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조선 후기 산수화의 은일적 삶에 표현된 유(儒)·도(道) 성향 연구

고혜림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조선 후기 산수화의 은일적 삶에 표현된 유(儒)·도(道) 성향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사대부
  • 유가·도가 사상
  • 유교·도교의 정좌(靜坐)
  • 은일(隱逸)
  • 조선 후기 산수화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98 0

0.0%

' 조선 후기 산수화의 은일적 삶에 표현된 유(儒)·도(道) 성향 연구' 의 참고문헌

  • 李夏坤, ??頭陀草?? 권18
    권18, 한국고전종합DB. 한국고전종합DB
  • 황견 편저, 이장우 우재호 장세후 역, ??고문진보??
    前集 前集 (서울: 을유문화사 [2003]
  • 헨슈부, ??漢文大系 1?? (京都
    후진보 富山房 [1976]
  • 한유 지음 이종한 옮김, ??한유산문역주??
  • 평차오후이, 박한철 옮김, ??나를 지켜낸다는 것??
    (고양: 위즈덤하우스 [2014]
  • 편저, ≪楚辭≫
    류성준 (서울: 문이재 [2002]
  • 편, ??한국회화대관??
    류복렬 (서울: 문교원 [1969]
  • 편, ??만남과 헤어짐의 미학, 조선시대 계회도와 전별시??
    유홍준 이태호 (서울: 학고 재 [2000]
  • 지음ㆍ강중기 옮김, ??동서 문화와 철학??
    양수명 (서울: 솔출판사 [2005]
  • 지음, 정인재 한정길 역주, ??전습록??1 (고양: 청계
    왕양명 ; 제2판 1쇄) [2007]
  • 지음, 신원봉 옮김, ??미학으로 동양인문학을 꿰뚫다??
    주량지 (서울: 알마 [2015]
  • 지음, ??새로운 유학을 꿈꾸다??
    김우형 이창일 (파주: 살림 [2006]
  • 지음 조송식 옮김, ??華夏美學??
    이택후 (파주: 아카넷 [2016]
  • 지음 신원봉 역, ??정좌 수도 강의??
    남희근 (서울: 씨앗을 뿌리는 사람들 [2003]
  • 주자 이주행 외 4인 옮김, ??朱子語類??
    12권 12권 (서울: 소나무 [2001]
  • 장파 지음, 신정근 외 번역, ??중국미학사??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9]
  • 이지은, ?조선후기 봉산탈춤에 나타난 사회 특성에 한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 논문 [2009]
  • 이선이,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의 사상적 형성 배경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8]
  • 유협 원저, 김민나 지음, ??문심조룡: 동양 문예학의 집대성??
    (서울: 살림 [2005]
  • 월간미술엮음, ??세계미술용어사전??
  • 옮김, ??주역 왕필주??
    왕필 임채우 (서울: 길 [1999]
  • 옮김, ??왕필의 노자주?? (파주: 한길사
    왕필 임채우 ; 제1판 9쇄) [2016]
  • 역주, ??근사록 집해 Ⅰ??
    이광호 (서울: 아가넷 [2009]
  • 역주, ??莊子?? (서울: 현암사
    안동림 ; 개정2판 7쇄) [2017]
  • 역,???왕양명 철학??
    채인후 황갑연 (서울: 서광사 [1996]
  • 역, ??중용??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김학주 ; 개정 2판 4쇄) [2013]
  • 역, ??주역강설??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이기동 ; 3판 1쇄) [2010]
  • 역, ??논어강설??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이기동 ; 3판 1쇄) [2011]
  • 역, ??국역완당전집??
    김정희 신호열 2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1988]
  • 역, ??국역완당전집??
    김정희 임정기 1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1995]
  • 역, ??(신역) 抱朴子 上?? (臺北: 三民書局
    갈홍 이중화 民國 85 [1996]
  • 서정이, ?오원 장승업의 회화세계?
    (수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9]
  • 박은순, ?조선시대의 선비그림, 儒畵?, 미술사학연구회, ??
    V. 50, 2018. 미술사학보?? V. 50 [2018]
  • 민족문화추진회편, ??한국문집논총?? 10,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 申叔舟, ??保閑齋集?? ?
    10, 畵記? [1988]
  • 노자 지음ㆍ남만성 옮김, ??노자 도덕경??
    (서울: 을유문화사 [2017]
  • 국립문화재연구소 http://portal
  • 국립국어연구원 편,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두산동아 [1999]
  • 구보 노리타다 지음 최준식 옮김, ??도교사??
    (서울: 분도출판사 [1990]
  • 공저, ??서화잡지: 조선 최고의 심미안 성해응의 못 말리는 서화 편력기??
    손혜리 지금완 (서울: 휴머니스트 [2016]
  • 馮友蘭, ??三松堂學術文集??, 北京大學出版社, 1984
    [1984]
  • 馬華 陳正宏, ??중국은사문학??
  • 趙裕壽, ??后溪集??, 권4
    趙裕壽 한국고전종합DB
  • 袁行? 저 강영순 등 역, ??중국시가예술연구??
    (서울: 아세아문화사 [1990]
  • 溝口雄三 丸山松幸 池田知久 편저, 김석근 김용천 박규태 옮김, ??중국사상문화대사전 ??
    (서울: 민족문화문고 [2003]
  • 梁漱明, ?儒佛異同論?, ??中國文化與中國哲學?? 제 1집
    제 1집, 東方出版社, 1986. 東方出版社 [1986]
  • 成百曉 역, ??論語集註?? (서울: 전통문화연구회
    ; 개정증보판 21쇄) [2016]
  • 成百曉 역, ??孟子集註??
    (서울: 전통문화연구회 [1993]
  • 張立文, ??朱熹思想硏究, 上??
    (서울: 법인문화사 [1987]
  • 史甄陶, ?東亞儒家靜坐?究之?況?, 臺灣東亞文明硏究學刊 ??
    史甄陶 東亞的靜坐傳統??, 제8권 제2기 [2011]
  • 劉安 안길환 역, ??淮南子??
    (서울: 명문당 [2013]
  • 三浦國雄 지음, 이승연 옮김, ??주자와 기, 그리고 몸??
    (서울: 예문서원 [2003]
  • ㆍ정민 외 지음, ??한국학 그림을 그리다??
    고연희 김동준 (파주: 태학사 [2013]
  • 『중국화론으로 본 회화 미학』
    지순임 (서울: 미술문화 [2005]
  • 『김정희파의 한중회화교류와 19세기 조선의 화단』
    김현권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0]
  • m
    m.blog.naver.com blog.naver.com (서울: 간송미술문화재단 [2019]
  • http://blog.daum.net/lee7997/1876
  • [네이버 지식백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네이버 지식백과]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여항문화)
    네이버 지식백과]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 [네이버 지식백과] (e뮤지엄
    네이버 지식백과] 국립중앙박물관)
  • ?한국회화에 나타난 유가ㆍ도가사상 연구?
    신희섭 (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91]
  • ?피로사회와 동양의 은일사상?, 한국도교문화학회, ??
    조민환 도교문화연구?? 45권 [2016]
  • ?풍속화에 나타난 조선후기 해학미에 관한 고찰?
    이옥수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 논문 [2018]
  • ?추사 김정희 예술론의 철학적 근거와 예술사적 의미?, 범한철학회, ??
    황지원 범한철학?? 37집 [2005]
  • ?중국과 일본의 유학 정좌법에 비교해 본 퇴계의 정좌법의 좌표?,??
    강호석 퇴 계학보?? 44권 [1984]
  • ?조선후기 閭巷文學 연구?
    강명관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1991]
  • ?조선후기 선동취적도 연구?
    박소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8]
  • ?조선후기 민화에 나타난 미의식 연구?
    안호숙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1]
  • ?조선후기 詩意圖 연구?
    조인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3]
  • ?조선전기 사대부문학의 은일사상 연구?
    이의철 (경희대대학원 박사논문 [2005]
  • ?조선시대 회화의 도교적 이상향 연구?
    정동화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5]
  • ?조선시대 화가④ <광기와 예술가>-최북과 장승업-?, 내일을 여는 역사재단, ??
    조정육 내일을 여는 역사?? [2005]
  • ?조선시대 별서도 연구?
    조규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06]
  • ?조선시대 도교와 민간 회화?, 한국민화학회, ??
    조인수 한국민화?? 제7호 [2016]
  • ?조선시대 山水畵에 나타난 靜坐에 대한 연구?, 한국동양예술학회, ??
    고혜림 동양예술?? 42호 [2019]
  • ?장승업과 한국 근현대화단: 진위의 재조명?, 한국학 중앙연구원, ??
    정형민 정신문화 연구?? 83호 [2001]
  • ?장승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강영주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
  • ?장승업 회화와 중국회화?, 한국학 중앙연구원, ??
    이성미 정신문화연구?? 83호 [2001]
  • ?유교정좌와 도교적 무사상?, ??도교의 한국적 수용과 전이??
    김승혜 한국도교사상연구총서 Ⅷ [1994]
  • ?유교의 정좌?, 한중철학회, ??한중철학??
    최근덕 창간호 [1995]
  • ?유가사상에 나타난 전통음악치료에 관한 연구?
    이유정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논 문 [2018]
  • ?우리 민화의 아름다움과 특징 및 그 의의?, ??선문대학교 박물관 명품도록??
    진준현 Ⅲ (아산: 선문대학교 출판부 [2003]
  • ?오원 장승업의 생애?, 한국학중앙연구원, ??
    진준현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4-2 [2001]
  • ?오원 장승업 회화 연구?
    김종란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1]
  • ?오원 장승업 산수화 연구?
    백일수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7]
  • ?양명의 수양론의 명상론적 의미?, 한국양명학회, ??
    정은해 양명학?? 제37호 [2004]
  • ?신유학의정좌법과심신수렴의유교치료?,한국동서철학회, ??
    신현승 동서철학연구??제80호 [2016]
  • ?성리학 형성과정에 나타난 禪 불교의 영향?, 한국불교학회, ??
    김제란 한국불교학??권37호 [2004]
  • ?도와 하나 되는 삶: 도교의 이상적 인간상?,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이용주 종교와 문화?? Ⅴ.7 [2001]
  • ?도교 신선화의 도상적 기능?,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조인수 미술사학?? 제15호 [2001]
  • ?도가적 미의식을 바탕으로 한 한국의 문화적 디자인 콘텐츠 개발 연 구?
    이규락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3]
  • ?노장철학에 있어서 회의와 부정?, ??동양철학의 문제들??
    송항룡 (서울: 여강출판사 [1987]
  • ?남태응(南泰膺)과??청죽화사(聽竹畵史)???,우리한문학회,??
    김형섭 한문학보??Vol. 12 [2005]
  • ?김창흡의 학풍과 호락논쟁?,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
    이경구 한국사론?? 36권 [1996]
  • ?근대적 사상의 맹아?, ??한국사??
    한우근 14 (서울: 국사편찬위원회 [1990]
  • ?관아재 조영석의 풍속화 연구?
    채혜성 (숙명여대 대학원 석사논문 [2005]
  • ?관아재 조영석의 문예론과 작품세계?
    김수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2]
  • ?고전문학을 통해 본 點化評과 點化 作法의 實在?, 국제비교한국학회, ??
    윤인현 비교 한국학?? 26권 [2018]
  • ?고송유수관도인 이인문 연구?
    김소영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5]
  • ?고대 중국 ‘仁’ 사상의 형성과 발전에 관한 연구?
    신정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논문 [1998]
  •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에 대한 고찰?
    정재석 (군산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2]
  • ?飮酒詩에 나타난 中國詩人의 精神世界 : 陶淵明, 李白, 白居易를 중심으로?
    윤서우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05]
  • ?靜坐에 대한 연구?, 한국유교학회, ??
    고혜림 유교사상문화연구?? 제70집 [2017]
  • ?金弘道의 <朱夫子詩意圖>-御覽用 繪畵의 性理學的 性格과 관련하여 -?,국립중앙박물관, ??
    오주석 美術資料?? 56호 [1995]
  • ?金弘道의 <朱夫子詩意圖> 硏究?
    김선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6]
  • ?鄭尙驥의 <東國地圖>에 관한 연구-제작배경과 寫本들의 系譜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
    오상학 지리학논총??, 제24호 [1994]
  • ?鄭壽永의 ??之又齋詩稿???, 고전문학한문학연구회, ??
    김영진 고전과 해석??6 [2009]
  • ?豹菴 姜世晃의 繪畵世界?
    변영섭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1987]
  • ?謙齋 鄭敾의 眞景山水畵 硏究 :謙齋가 朝鮮後期 畵壇에 미친 影 響을 中心으로?
    김선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91]
  • ?煙客 許珌의 詩? 硏究?
    박근령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 논문 [2015]
  • ?正祖의 君主觀?, 朝鮮時代史學會, ??
    한상권 朝鮮時代史學報?? 제41집 [2007]
  • ?檀園 金弘道 繪畵의 心學的 眞境美學 硏究?
    조동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5]
  • ?東洋繪畵의 經營位置에 의한 餘白의 美 硏究?
    이승숙 (홍익대 대학원 박사논문 [2006]
  • ?東洋書畵 ‘不似之似'의 形神論的 考察?, 한국동양예술학회, ??
    김응학 동양예술??27 [2015]
  • ?朝鮮王朝後期繪畵의 新動向?, 한국미술사학회, ??考古美術??
    안휘준 第134卷 [1977]
  • ?朝鮮時代 後半期 風俗畵의 硏究 ?
    정병모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1992]
  • ?朝鮮後期 繪畵에 미친 中國의 영향?, 미술사학회, ??
    한정희 미술사학연구?? 제206호 [1995]
  • ?朝鮮 末期 畵員畵家 安建榮(1841-1877)의 繪畵 硏究?
    박진수 (홍익대학교 대학원석사논문 [2017]
  • ?書藝作品의 儒 道 美學的 風格 硏究?
    신현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9]
  • ?山水畵의 視方式 變化 硏究?
    이미애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1]
  • ?南公轍(1760-1840)의 ??金陵集??에 보이는 中國書畵에 대한 認識?, 한국미술사 학회
    문덕희 『미술사학연구』213 [1997]
  • ?儒家의文化槪念과한국의文化哲學에대한試論?,??
    김세종 유교사상문화연구??, 제67집 [2017]
  • ?之又齋 鄭壽永의 산수화 연구?, 미술사학회, ??
    박정애 미술사학연구?? [2002]
  • ?之又齋 鄭壽永의 괴석ㆍ화훼도 고찰?
    김미정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8]
  • ?‘羊’部字의 儒家美學的 硏究: ‘美ㆍ善ㆍ義’ 字를 中心으로?
    정슬기 (성균관대학교석사논문 [2016]
  • ?‘書畵雜識’를 통해 본 成海應의 繪畵鑑評 양상과 의의?, 온지학회, ??
    박정애 溫知論叢』제33집 [2012]
  • ??화인열전??
    유홍준 1(서울: 역사비평사 [2001]
  • ??화두와 좌선-선불교의 수행법??
    김호귀 (파주: ㈜살림출판사 [2008]
  • ??한국 미의 재발견??
    강우방 (서울: 솔 출판사 [2005]
  • ??한국 도교의 기원과 역사??
    정재서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6]
  • ??중국철학과 예술정신?? (서울: 예문서원
    조민환 ; 초판 2쇄) [1998]
  • ??중국의 문화코드??
    강진석 (서울: 살림 [2004]
  • ??조선양반사회연구??
    이성무 (서울: 일조각 [1995]
  • ??조선시대회화사론??
    홍선표 (서울: 문예출판사 [2013]
  • ??조선시대 산수화 특강??
    안휘준 (서울: 사회평론아카데미 [2015]
  • ??조선시대 산수화 아름다운 필묵의 정신사??
    고연희 (파주: 돌베개 [2007]
  • ??조선선비의 마음공부, 정좌(靜坐)??
    최석기 (서울: 보고사 [2014]
  • ??이인문의 강산무진도??
    오주석 (서울: 신구문화사 [2006]
  • ??유학자들이 보는 노장철학??
    조민환 (서울: 예문서원 [1996]
  • ??유가미학??
    심현섭 (파주: 한국학술정보 [2011]
  • ??우리문화의 황금기 진경시대2??
    최완수 (서울: 돌베개 [1998]
  • ??우리문화의 황금기 진경시대1?? (파주: 돌베개
    최완수 ; 1판 9쇄) [2012]
  • ??우리나라의 옛 그림??
    이동주 (서울: 학고재 [1997]
  • ??우리 그림 백가지??
    박영대 (서울: 현암사 [2007]
  • ??오주석의 한국의 미 특강??
    오주석 (서울: 푸른역사 [2018]
  • ??오주석의 옛 그림 읽기의 즐거움 ???
    오주석 (서울: 솔 [2015]
  • ??아름다운 우리 그림 산책??
    송희경 (파주: 태학사 [2013]
  • ??시를 담은 그림 그림이 된 시??
    윤철규 (서울: 마로니에북스 [2016]
  • ??선생님, 학생, 교과서??
    정순우 (서울: 국립민속박물관편 [2000]
  • ??선비의 생각, 산수로 만나다??
    고연희 (파주: 다섯수레 [2012]
  • ??산수화의 이해??
    지순임 (서울: 일지사 [1991]
  • ??산수화의 미학??
    조송식 (파주: 아카넷 [2015]
  • ??사람다움의 발견??
    신정근 (서울: 이학사 [2005]
  • ??사대부의만남과풍류의장,아회도??
    송희경 (경기: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6]
  • ??문화철학??
    강영안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00]
  • ??문화이론과 문화철학??
    원승룡 (파주: 서광사 [2007]
  • ??동양회화사상??
    김종태 (서울: 일지사 [1984]
  • ??동양미학론??
    이상우 (서울: 시공사 [1999]
  • ??동아시아 예술과 미학의 여정??
    신정근 (서울; 유교문화연구소 [2018]
  • ??노자의 목소리로 듣는 도덕경??
    최진석 (서울: 소나무 [2012]
  • ??공자씨의 유쾌한 논어?? (파주: 사계절
    신정근 ; 1판 5쇄) [2015]
  • ??겸재의 한양진경??
    최완수 (서울: 동아일보사 [2006]
  • ??豹菴 姜世晃 繪畵硏究??
    변영섭 (서울: 일지사 [1988]
  • ??豹菴 姜世晃 繪畵硏究??
    변영섭 (서울: 사회평론 [2016]
  • ??朝鮮時代 선비 硏究??
    이장희 (서울: 박영사 [1989]
  • ?18-19세기 초반 문인들의 서화감상과 비평에 관한 연구?, 우리한문학회,??
    손혜리 漢文學報?? 제19집 [2008]
  • ?18 19세기 京衙前과 예술 활동의 양상?, ??민족사의 전개와 그 문화: 碧史李佑成敎授 停年退職紀念論叢??
    강명관 1 (서울: 창작과 비평사 [1990]
  • 3인 옮김, ??豹菴遺稿??
    강세황 변영섭 권4 (파주: 지식산업사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