of the re ader
    [1999]
  • Components of fluent reading
    [1985]
  • Communicative language testing : Revolution or evolution
    [1979]
  •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English language arts & literacy in history/ social studies
    [2010]
  • Cognitive Psychology, 김민식 손영숙 안서원 역(2005), 인지심리학
    Sternberg, R. J. 박학사 [2005]
  • Changing perspectives on knowledge and use of languag e
    [1984]
  • Certification testing as an illustration of argument-based validation
    2 , 135–170 [2004]
  • Building a validity argument for the Test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2009]
  • Broadening the scope of reading comprehension using scenario-based assessments : Preliminary findings and challenges
    114 ( 4 ) , 693-723 [2014]
  • Best test design
    [1979]
  • Bayesian networks in educational assessment
    [2015]
  • Bayesian Analysis for the Social Sciences
    [2009]
  • Bayes Nets in Educational Assessment : Where do the Numbers Come From , CRE SST/Educational Testing Service
    [2000]
  • Authentic assessment and multimedia : How university students respond to a model of authentic assessment
    17 ( 3 ) , 305–322 [1998]
  • Assessment as a positive influence on 21st century teaching and learning : A systems approach to progress
    20 ( 2 ) , 65-77 . [2014]
  • Assessing student performance : Exploring the purpose an d limits of testing
    [1993]
  • Assessing reading. Ernst Klett Sprachen, 김지홍 역(20 15), 『읽기 평가』
    Alderson, J. C. 글로벌콘텐츠 [2000]
  • Assessing model-based reasoning using Evidence-Centered Design : A suite of research-based design patterns
    [2017]
  • Aspects of the Theory of Syntax
    [1965]
  • Are good texts always better ? Interactions of text coherence , background knowle dge , and levels of understanding in learning from text
    [1996]
  • Analytic γersus holistic scoring of science performance tasks
    11 ( 2 ) , 12 1-137 . [1998]
  • An investigation into the adequacy of three IRT models for data from two EFL reading tests
    9 ( 1 ) , 51-78 [1992]
  • An argument-based approach to validity . Psychological Bulletin , 12 , 527–535 . Kane , M. T.Current concerns in validity theory
    38 , 319–342 [2001]
  • Alignment in educational a ssessment : Assessment report
    2 , [2011]
  • AIR(2015), Smarter Balanced Scoring Specification - 2014–2015 Administration, Summative and Interim Assessments: ELA Grades 3 –8, 11 Mathematics Grades 3–8, 11, Version 7
  • A theory of reading : From eye fixatio ns to comprehension
    87.4 : 329 [1980]
  • A method for severely constrained ite m selection in adaptive testing
    19 93 , 17.3 : 277-292 [1993]
  • A general inference skill
    160-1 81 [2015]
  • A framework for reusing assessment components . In New developments in psychometrics
    pp . 281-288 [2003]
  • A framework for conceptualizing and evaluating the validity of instructionally relevant assessments
    51 ( 1 ) , 59-81 [2016]
  • A discussion of increasing text complexity
    [2004]
  • A componential theory of reading skills and their interactio ns
    [1981]
  • A cognitive task analysis with implications for designing simulation-based performance assessment
    15 ( 3-4 ) , 335-374 [1999]
  • A brief introduction to evidence‐centered design
    1 : i-29 .
  • 21C 미래사회 핵심역량 신장을 위한 평가모형 및 평가문항 개발,
    김동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CRE 2013-6-1 [2013]
  • 2030년 미래 국어과 교육의 방향 탐색
    김종윤 박재현 옥현진 국어교육학 연구, 52(3), 38-68 [2017]
  • 2021학년도 수능체제 개편방안 마련 연구.
    교육부 교육부 [2017]
  •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대비 학습 방법 안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수능 CAT 2018-2-1 [2018]
  • 2016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출제 연 구,
    권경필 이기영 최원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RRE ; 2016-8 [2016]
  • 2015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서답형 문항 심층 분석 - 국어-,
    김승현 이상일 이인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RRE 2016-9-1 [2016]
  • 2015 개정 읽기/독서 교육과정의 내적 논리와 몇 가지 쟁점들.
    김혜정 국어교육연구 62, pp. 171-196 [2016]
  •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5] [2015]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 중학교 국어과 평가기준 개발 연구,
    가은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CRC 2016-2-2 [2016]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국어과 평가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김현정 CRC 2017-5-2 [2017]
  • 2015 개정 교육과정 평가기준 –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부 교육부 [2018]
  • 2015 개정 교육 과정 교수 학습 자료 - 고등학교 국어,
  •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II - 국어과 교육과정
    장은주 전은주 한연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CRC 2015-25-3 [2015]
  • 2015 개 정 교육과정 총론 시안(최종안) 개발 연구
    곽상훈 김경자 백남진 송호현 온정덕 이승미 한혜정 허병훈 홍은숙 국가교육과정개정연구 위원회, 교육부 [2015]
  • 142. áky, I. an S.J. .V.H. Fekete, Soybean: feed quality and safety. Part 1: b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A review. 2004. 52(3): p. 299-313.
  • 13 Constructing inferences in natu ralistic reading contexts
    290 [2015]
  • (사고력 함양을 위한) 국어교육 설계
    이상태 박이정 [2010]
  • (기초직업능력프로그램)의사소통능력 : 교수자용 매뉴얼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7]
  • '증거기반 설계 모형(ECD, Evidence Centered Design)'의 HRD분야 적용에 대한 효과성 연구,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 료집 2012(1), 2012.6
    안정원 이순묵 최윤영 265-265(1 pages)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