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박정희 유신체제와 헤게모니 권위주의 정당성 : 성역화사업을 중심으로

최광승 2020년
논문상세정보
' 박정희 유신체제와 헤게모니 권위주의 정당성 : 성역화사업을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박정희 유신체제
  • 성역화사업
  • 신라
  • 정당성
  • 헤게모니 권위주의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647 0

0.0%

' 박정희 유신체제와 헤게모니 권위주의 정당성 : 성역화사업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화랑교육원, ??화랑교육원 30년∼2003)??
    화랑교육원, ??화랑교육원 30년 화랑교육원, 2004 [1973]
  • 화랑교육원, ??화랑교육원 20년사∼1993)??
    화랑교육원, ??화랑교육원 20년사 화랑교육원, 1994 [1973]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년대 전반기의 정치사회변동??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백산서당, 1999 [1970]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도서관 사서과 편, ??霞城文庫目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
  • 한국여행신문사특별취재팀, ??한국관광 50년 비사??
    한국여행신문사특별취재팀 한국여행신문사 [1999]
  • 한국서양사학회 편, ??서양에서의 민족과 민족주의??
    한국서양사학회 까치 [1999]
  • 한국사학사연구회 북한사학사연구반, ??북한의 역사 만들기: 북한역사학 50년??
    한국사학사연구회 푸 른역사 [2003]
  • 한국관광협회, ??한국관광발전사??
    한국관광협회 한국관광협회 [1984]
  • 한국고고학학회 엮음, ??일곱 원로에게 듣는 한국 고고학 60년??
    한국고고학학회 사회평론 [2008]
  • 편저, ??제3세계 정치체제와 관료적 권위주의??
    한상진 한울 [1984]
  • 청와대 관광개발계획단, ?경주관광종합개발계획?, (국가기록원 소장, 관리번호 C11 M36370)
  • 청소년대책위원회 편, ??청소년백서 ??
    청소년대책위원회 국무총리기획조정실, 1978 [1978]
  • 진 밀러 지음, 윤혜미 옮김, ??사회적 행동과 인간환경??
    한울 [1995]
  • 지음, 이현정 옮김, ??군사주의에 갇힌 근대??
    문승숙 또하나의문화 [2007]
  • 지음, ??전통, 근대가 만들어낸 또 하나의 권력??
    임형택 인물과사상사 [2010]
  • 지음, ??영웅 만들기 - 신화와 역사의 갈림길??
    박지향 휴머니스트 [2005]
  • 지음, ??박정희 대통령시대 연구??
    홍석률 백산서당 [2002]
  • 조지 모스 지음, 임지현?김지혜 옮김, ??대중의 국민화??
    조지 소나무 [2008]
  • 정진아, ?유신체제 국가주의, 반공주의 교육의 내면: 초등학교 사회?국사?도덕 교 과서를 중심으로?, ??통일인문학?? 73집
    73집, 건국대 인문학연구원, 2018. 건국대 인문학연구원 [2018]
  • 정유선, ?귀순자의 남한사회 적응과정과 일상에서의 실천방식에 관한 연구?
    정유선 서울 대 인류학과 석사논문 [1998]
  • 재무부, ?경주관광개발 사업을 위한 IBRD 차관 협정 체결?, (국가기록원 소장
  • 장신, ?해제 ?중?고등학교 국사교육개선을 위한 기본방향??, ??역사문제연구?? 36호
    36호, 역사문제연구소, 2016. 역사문제연구소 [2016]
  • 이하나, ?유신체제기 ‘민족문화’담론의 변화와 갈등?, ??역사문제연구?? 28호
    28호, 역사문 제연구소, 2012. 역사문 제연구소 [2012]
  • 이병도, ??인문계 고등학교 국사??
    이병도 일조각 [1960]
  • 엮음, ??신라의 발견??
    황종연 동국대 출판부 [2008]
  • 엮음, ??국가와 일상: 박정희 시대??
    공제욱 한울 [2008]
  • 엮음, ??개발독재와 박정희시대: 우리 시대의 정치경제적 기원??
    이병천 창비 [2003]
  • 역사가 기억을 말한다
    전진성 휴머니스트 [2005]
  • 에릭 홉스봄 외 지음, 박지향?장문석 옮김, ??만들어진 전통??
    에릭 휴머니스트 [2004]
  • 에드워드 쉴즈 지음, 김병서?신현수 옮김, ??전통??
    에드워드 민음사 [1992]
  • 앙드레 슈미드 지음, 정여울 옮김, ??제국 그 사이의 한국 1895∼??
    앙드레 휴머니스트, 2007 [1919]
  • 베네딕트 앤더슨 지음, 윤형숙 옮김, ??상상의 공동체??
    베네딕트 나남 [2002]
  • 박물관의 탄생
    전진성 살림 [2004]
  • 민족통일연구원, ??
    민족통일연구원 남북한 문화정책 비교 연구?? [1994]
  • 문화재관리국, ?통일전안내책자송부?, (국가기록원 소장
  • 문화재관리국, ?통일전기록화?, (국가기록원 소장
    문화재관리국, ?통일전기록화?, 관리번호 BA01, 1978 [2106]
  • 문화재관리국, ?삼국통일전기념시설?, (국가기록원 소장
  • 문화재관리국 기념물과, ?삼국통일전 기념시설전(영정, 벽화, 비문안)?, (국가기록원 소장
  • 문화재관리국 ?김유신장군관계철?, (국가기록원 소장
    문화재관리국 ?김유신장군관계철?, 관리번호 BA01, 1974 [2080]
  • 문화공보부, ?통일전중요건물명명 및 대통령각하 휘호앙청보고?, (국가기록원 소장
  • 문화공보부, ??호국선현의 유적??
    문화공보부 문화공보부 [1978]
  • 문화공보부, ??문화공보 30년??
    문화공보부 문화공보부 [1979]
  • 문교부, ??인문계 고등학교 국사??
    문교부 문교부 [1978]
  • 문교부, ??인문계 고등학교 국사??
    문교부 문교부 [1979]
  • 문교부, ??시련과 극복??
    문교부 문교부 [1978]
  • 막스 베버 지음, 전성우 옮김, ??직업으로서의 정치??
    막스 나남출판 [2019]
  • 로버트 팩스턴 지음, 손명희?최희영 옮김, ??파시즘??
    로버트 교양인 [2005]
  • 대한민국 정부, ?제3차 경제개발5개년계획∼1976)?
  • 대한교육연합회, ??년판 한국교육연감??
    대한교육연합회 대한교육연합회, 1972 [1972]
  • 대한교육연합회, ??년판 한국교육연감??
    대한교육연합회 대한교육연합회, 1973 [1973]
  • 대통령비서실, ?아산 현충사 성역화 사업현지 확인보고?, (국가기록원 소장
  • 대통령비서실, ?국사교육강화?, (국가기록원 소장
    대통령비서실, ?국사교육강화?, 관리번호 EA0004965) [1972]
  • 대통령비서실, ?국사교과서의 국정화 방안 보고?, (국가기록원 소장
  • 대통령비서실, ?경주지구 발굴계획?, (국가기록원 소장
    대통령비서실, ?경주지구 발굴계획?, 관리번호 EA000, 1973 [2106]
  • 대통령비서실, ?경주보문지구개발사업 추진현황보고?, (국가기록원 소장
  • 대통령비서실, ?경주개발차관추진을 위한 조치?, (국가기록원 소장
  • 대통령비서실, ?경주 관광종합개발 세계은행 평가조사 결과 보고?, (국가기록원 소 장
  • 대통령비서실, ?경주 관광종합개발 세계은행 차관협의 대책?, (국가기록원 소장
  • 대통령비서실, ?경주 관광종합개발 세계은행 차관협의 결과보고?, (국가기록원 소장
  • 대통령비서실, ??박정희 대통령대통령연설문집?? 9집
    9집, 대통령비서실, 1973. 대통령비서실 [1973]
  • 대통령비서실, ??박정희 대통령대통령연설문집?? 6집
    6집, 대통령비서실, 1970. 대통령비서실 [1970]
  • 대통령비서실, ??박정희 대통령대통령연설문집?? 5집
    5집, 대통령비서실, 1969. 대통령비서실 [1969]
  • 대통령비서실, ??박정희 대통령대통령연설문집?? 4집
    4집, 대통령비서실, 1968. 대통령비서실 [1968]
  • 대통령비서실, ??박정희 대통령대통령연설문집?? 3집
    3집, 대통령비서실, 1967. 대통령비서실 [1967]
  • 대통령비서실, ??박정희 대통령대통령연설문집?? 2집
    2집, 대통령비서실, 1966. 대통령비서실 [1966]
  • 대통령비서실, ??박정희 대통령대통령연설문집?? 10집
    10집, 대통령비서실, 1974. 대통령비서실 [1974]
  • 니시카와 나가오 지음, 윤대석 옮김, ??국민이라는 괴물??
    니시카와 소명출판 [2002]
  • 국민교육협의회 편, ??국민교육헌장의 자료총람??
    국민교육협의회 한국경영개발협회출판부 [1972]
  • 국립영화제작소, ?통일전?
    국립영화제작소, ?통일전?, 1977 (e영상역사관, http://www.ehistory.go.kr/page/view/ movie.jsp?srcgbn=KV&mediaid=2190&mediadtl=9081&gbn=MH) [1977]
  •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 (http://ncic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 re.kr/mobile.kri.org4.inventoryList.do)
  • 광주중앙여고 50년사 간행위원회, ??광주중앙여고 50년사∼2012)??
  • 고원, ?박정희 정권 시기 농촌 새마을운동과 ‘근대적 국민 만들기’?, ??경제와사회?? 6 9호
    6 9호, 한국산업사회학회, 2006. 한국산업사회학회 [2006]
  • 고원, ?가정의례의 재편과 균열?, 공제욱 엮음, ??국가와 일상: 박정희 시대??
    고원 한울 [2008]
  • 경주개발동우회, ??그래도 우리는 신명바쳐 일했다??
    경주개발동우회 고려서적 [1998]
  • 경주개발건설사무소, ?경주관광종합개발사업지?
  • 경상북도교육청, ??경북교육오십년사?? 下
    下, 경상북도교육청, 1998. 경상북도교육청 [1998]
  • 경상북도교육위원회, ??화랑정신??
    경상북도교육위원회 경상북도교육위원회 [1972]
  • 경상북도교육위원회, ??화랑교본?? 전3권
    전3권, 경상북도교육위원회, 1973. 경상북도교육위원회 [1973]
  • 경상북도교육위원회, ??수련교본??
    경상북도교육위원회 경상북도교육위원회 [1978]
  • 경상북도, ?화랑문화의 신연구?, (국가기록원 소장
    경상북도, ?화랑문화의 신연구?, 관리번호 C11M03064) [1995]
  • 『비동시성의 동시성』
    임혁백 고려대학교출판부 [2014]
  • 『국가와 혁명과 나』
    박정희 향문사 [1963]
  • Totalitarian and Authoritarian Regimes
    [2000]
  • The three pillars of stability : Legitimation , repression , and co-optation in autocratic regimes
    20 ( 1 ) . '' [2013]
  • The politics of uncertainty : Sustaining and subverting electoral authoritarianism .
    [2013]
  • The legitimation of power
    [1991]
  • The durability of revolutionary regimes
    24 ( 3 ) . '' [2013]
  • The Security Dilemma in Alliance Politics.
    36 ( 4 ) . '' [1984]
  • The Rise of Bureaucratic Authoritarianism in South Korea
    39 ( 2 ) . '' [1987]
  • The Anatomy of Legitimacy . Alagappa , M . ( Eds . ) , Political legitimacy in Southeast Asia : The quest for moral authority
    [1995]
  • Some Social Requisites of Democracy : Economic Development and Political Legitimacy.
    53 ( 1 '' [1959]
  • Post-Cold War Regimes : When Do Elections Matter ? Staffan Lindberg , ed . Democratization by Elections : A New Mode of Transition
    [2009]
  • Political legitimacy in Southeast Asia : The quest for moral authority
    [1995]
  • Paradigms and Sand Castles : Theory Building and Research Design in Comparative Politics
    [2003]
  • Papa ’ - Nursultan Nazarbayev and the discourse of charismatic leadership and nation-building in Post-Soviet Kazakhstan
    10 ( 3 ) . '' [2010]
  • Introduction . In J. Ahrens , M. Brusis , & M. Schulze Wessel ( Eds . ) , The politics of legitimation in Post-Soviet Eurasia
    [2015]
  • Identity , procedures and performance : how authoritarian regimes legitimize their rule
    23 ( 3 ) . '' [2017]
  • Drawing Boundaries : How to Draft Intermediate Regime Categories . Andreas Schedler , ed . Electoral Authoritarianism : The Dynamics of Unfree Competition
    [2006]
  • Diffusion-proofing : Russian and Chinese responses to waves of popular mobilizations against authoritarian rulers .
    11 ( 3 ) . '' [2013]
  • Diffusion and the International Context of Democratization
    60 ( 4 ) . '' [2006]
  • Democracy with Adjectives : Conceptual Innovation in Comparative Research
    49 ( 3 ) . '' [1997]
  • Competitive Authoritarianism : Hybrid Regimes After the Cold War .
    [2010]
  • Charisma , control , and coercion : The dilemma of communist leadership
    17 ( 1 ) . '' [1984]
  • Authoritarian regime types revisited : Updated data in a comparative perspective
    19 ( 1 ) . '' [2013]
  • An Authoritarian Regime : Spain . Allart . E. and Littunen Y . des. , Clevages , Ideologies , and Party Systems
    [1964]
  • A systems analysis of political life
    [1965]
  • A re-assessment of the concept of political support
    5 ( 4 ) . '' [1975]
  • ?황오기, ?경주관광 종합개발계획의 재조명?, ??
    임원현 경주대학교 논문집?? 7집, 경 주대 [1995]
  • ?화랑과 상무정신?, ??동아일보??
    신복룡 년 4월 7일 [2001]
  • ?홍석률?전재호 외 지음, ??유신과 반유신??
    안병욱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5]
  • ?호국선현유적과 전통문화 유적의 보존계승에 대하여?, ??문화재?? 11호
    정재훈 문 화재관리국 [1977]
  • ?현대 한국사회 국가의례의 상징화와 의미분석?
    김현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 학대학원 박사논문 [2004]
  • ?현대 한국기념조각상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의 선열조각상을 중심으로?
    심정수 동국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81]
  • ?현대 國難克服史觀의 형성과 전개-임진왜란 인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제5 9회 전국역사학대회, ??
    노영구 기록의 생성과 역사의 구성?? [2016]
  • ?해방 이후 국사교과서의 변천과 지배 이데올로기?, ??역사비평?? 15호
    김한종 역사 비평사 [1991]
  • ?한국정치학에 있어서 역사적 접근의 의의?, ??한국정치외교사논총?? 8집
    차기벽 한 국정치외교사학회 [1992]
  • ?한국정치체제의 구조적 특성 - 신권위주의를 중심으로?, ??한국정치발전의 특성과 전망??
    강민 한국정치학회 [1984]
  • ?한국의 정치변동과 유신체제?, 한국정치학회 편, ??현대 한국정치와 국가??
    김영명 법문사 [1986]
  • ?한국 전통미술의 재발견: ∼70년대를 중심으로?, 임형택 외 지음, ??전통, 근대가 만들어낸 또 하나의 권력??
    조인수 인물과사상사, 2010 [1960]
  • ?한국 동상조각의 근대이미지?, ??한국근대미술사학?? 9권
    조은정 한국근대미술사학 회 [2001]
  • ?한국 근대유행가에 표상된 ‘신라’ 담론?, ??한국문학연구?? 33집
    서희원 동국대 한 국문학연구소 [2007]
  • ?한국 근대소설에 나타난 신라: 현진건의 ??무영탑??과 이광수의 ??원효대 사??를 중심으로?, ??동방학지?? 137집
    황종연 연세대 국학연구원 [2007]
  • ?한국 근대 국민관광의 형성과정 - 박정희 정부 시기의 국가정책을 중심으 로?, ??한국민족문화?? 28호
    인태정 부산대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6]
  • ?프랑스 혁명과 ‘국민’의 탄생?, 한국서양사학회 편, ??서양에서의 민족과 민 족주의??
    김갑수 까치 [1999]
  • ?프랑스 공화주의 축제와 국민적 정체성?, ??정치사상연구?? 11집 1호
    홍태영 한국 정치사상학회 [2005]
  • ?통일전의 문화마케팅 전략구축?, ??신라학연구?? 1집
    이강식 신라학연구소 [1997]
  • ?충무공동상과 국가이데올로기?, ??한국근현대미술사학?? 12집
    박계리 한국근현대미 술사학회 [2004]
  • ?최장집?손영원, ??국가이론과 분단한국: 국가?헤게모니?세계체제?분단??
    김홍명 한울 [1985]
  • ?주민등록제도와 총체적 감시사회의 형성?, 공제욱 엮음, ??국가와 일상: 박 정희 시대??
    홍성태 한울 [2008]
  • ?제3차 교육과정기 고등학교 ??국사??의 한국고대사 서술과 특징?, ??역사와교 육?? 27집
    이정빈 동국대 역사교과서연구소 [2018]
  • ?제3, 4공화국의 문화정책과 불국사 복원 과정을 통해 본 문화재 보존의 의미와 역할에 관한 연구?
    장지정 한양대 건축학과 석사논문 [2014]
  • ?정형우, ??인문계 고등학교 최신국사??
    민영규 양문사 [1967]
  • ?정치종교로서의 나치즘 - 그 성과와 한계?, ??역사문화연구?? 20집
    나인호 한국외 국어대 역사문화연구소 [2004]
  • ?정쟁서사와 국민국가 프로젝트?, 이승원?오선민?정여울 지음, ??국민국가 의 정치적 상상력: 근대계몽기의 신체?전쟁?민족담론??
    오선민 소명출판 [2003]
  • ?정부재정 한 푼도 안 쓰고 시작한 ‘의료보험’?, 권보드래 외 지음, ??, 박정희 모더니즘: 유신에서 선데이서울까지??
    황병주 천년의상상, 2015 [1970]
  • ?전통의 창안과 여성의 국민화: 신사임당을 중심으로?, ??사회와 역사?? 80집
    김수진 한국사회사학회 [2008]
  • ?전통에 관한 담론 분석: 문화정책과 대통령 담화문을 중심으로?
    이주연 연세대 사회학과 석사논문 [1995]
  • ?일상공간 속의 영웅과 애국주의?, 공제욱 엮음, ??국가와 일상: 박정희 시대 ??
    정호기 한울 [2008]
  • ?이종훈 엮음, ??대중독재의 영웅 만들기??
    권형진 휴머니스트 [2005]
  • ?이우성?한우근?김용섭, ?중?
    이기백 고등학교 국사교육 개선을 위한 기본 방향? [1969]
  • ?이순신, ‘민족의 수호신’ 만들기와 박정희 대통령 체제의 대중 규율화?, 권 형진, 이종훈 엮음, ??대중독재의 영웅 만들기??
    이상록 휴머니스트 [2005]
  • ?이선근이 주창한 ‘민족사학’의 성격과 ‘식민사학’과의 친연성?, ??식민사학과 민족사학의 관학 아카데미즘??
    김종준 소명출판 [2013]
  • ?이선근의 한국사 연구와 역사관?, 김용덕?미야지마 히로시 편, ??근대교류 사와 상호인식Ⅲ: 년 전후??
    박찬승 아연출판부, 2008 [1945]
  • ?이선근?, 편집부 저, ??한국사시민강좌?? 46호
    이택휘 일조각 [2010]
  • ?이선근: 역대 부도덕한 정권의 밑받침이 되어 준 이론가?, 반민족문제연구 소 편, ??청산하지 못한 역사?? 3
    구양근 청년사 [1994]
  • ?유신체제의 형성과 분단구조?, 이병천 엮음, ??개발독재와 박정희시대??
    이종석 창비 [2003]
  • ?유신체제의 지배적인 이데올로기와 이데올로기적 동원정책?, 안병욱?홍석 률?전재호 외 지음, ??유신과 반유신??
    김영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5]
  • ?유신체제의 지배 이데올로기와 대중 통제?, 배성인 외 지음, ??유신을 말하 다??
    배성인 나름북스 [2013]
  • ?유신체제의 수립과 전개?, 한국정치외교사학회 편, ??한국현대정치사??
    김영명 집 문당 [1997]
  • ?유신체제기 박정희의 남북관계 구상과 실제?, ??역사와 현실?? 88호
    김지형 한국역 사연구회 [2013]
  • ?유신체제 수립에 관한 연구 - 정치경제학적 접근?, 한국산업사회연구회 편, ??오늘의 한국 자본주의와 국가??
    김영순 한길사 [1988]
  • ?유신정권의 국정 국사 교과서 비판?, 역사비평사 편집위원회 엮음, ??논쟁 으로 읽는 한국사?? 2
    윤종영 역사비평사 [2009]
  • ?유신의 역사적 기원: 박정희의 마키아벨리적인 시간(下)?, ??한국정치연구?? 14집 1호
    임혁백 서울대 한국정치연구소 [2005]
  • ?유신의 역사적 기원: 박정희의 마키아벨리적인 시간(上)?, ??한국정치연구?? 13집 2호
    임혁백 서울대 한국정치연구소 [2004]
  • ?유신시대 학생, 모의 수류탄을 던지다: 총력안보체제 구축과 군사동원된 신 체?, ??역사비평?? 99호
    허은 역사비평사 [2012]
  • ?유신 독재와 주민등록제도?, ??역사비평?? 99호
    홍성태 역사비평사 [2012]
  • ?위인들의 초상화 제작?, ??한글+한자문화?? 74집
    장우성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 합회 [2005]
  • ?우리나라 전통 문화 정책의 전개 과정과 그 의미?, ??정신문화연구?? 23권 4 호
    정갑영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0]
  • ?우리나라 근대조경 태동기의 숨은 이야기, 현충사 성역화 사업?, ??환경 과 조경?? 144호
    오휘영 환경과 조경 [2000]
  • ?오선민?정여울 지음, ??국민국가의 정치적 상상력: 근대계몽기의 신체?전 쟁?민족담론??
    이승원 소명출판 [2003]
  • ?연탄의 추억?, 권보드래 외 지음, ??, 박정희 모더니즘: 유신에서 선 데이서울까지??
    권보드래 천년의상상, 2015 [1970]
  • ?역사적 인물의 영웅화와 기념의 문화정치?
    권오헌 고려대 사회학과 박사논문, 20 10
  • ?역사교과서의 사회문화적 기능과 국가 이데올로기?, ??역사교육?? 131집
    김한종 역 사교육연구회 [2014]
  • ?역사 속의 이순신 인식?, ??역사비평?? 69호
    노영구 역사비평사 [2004]
  • ?안보위기론의 주창자, 이선근?, ??내일을 여는 역사?? 31호
    허은 서해문집 [2008]
  • ?안보와 민주주의, 그리고 박정희의 길: 유신체제 수립원인 재고?, ??국제정 치논총?? 43집 4호
    마상윤 한국국제정치학회 [2003]
  • ?신라와 고구려를 바라보는 두 시선?, ??양명학?? 35호
    김석근 한국양명학회 [2013]
  • ?신라 왕릉의 기원과 변천?
    이근직 영남대 문화인류학과 박사논문 [2006]
  • ?식민지시기 일본인들이 발견한 ‘신라’에 관하여: 야나기 무네요시의 경우?, ??일본학보?? 72집
    이병진 한국일본학회 [2007]
  • ?새마을운동과 정신개조?, ??사회이론?? 38호
    문상석 한국사회이론학회 [2010]
  • ?산업화와 한국정치체제의 변화?, ??한국정치학회보?? 19집
    이정복 한국정치학회 [1985]
  • ?비교정치연구에 있어서 개념정립오류?, 김웅진?박찬욱?신윤환 편역, ?? 비교정치론강의?? 1
    사르토리 한울 [1995]
  • ?북한의 전근대 반침략 투쟁사 연구?, 한국사학사연구회 북한사학사연구반, ??북한의 역사 만들기: 북한역사학 50년??
    김순자 푸른역사 [2003]
  • ?북한의 고중세 정치사 연구?, 한국사학사연구회 북한사학사연구반, ??북한 의 역사 만들기: 북한역사학 50년??
    연갑수 푸른역사 [2003]
  • ?북한의 고대사 연구 동향?, ??한국고대사탐구?? 3권
    이영화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 09
  • ?발굴의 시대 - 경주 발굴, 개발 그리고 문화공동체?, ??사학연구?? 116호
    김원 한 국사학회 [2014]
  • ?반유신과 문화예술운동?, 안병욱?홍석률?전재호 외 지음, ??
    주강현 유신과 반유 신 [2005]
  • ?박정희정권기 역사교육학계의 민족주체성 인식과 국사교육 강화?, ??역사문 제연구?? 37호
    이봉규 역사문제연구소 [2017]
  • ?박정희정권과 새마을지도자연수원의 지도자 양성?, ??한국민족운동사연구?? 65집
    박진우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0]
  • ?박정희의 황당 지시 “왕성 터에 호텔 지으라”?, ??시사IN?? 470호
    김태식 년 9 월 22일 [2016]
  • ?박정희의 조경관?, ??한국조경학회지?? 31권
    배정한 한국조경학회 [2003]
  • ?박정희의 식민지 체험과 박정희시대의 기원?, ??역사비평?? 89호
    이준식 역사비평 사 [2009]
  • ?박정희의 ‘민족’ 창조와 동원된 국민통합?, ??한국정치외교사논총?? 28집 2호
    최연식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07]
  • ?박정희에게 경주는 특별했다?, ??시사IN?? 472호
    김태식 년 10월 7일 [2016]
  • ?박정희시대 지배체제의 통치 전략과 기술: 년대 농촌새마을운동을 중 심으로?, ??사회와 역사?? 90집
    김보현 한국사회사학회, 2011 [1970]
  • ?박정희시대 지배 이데올로기의 형성: 역사적 기원을 중심으로?, 홍석률 외 지음, ??박정희시대 연구??
    이준식 백산서당 [2002]
  • ?박정희시대 국가주의 교육론 연구: 역사교육을 중심으로?
    김동환 연세대 석사논 문 [2008]
  • ?박정희부터 선데이서울까지(19) 발굴의 시대 - 왜, 경주였나?, ??경향신 문??
    김원 2013년 12월 20일 [1970]
  • ?박정희 체제의 대중통치: 새마을운동의 구조?행위자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하재훈 경북대 정치학과 박사논문 [2007]
  • ?박정희 정권의 국사교육 강화 정책에 대한 연구?, ??인문학연구?? 34권 2호
    장영민 충남대 인문과학연구소 [2007]
  • ?박정희 정권의 ‘화랑도(花郞道)’ 교육?, ??역사와 현실?? 96호
    박성현 한국역사연구 회 [2015]
  • ?박정희 정권의 ‘호국 영웅 만들기’와 전통문화유산정책?, ??역사비평?? 99호
    전재호 역사비평사 [2012]
  • ?박정희 시대 근대화 담론 속의 전통: 전통의 선별과 강조?, ??전통과 현 대?? 22호
    최연식 전통과현대사 [2005]
  • ?박정희 민족주의 담론에 대한 연구?
    전재호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박사논문 [1998]
  • ?박정희 대통령의 문화정책 인식 연구: 박정희 대통령의 연설문 분석을 중 심으로?, ??예술경영연구?? 21집
    임학순 한국예술경영학회 [2012]
  • ?박정희 대통령시대 성역화사업의 추이와 성격?, ??역사문제연구?? 15호
    은정태 역 사문제연구소 [2005]
  • ?박정희 대통령 시대의 문화와 미술?, ??한국근대미술사학?? 15집
    박영택 한국근현 대미술사학회 [2005]
  • ?박정희 국가동원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새마을운동을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61호
    김대영 한국산업사회학회 [2004]
  • ?박상훈, ??민주주의의 민주화: 한국 민주주의의 변형과 헤게모니??
    최장집 후마니타 스 [2006]
  • ?민주화 이후 세종대왕의 국가영웅화와 기념문화의 변천?, ??사회사상과 문 화?? 18권 3호
    권오헌 동양사회사상학회 [2015]
  • ?민주와 민중?, ??신동아?? 9월호
    이정복 동아일보사 [1982]
  • ?민족주의와 역사의 이용: 박정희 체제의 전통문화정책?, ??사회과학연구?? 7집
    전재호 서강대 사회과학연구소 [1998]
  • ?민족주의 권력과 ‘협동하는 국민’ - 박정희정부 시기 농촌새마을운동의 사 례?, ??사학연구?? 116호
    김보현 한국사학회 [2014]
  • ?데탕트의 위험과 기회: 년대 초 박정희와 김대중의 안보 인식과 논리 ?, ??세계정치?? 14권
    마상윤 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 2011 [1970]
  • ?대통령이 경주 개발에 적극적인 이유?, ??시사IN?? 465호
    김태식 년 8월 19일 [2016]
  • ?년대 청년문화 세대담론의 정치학?, ??언론과 사회?? 14권 3호
    주창윤 성곡언 론문화재단, 2006 [1970]
  • ?년대 변동에 관한 연구: 유신체제의 성립과 붕괴과정?, 최장집 편, ??한 국 자본주의와 국가??
    고성국 열음사, 1985 [1970]
  • ?년대 박정희 집권기 국사교육의 특징: 중고등학교 독본용 교과서 ??시 련과 극복?? 분석을 중심으로?, ??전농사론?? 10집
    이난영 서울시립대 국사학과, 2004 [1970]
  • ?년대 박정희 정권의 문화정책과 문화통제?
    김행선 선인, 2012 [1970]
  • ?년대 국정 <국사> 교과서에 나타난 애국심 교육과 국가주의?, ??역사 교육연구?? 19호
    구경남 한국역사교육학회, 2014 [1970]
  • ?년대 ‘국적 있는 교육’의 실현 과정: 교원 연수와 교육잡지의 분석을 중심으로?
    신선호 서울시립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10 [1970]
  • ?년 천마총 발굴과 박정희 정권의 문화재 정책?, ??역사비평?? 112호
    전덕재 역 사비평사, 2015 [1973]
  • ?냉전기 국민화 프로젝트와 “전통문화” 담론?, ??중국어문학논집?? 43호
    윤영도 중국 어문학연구회 [2007]
  • ?나의 소년시절?, ??
    박정희 월간조선??, 년 5월 [1984]
  • ?나의 길 나의 인생?, ??환경과 조경?? 144?145?146호
    정재훈 환경과 조경 [2000]
  • ?김동리의 장편역사소설 <삼국기>와 <대왕암> 연구?, ??한국현대문학연 구?? 31집
    허련화 한국현대문학회 [2010]
  • ?기억의 문화, 기념물과 역사교육?, ??역사교육?? 97집
    정근식 역사교육연구회 [2006]
  • ?기록을 통해서 본 70년대 ‘문예중흥 5개년 계획’?, ??국가기록연구?? 7호
    이영도 국 가기록원 [2009]
  • ?근대 시각문화 속의 석굴암?, 황종연 엮음, ??신라의 발견??
    김현숙 동국대 출판부 [2008]
  • ?그람시의 헤게모니 개념?, 김홍명?최장집?손영원 지음, ??국가이론과 분 단한국: 국가?헤게모니?세계체제?분단??
    최장집 한울 [1985]
  • ?권위주의 체제의 등장 원인에 관한 사례 연구 - 유신 권위주의의 성립을 중심으로?, 최장집 편, ??한국 자본주의와 국가??
    김태일 열음사 [1985]
  • ?권력지배의 정당화와 국가의례?, ??사회조사연구?? 17권
    오재환 부산대 사회조사연 구소 [2002]
  • ?국사교육의 강화와 국가주의?, 공제욱 엮음, ??국가와 일상: 박정희 시대??
    장영민 한울 [2008]
  • ?국사교육강화정책?, ??문명연지?? 2권 1호
    윤종영 한국문명학회 [2001]
  • ?국사교과서 발행제도에 대한 고찰?, ??문명연지?? 1권 2호
    윤종영 한국문명학회 [2000]
  • ?국사 교과서 정치도구화의 역사?, ??역사교육?? 97집
    이신철 역사교육연구회 [2006]
  • ?국민국가와 ‘화랑도’?, ??정신문화연구?? 29권 4호
    정종현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 ?국민교육헌장과 박정희 체제의 지배담론?, ??역사문제연구?? 15호
    황병주 역사문제 연구소 [2005]
  • ?국민교육헌장과 박정희 정권의 국민통제?
    성윤정 성신여대 교육학과 석사논문 [2004]
  • ?국민교육헌장 이념의 구현과 국사 및 도덕과 교육과정의 개편∼1994)?, ??역사문제연구?? 15호
    신주백 역사문제연구소, 2005 [1968]
  • ?국가정책으로서 관광정책의 정치적 의미와 기능?
    안영훈 경기대 정치법학과 박사 논문 [2015]
  • ?국가이론의 한국적 적실성?, 한국정치학회 편, ??현대한국정치와 국가??
    강민 법문 사 [1987]
  • ?국가론을 통한 한국정치의 패러다임 모색: 최근의 연구동향과 그 반성?, ?? 현상과 인식?? 9권 2호
    박광주 한국인문사회과학회 [1985]
  • ?국가동원과 ‘가족계획’?, 공제욱 엮음, ??국가와 일상: 박정희 시대??
    김명숙 한울 [2008]
  • ?국가, 계급 및 자본축적: 8?3조치를 중심으로?, 최장집 편, ??한국 자본주 의와 국가??
    이성형 한울 [1985]
  • ?관료적 권위주의의 한국적 생성?, ??한국정치학회보?? 17집
    강민 한국정치학회 [1983]
  • ?관료적 권위주의론과 한국정치?, ??한국정치의 분석과 이해??
    이정복 서울대학교출 판부 [2006]
  • ?관료적 권위주의론과 유신체제?, 석호 한배호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발간위 원회 편, ??한국의 자본주의와 민주주의??
    이정복 법문사 [1991]
  • ?관광개발기본계획?
    경주시 경주시 [1969]
  • ?과대성장국가의 형성과 정치균열의 구조?, ??한국사회연구?? 3집
    최장집 한길사 [1985]
  • ?경주관광종합개발계획의 주역?, 한국고고학회 엮음, ??일곱 원로에게 듣 는 한국 고고학 60년??
    정재훈 사회평론 [2008]
  • ?개발독재의 정치경제학과 한국의 경험?, 이병천 엮음, ??개발독재와 박정희 시대: 우리 시대의 정치경제적 기원??
    이병천 창비 [2003]
  • ?韓國における?武の精神???武士道?の誕生 - 花郞と武士道との結び付きへ の批判的省察?, ??양명학?? 22호
    최재목 한국양명학회 [2009]
  • ?花郞의 얼 深化를 위한 修練의 實際?, ??문교경북?? 61호
    정세량 경상북도 교육위 원회 [1978]
  • ?花郞精神 이어받은 全國 少年體典: 성화 채화 <특집>?, ??문교경북?? 49호
    김종대 경상북도 교육위원회 [1975]
  • ?李瑄根저 한민족의 국난극복사 연구 - 국사교과서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 로?
    손수범 공주대 역사교육과 석사논문 [2009]
  • ?∼70년대 한국의 공공미술: 박정희 시대 공공기념물을 중심으로?
    김미정 홍 익대 미술사학과 박사논문, 2010 [1960]
  • ?∼70년대 국가건축사업과 전통의 재구축?
    김지홍 서울대 건축학과 박사논문, 2014 [1960]
  • ?∼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박혜성 서울대 서양화과 석사논문, 2003 [1960]
  • ?‘혼분식 장려운동’과 식생활의 변화?, 공제욱 엮음, ??국가와 일상: 박정희 시대??
    공제욱 한울 [2008]
  • ?‘헤게모니 균열’의 문제설정에서 본 현대한국 정치변동의 재해석?, ??마 르크스주의 연구?? 5권 1호
    조희연 경상대 사회과학연구원 [2008]
  • ?‘통일신라’의 발명과 근대역사학의 성립?, ??신라문화?? 29집
    윤선태 신라문화연구 소 [2007]
  • ?‘정치종교’로서의 민족주의?, 한국서양사학회 편, ??서양에서의 민족과 민족 주의??
    김기봉 까치 [1999]
  • ?‘유신이념의 실천도장’, 년대 새마을운동?, ??내일을 여는 역사?? 48호
    이용기 내일을 여는 역사, 2012 [1970]
  • ?‘신라정신’ 천명과 그 정치적 함의?, 범부연구회 엮음, ??범부 김정설 연구 논문자료집??
    김석근 선인 [2010]
  • ?‘국민교육헌장’의 사상적 배경과 철학자의 역할 - 국민윤리교육과 연계하 여?, ??역사문제연구?? 15호
    김석수 역사문제연구소 [2005]
  • ??화랑도와 삼국통일??
    이선근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9]
  • ??화랑도연구??
    이선근 해동문화사 [1949]
  • ??현대한국정치: 이론과 역사??
    손호철 사회평론 [1997]
  • ??현대 한국정치: 이론, 역사, 현실, ∼2011??
    손호철 이매진, 2011 [1945]
  • ??한홍구와 함께 걷다: 평화의 눈길로 돌아본 한국 현대사??
    한홍구 검둥소 [2009]
  • ??한반도 평화를 위하여 - 비핵화와 대안적 안보체제??
    심재권 한울 [1996]
  • ??한민족의 국난극복사??
    이선근 휘문출판사 [1978]
  • ??한국정치변동론??
    한배호 법문사 [1994]
  • ??한국의 군부정치??
    한용원 대왕사 [1993]
  • ??한국사 회와 관료적 권위주의??
    한상진 문학과지성사 [1988]
  • ??한국 중?고등학교의 국사교육: 국사과 독립시기∼1994)를 중심으로??
    차미희 교육과학사, 2011 [1974]
  • ??한국 민주주의??, (미간행
    박정희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1972]
  • ??하나의 역사, 두 개의 역사학 - 개설서로 본 남북한의 역사학??
    정두희 소나무 [2001]
  • ??친일파의 한국 현대사??
    정운현 인문서원 [2016]
  • ??최빈국에서 선진국 문턱까지??
    김정렴 랜덤하우스중앙 [2006]
  • ??제3세계의 군부통치와 정치경제??
    김영명 한울 [1985]
  • ??인문계 고등학교 최신국사??
    민영규 양문사 [1973]
  • ??인문계 고등학교 국사??
    김상기 장왕사 [1967]
  • ??인문계 고등학교 국사??
    이홍직 동아출판사 [1970]
  • ??유신쿠데타??
    이경재 일월서각 [1986]
  • ??우리 민족의 나갈 길??
    박정희 동아출판사 [1962]
  • ??역사교육으로 읽는 한국현대사: 초등학교에서 역사교과서 파동까지??
    김한종 책과 함께 [2013]
  • ??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연구??
    김한종 선인 [2006]
  • ??알몸 박정희??
    최상천 인물과사상사 [2007]
  • ??식민지의 적자들: 조선적인 것과 한국 근대사의 굴절된 이면들??
    공임순 푸른역사 [2005]
  •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 현대사??
    서중석 웅진지식하우스 [2013]
  • ??비록: 박정희 시대?? 2
    이상우 중원문화사 [1985]
  • ??분단의 히스테리??
    홍석률 창비 [2012]
  • ??발굴 이야기??
    조유전 대원사 [1997]
  • ??박정희와 유신체제??
    김행선 선인 [2006]
  • ??박정희와 개발독재시대??
    조희연 역사비평사 [2007]
  • ??박정희 평전??
    전인권 이학사 [2006]
  • ??박정권 18년 - 그 권력의 내막??
    이상우 동아일보사 [1986]
  • ??민족중흥의 길??
    박정희 광명출판사 [1978]
  • ??민족의 저력??
    박정희 광명출판사 [1971]
  • ??민족의 이념과 진로??
    이선근 휘문출판사 [1989]
  • ??민족사의 혈맥??
    이선근 휘문출판사 [1988]
  • ??만주 모던??
    한석정 문학과지성사 [2016]
  • ??동원된 근대화??
    조희연 후마니타스 [2010]
  • ??남북한 문화정책 비교연구??
    이우영 민족통일연구원 [1994]
  • ??권위주의 체제하의 민주화운동 연구: ∼1970년대 제도 외적 반대세력 의 형성과정??
    류근일 나남, 1997 [1960]
  • ??국가와 선택??
    조인원 나남 [1998]
  • ??고고학의 늪에 빠져들다??
    윤근일 고래실 [2006]
  • ??경향신문??, ??대구일보??, ??매일신문??, ??서울신문??, ??조선일보??, ??
    경향신문 중앙일보??
  • ????삼국유사?? 새로 읽기?? 1
    신종원 일지사 [2004]
  • ?5?16 군사정부의 공보?, ??역사와 실학?? 47집
    유상수 역사실학회 [2012]
  • ?3차 교육과정기∼1981) 중등 국사과의 독립배경과 국사교육 내용의 특성?, ??한국사학보?? 25호
    차미희 고려사학회, 2006 [1974]
  • ?2개의 신라금관을 들어낸 발굴왕?, 한국고고학회 엮음, ??일곱 원로에게 듣 는 한국 고고학 60년??
    김정기 사회평론 [2008]
  • ?21세기에 부활하는 박정희시대의 화랑?, ??신라사학보?? 5호
    김태식 신라사학회, 20 05
  • ?-70년대의 문화정책과 민족문화담론?, ??비교문화연구?? 4호
    오명석 서울대 비 교문화연구소, 1998 [1960]
  • (구술), ?박정희시대 문화재보호정책2?
    정재훈 국사편찬위원회 [2009]