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의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문용선 2020년
논문상세정보
'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의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자기수용
  • 자아탄력성
  • 적극적 참여
  • 학교 밖 청소년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561 0

0.0%

'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의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의 참고문헌

  • 효율적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체제적 모형
    박인우 지도상담. 제20권. 2호 19-46 [1996]
  • 회복탄력성
    김주환 고양 :위즈덤하우스 [2011]
  • 한국 청소년 탄력성 척도의 개발. 한국정책연구원
    이해리 조한익 한국 청소년연구 제16권. 2호. 161-205 [2005]
  • 한국 아동인성검사(KPI-C)의 자아탄력성 척도(ERS) 타당도 연 구
    이지연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지지,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연구
    김현지 양명숙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5권. 01호. 23-34 [2017]
  • 학교현장에 기반한 청소년 음주문제 예방 연구. 중앙대학교 대 학원
    김승수 박사학위논문 [2015]
  •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의 학업중단 과정 분석
    임인아 백석대학교 기독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학교중도탈락 청소년의 중퇴과정과 적응에 관한 탐색
    성윤숙 한국청소 년연구 통권 제42호. 2005.12. 295-343 [2005]
  • 학교중도탈락 청소년의 삶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김혜영 숙명여자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문제해결 대처능력 향상에 대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한국사회연구. 제17권. 1호. 189-244. 여성가족부 2018. 02. 07
    양지원 보도자료 [2014]
  • 학교를 통해 본 청소년 프로그램
    박은희 한국 언론학회 [1996]
  • 학교 청소년과 학교 밖 청소년의 아들러 생활양식 비교
    유정화 목포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학교 중퇴의 원인과 과제와 학생 생활연구
    표갑수 청주대학교 학생생 활 연구소. 제14권. 2호. 11∼20 [1992]
  • 학교 중도탈락 청소년의 욕구와 심리적경험 조사. 학교를 떠나는 아이들
    권해수 안현의 이소영 청소년상담문제보고서. 제46권 1호. 19-31 [2002]
  • 학교 밖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애착이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과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최수정 서울한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학교 밖 청소년의 탈학교 의미 연구
    배미경 신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 논문 [2016]
  • 학교 밖 청소년의 우울과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오은경 대전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학교 밖 청소년의 생활실태와 행복감 관련 변인
    홍은영 황연경 디지털 융복합연구. 제16권. 2호. 57-64 [2018]
  • 학교 밖 청소년의 비행에 대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에 관한 연 구
    김영환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학교 밖 청소년의 문제행동 관련 융복합적 요인
    이재영 디지텰융복합 연구. 제16권. 10호. 333-342 [2018]
  • 학교 밖 청소년의 도시형 대안학교 적응과정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최연수 박사학위논문 [2015]
  • 프로이트 정신분석
    민희식 서울: 정민 미디어 [2001]
  • 특별교육 대상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을 위한 집중적 집단미술치 료 프로그램 개발 효과
    박성혜 불교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탄력성의 개념적 이해와 교육적 방안
    홍은숙 특수교육학 연구. 제41권. 2호. 45-60 [2006]
  •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마음공부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최봉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초등교사의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김혜순 한국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7]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자기애와 완벽주의 성향과 의 관계
    장미정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5]
  • 청소년의 학교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김영희 박미단 성윤옥 청소년학연구. 20권. 8호. 49-70 [2013]
  •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비행행동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최재영 서남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신재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청소년 프로그램 평가. 김동규편저, 청소년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론
    송병국 서울: 교육과학원. 219-242 [2005]
  • 청소년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 김동규 편저
    김진화 청소년 상담 프로그 램 개발 및 평가론. 113-129 [2005]
  • 청소년 비행과 일탈적 자아개념의 상호적 인과
    이은주 정익중 한국청소 년연구원. 16권. 4호, 447-468 [2010]
  • 청소년 범죄룔
    청소년백서 여성가족부. 447∼500 [2018]
  • 청소년 감정코칭
    조벽 최성애 서울: 해냄 [2013]
  • 집단상담활동집
    이형득 대구:상담출판사 [1998]
  • 집단상담의 실제. 서울: 학지사. 구본용 신현숙 유제민(2002). 데이터 마이닝을 이용한 중퇴모형에 관한 연구
    강진령 청소년상담연구. 제10권. 2호, 35-57 [2005]
  • 집단상담 활동
    권경인 교육과학사 [2008]
  • 집단따돌림을 경험한 청소년의 심리적 고통에 관한 현상학적 연 구
    문용선 경북외국어대학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논문 [2014]
  • 중학생의 회복탄력성이 학교 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신숙 조선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중학생용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
    김미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중등학교 교사의 생활과 문화
    이혜영 한국교육개발원 [2001]
  • 중도탈락학생의 사회적응 상담정책 개발연구. 청소년상 담복지개발원: 청소년상담연구
    남상인 이숙영 총서. 1-223 [1997]
  • 중 고등학생의 중퇴요인과 대책
    표갑수 한국청소년학회. 제1권. 1호. 127-147 [1993]
  • 중 고등학교 학업중퇴생 증가의 원인과 대책에 관한 연구
    조아라 연세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1]
  • 정서지능 훈련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사회적 조망수용능력과 이 타행동에 미치는 효과
    김지예 초등교육학연구. 제13권 2호. 199-214 [2006]
  • 장점중심 중재가 장애유아의 통합학급 활동참여에 미치는 효과
    이미애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자아탄력성의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 학교 생활 적응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이선영 석 사논문 [2008]
  •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능력이 복무에 미치는 영향과 기독 교적 상담접근
    박기영 한국복음주의 실천신학회. 9권. 1호. 25-75 [2015]
  • 자아탄력성, 긍정적 정서 및 사회적 지지와 청소년의 가정생활 적응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구자은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0]
  • 자아탄력성 증진 훈련프로그램이 중학생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김미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인간관계 스트레스와 공부스트레스가 애착 체계 활성화에 미치 는 영향
    이명선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울산제일일보 2019년 6월 27일 김보은 기자
    작성자 푸른사상 [2019]
  • 우리나라 학업중단 청소년에 대한 이해. 한국심리학회지
    금명자 사회문 제, 14권. 1호. 299-317 [2008]
  • 어떻게 소통할 것인가
    박종성 서울 : YES24 [2017]
  •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김주환 고양 : 위즈덤하우스 [2019]
  • 성공적 경험을 가지는 신체활동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 감에 미치는 영향
    김창현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상담사례를 통해서 본 “왕따”현상
    문형춘 이규미 홍혜영 청소년상담 연 구. 제21권. 3호. 10-120 [1998]
  •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 빈곤청소년의 학교 적응유연성 발달모형: 보호요인의 매개 조절 효과 모형을 중심으로
    김순규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빈곤이 일상적 스트레스를 통해 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
    박혜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비폭력대화와 감정코칭을 통합한 청소년 정서조절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대검찰청 범죄분석자료. 2015
    나옥희 서울 : 대검찰청 [2017]
  • 부모보고형 자아탄력성 척도 개발
    윤현희 이진환 홍창희 심리과학. 제 10권. 1호. 33-53 [2001]
  • 복지시설 이용 청소년의 위험요인이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최재영 한국콘테츠학회지. 제14권. 10호. 539-550 [2014]
  • 대인 커뮤니케이션 특성 및 자아성향이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이만재 청소년복지연구. 제11권. 3호. 99-127 [2009]
  •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프로 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김경수 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낙관성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순복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7]
  • 그룹홈 거주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김성경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 교육통계서비스(2018).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 한국교육개발원 [2018]
  • 교육정책 포럼 통계서비스
    한국교육개발원 273. 39∼43 [2018]
  • 교육부보도자료. , 8,30. 보도
    교육부 통계과 [2018]
  • 교육부보도자료
    학생복지정책과. 6-12 [2015]
  • 가출청소년이 지각하는 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지지가 가정복귀 의도에 미치는 영향
    권일남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가족환경 요인이 청소년 학업중퇴에 미치는 영향: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김순규 청소년학 연구. 제11권. 3호. 43-63 [2004]
  •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이 학교자퇴 생각에 미치는 영 향”
    구자경 청 소년학연구. 제10권. 2호, 309-330 [2003]
  • “빈곤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
    박현선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8]
  •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Vol 13 ( 2 ) , 39-101 [1980]
  • The ) Praise-encouragement preference scale for children
    40 , 92-101 [1984]
  • Self-consciousness and anxiety
    123 , 243-256 [2014]
  • Psychological resilience and theCapacity for intimacy ,
    [1983]
  • Minority education and caste
    [1983]
  • MBC NEWS. 박성원 기자
    년09월07일 오후7시 방송 [2015]
  • M. `` Alienation Studies '' , InA . Inkeles , J. Coleman , & N . Smelser ( Eds . ) , AnnualReview of Sociology
    [2011]
  • Loneliness and social contact
    113 , 295-296 [1981]
  • IQ and ego-resiliency :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70 , 349-361 [1996]
  • Emotion and Cognition : with special reference to anxiety . In C. D. Spielberger ( Ed ) , Anxiety : Current Trends in Theory and Research
    [1972]
  • Depression : Clinical , experimental , and theoretical aspects
    [1977]
  • Conceptual anasysis and measurementof construct of Ego-Resiliency
    70 ( 14 ) , 1067-1079 [1996]
  • 11인 초등학생 집단상담 프로그램
    김춘경 서울: 학지사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