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한미동맹과 미일동맹의 지속과 변화에 대한 연구

최영기 2020년
논문상세정보
' 한미동맹과 미일동맹의 지속과 변화에 대한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동맹의 변화
  • 동북아 안보전략
  • 미일동맹
  • 미일안전보장조약
  • 변환요인
  • 중국의 부상
  • 지역 안보
  • 한미동맹
  • 한미상호방위조약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36 0

0.0%

' 한미동맹과 미일동맹의 지속과 변화에 대한 연구' 의 참고문헌

  • 히데토시, 혼다 마사루, 『미일동맹 안보와 밀약의 역사』
    소토카 서울 : 한울 (아카데미) [2006]
  • 한미 원자력 협정.(2018년 11월 19일), 위키백과(검색일: 2019년 1월 8일),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D%95%9C%EB%AF%B 8_%EC%9B%90%EC%9E%90%EB%A0%A5_%ED%98%91%EC%A0 %95&oldid=23058545
    [2018]
  • 한국과 일본의 대미 동맹정책 비교연구 : 미국의 군사 전환전략을 중심으로,
    김기정 김순태 문정인 『국제정치논총』제49집 4호 [2009]
  • 프레시안 : [전문]한미 동맹을 위한 공동비전, 2009. 6. 16,http://www.pressian.com/news/article?no=14972 , 검색일 2019. 5. 16.
    [2009]
  • 조선일보 : 일본에만 쓰던 '린치핀' 용어, 이젠 한국으로, 2010. 7. 12,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07/12/2010071202095.h tml, 검색일 2019. 10. 12.
    [2010]
  • 정훈 역, 『21세기 미국의 패권과 지정학』
    자이한 피터 홍지수 서울 : 김앤 김북스 [2018]
  • 외교부, “한미 원자력협정 전면 개정: 과거를 벗고 현재를 풀며 미래를 열다,” 2015년 4월 22일, http://www.mofa.go.kr/www/brd/m4080/view.do?seq=354696 (검색일: 2018년 9월 16일)
    [2015]
  • 역, 『셰일혁명과 미국없는 세계』
    자이한 피터 홍지수 서울 : 김앤김북스 [2019]
  • 역, 『21세기 일본의 국가전략』
  • 안정식, 탈냉전기 미일동맹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 동맹정책 결정요인 분석,
    안정식 탈냉전기 미일동맹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 동맹정책 결정요인 분석
  • 안정식, 탈냉전 이후 한미동맹 변화의 양상과 요인,
    안정식 탈냉전 이후 한미동맹 변화의 양상과 요인
  • 세종연구소, “9.11테러 이후 안보위협 요인과 대책”, 『정책보고서 -04』
    세종연구소, 2004 [2008]
  • 사토 마사루, 『시진핑 시대의 중국』, 이혁재 역
    청림출판 [2012]
  • 빅터 D 차, 김일영 문순보 역, 『적대적 제휴 : 한국, 미국, 일본의 삼각 안보 체제』
    서울 : 문학과지성사 [2014]
  • 동맹의 안보딜레마와 포기-연루의 순환: 북핵문제를 둘러싼 한미 갈등 관계를 중심으로
    이수형 국제정치논총, 제39집 1호 [1998]
  • 다케시, 『세계 제국, 미국』, 곽진오 역
    이가라시 서울 : 역사공간 [2014]
  • 국방부 홈페이지, http://www.mnd.go.kr/mbshome/mbs/mnd
  • 『한미동맹 50년』
    차상철 서울 : 생각의 나무 [2004]
  • 『한미동맹 50년 법적 쟁점과 미래의 전망』
    심지연 서울 : 백산서당 [2004]
  • 『전후 일본의 안보정책』
    다나카 아키히코 서울 : 중심 [2002]
  • 『일본의 영토분쟁』
    마고사키 우케루 메디치 [2012]
  • 『안보와 자주성의 딜레마 : 비대칭 동맹이론과 한미동맹』
    이상철 서울 : 연 경문화사 [2004]
  • 『소련은 어디로 갈 것인가』, 이창우 역
    기무라, 히로시 서울 : 내외신서 [1981]
  • 『미중 경쟁 속의 동아시아와 한반도』
    전재성 서울 : 늘품플러스 [2015]
  • 『미 중 관계 연구론』
    정재호 서울 : 서울대 출판문화원 [2014]
  • 『대영제국 쇠망사』, 서재봉 역
    나카니시 테루마사 서울 : 까치글발 [2000]
  • 『THAAD와 한반도』
    홍관희 서울: 자유민주 [2016]
  • 『21세기 중국은 무엇을 꿈꾸는가』
    채현위 서울 : 도서출판 지정 [1998]
  • “한미안보동맹과 미일안보동맹의 비교연구”
    정용길 동국대학교 박사논문 [2001]
  • “한미동맹관계의 재조명: 동맹이론을 분석들로,”
    김계동 『국제정치논총』제 41호 [2001]
  • “한국의 핵 비확산정책: 한미 원자력협력을 중심으로,”
    이상현 『세종정책연 구』, 제6권 1호 [2010]
  • “한국과 일본의 탄도미사일 방어(BMD) 추진 비교”
    박휘락 국가전략 제21권 2호 [2015]
  • “한국과 미국 그리고 반세기의 한미동맹,”
    차상철 『중고생을 위한 안보교 재』, 서울 : 국방대학교 [2008]
  • “트럼프의 외교정책과 미중관계에 대한 전망”
    김재관 『글로벌정치연구』. 제 10권1호 [2017]
  • “탈냉전기 한미 대북정책의 갈등과 협력 : 김영삼 김대중 정부 시기 한미동맹 구조변화를 중심으로”
    안정식 경남대학교 박사논문 [2007]
  • “탈냉전기 국제정치 구조와 일본의 안보정책 변화 : 미일동맹과 동아 시아 정책의 전환,”
    김건우 한신대학교 석사논문 [2004]
  • “탈냉전 이후 한미동맹의 쇠퇴요인에 관한 연구”
    나승학 『한국동북아논총』 제76호 [2015]
  • “탈냉전 이후 미국의 한미동맹 전략 : 목적과 이익”
    한 진 경북대학교 석사 논문 [2009]
  • “클린턴과 부시의 대북정책 비교 분석: 영향력과 전략을 중심으로”
    김일수 『대한정치학회보』, 제2집 2호, 서울: 대한정치학회 [2004]
  • “중국의 부상과 한미동맹의 변화: 동맹의 방기, 연루 모델적 시각에 서”
    서정경 신아세아 제5집 제1호 [2008]
  • “중국의 부상과 일본의 21세기 외교전략: 보통국가의 다차원화,”
    이승주 『EAI 국가안보패널 연구보고서』, 동아시아연구원 [2014]
  • “중국위협론에 대한 비판적 접근을 통한 중국의 부상에 관한 연구,”
    김상길 계명대학교 박사논문 [2015]
  • “전시작전권 전환에 따른 한국의 대비방향”
    김재철 『한국동북아논총』제4 집 [2007]
  • “신국제질서와 미일동맹”, 『극동문제』11월호
    나가시마 아키히사 극동문제 연구소 [2000]
  • “사드배치와 한국의 안보 : 국가이익을 중심으로”
    임세훈 고려대학교 석사논 문 [2018]
  • “사드(THADD)의 국제정치학:중첩적 안보딜레마와 한국의 전략적 대 안”
    현인택 『東亞』24권 3호 [2017]
  • “사드 논란을 통해 본 한국의 통일외교 환경,”
    정성철 『Online Series』, 통일 연구원 [2015]
  • “북핵 고도화 상황에서 미 확장억제의 이행가능성 평가,”
    박위학 『국제관계 연구』제22권 제2호 [2017]
  • “미일 원자력국제협력: 로카쇼무라 재처리시설 가동을 중심으로,”
    전진호 『일본연구논총』, 제 27권10호 [2008]
  • “미국의 중국 국방정책에 대한 평가: 국방백서를 중심으로,”
    박창권 주 간국방논단 1375호, 2011 [2010]
  • “미국의 신동아시아 전략과 주한미군,”
    이춘근 『한․미동맹 50년』, 서울 : 세종연구소 [2003]
  • “미국의 신 아 태 전략과 한반도 안보”
    강진석 「국제문제」11월호 [1995]
  • “미국의 동아시아 안보전략에 대한 중국의 평가와 군사전략 변 화.”
    김성한 김흥규 전략연구 통권 제39호 [2007]
  • “미국의 대외정책 변동요인에 관한 연구”
    강임구 대전대학교 박사논문 [2003]
  • “문재인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미관계,”
    강근형 『신아세아』제25권 4호 [2018]
  • “동북아 다자안보의 적실성과 추진전략 연구”
    차재훈 『한국정치외교사논 총』34집 1호 [2012]
  • “동북아 국제관계와 한국의 국가이익 : 미 중 일 세력관계를 중심으 로,”
    박인휘 『국가전략』제11권 3호 [2005]
  • “동맹정치의 변화와 동맹관계-한미, 미일동맹을 중심으로”
    이기완 『국방연 구』Vol.53 No.1 [2010]
  • “동맹이론을 중심으로 본 한미동맹에 있어서 전시 작전통제권 환수의 의미”
    정기웅 『사회과학연구』, 제8집 [2000]
  • “동맹의 비대칭성과 韓 美관계,”
    김선호 연세대학교 석사논문 [2004]
  • “동맹변화이론에 대한 평가연구”
    김영호 국방대학교 석사논문 [2005]
  • “동맹 속에서의 자주국방,”
    한용섭 『자주냐 동맹이냐 : 21세기 한국 안보외 교의 진로』, 서울 : 도서출판 오름 [2004]
  • “년 미일안보협의회의(2+2회의) : 평가와 전망.”
    김두승 송화섭 􋺷동북아 안보정세분석􋺸, 2013 [2013]
  • “국제 원자력 환경 변동과 한미 원자력 파트너십 구축방안: 한미 원자 력협정 개정 협상을 계기로,”
    전봉근 『주요국제문제분석』 [2012]
  • “구조적 현실주의 이론의 관점에서 본 한미동맹의 변화에 관한 연구 : -2010”
    허 육 경희대학교 박사논문, 2010 [1953]
  • “NATO의 핵공유협정과 전술핵무기 : 배경, 전망, 시사점,”
    정은숙 『세종정 책연구』, 성남 : 세종연구소 [2016]
  • http://www.kida.re.kr/nasa/report/detail.asp?idx=1025&cate=0&cyear= 2013&params=cyear=2013^page=(검색일: 2017.10.30.).
    [2013]
  • Unit ana Disintegration in International Alliances : Comparative Studies
    [1973]
  • Toward an Alliance of Hope,” Address to the U.S. Congress by Prime Minister Shinzo Abe, April 29, 2015, 검색일: 2017년 4월 5일, http://japan.kantei.go.jp/97_abe/statement/201504/uscongress.html.
    [2015]
  • The Philosophy of International Relations: Astudy in the history of Thought, 정규섭 강원식 역
    F. Parkinson 국제관계사(서울:일신사, , pp. 44-15 [1994]
  • The Origins of Alliances
    [1987]
  • The National Security Strategy of Engagement and Enlargement
    [1996]
  • Sustaining U.S. Global Leadership : Priorities for 21st Century Defense, January 2012, 미국방부, http://www.defense.gov/news/DefenseStrategicGuidance.pdf (검색일 : 2016년 6월 22일)
  • Superpower Decline and Hegemonic Survivalin Major Problems in American Foreign Relations
    [2000]
  • Security Implications of Nuclear Nonproliferation Agreement with North Korea
    [1995]
  • SIPRI Military Expenditure Database,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https://www.sipri.org/sites/default/files/Data.pdf (검색일 : 2017. 8월 16일)
    [2017]
  • Remarks By President Obama to the Australian Parliament,” Parliament House, 검색일 2018. 4. 5, https://obamawhitehouse.archives.gov/the-press-office/2011/11/17/re marks-president-obama-australian-parliament.
    [2018]
  • Realism in the Study of World Politics
    Vol.52 ( 4 )
  • Quadrennial Defense Review Report, September 30, 2001, 미국방부 http://www.defense.gov/pubs/qdr2001.pdf (검색일 :2017년 5월 8일).
    [2001]
  • Principles of International Politics : People ’ s Power , Preferences , and Perceptions
    [2000]
  • Nuclear Latency and Nuclear Proliferation ,Forecasting Nuclear Proliferation in the 21st Century
    [2010]
  • Japan 's North Korea Strategy : Dealing with New Challenges
    [2014]
  • Ironies in Japan ’ s Defense and Disarmament Policy , ” T. Inoguchi and P. Jain , eds. , Japanese Foreign Policy Today
    [2000]
  • International Politics : Enduring Concepts and Con-Temporary Issues , 3rded
    pp . 70-78 . [1992]
  • Hans K. Morgenthau , Politics Among Nations : The Struggle for Power and Peace
  • Deparment of State, “Fact Sheet: U.S.-Republic of Korea(R.O.K) Agreement for Peaceful Nuclear Cooperation,”(January 20, 2017), https://www.state.gov/t/isnrls/fs/2017/266968,htm (검색일: 2018년 9 월 16일).
    [2017]
  • Defense Strategy for the Seventies
    [1971]
  • China ’ s Unpeaceful Rise .
    [2006]
  • America 's Misguided Quest for Unipolar Hegemony in the Post-Cold War Worldin Major Problems in American Foreign Relations
    p.622 [2000]
  • Ambivalent Allies – A Study of South Korean Attitudes toward the U.S.
  • Alliances and Asymmetry : An Alternative to the Capability Aggregation Model of Alliances.
  • Alignment Despite Antagonism : The Unites States-Korea-Japan Security Triangle
    [1997]
  • Acheson ’ s speech before the National Press Club , on January 12 , 1950 , as it appeared in the Department of the State Bulletin
    XXII (
  • Abandonment , Entrapment and Neoclassical Realism in Asia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