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근대전환기 궁궐 식공간의 특성

이희분 2020년
논문상세정보
' 근대전환기 궁궐 식공간의 특성'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궁궐
  • 근대 전환기
  • 식공간
  • 식공간 연출
  • 테이블웨어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34 0

0.0%

' 근대전환기 궁궐 식공간의 특성' 의 참고문헌

  • 황제의 궁궐 경운궁
    이윤상 『서울학연구』, 40 [2010]
  • 한말 궁중의 서구문화 유입과 대중문화-마리 앙투아네트 손탁을 중심으로『인문과학연구총론』
    황윤영 37(1) [2016]
  • 지그프리트겐테, 『독일인 겐테가 본 신선한 나라 조선, 1901』, 권영경 역
    지그프리트겐테 서울: 책과 함께 [2007]
  • 조선시대 창덕궁희정당의 편전 전용에 대하여
    김동욱 『건축역사연 구』, 3(1) [1994]
  • 우동선, 경운궁의 양관들-돈덕전과 석조전을 중심으로
    우동선 『서울학연구』, 40 [2010]
  • 엠마크레벨, 『대한제국 황실이야기』, 윤용선 역
    엠마크레벨 서울: 대한민국역사박 물관 [2014]
  • 엠마크레벨, 『나는 어떻게 조선 황실에 오게되었나?』, 김영자 역
    엠마크레벨 서 울: 민속원 [2015]
  • 에밀부르다레, 『대한제국 최후의 숨결』, 정진국 역
    에밀부르다레 경기도: 글항아리 [2009]
  • 아세아문제연구소, 『구한국 외교문서 제13권』
    고려대 고려대출판부 [1965]
  • 실내디자인학회, 『실내디자인 각론』
    실내디자인학회 서울: 기문당 [2009]
  • 소규모 레스토랑 물리적 환경요인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 도출
    권기준 이형룡 『호텔경영학 연구』, 20(2) [2011]
  • 샌즈, 『조선비망록』, 신복룡 역
    W.F 서울: 집문당 [1999]
  • 범학문 융합학문으로서의 식공간학에 관한고찰
    김옥린 이진하 『관광 연구저널』, 28(2) [2014]
  • 문화재청, 『대한제국 황제의 식탁』
    문화재청 서울: 꿈과 놀다 [2019]
  • 덕수궁 석조전의 원형 추정과 기술사적 의의
    강성원 김진균 『대한 건축학회』, 24(4) [2008]
  • 대한제국기 황실 공예품에 나타난 이화문의 변화
    송인희 『역사와 담 론』, 67 [2013]
  • 대한제국기 주불공사 김만수의 세계기행과 사행록
    구사회 『동아인문 학회』, 29 [2014]
  • 대한제국기 수입기물의 특징과 의미
    조시내 『동양미술사학』, 6 [2017]
  • 대한제국기 덕수궁 석조전 건립과 서양가구 유입
    김윤희 『문화재』, 47(3) [2014]
  • 대한제국기 대한 예전 편찬과 황제국의례
    임민혁 『역사와 실학』, 34 [2007]
  • 대한제국 이전 고종 재위기 궁궐내 외교장소와 접견의례의 변 화
    이강근 『서울학연구』, 72 [2018]
  • 대한제국 성립과정과 대례의궤
    한영우 『한국사론』, 45 [2001]
  • 뉴욕소재 일식당 레스토랑의 토탈 코디네이션과 전통성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오혜경 이지현 『한국 실내디자인학회』, 19(5) [2010]
  • 까를로로케티, 꼬레아 꼬레아니, 서울학연구소 역
    까를로로케티 서울: 숲과 나무 [1996]
  • 길모어, 『서울풍물지』, 신복룡 역
    G.W 서울: 집문당 [1999]
  • 근대전환기 국내사료 분석을 통한 서양자기 사용실태 연구: 식 기를 중심으로
    엄승희 『미술사학』, 33 [2017]
  • 구한말 외인 건축술의 전래과정 연구
    김태영 『건축역사연구』, 1 [1992]
  • 광무 년간 서양인의 고종관
    정연태 『한국사연구』, 115 [2001]
  • 곤도시로스케, 『대한제국 황실비사』, 이연숙 역
    곤도시로스케 서울: 이마고 [2010]
  • 고종황제의 외교관 접견의례
    김문식 『일본학연구』, 32 [2011]
  • 개화기(1876-1910) 서양음식에 대한 인식과 수용
    이규진 『한국식생활 문화학회지』, 30(6) [2015]
  • 개화기 정부 고용 서양인들의 고용실태와 일상생활
    김현숙 『한국 근 현대사 연구』, 34 [2005]
  • 개화기 이후 궁궐 창호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욱 황보영희 『대한건 축학회』, 28(1) [2008]
  • 개항기 조선과 서양의 경제교류
    송규진 『민족문화논총』, 28 [2003]
  • 石造殿の建築經 , 『居留民之昔物語第一』 , 朝鮮二昔會
    [1927]
  • 德壽宮略史 , 『朝鮮』 , 第234
    [1934]
  • 德壽宮石造殿その , 『朝鮮と建築』
    [1933]
  • 德壽宮史 , 『李王職』
    [1938]
  • 大漢門內慶運宮石造殿竣 , 『建築世界』
    [1912]
  • 京城繁昌記 , 京城 : 博文社
  • 『한국전통양식 연회연출의 구성요소에 대한 탐색적 연구』
    송원경 경 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한국 근대전환기 실내공간과 서양가구에 대한 고찰』
    최지혜 국민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한국 근대전환기 국가 시각상징물』
    목수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08]
  • 『한국 근대건축사연구』
    윤일주 경기도: 기문당 [1988]
  • 『팜파티의 식공간 연출요소와 농가의 브랜드자산과의 관계연 구』
    한선화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테이블코디네이트』
    김진숙 서울: 백산 [2008]
  • 『창덕궁대조전 벽화』
    창덕궁관리소 창덕궁관리소 [2011]
  • 『일제강점기 궁궐건축의 근대적 변형에 관한연구』
    박순관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음식 인문학』
    주영하 서울: 휴머니스트 [2011]
  • 『외식 식공간 연출』
    홍종숙 경기도: 교문사 [2014]
  • 『실내디자인 양식사』
    이연숙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8]
  • 『실내공간 디자인 연출』, 서울: 기문당. 이순우(2012), 『손탁 호텔』
    이미혜 서울: 하늘재 [2017]
  • 『실내건축 디자인 양식사』
    안옥희 서울: 신정 [2012]
  • 『식공간 이미지 유형 분류 기준설정에 관한 연구』
    조경숙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 『식공간 디자인 오브제의 표현수법과 특성이 식공간의 가치 창 출에 미치는 영향』
    이진하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식공간연출 요소에 관한 연구』
    황규원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석조전 대한제국 역사관』
    문화재청 덕수궁관리소 문화재청 덕수궁관리소 [2015]
  • 『석조전 - 잊혀진 대한제국의 황궁』
    김은주 서울: 민속원 [2014]
  • 『새로 쓴 테이블 & 코디네이트』
    김지영 경기도: 교문사 [2017]
  • 『덕수궁석조전 본관복원공사 자료집』
    문화재청 문화재청 [2011]
  • 『덕수궁석조전 본관 원형복원 계획 및 활용 방안조사 보고서』
    문화재청 문화재청 [2009]
  • 『덕수궁석조전 동관 수리보고서』
    문화재청 문화재청 [2007]
  • 『덕수궁-시대의운명을 안고 제국의 중심에 서다』
    안창모 문화재청 [2009]
  • 『대한제국시기 황실가구 분석조사 및 정밀상태진단 결 과보고서』
    국립고궁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 [2015]
  • 『대한제국시기 외교』
    현광호 서울: 민속원 [2010]
  •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2012]
  • 『대조전, 희정당 내부시설 정비공사수리보고서』
    창덕궁관리소 창덕궁관리소 [2015]
  • 『근대식 연회의 탄생-대한제국 근대식 연회의 성립과 공연문화 사적 의의』
    이정희 서울: 민속원 [2014]
  • 『공간디자인 16강』
    권영걸 서울: 국제 [2001]
  • 『고종황제가 사랑한 정동과 덕수궁』
    김정동 서울: 발언 [2004]
  • 『고종 시대의 재조명』
    이태진 서울: 태학사 [2000]
  • 『高宗實錄』『純宗實錄』『大韓禮典』『各府郡來牒』
  • 『農商工部來去文』『皇城新聞』『每日申報』
  • 『宮內府案』『梅泉野錄』『學部來去文』『宮內府去來文牒』
  • 『20세기 전반기 조선왕실의 변화와 창덕궁 건축활동의 성격』
    장필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100년전의 기억, 대한제국』
    국립고궁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 [2010]
  • Interesting Interiors
    [1910]
  • Illustrations of Furniture
    [1905]
  • 20세기초 서양문물의 도입과 궁궐 정침의 공간 변화: 창 덕궁희정당을 중심으로
    박진홍 한병수 『대한 건축학회』, 31(1) [2011]
  • 1920년 창덕궁내전 일곽의 재건에 관한 연구
    기세황 『건축역사연구』, 23(3) [2014]
  • 1896년 러시아황제 대관식 축하사절단의 서구체험기
    홍학희 『한국고 전연구』, 17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