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근로자의 산업재해 경험과 직업재활에 관한 현상학적 분석

장순영 2020년
논문상세정보
' 근로자의 산업재해 경험과 직업재활에 관한 현상학적 분석'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산업재해
  • 산재근로자
  • 장애인
  • 직업재활
  • 현상학적 분석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202 0

0.0%

' 근로자의 산업재해 경험과 직업재활에 관한 현상학적 분석' 의 참고문헌

  •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논리와 방법: Max Van Manen의 연 구방법론을 중심으로
    유혜령 『가족과 상담』, 5(1), 1-20 [2015]
  • 현상학적 질적 연구에 대한 오해와 이해: 연구 논리와 연구 기법 사 이에서 길 찾기
    유혜령 『현상 해석학적 교육연구』, 10(1), 5-31 [2013]
  • 현상학적 연구의 이론과 실제
    신경림 『간호학탐구』, 12(1), 49-68 [2003]
  • 현상학적 ‘구성(Konstitution)’에 관한 연구
    양영운 『철학탐구』, 제 15권, 95-122 [2003]
  • 현상학이란 무엇인가, Husserl의 후기사상 을 중심으로. 박인성 옮김
    新田義弘 서울: 도서출판 b [2014]
  • 현상학과 휴머니즘-Husserl과 Heidegger의 저작들에 나타난 현상학의 개념분석-
    여종현 『철학』, 제52권, 277-318 [1997]
  • 현상학과 해석학의 방법론적 적용의 문제: “체험연구”의 현 상학적 토대와 해석학적 확장
    김애령 『탈경계 인문학』, 2(1), 231∼258 [2009]
  • 현상학과 질적연구방법
    이남인 『철학과 현상학 연구』, 제24집, 91-122 [2005]
  • 현상학과 질적 연구
    이남인 파주: (주)도서출판 한길사 [2014]
  • 해석학적 현상학에서 ‘의미’의 의미
    설민 『해석학연구』, 제35권, 129-165 [2014]
  • 한국장애인개발원
    www.koddi.or.kr
  • 한국의 장애인 직업훈련 현황과 최근의 변화. 한국장애인고용 공단 고용개발원
    양해철 세미나토론회(9월), 91-122 [2017]
  • 한국의 장애인 직업훈련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고용개발원
    김언아 남용현 변민수 연명모 전영환 연구자료(5월), 37-40 [2015]
  • 한국속담사전 편찬위원회 편저,『한국속담사전』
    여강. [2001]
  • 하동호 엮음. 『선조들의 지혜가 깃든 말 속담』.
    서울: 경원각 [2004]
  • 통계청(http: //kostat
    go.kr)
  •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김영석 김한별 유기웅 정종원 서울: 박영 스토리 [2018]
  • 질적연구 아틀라스: 열다섯 가지 성공전략
    김영천 정상원 조재성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2019]
  • 질적 연구 방법론 Ⅴ: Data Analysis
    김영천 정상원 파주: 아카데미 프레스 [2017]
  • 직업에 복귀한 산재장애인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원 직장복귀자와 타 직장복귀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박수경 『한국 사회복지조사연구』, 제37권, 149-174 [2013]
  • 직업복귀 산재근로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원 직장복귀자와 재취업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정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제5차 산재보험패널조사 기초분석 보고서.
    근로복지연구원 [2018]
  • 점토치료를 활용한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의 자아효능감 회복 과정의 현상학 연구
    한상희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장해를 가진 산업재해근로자의 경제활동과 사회경제적 지위 상태의 변화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경희 송진영 『한국케어매니지먼 트연구』, 제22호, 93-116 [2017]
  • 일의 의미가 직장인의 안녕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와 일과 삶 균형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최환규 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일본의 장애인 직업훈련 현황과 최근의 변화. 한국 장애인고용공단고용개발원(9월)
    야수오 이노우에 세미나토론회(9월). 69-78 [2017]
  • 이우영 편역, 『고사성어대백과』
    서울: 삼성교육미디어 [2009]
  • 이다미 산재근로자의 재활서비스 이용 욕구와 성공적인 직업 복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윤진 『사회과학연구』, 26(3), 3-27 [2015]
  • 원직장에 복귀한 산재장애인의 일상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배경남 우석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원직복귀 산재근로자의 직장적응 영향요인 분석
    이영민 임정연 『인 문사회과학연구』, 17(1), 531-564 [2016]
  • 왜 직업재활이 장애인복지의중심이 되어야 하는가?
    김성진 『직업재 활연구』, 제6권, 9-24 [2015]
  • 오종은 김경하 『산재보험 재활사업 효과성 분석 연구』
    이승욱 근로 복지공단 산재보험연구센터 [2013]
  •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구별에 대한 현상학적 해명 -Aristoteles, Descartes, Husserl을 중심으로-
    이남인 『철학과 현상학 연 구』, 제55권, 151-185 [2012]
  • 산재환자의 심리적응에 관한 질적연구
    이해경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2014]
  • 산재장애인의 직업유지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원직장복귀 산재장애인을 중심으로-
    김종범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산재장애인의 직업복귀 형태에 따른 직업만족도 비교 연구
    안영신 대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산재장애인의 성공적인 직업복귀 과정과 관련 요인
    박수경 『재활복 지』, 16(3), 293-318 [2012]
  • 산재장애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혜경 한신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산재장애인의 고용상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 구
    김도형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산재장애인 재활정책이 고용성과에 미치는 효과 분석
    김지원 서울대 학교 행정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산재요통근로자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김미연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산재보험 재활사업 문제점 및 개선방안.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홍희덕 연구 기관 노동건강연대 [2010]
  • 산재근로자의원직복귀와 직업복귀 영향 요인 연구
    심정민 한림대학 교 보건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형태에 따른 일상생활 및 직무만족도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
    양지안 이은혜 이현실 『장애과 고용』, 27(2), 107-131 [2017]
  • 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주환 연세대학교 보 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 이후 일자리 만족도 영향요인 탐 색-원직장복귀자와 타직장 재취업자 간 비교를 중심으로-
    엄명용 이웅 『한국사 회복지학』, 68(4), 97-118 [2016]
  •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 이후 고용유지 영향 요인: 재 발사건 생존분석을 중심으로
    이민아 한기명 『사회복지연구』, 48(4), 221-249 [2017]
  •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김송이 류만희 『한국 사회복지행정학』, 11(2), 161-184 [2009]
  • 산재근로자의 재활서비스 경험 및 욕구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연구
    유경석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산재근로자의 재해 이후 취업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박은주 『사 회보장연구』, 30(2), 191-220 [2014]
  • 산재근로자의 재해 이후 첫 복귀직장에서의 고용지속기간
    박은주 『사회복지연구』, 45(2), 123-146 [2014]
  • 산재근로자의 작업능력 회복 정도를 예측하기 위한 중 증도지수 개발
    김건우 최근호 『직업재활연구』, 28(3), 1-27 [2018]
  • 산재근로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심리사회 적 요인을 중심으로-
    김선미 김은하 『사회과학연구』, 26(4), 389-411 [2015]
  • 산재근로자의 산재재활서비스 욕구 유형과 설명요인
    김상용 전동일 『장애와 고용』, 27(4), 5-23 [2017]
  • 산재근로자의 사회관계 변화와 삶의 만족 변화
    김경휘 조성희 『사 회과학연구』, 35(2), 83-104 [2019]
  • 산재근로자의 분노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김경희 경북대학교 보 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산재근로자의 복귀형태와 유지기간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광배 서울대학교 공기업정책학 석사학위논문 [2017]
  • 산재근로자의 변화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초 이론 모델을 중심으로
    송문희 창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산재근로자의 경제활동 변동 및 자존감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에 관한 연구
    안준기 오세미 『사회보장연구』, 31(1), 109∼135 [2015]
  • 산재근로자와 사업주의 산재보험 재활 서비스 욕구조사: 근로복지공단 재활서비스를 중심으로
    박유진 송창근 이승욱 조성재 『직업재활 연구』, 25(1), 85-103 [2015]
  • 산재근로자들의 재활서비스 경험이 직장복귀 및 원직 장복귀에 미치는 효과-성향점수매칭(PSM)을 중심으로-
    김명일 신혜리 『직업재활 연구』, 25(1), 105-129 [2015]
  • 산재근로자가 지각한 가족기능이 재활동기에 미치는 영향
    장순영 경 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산재근로자 직업훈련 실태와 성과
    윤조덕 『노동리뷰(5월)』, 45-60 [2011]
  • 산재근로자 직업재활서비스 지원이 동태적 고용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지원 『한국행정학보』, 52(2), 237-266 [2018]
  • 산재근로자 직업복귀 형태 및 고용유지기간 결정요인 연구
    임예직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산재근로자 재해 전후 가정환경의 변화
    문웅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산재 근로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영춘 『AJMAHS』, 8(3), 813-822 [2018]
  • 산업화 초기 산재피해자들의 삶의 경험과정 연구: 원진레이 온 노동자들을 중심으로
    윤성은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8]
  • 산업재해장애인의 진로결정수준 예측변인 연구
    김재기 대구대학교대 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5]
  • 산업재해보상보험법과 헌법재판-사용자 보상책임의 규범구조 와 사회보장의 기능-
    전광석 『헌법학연구』, 24(1), 27-62 [2018]
  • 산업재해를 경험한 이주노동자들의 삶에 관한 연구
    노지현 서강대학 교 신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산업재해근로자 노동시작이행의 성격과 영향요인 연구
    배화숙 『한 국사회복지학』, 69(3), 193-212 [2017]
  • 산업재해 이후 산재장해인의 삶의 적응에 관한 현상학 적 연구: 삶의 재구축
    강선경 노지현 『직업재활연구』, 23(1), 107-129 [2013]
  • 산업재해 손실 요인과 비용에 관한 분석-산재에 따른 비용과 편익의 사회적 불일치와 관련하여-
    최용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 문 [2018]
  • 산업재해 만성 요통근로자의 우울, 기능장애, 가족지지, 재활 프로그램 만족도
    황민정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석사학윈논문 [2009]
  • 산업재해 근로자의 직장복귀 영향요인 연구-시간의존 –Cox 회귀모형을 중심으로-
    강동욱 『GRI 연구논총』, 19(3), 447-466 [2017]
  • 산업재해 근로자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안성아 염동문 『재활복지공학회』, 10(2), 119-126 [2016]
  • 산업재해 근로자의 변화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족, 산업재해 요인-범이론 모형의 적용-
    권희경 송문희 『한국콘텐츠학회논문 지』, 17(2), 258-268 [2017]
  • 사회심리재활 프로그램이 산재근로자 직업복귀에 미치는 영 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마경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8]
  • 사회구성주의 관점에서 본 산업재해 근로자의 트라우마와 분 노
    정송이 서울신학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사업주의 산재근로자 원직복귀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신태식 이승욱 한국사회복장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1권, 209-239 [2013]
  • 북한이탈 기혼여성의 직장생활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van Manen의 분석방법을 중심으로-
    조현미 고신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19]
  • 말기 암 환자 가족 보호자의 호스피스 돌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Van-Manen의 해석학학적 현상학 연구 방법론을 중심으로-
    양은숙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독일의 장애인 직업훈련 현황과 최근의 변화.
    커스틴폴머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세미나토론회(9월), 79-89 [2017]
  • 노인일자리 참여자의 일의 의미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연구: 부양기대태도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이재영 조선대학교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3]
  • 네이버 한자사전(https: //hanja
    dict.naver.com/word?q)
  • 내러티브 면담을 통해 본 산재근로자의 행동유형 및 심 리상담 요구
    유정 최남희 『국가위기관리학회』, 5(2), 1-15 [2013]
  • 남성 산재근로자의 보험급여수급 경험
    박은주 이화여자대학교 사회 복지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근로복지연구원
    www.kcomwel.or.kr/Researchinstitute/
  • 근 골격계 장애를 가진 산재근로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극복과 정
    한정원 계명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9]
  • 국가법령정보센터(http://www.law.go.kr/)
  • 경쟁위험분석을 이용한 산재 근로자의 원직장 복귀에 대한 연구
    김수연 김양진 도기쁨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6(6), 1271-1281 [2015]
  • 『현상학과 해석학』
    이남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 『한중일 한자사전 비교편람 2』
    경기도교육연구원 경기: (재)경기도 교육연구원 [2018]
  • 『질적연구의 실제』
    김병욱 서울: (주)학지사 [2018]
  • 『직업재활론』
    박석돈 경북경산: 대구대학교출판부 [2008]
  • 『직업재활개론』. 서울: 나눔의 집. 강위영 나운환 박경순 류정진 정명현 김동주 정승원 강윤주(2009).『직업재활 개론』
    강위영 나운환 서울: 도서출판 나눔의 집 [2001]
  • 『직업심리학』
    김병숙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1]
  • 『재활론』
    나운환 서울: 홍익재 [2003]
  • 『장애학 통합재활적 접근』
    나운환 서울: 사회복지전문출판 나눔의 집 [2016]
  • 『장애인복지론』
    권선진 청목 출판사: 서울 [2009]
  • 『장애와 재활』
    이상진 서울: (주)학지사 [2018]
  • 『인간과 직업Ⅰ』
    김병숙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3]
  • 『시간에 대한 현상학적 성찰-Husserl 시간론의 새로운 해석 과 재구성-』
    김태희 서울: 필로소픽 [2014]
  • 『소통』
    김경옥 서울: 재승출판 [2011]
  • 『산재보험 재활사업의 중장기 발전전략』
    윤조덕 한국노동연구원 [2001]
  • 『산재근로자 직업훈련사업이 직업복귀 및 직업유지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승욱 근로복지공단 산재보험연구센터 [2012]
  • 『산업복지론』
    김진수 조흥식 홍경준 파주: (주)나남 [2017]
  • 『사회복지 질적 연구방 법론의 실제』
  • 『니체와 Heidegger』
    박찬국 파주: 그린비 [2016]
  • 『내 눈에는 희망만 보였다』
    강영우 서울: 사단법인 두란노서원 [2012]
  • 『기본과제보고서(12월)』
    김종진 남용현 이국주 홍자영 한국장애인고 용공단고용개발원, 1-172 [2008]
  • 『Husserl현상학으로 돌아가기』
    이종훈 파주: (주)도서출판 한길사 [2017]
  • 『Heidegger 존재의 의미』
    오희천 서울: 도서출판 종문화사 [2012]
  • 『Heidegger 존재와 시간 강의』
    소광희 서울: (주)문예출판사 [2016]
  • “산재근로자의 원직복귀 예측요인”
    박수경 안치민 『사회복지정책』, 제27권, 177-194 [2006]
  •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방법론적 탐구
    정상원 『Journal of Qualitative Inquiry』, 4(1), 1-30 [2018]
  • Workplace managers ' view of the role of co-workers in return-to-work
    38 ( 23 ) , 2324-2333 . [2016]
  • Workers Describe the Effect of the Workers ' Compensation Process on their Health : a Quebec Study
    30 ( 4 ) , 427-443 [2007]
  • Work. 노동이란 무엇인가(안기순 역). 서울: 파이카
    Svendsen, L. (원저 2008년 출판) [2013]
  • Work and Disability . The Oxford Handbook of the Psychology of Working , David L . Blustein ( Eds . )
    [2014]
  • Wise Thoughts For Everyda., 살아갈 날들을 위한 공부(이상원 옮김, 2007)
    Tolstoy, L. V. 고양: (주)위즈덤하우스 [2005]
  • Who will have Sustainable Employment After a Back Injury ? The Development of a Clinical Prediction Model in a Cohort of Injured Workers
    27 ( 3 ) , 445-455 [2017]
  • What Determines Employer Accommodation of Injured Workers ? The Influence of Workers ’ Compensation Costs , Stat e Policies , and Case Characteristics
    68 ( 3 ) , 558-583 [2015]
  • WHO(https: //www.who.int/)
  •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disabled people in Germany : a systems-theoretical perspective
    29 ( 2 ) , 224-238 [2014]
  • Vocational Rehabilitation : Everybody Gains If Injured Workers Are Helped Back Into Work
    323 ( 7305 ) , 121-123 [2001]
  • Unterwegs zur Sprache. 언어에로의 도상에서(신상희 역). 파주: 나남
    Heidegger, M. (원저 1959 출판) [2012]
  • To work or not to work_construction of meaning of work and making work choices
    39 ( 2 ) , 7-19 [2014]
  • The phenomenological movement. 현상학적 운동(최 경호 역). 서울: 이론과 실천
    Spiegelberg, H. (원저 1984년 출판) [1992]
  • The personal and embodied experiences of people living with a spinal cord injury in the or Tambo district municipality in the Eastern Cape
    [2006]
  • The meaning of work for working class men : Recasting the image of Blue-Collar work
    [2003]
  • The meaning of work after acquired brain injury
    60 , 60-69 [2006]
  • The Tone of Teaching. 가르친다는 것의 의미(정광 순 김선영 역). 서울: 학지사
    van Manen. M. (원저 2002년 출판) [2012]
  •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Fourth Edition. 질적연구 핸드북(최욱 외 공 역).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Denzin, N. K. Lincoln, Y. S. (원저 2011년 출판) [2014]
  • The Concerns and Issues of Injured Workers in Relation to Claims , injury Management and Rehabilitation : the Need for New Operational Frameworks
    25 ( 16 ) , 898-907 [2003]
  • Sample size and saturation in PhD studies using qualitative interviews
    11 ( 3 ) , 1-19 [2010]
  • Return-to-Work Expectations and Workplace Supports in New Zealand : Injured Workers Perspectives
    [2019]
  • Return to work after workplace injury : injured workers , insurers and employers
    52 , 98-115 [2017]
  • Return to Work Plans for Injured Australian Workers : Overview and Association with Return to Work
    [2018]
  •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체험연구: 해석학적 현상학의 인간과 학 연구방법론(신경림 안규남 공역). 서울: 도서출판 동녘
    van Manen. M. (원저 1990 년 출판) [1994]
  •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work research: challenges and rewards. 사회복지 질적 연구 방법론(유태균 역)
    Padgett, D. K. 서 울: 나남출판사 [2001]
  • Qualitative Research Evaluation Methods
    [2002]
  • Psychology and Work Today, 9/E. 일과 심리학(양윤 외 옮김)
    Schultz, Duane P. Schultz, SydneyEllen 서울: 도서출판 박학사 [2001]
  • Predictor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return-to-work outcomes in workersCompensation
    46 ( 2 ) , 108-114 [2003]
  • Predicting Employment Status of Injured Workers Following aCase Management Intervention
    9 ( 3 ) , 347-351 [2018]
  • Phenomenology of Practice
    [2014]
  • Paths of Reentry : Employment Experiences of Injured Workers
    38 ( 4 ) , 373-384 [2000]
  • On the meaning of work : A theoretical integration and review
    30 , 91–127 [2010]
  • New Policies Related to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Disabled People in Poland
    22 ( 1 ) , 31-37 [2002]
  • Naturalistic inquiry
    [1985]
  • Nagase Osamu Shogaigaku Eno Shotai-Shakai, Bunka, Disuabiriti. 장애학에의 초대(조원일 역). 서울: 청목출판사
    Ishikawa Jun (원저 1999년 출판) [2009]
  • Motivational Interviewing Improves Sustainable Return to Work in Injured Workers After Rehabilitation : A Clus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98 ( 12 [2017]
  • Merleau-Ponty의 언어 현상학
    류의근 『철학논총』, 61(3), 305-326 [2010]
  • Markussen, S., Røed, K.(2014). The impact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In Labour Economics, December 31, 1-13.
  • Injured workers ' perspectives of their rehabilitation process under the New South Wales Workers Compensation System
    52 ( 2 ) , 127-135 [2005]
  • Injured worker experiences of insurance claim processes and return to work : a national , cross-sectional study
    19 ( 1 ) , 1-12 . [2019]
  • Improv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injured workers in Washington State
    44 ( June ) , 26-35 [2014]
  • ILO(https: //www.ilo.org/)
  • Husserl 현상학의 실천적 의미
    이종훈 『철학과 현상학 연구』, 제7 권, 139-161 [1993]
  • Hugo Simberg 『부상당한 천사(The Wounded Angel)』이미지
    https: //blog.naver.com/dbrlshd12300/221639813498 [1903]
  • Heidegger의 존재론적 해석학에 대한 성찰
    김영한 『철학논총』, 58(4), 173-196 [2009]
  • Handbook of Vocational Psychology,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직업심리학 핸드북- 이론, 연구, 실제-(김병숙 옮김)
    Osipow, Samuel. H. Walsh, W. Bruce. 서울: (주)시그마프레스 [2006]
  • Going beyond vocational rehabilitation as a training of skills : return-to-work as an identity issue
    27 ( 1 ) , 81-93 [2012]
  • George Frederick Watts(1886)
    『희망(Hope)』이미지. http: //blog.naver.com/PostView.nhn?blogId=gallery903&logNo=60147995067
  • Gadamer의 해석학적 경험과 이해, 그리고 예술 비평
    안원현 『철학 논총』, 57(3), 237-255 [2009]
  • Gadamer의 해석학에 있어서 ‘이해’의 문제
    오용득 『철학논총』, 10 권, 219-248 [1994]
  • Evaluating disability management in the Manitoban construction industry for injured workers returning to the workplace with a disability
    4 , 109-117 [2016]
  • Early return to work ofnjured workers : Multidimensional patterns of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41 , 277-300 [2003]
  • Der Mensch und das Wort. 인간과 말(배수아 옮김). 서 울: 봄날의 책
    Picard, M. (원저 1955년 출판) [2013]
  • Depression Among Injured Workers Receiv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 Contributions of Work Values , Pain , and Stress
    19 ( 4 ) , 354-363 [2009]
  •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among return-to-work stakeholders
    41 ( 22 ) , 2630-2639 [2019]
  • Becoming Qualitative Researchers: An Introduction, 5th Edition. 질적 연구자 되기(안혜준 옮김)
    Glesne, C. 파주: 아 카데미프레스(원저 2016년 출판) [2017]
  • Applying Career Development Theory to Counseling 진로상담 제6판(김진숙 외 옮김)
    Sharf, Richard. S. 서울: 박학사 [2016]
  • An exploratory study of the injured worker ’ s experience and relationship with the workplace return to work coordinator in NSW , Australia
    12 ( 2 ) , 57-70 [2019]
  • An exploration of the meaning of work and life : as described by professional midcareer mothers
    [2003]
  • An enquiry into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provided by WorkSafe BC : Perspective of the injured worker
    [2011]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 Return-to-Work Coordinator model of care in a general hospital to facilitate return to work of injured workers
    54 ( 1 ) , 209-222 [2016]
  • A Study of the Relationship of the Characteristics of Injured Workers Receiv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and Their Depression Levels
    71 ( 4 ) , 12-22 [2005]
  • A Prospective Cohort Study of the Impact of Return-to-Work Coordinators in Getting Injured Workers Back on the Job
    28 ( 2 ) , 298-306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