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대표성 위기’와 비례형 선거제도 연구

손경호 2020년
논문상세정보
' ‘대표성 위기’와 비례형 선거제도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권역별 비례제
  • 다당제
  • 다수제 민주주의
  • 대표성
  • 등가성
  • 불비례 측정
  • 비례성
  • 선거제도 개혁
  • 연동형
  • 합의제 민주주의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33 0

0.0%

' ‘대표성 위기’와 비례형 선거제도 연구' 의 참고문헌

  • 투표참여의 경제학 제 18대 국회의원선거 투표율 결정 요인 분석
    윤성호 주만수 『경 제학연구』제58집 제2호, 한국경제학회 [2010]
  • 『헌법이론과 헌법』
    허 영 서울: 박영사 [2008]
  • 『합의제 민주주의 동학』
    선학태 광주: 전남대학교출판부 [2015]
  • 『한국형 합의제 민주주의를 말하다』
    최태욱 서울: 책세상 [2014]
  • 『한국 정치 법학론』
    박상철 서울: 리북 [2008]
  • 『선거체제의 비교』
    안순철 서울: 법문사 [1998]
  • 『선거제도의 이해』, 전용주 옮김
    데이비드 파렐 파주: 한울아카데미 [2017]
  • 『선거제도의 변화와 17대 총선』
    조진만 최준영 파주: 한국학술정보 [2006]
  • 『비례대표선거제도』
    박찬욱 서울: 박영사 [2000]
  • 『비례대표선거에 있어서 이상적인 의석배분』
    이부하 서울: 의회발전연구회 [2008]
  • 『독일식 선거제도의 특성과 적용』
    김영태 정치선진화를 위한 선거제도 개선방안 공동 세미나 자료집 [2010]
  • “혼합형 선거제도의 정치적 효과”
    장 훈 한국정치학 회, 『한국정치학회보』제40집 5호 [2006]
  • “혼합형 다수대표제의 정치적 결과에 대한 분석: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 으로”
    김형철 『선거연구』제2권 제2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12]
  • “혼합식 선거제도로의 변화와 정치적 효과 : 뉴질랜드, 일본, 그리고 한국을 중 심으로”
    김형철 『시민사회와 NGO』제5권 제1호, 한양대학교출판부 [2007]
  • “혼합선거제도 도입에 따른 정치적 효과 분석”
    어수영 『선거연구』제1권 제1호, 한국 선거학회 [2011]
  • “현행 독일선거법제에 관한 고찰”
    김도협 『법학연구』제17집 2호, 인하대학교 법학연 구소 [2014]
  • “합의제 민주주의 원리와 운영 목표”
    최태욱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17]
  • “한국에서의 전략투표: 대통령 선거와 국회의원 선거에서 나타난 약소 정당 지 지자들의 투표 행태”
    지병근 『국제정치논총』제48집 제2호, 한국국제정치학회 [2008]
  • “한국에서 정당일체감의 변화: 세대교체인가, 생애주기인가”
    허석재 􋺷한국정당학회보􋺸 제13권 제1호, 한국정당학회 [2014]
  • “한국에 있어서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의 문제점 분석 : 표의 등가성을 중심으로”
    이동윤 이충현 『연세학술논집』27, 연세대학교대학원총학생회 [1998]
  • “한국민주주의 공고화 관점에서 본 헌정체제 디자인:합의제형”
    선학태 『민주주의와 인권』제10권 제1호, 전남대학교 5 18연구소 [2010]
  • “한국 지역주의와 민주주의의 위기: 대표성, 통치능력, 안정성을 중심으로”
    최영진 『국가전략』제8권 제2호, 세종연구소, , pp.10-16 [2002]
  • “한국 정치의 제도적 개혁과 조화: 의원내각제, 다정당체계, 비례대표제”
    안순철 『한국 정치학회 춘계학술대회』발표자료 [2001]
  • “한국 의석할당제도의 문제점: 선거구 획정과 선거인수 불균형”
    서복경 􋺷한국정치연 구􋺸 제21집 제1호,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2]
  • “한국 유권자의 전략투표 행태”
    안순철 『한국정치학회보』제30집 2호, 한국정치학회 [1996]
  • “한국 유권자의 이념 성향의 변화와 이념 투표”
    이내영 『평화연구』제17권 2호, 고려 대학교 평화연구소 [2009]
  • “한국 국회의원선거를 통해 본 선거제도와 지역주의의 효과”
    정준표 『한국정치연구』 제23집 제2호, 한국정치연구소 [2014]
  • “한 일 선거구획정의 의석재분배 효과 비교분석”
    강휘원 『한국정치학회보』제41집 3 호, 한국정치학회 [2007]
  • “표의 등가성을 통해 본 선거구획정의 공정성 : 측정과 함의”
    김정도 『한국정치학회 보』제49집 4호, 한국정치학회 [2015]
  • “표의 등가성 확보와 비례성 제고를 위한 선거제도 대안의 모색”
    김종갑 『선거연구』 제3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12]
  • “투표의 등가성을 위한 선거구획정의 정치와 기법”
    강휘원 􋺷한국정치학회보􋺸 제35집 2호, 한국정치학회 [2001]
  • “지역균열정치와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의 게리맨더링과 투표 등가성의 훼손”
    이정섭 􋺷대한지리학회지􋺸 제47권 제5호, 대한지리학회 [2012]
  • “지역구형 의정과 지역할거형 정당에 대한 제도적 처방”
    김재한 『한국정치학회보』제 32집 4호, 한국정치학회 [1998]
  • “지방선거에서의 분할투표: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강원택 『한국과 국제정치』제 26권 제4호, 경남대학교출판부, 2010 [2010]
  •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권역별 비례제: 제도적 특징 및 장 단점 분석”
    김종갑 􋺷이슈와 논점􋺸 제1028호, 국회입법조사처 [2015]
  • “제5회 지방선거의 주요 이슈와 유권자 평가”
    이현우 『선거연구』제1권 제1호, 한국 선거학회 [2011]
  • “제20대 총선 결과의 실증적 분석을 위한 제언”
    윤광일 『의정연구』22권 1호, 한국의 회발전연구회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구획정의 지역대표성 강화 방안”
    강휘원 􋺷한국정치연구􋺸 제24 집 제2호, 서울대학교한국정치연구소 [2015]
  • “제17대 총선에서 민주노동당 지지에 대한 분석”
    강원택 『한국정치연구』제13집 제2 호,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04]
  • “제17대 총선에서 2표병립제와 유권자의 분할투표: 선거제도의 미시적 효과 분 석”
    박찬욱 『한국정치연구』제13집 제2호,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04]
  • “정치개혁으로서의 선거구획정: 등가성 기준의 강화의 필요성과 효과성을 중심 으로”
    김영식 『한국정치학회보』제36집 2호, 한국정치학회 [2002]
  • “정당투표제 도입의 정치적 효과”
    이현우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05]
  • “전략투표율의 변화, 개인의 선호도 변화 그리고 군소후보의 쇠퇴”
    최정욱 『국제정치 논총』제46집 제4호, 한국국제정치학회 [2006]
  • “인물대표성과 비례성의 조화를 위한 선거제도 개선방향”
    김종갑 이정진 『이슈와논 점』제1272호, 국회입법조사처 [2017]
  • “유권자의 합리적 선택과 정치 엘리트의 전략적 행위가 투표율에 미치 는 영향: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사례 분석”
    강현구 한정훈 『한국정치연구』제18집 제1호, 서 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09]
  • “유권자 선거판세 인식과 전략투표 행동에 대한 매체 이용 효과의 탐색적 연 구”
    김용호 『언론과학연구』제9권 제2호, 한국지역언론학회 [2009]
  • “연동형 비례제와 정당 민주화 : 독일과 뉴질랜드 주요 정당의 공천제 도 비교연구”
    김한나 박현석 『입법과 정책』제11권 제1호, 국회입법조사처 [2019]
  • “역대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에 대한 평가: 표의 등가성과 정당간 공정 성을 중심으로”
    김민전 심지연 􋺷한국정치학회보􋺸 제35집, 한국정치학회 [2001]
  • “선거제도의 정치적 효과: 제6대〜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정영재 정준표 『한국정당학회보』제4권 제2호, 한국정당학회 [2005]
  • “선거제도 개혁과 권역별 비례대표제”
    김종갑 『국가전략』제19권 제1호, 세종연구소 [2013]
  • “선거구획정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최경옥 『공법학연구』제13권 제4호, 한국비교공법 학회 [2013]
  • “선거구 획정의 정치학 : 쟁점과 과제”
    강우진 『의정연구』제21권 제2호, 한국의회발 전연구회 [2015]
  • “선거구 획정의 기본문제”
    정만희 􋺷공법학 연구􋺸 제13권 제3호, 한국비교공법학회 [2012]
  • “선거구 획정과 평등선거-미국 연방대법원의 판례를 중심으로-”
    김민배 『헌법논총』 23 [2012]
  • “선거구 특성이 투표율에 미치는 영향”
    황아란 한국정 치학회,『한국정치학회보』제30집 4호 [1997]
  • “선거구 경쟁도와 전략적 분할투표:17대와 18대 국회의원 총선거를 사례로”
    한상익 『한국정치연구』제23집 제2호,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4]
  • “새로운 선거구제도 선택을 위한 시뮬레이션 결과”
    조기숙 『의정연구』제4권 제1호, 의정발전연구회 [1999]
  • “비례대표선거제의 체계와 그 정당화 요건”
    김진곤 􋺷공법연구􋺸 제41집 제2호, 한국공 법학회 [2012]
  • “비례대표선거제에 있어서 정당명부식과 단기이양식”
    이부하 장지연 『공법학연구』 제13권 제4호, 한국비교공법학회 [2012]
  • “비례대표 선거제도의 확대 및 개선방안에 관한 헌법적 고찰”
    여채식 『법학과 헌법』 제4권,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법학과 [2017]
  • “민주주의에서 표의 불평등성 : 국회의원 선거구획정의 왜곡도 분석”
    이상학 이성규 『의정논총』제10권 제2호, 한국의정연구회 [2015]
  • “민주주의 발전을 위한 다수제와 비례대표제의 비 교 연구”
    고려대학교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연구용역 보고서 [2015]
  • “민주적 대표성과 대통령선거에 관한 연구 - 결선투표제를 중심으로”
    법과역사학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연구용역보고서」 [2017]
  • “미래지향적인 선거구제 개편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선거학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연구용역과제 보고서』 [2011]
  • “미국의 선거구획정과 의회경쟁력의 관계”
    임재주 『국회보』통권 543호, 국회사무처 [2012]
  • “미국 정당의 양극화 현상과 분할투표 결정요인의 변동에 관한 연구: 피오리나 의 정책균형 분할투표 이론을 중심으로”
    박천호 『미국학』제31-2집, 서울대학교 미 국학연구소 [2008]
  •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제3당 후보 지지자들의 전략투표에 관한 연구”
    조성대 『한국 정치학회보』제34집 2호, 한국정치학회 [2000]
  • “독일연방의회의원 선거체계”
    음선필 『사회과학연구』제12권 제2호, 순천향대학교 산 학협력단 [2006]
  • “독일식 선거제도, 과연 지역주의 타파할 것인가”
    최한수 『지방자치』119, 현대사회연 구소 [1998]
  • “독일선거제도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국회의원선거제도를 중심으로”
    도희근 『공 법연구』제40집 제3호, 한국공법학회 [2012]
  • “대표성의 위기”
    박명호 『한국 선거제도 개편의 쟁점과 과제』, 국회정치개혁특별위 원회 공동개최 세미나 자료 [2017]
  • “다수제형과 합의형 의회 모델 논쟁: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곽진영 􋺷오토피아􋺸 vol.25 no.1,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0]
  • “다수제와 합의제에 대한 이론적 논의”
    한정택 『현상과 인식』제34권 제4호, 한국인 문사회과학회 [2010]
  • “다당제 하에서 합의형 입법정치 모색”
    유재성 􋺷국회입법조사처 정책용역보고서􋺸 [2017]
  • “권력구조 개편에 조응하는 선거제도 개혁방안”
    김종갑 이정진 『이슈와논점』제 1289호, 국회입법조사처 [2017]
  • “국회의원선거 비례대표제 개혁논의의 쟁점과 과제”
    김종갑 􋺷이슈와 논점􋺸 제1353호, 국회입법조사처 [2017]
  • “국회의원 선거제도 개혁의 정치 : 대안의 검토와 성공을 위한 짧은 레시 피”
    조정관 『한국 선거제도 개편의 쟁점과 과제』세미나 자료, 2017 [2017]
  • “국회의원 선거제도 개혁방안: 절충식비례제를 제안하며”
    김종갑 『정책연구』통권 157호, 국가안보전략연구소 [2008]
  • “국회의원 선거의 당선경쟁과 선거구 요인: 제15대 총선 당선자의 선거경쟁도 를 중심으로”
    황아란 한국정치학회,『한국정치학회보』제32집 3호 [1998]
  • “국회의원 선거구획정의 제도개혁에 관한 연구: 인구 대표성과 지역 대표성의 조화를 중심으로”
    김도종 김형준 􋺷대한정치학회보􋺸 제11집 제2호, 대한정치학회 [2003]
  • “국회의원 선거구획정의 변화”
    심지연 􋺷한국정당학회보􋺸 제4권 제2호, 한국정당학회 [2005]
  •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과 정치적 지니계수”
    이상학 『제도와 경제』vol. 5 no.1, 한국제 도 경제학회 [2011]
  • “국민주권 시대를 위한 국회의원 선거제도의 개혁방안과 쟁점”
    김형철 『민주주의와 인권』제17권 제4호, 전남대학교 5 18연구소 [2017]
  • “국민의당 투표자 분석: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 이탈자를 중심으로”
    주민혜 『사회 과학연구』제44권 제2호,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8]
  • “국민의 정치(선거)참여를 최대한 보장한 가운데 국회 연동형 비례대표제와 대 통령 결선투표제 조속히 도입하자”
    박근용 『선거제도개혁 그리고 개헌』자료집, 원혜 영 국회의원실 [2017]
  • “공직선거법상 주요 쟁점에 관한 소고”
    김도협 『세계헌법연구』제22권 제1호, 국제헌 법학회 한국학회 [2016]
  • “2표병립제에서 군소정당 지지자들의 전략투표”
    한상익 『한국정치학회보』제47집 5 호, 한국정치학회 [2013]
  • “20대 총선과 한국 민주주의의 미래”
    윤성이 『동아시아재단 정책논쟁』제50호, 동아 시아재단 [2016]
  • “20대 총선 선거구 획정에 나타난 문제점과 과제”
    한상익 「이슈브리핑」-06, 민 주정책연구원, 2016 [2016]
  • “20대 국회의원 선거구획정의 측정과 평가”
    이상학 이성규 『의정논총』제11권 제1 호, 한국의정연구회 [2016]
  • “2013년 독일선거제도의 변화와 한국 총선에의 적용”
    김종갑 신두철 『한국정치학회 보』제48집 1호, 한국정치학회, [2014]
  • “17대 국회의원선거의 민주노동당 투표자에 대한 분석”
    가상준 안순철 『한국정당학회 보』제5권 제2호, 한국정당학회 [2006]
  • the Political Consequences of Electoral Laws , 1945-85
    [1990]
  • Why Nations Fail : The Origins of Power , Prosperity , and Poverty
    [2012]
  • Westminster versus PR : Normative and empirical assessments. ” Representation 36-2
    [1999]
  • W. Making Votes count : Strategic Coordination in the World ’ s Electoral Systems
    [1997]
  • Voter Turnout and Strategic Ticket-Splitting under Japan ’ s New Electoral Rules.
    [1997]
  • Understanding Political Stability and Instability.
    [2010]
  • Ticket-splitting and strategic voting under mixed electoral rules : Evidence from Germany.
    46 [2007]
  • Ticket splitting as electoral insurance : The Mexico 2000 elections.
    28 , [2009]
  • Thinking about Democracy : Power Sharing and Majority Rule in Theory and Practice
    [2008]
  • The political consequences of electoral laws ,
    [1967]
  • The effect of ideology on policy outcomes in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s.
    62 [2011]
  • The Two-party System and Duverger 's Law : An Essay on the History of Political Science.
    [1982]
  • The Theoretical Limits of Maximum Distortion : Some Analytic Expressions for Electoral Systems
    [1971]
  • The Structure of Inequality and the Politics of Redistribution.
    [2011]
  • The Politics of Electoral System
    [2005]
  • The New Politics of the Welfare State.
    [1996]
  • The Insider-Outsider Dilemma.
    44 [2013]
  • The Debate on Globalization , Poverty and Inequality : Why Mesurement Matters.
    [2003]
  • The Cube Rule in a Mixed Electoral System : Disproportionality in German Bundestag Elections.
    [2011]
  • The Comparative Study of Split-Ticket Voting
    28 [2009]
  • Strategic voting in established and new democracies : Ticket splitting in mixed-member electoral systems.
    28 [2009]
  • Strategic mobilization : Why proportional representation decreases voter mobilization. ”
    37 [2015]
  • Strategic and Sincere Voting in a One-sided Elections : The Canadian Federal Election of 1997
    [2005]
  • Strategic Voting in Britain '' American
    [1978]
  • Strategic Voting , Party Activity , and Candidate Effect : Testing explanations for Split Voting in New Zealand ’ s New Mixed System.
    21 [2002]
  • RealChoices/New Voices : How Proportional Representation ElectionsCould Revitalize American Democracy
    [2002]
  • Rational Theory of the Size of Government.
    [1981]
  • Proportionality , disproportionality and electoral systems
    [1991]
  • Proportional Representation , Majoritarian Legislatures , andCoalitional Voting.
    [2011]
  • Political knowledge about electoral rules :Comparing mixed member proportional systems in Germany and New Zealand.
    25 [2006]
  • P. Retrospective Voting in American National Elections
    [1981]
  • P. C. & O. V. Shvetsova
    [1994]
  • On the Theory of Strategic Voting.
    [2007]
  • Majoritarian Democracy and Globalization versus Ethnic diversity ?
    [2012]
  • Lower Prices : The Impact of Majoritarian Systems in Democracies Around the World.
    [2008]
  • Loser ’ s Consent : Elections and Democratic Legitimacy
    [2005]
  • Lijphart, A. Electoral systems and party systems : a study of twenty-seven democracies ; 1945 – 1990, Oxford: Oxford Univ. Press, 1994.
  • Le Systeme Politique Francais
    [1985]
  • Is there an incumbency advantage or cost of ruling in proportional election systems ?
    154 [2013]
  • Income , inequality , and the stability of democracy — Another look at the Lipset hypothesis.
    35 [2014]
  • IDEA http://www.idea.int/sod/index.cfm.
  • Historical Knowledge and Quantitative Analysis : The Case of the Origins of Proportional Representation.
    [2010]
  • Heather K. The Democracy Index : Why our Election System is Failing and How to Fix it
    [2009]
  • G. W. & Shugart , M. S. “ Comment on Gallagher ’ s ‘ proportionality , disproportionality and electoral systems
    [1991]
  • From Transition to Defective Democracy : Mapping Asian Democratization
    [2004]
  • Fixing Elections : the Failure of America ’ s Winner Take All Politics
    [2002]
  • Fighting Poverty in the US and Europe : a World of Difference
    [2004]
  • Erik S. Herron and Misa Nishikawa . Mixed Electoral Systems : Contamination and its Consequences
    [2005]
  • Electoral systems and party systems : a study of twenty-seven democracies
    [1945]
  • Electoral systems . Houndmills
    [2011]
  • Electoral Systems and Democratic Quality : Do Mixed Systems Combine the Best or the Worst of Both Worlds ? An Explorative Quantitative Cross-national Study
    40 , [2005]
  • Electoral System Design : The New International IDEA Handbook
    [2005]
  • Electoral System Design : An Overview of the New International IDEA Handbook
    [2005]
  • Electoral Markets , Party Strategies , and Proportional Representation.
    [2010]
  • Election indices dataset ACE Electoral Knowledge Network
    [2015]
  • Election Inversions under Proportional Representation.
    [2015]
  • Election Inversions , Coalitions and Proportional Representation : Examples of Voting Paradoxes in Danish Government Formations.
    [2013]
  • Effective number of parties : A measure with application to West Europe
    [1979]
  • Economic security and democratic capital : Why do some democraciessurvive and others fail ?
    50 [2014]
  • Does Electoral System Reform Works ? -Electoral System Lessons from Reforms of the 1990s
    11 [2008]
  • Do Majoritarian Electoral Systems Favor Consumers : Identifying Cross-National Consumer Bias.
    56 [2012]
  • Democratic Electoral Systems around the World , 1946–2011.
    32 [2013]
  • Democracy in Divided Societies : Electoral Engineering for Conflict Management
    [2001]
  • Democracy and the Politics of Electoral System Choice
    [2013]
  • Credible Commitment , Political ncertainty or Policy Complexity ? Explaining Variations in the Independence of on-Majoritarian Institutions in France.
    [2005]
  • Choosing Electoral Systems : Proportional , Majoritarian and Mixed Systems
    [1997]
  • Candidate effects and spill-over in mixed systems : Evidence from New Zealand.
    28 [2009]
  • Behavioral consequences of mixed electoral systems : Deviating voting behavior of district and list MPs in the German Bundestag.
    29 [2010]
  • Ballot design and split ticket voting in multiparty systems : Experimental evidence on information effects and vote choice.
    28 [2009]
  • Analysis and Comparison of Greek Parliamentary Electoral Systems of the Period 1974-1999
    [1999]
  • ACE the Electoral Knowledge Network http://aceproject.org/epic-en.
  • A quasi-proportional electoral system ‘ only for honest men ’ ? The hidden potential for manipulating mixed compensatory electoral systems
    [2012]
  • A Transaction Cost Theory of Politics.
    [1990]
  • A Comparative Theory of Electoral Incentives Representing the Unorganized Under PR , Plurality and Mixed-Member Electoral Systems
    [2003]
  • 1인 2표병립제의 도입과 유권자의 투표행태: 일관투표와 분할투표의 결정요인 분석
    조진만 최준영 한국정치학회,『한국정치학회보』제40집 1호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