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이애주 춤의 ‘생명몸짓’에 관한 연구 : 승무 염불과장을 중심으로

권효진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이애주 춤의 ‘생명몸짓’에 관한 연구 : 승무 염불과장을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생명몸짓
  • 승무
  • 이애주
  • 한성준
  • 한영숙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01 0

0.0%

' 이애주 춤의 ‘생명몸짓’에 관한 연구 : 승무 염불과장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한국춤통사
    김영희 보고사 [2014]
  • 한국의 전통춤
    정병호 집문당 [1999]
  • 송영선, 「승무의 형성에 관한 연구」
    송영선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1998]
  • 무형문화재 27호
    무형문화재 년 11월 18일 기사 [2015]
  • 동국대학교 불교대장경 불교사전 https://abc
    동국대학교 dongguk.edu/ebti/c3/sub1.jsp
  • 대산선생미수기념집간행위원회 김석진,『易과 人』
  • 대담
    이동백 한성준 <가무의 제문제> <춘추> 5월호 제2권 [1941]
  • 노장사상으로 본 승무의 특성
    이미영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0권, 대한무용학회 [2012]
  • 노동은, 「전통예인, 한성준의 춤과 음악」, ??한성준 춤의 문화유산적 가치와 현대적 계승방안 학술자료집??
    , 서울: 국회헌정기념관, 2012. 서울: 국회헌정기념관 [2012]
  • 국립국어원 http://stdweb2
    국립국어원 korean.go.kr/main.jsp
  • 樂記
  • 『한국춤이 알고 싶다』
    유인화 동아시아 [2014]
  • 『한국전통무용』
    성경린 일지사 [1995]
  • 『한국 춤의 코드와 해석』
    김지원 한양대학교 출판부 [2006]
  •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편 [1999]
  • 『춤을 지키는 마음??
    문일지 한국무용아카데미 [1989]
  • 『중요무형문화재 27호 승무(僧舞)』
  • 『장자 내편』
    이기동 동인서원 [2008]
  • 『교학의 세월』
  • 『고수 한성준』
    최원식 실천문학사 [1985]
  • 『周易』
  • 『中庸集註』
  • 『中庸』
  • 『三國史記』
  • 「황제내경, 기철학과 전통의학의 만남」
    김교빈 오늘의 동양사상 20호, 예문동양사상연구원 [2009]
  • 「한영숙 춤의 특질과 예술세계」
    김명숙 한국무용예술학회 [2007]
  • 「한영숙 춤의 성립 배경과 특성」
    이애주 한국미래춤학회지 4, 한국미래춤학회 학술심포지움 [1998]
  • 「한성준의 가락과 춤 인생」
    이병옥 『예술문화』8집, 계명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1995]
  • 「한성준 춤의 전통성에 관한 연구」
    김연정 성균관대 박사학위 논문 [2016]
  • 「한성준 춤 수련과정과 수련관에 대한 고찰」
    권효진 전은자 무용역사기록학 54, 무용역사기록학회 [2019]
  • 「한국춤미학의 기초개념 연구시론」
    김용복 무용역사기록학지 41권, 무용역사기록학회 [2016]
  • 「한국의 몸짓, 한밝춤」
    이애주 한국정신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5집, 한국정신과학학회 [2006]
  • 「한국의 굿에 나타난 굿춤-경기도당굿을 중심으로-」
    이애주 한국샤머니즘학회 4 [2002]
  • 「한국 전통 수련문화에 내재된 의식배분과 집중?, 한국철학체육회지 22권
    김영만 한국체육철학회 [2014]
  • 「타이치(태극권) 수행과 한국무용 승무 염불동작 수행에 따른 근 활성도 비교분석」
    백정희 한국무용과학회지 33권, 한국무용과학회 [2016]
  • 「치유 이전의 몸과 춤 - ‘치유’라는 말은 합당한가」
    이애주 한국정신과학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0집, 한국정신과학학회 [2016]
  • 「진양장단의 박에 관한 고찰」
    최태현 민속예술의 이해, 민족문화사 [1998]
  • 「전통 승무의 정체성과 전통춤 교육의 재구성」
    김경숙 한양대 박사학위논문 [2009]
  • 「자연과 하나가 된 춤: 그 영원함에 대해 ??우리땅 터벌림??」
    김연정 춤과지성 [2013]
  • 「이애주(李愛珠) <바람맞이>춤에 내재된 한국춤의 본성(本性)」
    김경은 『비교민속학회지』,비교민속학회 [2015]
  • 「이매방 춤의 양식적 특성으로 본 역학적 분석」
    백경우 성균관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11]
  • 「우리몸짓과 소리를 통하여 본 민족의 정체성?, 한국정신과학학회지, 8권
    이애주 한국정신과학학회 [2004]
  • 「용호비결의 수련방법 고찰」
    이현수 한국정신과학학회지 10권, 한국정신과학학회 [2006]
  • 「영가무도의 사상체계와 실제법도?
    이애주 한국정신과학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2001]
  • 「영가무도를 통한 인간 심신회복의 효과」
    김현주 동덕여대 박사학위논문 [2006]
  • 「역으로 본 영가무도?, 민족사상연구 20, 경기대 민족문제연구소, 이애주, 「춤과 과학-우리춤의 온 과학적 속성」
    이애주 비교민속학 28집, 비교민속학회, 2005 [2011]
  • 「양생과 한의학 황제내경의 순환론을 중심으로」
    정우진 도교문화연구 32권, 한국도교문화학회 [2010]
  • 「승무의 원류에 관한 연구」
    이애주 체육사회학지, 창간호 [1996]
  • 「승무의 시대별 변천과정」
    홍세경 상명대 석사학위논문 [2002]
  • 「승무의 기원에 관한 고찰」
    최복순 경남대 석사학위논문 [1997]
  • 「승무의 구조와 춤사위 연구」
    이애주 한국민속학 27집, 한국민속학회 [1995]
  • 「승무 춤사위에 대한 음양 오행론적 해석」
    김지희 무용예술학연구 13권, 한국무용예술학회 [2004]
  • 「승무 발생기원설에 따른 형성과정의 사적 고찰」
    박지윤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2013]
  • 「소리수련에 관한 연구」
    오근배 원광대 석사학위논문 [2009]
  • 「생명의 관점에서 본 영가무도의 실제?, 한국정신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7집
    이애주 한국정신과학학회 [2007]
  • 「불교적 명상으로 본 승무-사념처(四念處) 수행을 중심으로」
    김수영 김운미 우리춤과 과학기술 32권, 한양대 우리춤연구소 [2016]
  • 「불교의식무용이 승무에 미친 영향」
    권재남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 「동양의 신체의식과 심신수련에 대한 체육학적 연구」
    백남섭 용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韓成俊論」
    이애주 한국민속학 28집, 한국민속학회 [1996]
  • 「『삼일신고』의 수련 원리에 대한 현대적 해석과 방법론 이해」
    김종업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 「[보고_이애주 교수 퇴임기념 학예굿] 한국춤의 생성론과 이애주의 춤세계」
    이이화 민족미학 12권, 민족미학회 [2013]
  • 《조선일보》
    《조선일보》 「묵은 조선의 새 향기」년 1월 6일 기사 [1938]
  • 《조선일보》
    《조선일보》 「조선춤이야기2」 년 11월 9일 기사 [1939]
  • 《문화일보》
    《문화일보》 Her Story 이애주의 ‘춤 인생’ 민중문화운동 첫 세대…중요
  • 《동아일보》
    《동아일보》 「古典音樂의壓縮」년 1월 19일 기사 [1938]
  • 《교수신문》
    《교수신문》 「내면에서 터져 나오는 우리 춤은 보여주기보다 나를 들여다보고 자유롭게 하는 춤이죠」 년 05월 28일 기사 [2014]
  • 《경향신문》
    《경향신문》 「세월이여 왕조여」년 8월 27일 기사 [1984]
  • “생명 본원을 향해 되묻는, 춤의 사회적 실현을 위하여”
    이애주 채희완 《춤웹진》 Vol 125, 년 2월 [2014]
  • ‘시대의 가운데서 몸짓을 흩뿌리다’
    박종훈 《참여와 혁신》년 08월 01일 기사 [2012]
  • https://www.iha.go.kr/service/record/getFolderView.nihc?crec_rowid_=10562
  • ?이애주 <한밝춤>의 치유성 연구?, 민족미학 12권
    신상미 민족미학회 [2013]
  • ?고수 오십년?. ??조광?? 제18호, 통권3권 4호
    한성준 경성: 조광사 [19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