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시각예술의 매개 변화에 따른 플랫폼과 콘텐츠 활용 방안

최정은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시각예술의 매개 변화에 따른 플랫폼과 콘텐츠 활용 방안'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문화매개자
  • 예술의 매개 변화
  • 예술의 비즈니스모델
  • 재매개 플랫폼
  • 콘텐츠의 재매개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3 0

0.0%

' 시각예술의 매개 변화에 따른 플랫폼과 콘텐츠 활용 방안' 의 참고문헌

  • 호르크하이머, 아도르노.계몽의 변증법. 김유동 역
    호르크하이머, 아도르노. 문학과 지성사 [2001]
  • 현실과 환상을 가로지르는 콘텐츠의 재매개화 : 미생의 재매개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제61권 1호)
    김은영 한국언론학회 [2017]
  • 핸드메이드 마켓의 새로운 패러다임 -엣시(Etsy.com)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Vol.18, No
    나유리 3)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 한국콘텐츠진흥원.한국콘텐츠 해외진출 확대를 위한 글로벌 플랫폼 조사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콘텐츠진흥원 [2018]
  • 한국콘텐츠진흥원.콘텐츠산업 신기술융합형 성장동력 생태계 구축 연구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콘텐츠진흥원 [2019]
  • 한국콘텐츠진흥원.콘텐츠산업 2018년 결산 및 2019년 전망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콘텐츠진흥원 [2019]
  • 한국콘텐츠진흥원.4차산업혁명과 콘텐츠산업 경쟁력 제고 전략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콘텐츠진흥원 [2017]
  • 한국인터넷기업협회.모바일 서비스 이용행태 조사보고서
    한국인터넷기업협회. 한국인터넷기업협회 [2018]
  • 한국예술인복지재단.2018 예술인파견지원사업 디렉토리북
    한국예술인복지재단. 한국예술인복지재단 [2019]
  • 한국문화정보원.문화체육관광 분야 제4차 산업혁명 대응전략 수립 연구
    한국문화정보원. 한국문화정보원 [2017]
  • 한국문화예술위원회.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 및 지원 패러다임 전환 방향 모색 연구.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정책 연구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15]
  • 한국문학평론가협회.문학비평 용어사전
    한국문학평론가협회. 국학자료원 [2006]
  • 한경닷컴 사전 http://dic.hankyung.com
  • 피드스폿 https://blog.feedspot.com/museum_youtube_channels
  • 플랫폼전문가그룹.플랫폼을 말하다
    플랫폼전문가그룹. 클라우드북스 [2012]
  • 플랫폼이란 무엇인가
    노규성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 플랫폼, 경영을 바꾸다
    김창욱 조원영 최병삼 삼성경제연구소 [2014]
  • 플랫폼 전쟁
    조용호 21세기 북스 [2011]
  • 패션 공유 플랫폼의 성공 요인과 국내 성장 방안.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Vol.18, No.3)
    권지현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8]
  • 토마스 슐츠.구글의 미래. 이덕임 역
    토마스 슐츠. 비즈니스북스 [2016]
  • 테이트 보도자료 https://www.tate.org.uk/press/press-releases/google-and-museums-around-world-unveil-art-project
  • 테드, 존 마에다 강연 (2012) https://www.ted.com/talks/john_maeda_how_art_technology_and_design_inform_creative_leaders
  • 테드, 아밋 수드 강연 (2016) https://www.ted.com/talks/amit_sood_every_piece_of_art_you_ve_ever_wanted_to_see_up_close_and_searchable
  • 테드, 아밋 수드 강연 (2011) https://www.ted.com/talks/amit_sood_building_a_museum_of_museums_on_the_web
  • 클라우스 슈밥.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산업혁명. 송경진 역
    클라우스 슈밥. 새로운현재 [2016]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https://creativecommons.org
  • 컨버전스시대 UCC의 활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제7권 6호)
    류철균 박나영 한국콘텐츠학회 [2007]
  •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에 따른 패션 내러티브 분석 -루이비통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제26권 6호)
    박소형 임은혁 복식문화학회 [2018]
  • 체험형 전시물 기획 및 제작 프로세스 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6권)
    구도형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0]
  • 첨단 기술과 전통 방식이 공존하는 미술관. 전승보 엮음. 큐레이팅을 말하다
    구보경 미메시스 [2019]
  • 창조경제. 김혜진 역
    호킨스 에프케이아이미디어 [2013]
  • 지역 문화매개인력 현황조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기본연구(2014_19)
    김규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4]
  • 제이 데이비드 볼터, 리처드 그루신.재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이재현 역
    제이 데이비드 볼터, 리처드 그루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 정보나루 https://www.data4library.kr
  • 재생산과 재매개 도구로서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연구. 스토리앤이미지텔링(12호)
    고경민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6]
  • 재매개 현상으로 본 동영상UCC의 창의성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제7권 6호)
    조현주 한국콘텐츠학회 [2008]
  • 장청건, 이경자.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를 활용한 ‘가상전시’의 교육적 접근방법과 운영에 관한 고찰. 예술경영연구(23권)
    장청건, 이경자. 한국예술경영학회 [2012]
  • 인터랙티브 테마 박물관을 위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서비스 시스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제10권 1호)
    김규정 박면진 한국기초조형학회 [2009]
  • 인터랙티브 영화의 공간 : 가상공간, 사이버스페이스, 재매개 공간. 현대영화연구(제15권 2호)
    계운경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9]
  • 인스타그램을 통한 공연예술 PR이 소비자 인식, 만족도, 구매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청구논문
    정은희 성균관대학교 [2018]
  • 인스타그램을 이용한 예술적 표현의 함의들. 기초조형학연구(Vol.19, No. 3)
    권해나 이현진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 인스타그램 패션인플루언서의 특성, 유형이 정보수용, 지속사용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청구논문
    지혜림 경희대학교 [2019]
  • 인스타그램 시대 이후의 공간. HUFFPOST
    전종현 Retrieved fromhttps://www.huffingtonpost.kr/entry/story_kr_5c8fbe9ce4b0448743461329 [2019]
  •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
  • 이재학, 김인주.유니버스(Universe) 개념을 통해 본 원형콘텐츠의 재평가. 만화애니메이션연구(53호)
    이재학, 김인주.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8]
  • 이슈메이커 http://www.issuemaker.kr/news/articleView.html?idxno=10164
  • 이성은.소규모 도자공예산업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 이론적 모델 제안. 박사학위청구논문
    이성은. 경희대학교 [2019]
  • 이보아.인스타그램 해시태그 기반의 전시관람경험에 대한 반응 분석.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박지현 석아영 윤영준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
  • 이보아, 하승완, 서재인.<모네, 빛을 그리다>과 <반 고흐 인사이드 : 빛과 음악의 축제>의 실증적인 접근을 통한 몰입적 특성에 대한 비교 연구.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제20권 4호)
    이보아, 하승완, 서재인.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7]
  • 이보아, 최여림, 정도영, 박성훈.기술수용모델을 기반으로 구스타프 클림트의 스토클렛 저택의 장식벽화(Stoclet Frieze) VR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경험 평가.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제25권 2호)
    이보아, 최여림, 정도영, 박성훈.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7]
  • 이보아, 최수민, 홍용석.예술작품의 원작으로 구성된 전시와 원작을 재매개한 디지털 전시의 미적 경험에 대한 상이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제17권 5호)
    이보아, 최수민, 홍용석. 한국콘텐츠학회 [2017]
  • 이보아, 김신효, 신수민.기술수용모델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전시에 대한 평가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제21권 10호)
    이보아, 김신효, 신수민.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
  • 이미지 기반 소셜미디어의 미술교육적 접근 가능성 -인스타그램과 핀터레스트를 중심으로-. 미술교육연구논총(53권)
    김시내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8]
  • 유튜브 테이트 채널 https://www.youtube.com/user/tate
  • 유튜브 콘텐츠의 제작 이용 환경 특성과 인기 채널 분석 및 함의점 고찰. 조형미디어(Vol.21, No.4)
    변현진 한국일러스트아트학회 [2018]
  • 유튜브 영국박물관 채널 https://www.youtube.com/user/britishmuseum
  • 유튜브 뉴욕현대미술관 채널 https://www.youtube.com/user/MoMAvideos
  • 유튜브 널 위한 문화예술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Zr3cu75jx6Sz-6KRQ50ySA
  • 유튜브 김찬용의 아싸틔비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KL5lsfBBKi-Rhg1frsbqVg
  • 유튜브 국립현대미술관 채널 https://www.youtube.com/user/MMCAKorea
  • 유튜브 Jay Lee Painting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Hm9SiOLG8UoBT8STWY5mVA
  • 유튜브 BTS 채널 https://www.youtube.com/user/BANGTANTV
  • 유로피아나 https://www.europeana.eu
  • 유럽 디지털도서관 ‘유로피아나(Europeana)’의 현황과 과제. 정보통신방송정책(제21권 18호)
    김희연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9]
  • 유네스코 디지털 라이브러리 https://unesdoc.unesco.org/library
  • 위키피디아 https://www.wikipedia.org
  • 월드 디지털 라이브러리 프로젝트 사이트 https://project.wdl.org 월
  • 월드 디지털 라이브러리 https://www.wdl.org
  • 워드클라우드 http://wordcloud.kr
  • 와이즈앱 네이버 포스트 https://m.post.naver.com/my.nhn?memberNo=32291422
  • 온라인 전시 통합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Vol.13, No.4)
    육지현 이재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 예술작품으로서 디지털 이미지 감상과 체험 -뮤지움 환경에서 디지털 이미지 사용 연구-. 조형교육(34권)
    구보경 한국조형교육학회 [2009]
  • 예술과 기업의 창발적 협력 방안 사례 연구. 박사학위청구논문
    서지혜 중앙대학교 [2017]
  • 영상매체로 재매개된 공연의 라이브니스의 재구성. 인문콘텐츠(43호)
    지혜원 인문콘텐츠학회 [2016]
  • 엣시 https://www.etsy.com
  • 양경은, 신형덕.가상미술관을 통한 관람객 커뮤니케이션 연구 : 관계마케팅의 요소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제5권 1호)
    양경은, 신형덕.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2012]
  • 앤드루 맥아피, 에릭 브린욜프슨.머신 플랫폼 크라우드. 이한음 역
  • 알렉산더 오스터왈더, 예스 피그누어.비즈니스 모델의 탄생. 유효상 역
  • 심보선.생활예술공동체 내 문화매개자의 역할 분석 : 인천 '문화바람'의 경우. 경제와사회(100권)
    강윤주 비판사회학회 [2013]
  • 스트래티저 https://www.strategyzer.com/canvas/business-model-canvas
  • 스타티스타 https://www.statista.com/topics/1882/instagram
  • 소셜플랫폼과 IT기술기반의 미술관의 역할과 관람객 체험. 예술교육연구(제16권 4호)
    구보경 한국예술교육학회 [2018]
  • 소셜미디어 시대의 하이패션 브랜드 SNS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제21권 4호)
    이미숙 정경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 세계의 창조산업. 창조산업과 콘텐츠 7, 8월호
    노준석 한국콘텐츠진흥원 [2013]
  • 세계경제포럼 https://www.weforum.org
  • 서치엔진저널 https://www.searchenginejournal.com/instagram-shop-now/177869/#close
  • 서울문화재단.2019 생활문화 매개자 양성 기본계획. 생활문화팀-14
    서울문화재단. 서울문화재단 [2019]
  • 생활문화참여자 만족도 연구. 박사학위청구논문
    김나은 서울대학교 [2019]
  • 빅데이터 플랫폼 기반하의 미술관 융합 콘텐츠 비즈니스 접근 모델 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24권)
    남현우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2016]
  • 비즈니스모델 4.0
    박대순 KMAC [2019]
  • 블루오션전략 https://www.blueoceanstrategy.com
  • 블로터 http://www.bloter.net/archives/345023
  • 버추얼뮤지엄과 디지털 문화경관. 박물관학보(30호)
    김연희 이보희 한국박물관학회 [2016]
  • 밴 앨스타인, 상지트 폴 초더리, 제프리 파커.플랫폼 레볼루션. 이현경 역
    마셜 부키 [2017]
  • 발터 벤야민.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반성완 역
    발터 벤야민. 민음사 [2005]
  • 발터 벤야민.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사진의 작은 역사 외
    발터 벤야민. 최성만 역. 길 [2007]
  • 박물관에서의 유비쿼터스 환경 도입 및 적용에 관한 연구. 박물관학보(9호)
    이진화 황동열 한국박물관학회 [2005]
  • 박물관 활성화를 위한 사이버 갤러리 활용 방안 연구. 석사학위청구논문
    민경미 홍익대학교 [2016]
  • 박물관 전시물의 개념 변화와 전시물 기반학습의 적용. 미술교육논총(제20권 2호)
    양지연 한국미술교육학회 [2006]
  • 박물관 개념의 전파와 뮤지엄 정체성의 변화. 박물관학보(29호)
    최종호 한국박물관학회 [2015]
  • 민지은.문화예술 향유권 확대를 위한 문화매개 및 문화매개자에 관한 연구 : 프랑스 문화정책을 중심으로. 문화정책논총(제29권 1호)
    지영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5]
  • 민지은, 지영호. ). 『문화매개자mediateur culturel』의 개념과 양성에 관한 연구. 예술경영연구(제37권)
    민지은, 지영호. 한국예술경영학회 [2016]
  • 미술관 소셜 플랫폼을 통한 경험 확장과 전략 실행에 관한 모델 제안 -MoMA, Tate를 중심으로-. 한국과학예술포럼(30호)
    이언주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2017]
  • 미술관 벽 밖의 디지털 경험. 예술경영연구(46호)
    이언주 한국예술경영학회 [2018]
  • 미디움 https://medium.com
  • 미디어 콘텐츠에 나타난 예술작품의 재매개 연구: BTS(방탄소년단) 뮤직비디오를 중심으로.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57호)
    안혜정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9]
  • 미디어 SR http://www.mediasr.co.kr/news/articleView.html?idxno=48961
  • 뮤지엄 유튜브(YouTube) 채널과 콘텐츠 현황 분석 및 활용방안 연구. 기초조형학연구(제20권 5호)
    김면 최정은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 뮤지엄 에듀테인먼트 스마트 콘텐츠 모델 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17권)
    양연경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4]
  • 뮤지엄 3.0, 소프트 파워 역할을 기대한다. 국민일보
    노소영 Retrieved from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061121&code=11171431&cp=nv [2019]
  • 문화적 삶의 질, 문화매개인력의 제도화로부터. [Jthink] Issue Briefing(86권)
    장세길 전북연구원 [2012]
  • 문화유산 정보의 디지털 보존 정책연구. 박사학위청구논문
    오성환 건국대학교 [2018]
  • 문화매개자 개념의 비판적 재검토매스 미디어에서 온라인 미디어까지. 한국언론정보학보(제52권 4호)
    이상길 한국언론정보학회 [2010]
  • 문화 매개
    민지음 지영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 매일경제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18/06/399356/
  • 매개와 재매개 : 디지털 정보시대의 뉴미디어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커뮤니케이션학(7집)
    박기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1999]
  • 린스택 블로그 https://blog.leanstack.com/why-lean-canvas-vs-business-model-canvas-af62c0f250f0
  • 린스택 린캔버스 https://leanstack.com/leancanvas
  • 리서치게이트 https://www.researchgate.net
  • 레비 피에르.디지털 시대의 가상현실. 전재연 역
    레비 피에르. 궁리 [2002]
  • 랩톱컴퓨터와 하이퍼텍스트 쓰기: 보기-듣기-읽기의 통합과 상호매체성. 정광수, 김현승 편저. 과학기술과 문화예술
    김재영 ㈜한국학술정보 [2010]
  • 디지털시대의 문화예술콘텐츠 플랫폼에 관한 연구 -구글 아트앤컬처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제20권 3호)
    김면 최정은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 디지털 전시 기술의 적용과 박물관의 새로운 모색. 박물관학보(32호)
    홍인국 한국박물관학회 [2017]
  • 디지털 시대의 제작문화 연구 -엣시의 사례를 통한 공예시장을 중심으로. 조형디자인연구(Vol.19, No.1)
    김정지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16]
  •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참여 미술 :재매개와 상호작용. 미술이론과 현장(19호)
    이임수 한국미술이론학회 [2015]
  • 디지털 매체 공간에서 재매개되는 연극에 대한 연구 : 연극 햄릿을 중심으로. 석사학위청구논문
    정주영 한국예술종합학교 [2012]
  • 디지털 다매체 환경과 문학의 확장. 박사학위청구논문
    이지원 중앙대학교 [2018]
  • 디지털 기술 활용과 뮤지엄 체험 연구. 미술교육논총(제31권 1호)
    구보경 한국미술교육학회 [2017]
  • 도서 발견과 소셜미디어 이용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청구논문
    김동혁 경희대학교 [2018]
  • 도대체 무엇이 ‘미술작품을’ 그토록 색다르고 흥미진진하게 만드는가. 미술사학보(52호)
    신원정 미술사학연구회 [2019]
  • 데이터 예술(Data Art)을 통한 확장된 데이터 시각화 교육 방안 모색. 조형교육(68권)
    김시내 한국조형교육학회 [2018]
  • 다른 미적 수행성 : 현대미술의 포스트온라인 조건. 한국미학예술학회지(53권)
    강수미 한국미학예술학회 [2018]
  • 뉴욕컬처비트 https://www.nyculturebeat.com/index.php?mid=Art&document_srl=3765424
  • 뉴미디어아트의 속성과 재매개 이론의 효용성에 대한 연구. 한국디자인포럼(20호)
    양승수 이원섭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8]
  • 뉴미디어 이론
    이재현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 뉴미디어 아트의 상호 작용성을 통한 미술관에서의 메타현실 체험 연구. The journal of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Vol.4, No.3)
    김태은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8]
  • 넷플릭스의 초국가적 유통 전략과 그 비판.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Vol.2018 No.12)
    임대근 정승애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8]
  • 넷플릭스 미디어 구조와 이용자 경험. 방송 문화 연구(Vol.30 No.1)
    고은지 최선영 KBS 공영미디어연구소 [2018]
  • 네이버 아트윈도 https://shopping.naver.com/art/home
  • 기업과 예술의 협력을 위한 문화매개자의 역할. 박사학위청구논문
    김미현 성균관대학교 [2016]
  • 국립중앙박물관 블로그 https://blog.naver.com/100museum/220006053458
  • 국내 역사 아카이브의 진화 과정 연구. 2018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동계학술대회
    조정미 최희수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8]
  •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 구별짓기(上),(下). 최종철 역
    부르디 피에르 새물결 [2005]
  • 구글 퍼포밍아트 베타사이트 https://performingarts.withgoogle.com/en
  • 구글 컬처럴인스티튜트 https://www.google.com/culturalinstitute/thelab
  • 구글 익스페리멘츠 https://experiments.withgoogle.com
  • 구글 아트앤컬처 https://artsandculture.google.com
  • 공유경제 도입에 따른 패션 공유 플랫폼의 사례 분석.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제18권 4호)
    김지형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8]
  • 공연예술시장 활성화를 위한 유통 플랫폼 연구. 박사학위청구논문
    이의신 고려대학교 [2019]
  • 공연 중계영상의 관객증대 전략. 박사학위청구논문
    김희석 성균관대학교 [2018]
  • 공공부문 문화매개인력 공급체계 개선 연구 : 재정지원 문화매개인력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수시연구 2017_21
    장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8]
  • 감각의 확장으로서 포스트 뮤지엄 : 대림미술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청구논문
    이지연 서강대학교 [2017]
  •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공연콘텐츠의 사례분석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Vol.8, Issue.5)
    유영재 한국융합학회 [2017]
  • 가상 박물관의 공간 형식과 그 의의에 관한 연구 -모던 박물관과 포스트모던 박물관을 중심으로-. 박사학위청구논문
    박대정 이화여자대학교 [2007]
  • 가상 뮤지엄에서 관람객 유형에 따른 전시관람모델 및 맞춤형 서비스 개념 연구. 디자인융복합연구(제15권 6호)
    박승호 이유진 하민아 디자인융복합학회 [2016]
  • 『예술로 읽는 4차 산업혁명』
    김선영 [2018]
  • ‘미술감상’ 교육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포럼(23호)
    현은령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9]
  • https://mw2015.museumsandtheweb.com/paper/art-museums-and-youtube-current-practice-and-potential-strategy/
  • e뮤지엄 http://www.emuseum.go.kr
  • The ‘ New ’ Digital Economy and Development
    [2017]
  • The architecture of platforms : A unified view
    Working Paper No . 09-034 [2009]
  •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what it means , how to respond ( World Economic Forum
    https : //www.weforum.org [2016]
  • The Four : The Hidden DNA of Amazon , Apple , Facebook , and Google
    [2017]
  • The Economy of Culture in Europe
    [2006]
  • The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 Diversity of Cultural Expressions
    [2010]
  • The Connected Museum in the World of Social Media . Museum Communication and Social Media by Kirsten Drotner
    [2014]
  • Streaming , sharing , stealing : Big data and the future of entertainment
    [2016]
  • Strategies for Two-Sided Markets
    84 , no . 10 ( [2006]
  • SNS 패션 인플루언서의 진정성과 팬쉽의 효과. 석사학위청구논문
    김우빈 서울대학교 [2018]
  • SNS 이용자의 속도문화와 미디어 재매개 연구 : 비릴리오의 드로몰로지와 감각의 마비 개념을 중심으로. 석사학위청구논문
    김동욱 중앙대학교 [2012]
  • Running Lean : Iterate from Plan A to a Plan That Works .
    [2012]
  • Platform Studies : Frequently Questioned Answers ( Working Paper )
    from http : //bogost.com [2009]
  • Platform Revolution : How Networked Markets Are Transforming the Economyand How to Make Them Work for You
    [2016]
  • Opening Platforms : How , When and Why ?
    Working Paper No . 09-030 [2008]
  • Mediation culturelle : l ’ enjeu de la gestion des ressources humaines
    [2010]
  • GLAM(Gallery Library Archive Museum)의 오픈 액세스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청구논문
    이지현 명지대학교 [2017]
  • G-ACE 2019 워크숍 자료 https://docs.google.com/presentation/d/19ey7f7ncb6To9hQsAaCPRkZ02bM27UuzZaP_C20puEU/edit?usp=sharing
    G [2019]
  • G-ACE 2019 워크숍 사진 http://bit.ly/190629photo
    G [2019]
  • Creative Industries Mapping Document 2001 ( 2nd ed. )
    [2001]
  • Creative Economy Report 2010
    [2010]
  • Business Model Generation : A Handbook for Visionaries , GameChangers , andChallengers
    Kindle Edition [2010]
  • Art museums and YouTube : Current practice and potential strategy . MW2015 : The annual conference of Museums and the Web
    from [2015]
  • A Sustainable Platform Economy & the Future of Corporate Governance ( Working Paper ) . N° 441/2019 , ECGI Working Paper Series in Law
    [2019]
  • 4차산업시대의 문화콘텐츠산업
    김상욱 ㈜크린비디자인 [2017]
  • 21세기 박물관의 대중화 전략 연구. 석사학위청구논문
    김지선 아주대학교 [2016]
  • 21세기 미래형 미술관. 전승보 엮음. 큐레이팅을 말하다
    서진석 미메시스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