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전통문화에 기초한 유아 생태예술교육의 협력적 실행연구=

조은제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저자 조은제
    • 기타서명 Early Childhood Ecological Art Education Based on Traditional Culture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 형태사항 삽도: ⅹ, 180 p. :: 26 cm
    • 일반주기 경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이부미, 참고문헌 : p. 161-171
    • 학위논문사항 2020. 2, 경기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박사)-, 유아교육학과
    • 발행지 수원
    • 언어 kor
    • 출판년 2020
    • 발행사항 경기대학교 대학원
    • 주제어 유아 생태예술교육 전통문화
    유사주제 논문( 221)
' 전통문화에 기초한 유아 생태예술교육의 협력적 실행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유아 생태예술교육
  • 전통문화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22 0

0.0%

' 전통문화에 기초한 유아 생태예술교육의 협력적 실행연구=' 의 참고문헌

  • 흙과 하늘에 대한 자연체험활동의 교육적 의미 탐색
    김세진 중앙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협력적 동작표현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강정원 홍은경 유아교육연구, 21(3), 5-25 [2001]
  • 행복한 인재로 키우는 예술의 힘
    김태희 서울: 착한책가게 [2015]
  • 한솔어린이보육재단, 오문자발견과 나눔의 순환을 통해 배움: 아뜰리에 정신과 함께놀이
    한솔어린이보육재단, 오문자 서울: 한솔수북 [2019]
  • 한 호주 놀이터의 물질성을 통해 본 놀이의 의미에 대한 포토에세이 연구
    전가일 교육인류학연구, 21(4), 121-166 [2018]
  • 플로러닝을 활용한 생태미술 교육 연구-‘초록메세지’교육을 중심으로
    조성숙 기초조형학연구, 16(3), 517-530 [2015]
  • 플라톤의 파이돈에 관한 연구
    윤노빈 문리과대학논문집, 17, 299-312 [1978]
  • 포스트모더니즘의 이해
    김욱동 서울: 문학과지성사 [2006]
  • 초현실주의와 소리사냥꾼
    이찬규 한국불어불문학회 동계학술대회, 91-96 [2016]
  • 창의적 체험활동을 활용한 전통 예술 교육
    정은정 국악교육연구 9(2). 167-196 [2015]
  • 질적연구방법론
    김영천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2012]
  • 진영은, 조규성 아이들의 숲 체험과 그에 대한 인상적인 기억에 관한 질적 탐구
    진영은, 조규성 환경교육, 22(3), 97-111 [2009]
  • 진리와 방법I(이길우, 이선관, 임호일, 한동원 공역)
    Gadamer, H. G. 서울: 문 학동네 [2000]
  • 존 듀이의 교육미학-예술교육의 철학과 이론
    김연희 파주: 교육과학사 [2012]
  • 조력자로서 질적 연구자의 역할에 관한 참여유아교사와의 협의과정: 유 아교실 내 조력자 문화 형성
    강진주 교육인류학연구, 19(3), 1-38 [2016]
  • 전통음악과 예절 중심의 유아전통문화교육 교육 개발 및 효과성 검 증 연구
    강향숙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전통미술과 자연의 미적요소에 기초한 유아미술교육 교육 개발 및 효과
    함영숙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전통미술과 자연의 미적요소에 기초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전통문화 인 지와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함영숙 생태유아교육연구, 14(4), 231-252 [2015]
  • 전통문화에 기초한 유아인성교육 교육 개발 및 효과
    박희숙 조선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전통문화에 기초한 유아경제교육 교육 개발 및 효과
    김희선 전남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전통문화에 기초한 유아감성교육 교육 개발 및 효과
    김명희 전남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전통문화에 기초한 유아 환경교육 교육 개발 및 효과
    홍지명 전남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전통문화에 기초한 예술통합교육이 유아의 창의적 그림 표현력 및 전통문화 인지와 선호도에 미치는 효과
    박부숙 이수경 조형교육, 55. 161-195 [2015]
  • 전통 문화의 단절성을 극복하기 위한 유아전통문화교육 활동의 실제
    김성섭 한 국유아교육연구, 5(1), 103-130 [2008]
  • 자연탐색활동을 통한 과학-미술통합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그리기 표상능력 및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채영란 유아교육연구, 33(6), 315-338 [2013]
  • 자연탐색을 통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운동 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명화 김세루 생태유아교육연구, 11(2), 139-161 [2012]
  •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윤임귀 충남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자연체험활동에 기초한 조형미술활동이 유아의 조형미술표현에 미치 는 영향
    정순남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자연적 공간의 자유놀이에 나타난 창조와 변형
    곽정인 나귀옥 미래유아교육학 회지, 20(3), 249-279 [2013]
  • 자연의 인간, 인간의 자연
    박호성 서울: 후마니타스 [2012]
  • 자연의 소리를 활용한 통합적 유아음악교육교육 구성 및 효과
    장정애 중앙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자연의 미적 요소에 기초한 유아미술교육의 개발 및 적용
    김선월 중앙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자연산책을 통한 미술요소 탐색활동이 유아의 그림표현에 미치는 영향
    김선월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자연놀이터에서의 탐구중심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 개념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강은주 계명대학교 유아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자연공간 통합 유아동작활동 실행연구
    유지안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15]
  • 인간의 미적 교육에 관한 편지(안인희 역)
    Schiller, F. 서울: 청하 [1995]
  • 이정, 정경수, 임부연 유아들이 숲에서 경험하는 자연 매체에 대한 의미 탐구
    이정, 정경수, 임부연 어린이미디어연구, 13(1), 141-163 [2014]
  • 이연선 다시 현장으로 돌아간 한 유아교사의 사건화된 경험: 들뢰즈 의 존재론에 기초한 후기 질적 연구
    강승지 안혜림 유아교육연구, 39(5), 161-187 [2019]
  • 유희충동을 활용한 예술치료의 통합적 접근방법
    신창중 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04]
  • 유치원교사 양성체제와 유아교육의 전문성 신장
    양옥승 한국교원교육연구, 19, 25-43 [2002]
  •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기본생활습관 형성과 그에 대한 어머 니와 교사의 평가
    김규수 미래유아교육학회지, 7(1), 229-251 [2000]
  • 유치원 유아들의 실외놀이에 관한 문화 기술적 연구
    정은경 유아교육연구, 20(3) 125-143 [2000]
  • 유치원 만 5세 유아들의 질문에 관한 문화기술지 연구
    박소연 동덕여자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유아전통문화교육 통합교육 개발 및 효과
    박영자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5]
  • 유아의 창의성과 그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김호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1), 141-167 [2006]
  • 유아의 자연에 대한 예술적 요소 탐색 경험의 교육적 의미
    박선영 유아교육논집, 17(5), 363-392 [2013]
  • 유아의 문화적 정체성 발달을 위한 유아전통문화교육의 풍부화 방안 모색. 한국육아지원학회
    이윤경 1(창간호), 89-102 [2005]
  • 유아의 문화적 정체성 발달을 위한 유아전통문화교육의 풍부화 방안 모색. 육아지원연구
    홍용희 창간호, 89-102 [2005]
  • 유아발달에 적합한 생물과학내용지식을 선정하기 위한 구성주의 교사의 노력
    곽향림 유아교육연구, 32(4), 137-160 [2012]
  • 유아발달
    김진경 이순형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14]
  • 유아미학교육: 예술과 학교개혁에 대한 시선과 담론
    임부연 생태유아교육연구, 8(1), 109-130 [2009]
  • 유아문화예술교육 교육 개발 및 효과
    강은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3]
  • 유아를 위한 창의적 동작교육(개정판)
    김온기 이영 전인옥 서울: 교문사 [2004]
  • 유아때부터 시작되는 자유선택교육
    이선희 한국교원교육학회, 68(11), 241-245 [2015]
  • 유아동작교육
    이현균 전인옥 서울: 양서원 [2018]
  • 유아기 예술교육의 재이해를 위한 고찰
    정은경 미래유아교육학회지, 9(3), 129-148 [2002]
  • 유아교육기관의 생태환경과 융교사의 환경친화적 태도가 유아 의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김양호 정윤희 생태유아교육연구, 13(1), 175-197 [2014]
  • 유아교육기관의 생태지표 개발연구
    허우정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유아교육과정의 심미화를 위한 실행연구
    박향원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13]
  • 유아교사의 미술교육 교수법 개선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현화동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유아교사를 위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고찰
    김영연 한국교원교육연구, 25(2), 217-238 [2008]
  • 유아가 자유선택활동에 몰입하는 맥락에 대한 연구
    나은숙 한수정 한국유아 교육 보육복지연구, 15, 61-78 [2011]
  • 유아가 경험하는 교실 공간의 의미
    송진영 양혜련 임부연 열린유아교육연구, 17(4), 249-272 [2012]
  • 유아 춤 감상교육현황 및 교사의 인식
    최재원 유아교육학논집, 12(2), 101-125 [2008]
  • 유아 색채교육 활동이 유아의 미술표상능력과 감성지능에 미치 는 효과
    김명나 김희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2), 361-384 [2014]
  • 유아 미술활동에서 조형매체를 통한 소통의 의미 탐구
    서민주 임부연 미술교 육논총, 28(2), 31-58 [2014]
  • 유아 교수, 학습방법
    이기숙 이영자 이정욱 서울: 창지사 [1999]
  • 오채선 미적 경험으로서 유아교육과정 돌아보기: 표현생활영역을 중심으로
    오채선 생 태유아교육연구, 8(4), 1-32 [2009]
  • 예술이 교육에 미치는 놀라운 효과(백령 역)
    Banford, A. 파주: 한길아트 [1998]
  • 에콜로지의 관점에서 본 예술
    민주식 한국미학예술학회, 18, 231-252 [2003]
  • 아이들의 삶과 생태유아교육. 아이살림과 생명살림의 유아교육을 위하 여
    임재택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집, 5-32 [2002]
  • 아동과 교육과정, 경험과 교육(박철홍 역)
    Dewey, J. 서울: 문음사 [2002]
  • 심미적 유아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박향원 임부연 유아교육연구, 32(5), 495-524 [2012]
  • 실행연구 (action research) 를 통한 연구와 교육실천의 연계성 강화
    김영미 김영천 이용숙 이혁규 조덕주 열린교육연구, 12(1), 363-402 [2004]
  • 신체의 지질학
    진중권 사회비평, 36, 64-75 [2007]
  • 슈타이너 교육이론에 기초한 유아예술교육 교육의 개발 및 적용 효과
    윤덕순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숲에서의 유아 놀이 교육의 개발과 효과
    최수경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3]
  • 숲에서 유아들이 경험하는 놀이 탐색
    이소영 임재택 하정연 한국유아교육학회, 33(2), 343-367 [2013]
  • 숲에서 여는 생태유아교육 교육 기조연구. 한국유아교육
    임갑빈 보육행정연구, 10(1), 123-155 [2006]
  • 숲과 함께 하는 음악교육. 홀리스틱 교육과 학교 숲 가꾸기
    조규혁 한국홀리 스틱교육학회, 21, 296-304 [2004]
  • 생태학 그 열림과 닫힘의 역사(강헌
    Worster, D. 문순홍 공역) 서울: 아카넷 [1977]
  • 생태중심 유아교육 모형의 탐색
    임재택 부산대학교 영유아보육연구소 [2004]
  • 생태주의적 음악교육의 방향 설정 모색: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중심으로
    이인화 한국음악학외, 45, 71-91 [2010]
  • 생태적 정체성의 내면화를 위한 가치지향 생태미술교육
    강주희 이지연 미술교 육논총, 26(2), 57-82 [2012]
  • 생태유아교육의 실천적 확장을 위한 방향 모색 : 교과의 재해석과 민주적 기관운영을 중심으로
    이부미 어린이교육비평, 8, 5-34 [2018]
  • 생태유아교육의 과제와 전망에 관한 탐색 연구
    김은주 임재택 유아교육연구, 27(1), 381-404 [2007]
  • 생태유아교육과정에 기초한 전통놀이 지도방안
    임승희 중앙대학교 국악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생태유아교육개론(제 3 판)
    임재택 서울: 양서원 [2010]
  • 생태예술을 활용한 환경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 감수성에 미치 는 영향
    이상원 이현민 한국환경학회, 23(3), 35-49 [2010]
  • 생태예술놀이치료가 아동의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허효범 한양사이버대학 교 휴먼서비스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생태예술, 북미원주민 의례 속의 비의도적 구현과 현대사회의 의도적 실천
    조경민 무용역사기록학, 36, 9-48 [2015]
  • 생태미학은 가능한가? ‘자기조직화’를 바탕으로 한 생태예술의 체계화
    유현주 미학예술학연구, 46. 151-179 [2015]
  • 생태문화로서의 예술 이해
    김정희 통일인문학, 51(5), 173-203 [2011]
  • 생태무용 교수-학습과정 개발을 위한 생태예술교육 사례 및 학습방법 조사 연구
    도수영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생태 예술의 지형그리기: 대지예술, 환경예술, 자연예술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융희 기초 조형학연구, 11(5), 77-87 [2010]
  • 삶 속의 실천을 위한 예술 활동 탐색
    홍애령 문화예술교육연구, 9(1), 19-41 [2014]
  • 산책을 통한 자연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임은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비구조적인 자유놀이 시간에 유아들이 보여주는
    오정희 임부연 최남정 유아 교육연구, 28(1), 185-209 [2008]
  •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진희 한국 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보건복지부, 육아정책연구소 2019 개정 누리과정 교사 연수자료
    교육부 서 울: 육아종합지원센터 [2019]
  • 배성아 예비교사의 과학수업개발을 위한 협동적 수업연구(Lesson Study)의 효과
    정가윤 교과교육학연구, 15, 1059-1078 [2011]
  • 발도르프유아교육과 생태유아교육의 유아기 경험에 대한 교육적 접근 방법 비교
    김지혜 우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발도르프 유아교육에서 교육원리 및 교수매체
    김정임 발도르프교육연구, 4(2), 1-18 [2012]
  • 바깥놀이에서의 미술 과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과학적 탐 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명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민속문화의 생태학적 인식
    임재해 서울: 월간미술 [2002]
  • 미술표상과 연계한 유아 환경교육교육 개발 및 효과
    지성애 유아교육연구, 32(6), 409-440 [2012]
  • 미술교육과 자연-생태미술
    마순자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168 [2000]
  • 문화컨텐츠 산업의 창작소재로서 고전소설의 활용가능성에 대한 연구
    김용범 민족학연구, 4, 1-37 [2000]
  • 문학 생태학을 위하여: 녹색문학과 녹색이론
    김욱동 서울: 민음사 [1998]
  • 몸의 세계, 세계의 몸
    조광제 서울: 이학사 [2004]
  • 모든 것은 느낀다. 인간, 자연, 생명과학의 진화(박종대 역)
    Beber, A. 파주: 프로네시스 [2008]
  • 레지오에밀리아 교육 사상과 그 실천에 관한 연구
    오종숙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 듀이(John Dewey) 경험적 예술론에 관한 예술교육의 담론과 시사
    오은혜 문 화예술교육연구, 8(1), 61-67 [2013]
  •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전통문화 내용 분석
    김진희 박찬옥 이경진 유아교육 학논집, 17(5). 441-464 [2013]
  • 교육현장 개선과 함께 하는 실행연구방법
  • 교육사상에서의‘교육적 관계’비교- Pestalozzi의 인간존재방식에 근거한 교 육사상의 관점에서
    김철 교육의 이론과 실천, 20(3), 47-67 [2015]
  •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 술부
  • 교수효능감이 유아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분석: 만 3 세 유아의 성별 조절효과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미소 서영숙 아동학회지, 39(4), 117-128 [2018]
  • 교수매체 환경과 유아의 경험양식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자유선택활 동을 중심으로
    유혜령 유아교육연구 18(1), 131-152 [1998]
  • 교사를 위한 실행연구(강성우 동역)
    Mills, J. E. 서울: 우리교육 [2005]
  • 공립유치원 고경력 교사의 삶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정순경 열린유아교육연구, 23(5), 1-29 [2018]
  • 공동육아 놀이문화의 구성요소 및 교육적 의미 탐색
    이부미 생태유아교육연구, 8(2), 1-33 [2009]
  • 공동육아 교사들의 협력적 실행연구 경험에 대한 탐색
    이부미 유아교육학논집, 14(3), 123-171 [2010]
  • 강강술래 중심의 유아 전통문화교육 교육 개발 및 효과
    김진희 중앙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15]
  • 가르치는 예술가 되기: 한 사진 예술강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윤지혜 (서울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생태유아교육’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하정연 생태유아교육연구 1(1), 49-74 [2002]
  • ‘공동육아’ 문화의 교육적 해석
    이부미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 van Manen, Max, 저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신경림, 안규남 역(1994) 체험 연구: 해석학적 현상학의 인간과학 연구방법론
    van Manen, Max, 저 서울: 동녘 [1990]
  • WhiteHead. A. N 이성의 기능 [The Function of reason]. (김용옥 역). 서울: 통나무
    WhiteHead. A. N (원서출판 1929년) [2000]
  • What the arts taught me about education
    44 , ( 5 ) , 10-19 [1991]
  • The nature principle : Human restoration and the end of nature-deficit disorder
    [2011]
  • The nature of play . Philosophic Inquiry In Sport
    [1995]
  • The nature of action research
    [1998]
  • The culture industry : Selected essays on mass culture
    [2005]
  • The biology of Hemithynnus hyalinatus . ( Hymenoptera : Tiphiidae ) , a parasite of scarabaeid larvae
    9 . ( 3 ) , 183-195 . [1970]
  • The Person in the CurriculumPrecedents and Promise in the Curriculum Field 38-52
    [1966]
  • The Arts in Children 's Lives
    [2002]
  • Teaching as induelling beteen two curriculum worlds , In W. F. Pinar and R. L. Irwin ( Eds ) Curriculum in a New Key ; Collected Works of Ted Aoki ( pp . 159-165 )
    [1991]
  • Small Is Beautiful : Economics as if People Mattered
    [1977]
  • Slater 통합동작교수법을 활용한 다문화 동작활동이 유아의 창 의성에 미치는 영향
    신윤숙 전인옥 한국아동학회. 116-117 [2014]
  • Schiller와 Dewey의 미학이론의 유아교육적 함의
    양혜련 임부연 미래유아교 육학회지, 18(1), 327-347 [2011]
  • Qualitative research in practice : Examples for discussion and analysis
    [2002]
  • Playful spaces ? A social geography ofChildren 's play in Livingston , Scotland .Children 's Geographies
    2 . ( 1 ) , 111-130 . [2004]
  • Padagogik in Anthropologischer Sicht(오인탁, 정혜영 역) 교육의 인간학
    Bollnow, O. F. 서울: 문음사 [1971]
  • Nature places and story spaces : An exploration of children 's stories about nature
    [2005]
  • Kumar.작은 학교가 아름답다(보리 편집부 역)
    Kumar. 파주: 도서출판보리 [1997]
  • Kant에 있어 "Asthetik"과 "asthetisch"의 용어와 개념에 대하여
    임범재 미학, 7(1), 21-31 [1987]
  • Invented worlds : The psychology of the arts
    [1982]
  • Insight , creativity and thoughts on the environment ” : integrating children and youth into human settlement development
    14 . ( 2 ) , 11-22 . [2002]
  • How we understand art : A cognitive developmental account of aesthetic experience
    [1987]
  • Establishing trustworthiness
    289 , 331 [1985]
  • Equipment , measurements and quality control in clinical exercise testing
    40 , 108 . [2007]
  • Environmental appropriate practices
    23 . ( 2 ) , 197-210 . [1995]
  • Education through art
    [1958]
  •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a More-Than-Human Era
    Olsson, L. M. 한국유아 교육학회, 2017.(1), 59-79 [2017]
  • Curriclum as a field of studyPrecedents and Promise in the Curriculum Field
    [1966]
  • Children Draw : A Guide to Why , When and How Children Make Art
    [2018]
  • Asian Religious Traditions and Natural Science : Potentials , Present and Future
    [2002]
  • Albert, Soesman12감각 (서유경 역)
    Albert, Soesman 서울: 도서출판 푸른씨앗 [2016]
  • Action research for educators .
    [2010]
  • Action research and minority problems
    2 . ( 4 ) , 34-46 . [1946]
  • A Sand County almanac .
    [1989]
  • 21세기형 다빈치를 만든다
    진수영 서울: 도서출판 나노미디어 [2016]
  • 12감각을 깨워야 내 아이가 행복하다: 아이의 성장을 기다려주는 부 모되기
    김현경 서울: 물병자리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