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종합편성채널 ‘패널저널리즘’에 대한 사회적 인식 연구 = A Study on Social Perceptions of General Programming Channels Panel Journalism

송승호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종합편성채널 ‘패널저널리즘’에 대한 사회적 인식 연구 = A Study on Social Perceptions of General Programming Channels Panel Journalism'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공정성
  • 뉴스
  • 방송
  • 방송심의
  • 시사 토크쇼
  • 종합편성채널
  • 패널
  • 패널저널리즘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839 0

0.0%

' 종합편성채널 ‘패널저널리즘’에 대한 사회적 인식 연구 = A Study on Social Perceptions of General Programming Channels Panel Journalism' 의 참고문헌

  • 한국 언론의 구조 변동과 언론전쟁
    강명구 『한국언론학보』, 48권 5 호,319-348 [2004]
  • 한국 TV저널리즘의 이해
    이민웅 서울 : 나남 [1996]
  • 포털뉴스 이용동기가 인터넷 자기효능감, 정치적 신뢰, 정치냉소주의와 정 치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상호 『한국언론학 보』, 53권 5호 [2009]
  • 종편PP, 무엇이 문제인가?. 방송법 무엇이문제인가? 토론회 자료집
    이남표 미디어공공성포럼 제7차 연속기획 토론회 [2009]
  • 이승선. 「방송심의의 정파성에 대한 시론적 검증 : 지상파와 종 편의 뉴스 시사보도 프로그램 심의 사례 분석」
    김재영 『방송과 커뮤니케이 션』. 16권 4호, 49-85 [2015]
  • 세기 초 우리나라 방송산업 발전을 위한 기본정책방향. 한국 방송산업 발전전략 토론회 자료집
    윤석민 디지털컨버전스포럼 매일경 제 주최 토론회. 1-20 [2009]
  • 배진아. 『방송의 공정성 강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연 구』
    권형둔 하주용 과천 : 방송통신위원회 [2015]
  • 방송저널리즘을 향한 방송 뉴스의 규범적 희망. 장하용 외 (편), 『방송저널리즘 혁신 : 지속과 파괴의 현장』(60-114쪽)
    김동윤 서 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 반현. 「포털 뉴스 이용동기가 이용행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20대 이 용자를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조정현 통권17호, 193-231
  • 민영. 「정치엔터테인먼트 시청이 정치대화에 미치는 영향 : 관여 도와 정치정보 효능감의 매개 효과」. 『한국언론정보학보』
    권오주 통권73 호, 7-34 [2015]
  • 민영. 「정치 엔터테인먼트 시청이 내재적 심리 욕구와 정치학습 에 미치는 효과」
    오은정 『한국언론학보』, 59권 4호, 44-73 [2015]
  • 미디어 공정성 연구
    윤석민 서울 : 나남 [2015]
  • 만족도와 지속이용 의도에 미치는 포털뉴스의 이용동기에 대한 고찰
    이효성 『언론과학연구』, 19권 1호, 121-145 [2019]
  • 『현대 저널리즘』
    김사승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 『한국일보』
    기억할 최윤필 오늘 : 공정성 원칙 [2012]
  • 『한국 저널리즘 이론』
    강명구 서울 : 나남출판 [1994]
  • 『텔레비전 뉴스의 이해』
    김우룡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02]
  • 『증오상업주의: 정치적 소통의 문화정치학』
    강준만 서울 : 인물과 사상 사 [2013]
  • 『종합편성채널에 대한 수용자의 방송품질 및 만족도에 관한 연 구』
    최윤원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종합편성채널 시사대담 프로그램의 이용 동기와 만족도에 관 한 연구』
    박선희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 『저널리즘: 위기 변화 지속』
    이민웅 서울 : 나남 [2003]
  • 『영국의 방송통신 내용 규제 체계』
    정재하 서울 : 방송통신심의위원 회 [2014]
  • 『영국 BBC 제작 가이드라인 및 심의 사례』
    김수아 서울 : 방송통신심 의위원회 [2011]
  • 『실무자를 위한 KBS 공정성 가이 드라인』
    KBS 공정성가이드라인 편집위원회 서울 : 한국방송 [2015]
  • 『신화의 추락, 국익의 유령: 황우석, ‘PD수첩’ 그리고 한국의 저널리즘』
    원용진 전규찬 서울 : 한나래 [2006]
  • 『신문학이론』
    서정우 서울 : 박영사 [2001]
  • 『세계 주요국의 미디어 융합 서비스』
    이기현 서울 :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5]
  • 『방송정책 이론과 방법들』
    정인숙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 『방송저널리즘과 정치평론』
    고성국 서상민 심재웅 서울 : 한국언론 진흥재단 [2012]
  • 『방송저널리즘과 공정성 위기』
    이민웅 서울 : 지식산업사 [2006]
  • 『방송공익성에 관한 연구: 방송공익성과 심의제도』
    최영묵 서울 : 커 뮤니케이션북스 [1997]
  • 『독일의 방송통신 내용 규제 체계』
    정재하 서울 : 방송통신심의위원 회 [2014]
  • 『뉴스의 객관성에 대한 언론인들의 태도에 관한 연구』
    권문환 한양대 학교 신문방송학과 박사학위논문 [2008]
  • 『PD수첩 진실의 목격자들』
    지승호 서울 : 북폴리오 [2010]
  • 『2018 방송통신심의연감』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서울 : 방송통신심의 위원회 [2019]
  • 『2018 방송통신광고비 조사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방송광고공사 서울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방송광고공사 [2018]
  • 『2018 방송산업 실태조사 보고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과천 : 과학 기술정보통신부 방송통신위원회 [2018]
  • 『2016 방송산업 실태조사 보고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과천 : 미래 창조과학부 방송통신위원회 [2016]
  • 『2014 방송산업 실태조사 보고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과천 : 미래 창조과학부 방송통신위원회 [2014]
  • 「한국과 미국 TV뉴스의 대선보도 비교 : 신 단위의 형 식과 내용의 공정성을 중심으로」
    남지나 최윤정 『한국방송학보』, 24권 4호, 87-121 [2010]
  • 「한국 텔레비전 뉴스의 보도 행태 변화에 관한 연구」
    남선현 『커뮤니 케이션학 연구』. 12권 4호, 104-135 [2004]
  • 「한국 객관주의 관행의 문화적 특수성」
    남재일 『언론과학연구』, 8권 3호, 233-270 [2008]
  • 「포털사이트의 뉴스 콘텐츠 전략에 관한 연구 : 인터넷 뉴스의 이용동기와 지각된 뉴스가치를 중심으로」
    김성희 김인경 성동규 『한국 언론학보』, 50권5호. 132-159 [2006]
  • 「지상파와 종편채널의 뉴스특성 비교연구」
    강명현 『언론과학연구』, 16권 1호, 5-36 [2016]
  • 「종합편성채널의 편성전략, 장르 다양성 그리고 시청 성과」
    최세경 『방 송문화연구』, 24권 1호, 75-109 [2012]
  • 「종합편성채널의 콘텐츠 운용과 비대칭규제에 대 한 지상파 종사자들의 인식」
    김연식 박승현 한진만 『미디어 경제와 문화』, 12권 1호, 74-118 [2014]
  • 「종합편성채널의 초기 성과 분석 : 사회문화적 성과와 운영 성 과를 중심으로」
    하주용 『방송통신연구』, 통권 85호, 37-67 [2013]
  • 「종합편성채널의 정치적 편향성 분석 : 2014년 제6회 지방선거에서의 뉴스보도를 중심으로」
    양기문 이상우 이승엽 『한국방송학보』, 31권 1호, 149-183 [2017]
  • 「종합편성채널의 부상과 오락적 정론장(政論場)의 형성 : 정치미디어 체계 간 구조적 접속의 새로운 양상」
    정준희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77호, 73-107 [2016]
  •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 18대 대통 령 선거에 대한 메인 뉴스 분석을 중심으로」
    원희영 윤석민 『한국방송학보』, 29 권 1호, 117-148 [2015]
  • 「종합편성채널의 경제학 : 갈림길의 선택」
    조영신 『방송문화연구』, 24 권 1호, 39-74 [2012]
  • 「종합편성채널 출범이 지상파 방송 뉴스에 미친 영향 : 저녁종합뉴스 보도관행에 대한 개입시계열 분석」
    윤석민 한수연 『한국방송학보』, 30권 1호, 169-210 [2016]
  • 「종합편성채널 저널리즘의 비판적 재조명 : 시사토크쇼 정치 매개 엘리트들의 텔레비전 정치」
    이영주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77호, 36-72 [2016]
  • 「종합편성채널 시사토크쇼의 정치현실 구성에 관한 연 구 : TV조선 <이것이 정치다>와 JTBC<정치부 회의>에 대한 계층 적/기능적 분화형식 분석」
    김영빈 한혜경 『언론과 사회』, 26권 3호. 60-116 [2018]
  • 「종합편성채널 시사대담 프로그램의 출연 패널 특성 및 패널 발언과 정당 입장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손화정 이영주 『한국콘텐츠학회 지』, 19권 5호, 659-668 [2019]
  • 「종합편성채널 시사대담 프로그램의 차별화 전략과 그 효과」
    류동협 홍성일 『방송통신연구』, 통권 85호, 9-36 [2013]
  • 「종합편성채널 시사대담 프로그램의 선거 관련 대담 분석 : 정치적 중립과 합리적 발화행위를 중심으로」
    김경모 심훈 유경한 『방송통신연 구』, 통권97권, 93-128 [2016]
  • 「종합편성채널 시사 토크쇼 시청이 정치적 신뢰에 미치 는 영향 : 시청의 주 효과 및 정치 성향과의 상호작용 효과 검증」
    금희조 조재호 『한국방송학보』, 29권 3호, 5-34 [2015]
  • 「종합편성채널 수용자 연구 - 추구충족과 획득충족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동진 김성훈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통권 28호, 47-95 [2013]
  • 「종합편성채널 도입에 따른 TV방송의 다양성 변화 연구 : 주 시청시간대 방송프로그램 장르 다양성과 시청자 노출 다양성 분석 (2011-2015)」
    송인덕 『한국언론학보』. 60권 2호, 399-434 [2016]
  •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 철도 파업 이슈에 대한 지상파 채널과 종합편성 채널 보도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유세경 조은영 『한국언론학보』, 58권 3호, 433-461 [2014]
  • 「종편 협찬 매출, 출범 후 4년 동안 6.5배 증가」
    이명진 『KAA 저널』, 2018. 11-12, 45 [2018]
  • 「종편 출범 초기의 지상파와 종편 메인뉴스의 주제 구성 및 다 양성 변화에 대한 연구」
    유수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권 10호, 53-64 [2018]
  • 「종편 시사프로그램의 자막 현상과 특성에 관한 연구」
    구교태 『언 론과학연구』, 16권 1호, 37-58 [2016]
  • 「종편 시사 토크쇼와 사담의 저널리즘 : <쾌도난 마>를 중심으로」
    김예란 박지영 손병우 『언론과 사회』, 22권 2호, 5-63 [2014]
  • 「종편 ‘정치토크’ 프로그램 홍수 이대로 좋은가」
    하주용 『관훈저 널』통권 133호, 67-73 [2014]
  • 「정치예능 프로그램이 종합편성 채널 시청에 미치는 영 향 : 콘텐츠 신뢰도와 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정렴 전종우 『광고학연 구』,28권 7호, 7-27 [2017]
  • 「정보인가 오락인가 : 정치 예능 토크쇼의 정치적 효 과」
    금희조 정은교 『한국언론학보』, 58권 5호, 362-390 [2014]
  • 「저널리즘과 사회과학적 관점에서 본 정치 시사토크」
    한규섭 『관훈134 저널』통권 133호, 74-80 [2014]
  • 「유권자의 뉴스미디어 이용동기에 관한 연구 : 17대 총선 대 학생 유권자의 신문, TV, 인터넷 이용을 중심으로」
    윤재홍 『스피치와 커 뮤니케이션』, 통권3호, 182-217 [2004]
  • 「언론 객관성의 실천적 이해를 위한 사례 연구 : 팩트체크를 중심으로」
    홍원식 『커뮤니케이션이론』, 14권 4호, 183-226 [2018]
  • 「신동흔의 뉴스 저격: 유튜브에 밀리고 적자에 치이고...... 시청률 반토막 지상파의 추락」
    신동흔 『조선일보』 [2019]
  • 「선거 방송의 평가 기준과 실제 : 지상파와 종편 의 제20대 총선 보도 전수 조사 분석」
    김세은 이종혁 정낙원 『방송통신연구』, 통권 97호, 129-163 [2016]
  • 「상반기에 KBS 655DJR MBC 445억 적자 기록... 광고 감소 직격탄」
    김은성 『뉴스1』. Available : http://news1.kr/articles/?3742167 [2019]
  • 「방송통신융합 논의와 향후의 과제」
    성숙희 『KBI 포커스』, 통권 43호, 1-28 [2008]
  • 「방송의 공익성: 그 이론적, 실천적 한계의 극복」
    김학수 『방송연구』. 통권 37권, 143-160 [1993]
  • 「방송의 공공성에 대한 헌법이론과 법제도 개선방안」
    권형둔 『공법학 연구』. 15권 2호, 23-52 [2014]
  • 「방송매체의 규제와 공공성의 원칙 : 미국 연방통신위원회의 규제를 중심으로」
    허순철 『한양법학』, 통권23호, 533-557 [2008]
  • 「방송 정치평론의 문제점과 해법: 종편 시사 프로그램을 중 심으로」
    강찬호 『관훈저널』, 통권 128호, 249-258 [2013]
  • 「민주주의의 위기와 언론의 선정적 정파성의 관계에 대 한 시론 : 채널A와 TV조선의 정치시사토크쇼를 중심으로」
    이상기 이정훈 『한국 언론정보학보』, 통권 77호, 9-35 [2016]
  • 「미디어 이용 집단별 신문과 인테넷 뉴스의 이용동기 비교」. 『동서언론』
    조수선 통권12호, 149–173 [2005]
  • 「미디어 산업의 정치경제 : 2009년 대기업과 신문사의 방송진 입 규제 완화를 중심으로」
    최진웅 『한국정치연구』, 21권 1호, 131-156 [2012]
  • 「미국방송 공정성 원칙 규제정책의 변천 과정과 함의」
    강남준 김수영 『방송통신연구』, 통권67권, 113-139 [2008]
  • 「미국 방송법제상 공정성 원칙의 전개 연구」
    이춘구 『법학연구』, 통권 43권, 223-265 [2015]
  • 「메인 뉴스 논조 차별화가 드러낸 한국 종편 저널리즘 의 지형: 무상복지 이슈를 중심으로」
    유수정 이건호 『한국언론학보』, 61권 1호, 7-35 [2017]
  • 「대통령 탄핵심판 보도의 취재원 특성 : 지상파 및 종편 메인 뉴스 프로그램 분석을 중심으로」
    유용민 『방송통신연구』, 통권 102호, 9-45 [2018]
  • 「다채널 시대 TV방송 평론가 집단의 특성에 관한 연구」
    김동규 송승호 『OOH광고학연구』, 15권 2호, 5-25 [2018]
  • 「뉴스를 못 믿어서 유튜브를 본다」
    장일보 『시사IN』 [2019]
  • 「국내 시사토크 프로그램의 변화와 규제 이슈」. 『방송통신 심의동향』
    이향선 통권15호, 6-24 [2017]
  • 「공익성과 보편적 서비스 개념의 비교 연구」
    이상식 『한국언론정보학 보』, 통권20호, 111-139 [2003]
  • 「경쟁적 방송환경에서 민영방송의 프로그램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유홍식 주영호 황성연 『방송통신연구』. 통권7호. 243-262 [2005]
  • 「‘종편 저널리즘’의 위상과 함의 : 과잉된 정파적 저널리즘과 ‘흥분하는’ 시사토론 프로그램의 역할을 중심으로」
    이기형 『문화과학』, 통 권78호, 104-128 [2014]
  • 「TV뉴스 앵커 스타일 연구: 지상파 및 종합편성채널 메인뉴스 를 중심으로」
    양선희 『한국방송학보』, 31권 4호, 51-84 [2017]
  • 「SKY캐슬은 어떻게 탄생했나...유현미 작가 “금수저 전형 학종에 대한 불만 반영”
    이유진 『경향신문』 [2019]
  • 「MBC 신뢰도 2년 만에 ‘3분의 1토막’」
    차형석 『시사IN』 [2012]
  • 「KBS사장 “지상파 광고수입 하락세 ... 비대칭 규 제 풀어야”」
    송은경 이정현 『연합뉴스』. Available : https://www.yna.co.kr/view/AKR20191017065100005?input=11 95m [2019]
  • 「KBS, MBC, SBS 및 YTN의 뉴스 프로그램 비교
    심훈 『방송과 커뮤 니에이션』, 5권 2호, 68-93 [2004]
  • 「KAA 진단: 종합편성 채널의 현황과 과제」
    양윤직 『KAA저널』, 2013. 03-04, 37-39 [2013]
  • 「2000년대 이후 한국 방송 산업의 신규 매체 및 채널 도입 정책에 관한 통시적 접근 : 경쟁 정책 관점의 부재에 관 하여」
    오형일 정영주 홍종윤 『언론정보연구』, 54권 3호, 173-219 [2017]
  • “지상파 방송의 공정성 심의: 방송심의규정 제9조(공정성) 적용 심의의결 사례 분석”, 방송통신연구
    배진아 통권90권, 9-41 [2015]
  • “언론 자유와 공정성”
    최영재 홍성구 『한국언론학보』, 48권 4호, 326-342 [2004]
  • “방송의 공정성에 관한 법적 개념과 규제 범위”
    윤성옥 『방송과 커뮤 니케이션』, 10권 1호, 37-77 [2009]
  • “방송심의규제의 공정성 적용에 관한 연구: 2003~2010년 방송심 의결정 분석을 중심으로”
    우형진 이창훈 『미디어 경제와 문 화』, 9권 3호, 7-56 [2011]
  • “바람직한 뉴스의 구성조건: 공정성, 타당성, 진정성”
    김경모 이준웅 『방송통신연구』, 통권67호, 9-44 [2008]
  • We the media : Grassroots journalism by yhe people , for the people
    [2004]
  • The messenger overwhelming the message : Ideological cues and perceptions of bias in television news
    29 , 441-464
  • The fairness doctrine : A solution in search of a problem
    47 ( 1 ) , 51-77 [1994]
  • The elements of news. (2nd ed). 이 재경 역. 2014. 『저널리즘의 기본원칙』
    Kovach, B. Rosenstiel, T. 서울 : 한국언론진흥재단 [2007]
  • On the relevance of standpoint epistemology to the practice of journalism : The case for `` strong objectivity ''
    8 , 117-140 [1998]
  • Objectivity is strategic ritual
    77 , 660-679 [1972]
  • Objective News Reporting : General Premises
    10 ( 3 ) , 403-424 . [1983]
  • No-spin zones : The rise of the american cable news magazine and bill o'reilly
    11 , 832-851 [2010]
  • Newsmaking
    [1975]
  • New discovering the news : A social history ofAmerican newspaper
    [1978]
  • Making news : A study in the construction of reality. 박흥수 역. 1995.『메이킹 뉴스: 현대사회와 현실의 재구성 연구』
    Tuchman, G. 서울: 나남 [1978]
  • K. H. & Cappella , J. N. 2008 . Echo chamber : Rush limbaugh and the conservative media establishment
  • Glasser, T. 1984. 2. Objectivity precludes responsibility. The Quill, February, 14-16.
  • Foundations of communications policy : Principles and process in the regulation of electronic media
    [2001]
  • Fairness doctrine and public interest standards : Handling of public issues
    39 ( 139 ) , 26372-26389
  • Fairness doctrine : History and constitutional issues
  • BBC. 2019. 6. BBC editorial guidelines. Available : http:// www.bbc.com/editorialguidelines/guidelines
  • BBC. 2015. 1. 15. Future of News. Available : http://newsimg.bbc.co.uk/1/shared/bsp/hi/pdfs/29_01_15fut ure_of_news.pdf
  • BBC Trust. 2007. 6. From seesaw to wagon wheel : Safeguarding impartiality in the 21st century. Available : http://news.bbc.co.uk/2/shared/bsp/hi/pdfs/18_06_07impart ialitybbc.pdf
  • American television news : The media marketplace and public interest. 김응숙 역. 2004. 『미국 텔레 비전 뉴스 : 미국 방송의 사회문화사』
    Barkin, S. M.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